맨위로가기

몽기사르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기사르 전투는 1177년 예루살렘 왕국과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흐 앗 딘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예루살렘 왕국은 보두앵 4세가 문둥병으로 쇠약해진 상황에서 살라딘의 침공을 받았다. 보두앵 4세는 소수의 병력으로 살라딘의 군대를 기습하여 승리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 전투는 살라딘의 시리아 원정을 지연시켰으며, 이후 십자군과 무슬림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라딘의 전투 - 하틴 전투
    하틴 전투는 1187년 7월 4일 하틴 언덕에서 십자군과 살라딘의 이슬람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와 예루살렘 함락을 야기하여 제3차 십자군을 촉발했다.
  • 살라딘의 전투 - 예루살렘 공방전 (1187년)
    1187년 예루살렘 공방전은 하틴 전투 이후 살라딘이 이끄는 아이유브 왕조 군대가 예루살렘 왕국을 공격하여 함락시킨 사건으로, 이벨린의 발리앙의 지휘 아래 공성전 끝에 평화적으로 도시를 양도하고 시민 안전을 보장받았으며 제3차 십자군의 원인이 되었다.
  • 1177년 분쟁 - 망이·망소이의 난
    망이·망소이의 난은 1176년 고려 명종 때 명학소에서 망이와 망소이가 일으킨 민중 봉기로, 특수 행정 구역 차별과 경제적 불만에 대한 반발로 공주를 함락시켰으나,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고려는 특수 행정 구역을 폐지하기 시작했다.
  • 1177년 분쟁 - 의주적의 난
    1216년 고려 의주에서 발생한 의주적의 난은 금나라의 진압으로 고려와 금나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의주 지역에 큰 피해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여 고려 사회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켜 왕권 약화와 지방 세력 성장을 초래했으며 고려 멸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평가받고 훗날 조선 건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 십자군의 전투 - 하틴 전투
    하틴 전투는 1187년 7월 4일 하틴 언덕에서 십자군과 살라딘의 이슬람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와 예루살렘 함락을 야기하여 제3차 십자군을 촉발했다.
  • 십자군의 전투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 7월 16일 스페인에서 벌어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는 기독교 연합군이 무와히드 왕조를 격파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 쇠퇴를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몽기사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몽기사르 전투
1177년 몽기사르 전투, 샤를 필리프 라리비에르, 1842–1844
1177년 몽기사르 전투, 샤를 필리프 라리비에르, 1842–1844
일부십자군 전쟁
시기1177년 11월 25일
장소예루살렘 왕국, 람라 근처의 몽기사르 (게제르 추정)
결과십자군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예루살렘 왕국
교전국 2테ンプル 기사단
교전국 3아이유브 왕조
지휘관 및 병력
지휘관 1보두앵 4세
지휘관 2르노 드 샤티용
지휘관 3외드 드 생-아망
지휘관 4살라딘
지휘관 5타키 알 딘 우마르
병력 13,000–4,500명
병력 설명 180명의 테ンプル 기사단
375명의 기사
2,500–4,000명의 보병 및 궁수
병력 221,000–26,000명 (과장되었을 가능성 있음)
피해 규모
사상자 11,850명의 사상자
사상자 설명 11,100명 사망
750명 부상
사상자 2대부분의 군대가 사망

2. 배경

1177년 십자군 국가예루살렘 왕국은 보두앵 4세 국왕이 나병을 앓고 후계자가 없는 등 어려운 상황이었다. 보두앵 4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해군력을 이용하여 이집트를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한편, 살라딘은 이집트에서 예루살렘 왕국 침공을 계획했다. 보두앵 4세는 살라딘의 계획을 알고 아스칼론을 방어하기 위해 375명의 기사만 이끌고 예루살렘을 출발했지만, 살라딘 군대에 의해 발이 묶였다. 보두앵 4세와 동행한 르노 드 샤티용은 1176년 알레포 포로 생활에서 풀려난 인물로, 살라딘에게 강한 적개심을 가진 유능한 지휘관이었다. 템플 기사단 총장 오도 드 생 아망, 보두앵 디블랭과 그의 형제 발리앙 디블랭, 르노 드 시돈, 에데사 백작 조슬랭 3세도 십자군에 합류했다.

2. 1. 십자군 국가의 위기

1177년 십자군 국가예루살렘 왕국은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국왕 보두앵 4세는 나병을 앓고 있었고 후계자도 없었다. 그의 누이 시빌라는 남편 아스칼론의 기욤이 사망하고 임신 중이었기 때문에, 왕국의 귀족들은 새로운 남편감을 찾고 있었다. 보두앵 4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해군력을 이용하여 이집트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 계획은 실행되지 못했다.

한편, 이집트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살라흐 앗 딘은 예루살렘 왕국을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켰다. 이 정보를 얻은 보두앵 4세는 샤티용의 레날드와 함께 살라흐 앗 딘을 막기 위해 예루살렘을 떠나 아스칼론으로 향했다. 레날드는 1176년까지 알레포에 포로로 잡혀 있었으며, 병을 앓고 있던 보두앵 왕을 대신하여 군대를 이끌었고, 살라흐 앗 딘과 이슬람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품고 있었다. 또 다른 십자군의 장군으로는 성전 기사단의 기사단장인 외드가 있었는데, 그는 80명의 성전 기사단 기사들을 이끌고 함께 출정했다.

같은 해, 예루살렘 왕 발두인 4세와 알자스의 필리프는 비잔틴 제국과 동맹을 맺고 아이유브 왕조를 해상에서 공격하는 계획을 세웠지만,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1] 대신 필리프는 트리폴리의 레이몽 3세가 북부 시리아무슬림 요새인 하림을 공격하는 원정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대규모의 십자군 군대, 구호 기사단과 많은 템플 기사단이 그를 따라나섰다. 이로 인해 예루살렘 왕국은 여러 영토를 방어할 병력이 거의 남지 않게 되었다.

한편, 살라딘이집트에서 예루살렘 왕국을 침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2] 살라딘이 북쪽 원정에 대한 정보를 얻자마자, 그는 즉시 기습 공격을 조직하여 약 21,000~26,000/30,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 왕국을 침공했다. 살라딘의 계획을 알게 된 발두인 4세는 티레의 윌리엄에 따르면, 단 375명의 기사만을 데리고 아스칼론에서 방어를 시도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떠났지만, 살라딘이 보낸 군대에 의해 그곳에서 발이 묶였다. 살라딘은 그의 군대 일부를 가자 포위에 투입하고, 더 적은 병력을 아스칼론에 남겨둔 채 나머지를 이끌고 북쪽으로 진군했다.[3]

2. 2. 살라딘의 침공

1177년, 십자군 국가예루살렘 왕국은 보두앵 4세 국왕이 문둥병(한센병)에 걸려 후사가 없는 상황이었다. 그의 누나 시빌라는 남편 아스칼론의 기욤이 죽고 임신 중이었기에, 왕국의 귀족들은 다른 신랑감을 찾고 있었다. 보두앵 4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해군력에 힘입어 이집트를 공략할 계획을 세웠으나 실현되지 못했다.[1]

한편, 이집트에서 세력을 키우던 살라딘은 예루살렘 왕국을 공격하기 위해 출병했다. 이 정보를 입수한 보두앵 4세는 레날드와 함께 살라딘을 저지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출발하여 아스칼론으로 향했다. 레날드는 1176년까지 알레포에 포로로 감금되어 있었으며, 병을 앓고 있던 보두앵 왕을 대신해 군사를 이끌었는데, 살라딘과 이슬람에 대한 적개심으로 가득 차 있었다. 성전 기사단의 기사단장인 외드도 80명의 성전 기사단 기사를 이끌고 함께 출병했다.[1]

같은 해, 보두앵 4세와 알자스의 필리프는 비잔틴 제국과 동맹을 맺어 아이유브 왕조에 대한 해상 공격을 계획했지만, 이 계획들은 실현되지 못했다.[2] 대신 필리프는 트리폴리의 레이몽 3세가 북부 시리아무슬림 요새인 하림을 공격하는 원정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대규모의 십자군 군대, 구호 기사단과 많은 템플 기사단이 그를 따랐다. 이로 인해 예루살렘 왕국은 다양한 영토를 방어할 병력이 거의 남지 않았다.[2] 한편, 살라딘은 이집트에서 예루살렘 왕국을 침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2] 그가 북쪽 원정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자마자, 그는 지체 없이 급습을 조직하여 약 21,000~26,000/30,000명의 군대로 예루살렘 왕국을 침공했다.[2] 살라딘의 계획을 알게 된 발두인 4세는 티레의 윌리엄에 따르면, 단 375명의 기사만을 데리고 아스칼론에서 방어를 시도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떠났지만, 발두인은 살라딘이 보낸 군대에 의해 그곳에서 발이 묶였다. 살라딘은 그의 군대의 일부를 가자를 포위하게 하고, 더 적은 병력을 아스칼론에 남겨둔 채 나머지를 이끌고 북쪽으로 진군했다.[2]

보두앵 4세와 동행한 사람은 트란스요르단의 영주였으며, 1176년 알레포에서의 포로 생활에서 풀려난 르노 드 샤티용이었다. 르노는 살라딘의 거친 적이자 군의 유능한 지휘관이었으며, 한센병을 앓고 있던 보두앵 왕과 지휘권을 분담하고 있었다. 또한 군에는 템플 기사단의 총장 오도 드 생 아망, 보두앵 디블랭과 그의 형제 발리앙 디블랭, 르노 드 시돈, (영지를 잃고 명목상으로만 남은) 에데사 백작 조슬랭 3세도 있었다. 다른 템플 기사단 군대는 아스칼론에서 합류할 예정이었지만, 가자에서 이슬람 군의 포위를 받았다.[4]

3. 전투

صلاح الدين الأيوبي|살라흐 앗 딘ar은 보두앵 4세가 소수의 병력으로 감히 자신을 공격할 것이라 생각하지 않고, 람라, 리다, 아르수프를 공략하고 주변 지역을 약탈하도록 병력을 넓게 분산시켰다. 그러나 예루살렘 왕국 연합군은 이슬람군의 포위를 뚫고 해안을 따라 진군하여, 이슬람군이 예루살렘에 먼저 도착하기 전에 저지하려 했다.

십자군 연합군은 람라 근처 몽기사르에서 살라흐 앗 딘의 군대와 만났다. 예상치 못한 적의 출현에 살라흐 앗 딘은 당황하여 급히 흩어진 병력을 불러모아 전투를 준비했다. 그러나 기병들은 이집트에서 출병한 이후 계속된 행군으로 지쳐 있었고, 보병도 마찬가지였다. 살라흐 앗 딘이 병력을 수습하는 동안 십자군은 이슬람 군대의 중앙을 공격했다.

이슬람 진영은 급격히 무너졌고, 중앙이 돌파당하면서 보급품을 십자군에게 빼앗겼다. 이 전투에서 살라흐 앗 딘의 조카 타키 앗 딘의 아들이 전사했고, 율법학자 디야 앗 딘이 포로로 붙잡혔다. 살라흐 앗 딘 자신도 거의 사로잡힐 뻔했으나, 경주용 낙타를 타고 간신히 도망쳤다. 이 전투에서 이슬람 병력의 90%가 죽거나 부상당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보두앵 4세는 밤늦게까지 살라흐 앗 딘을 추격했으나 체포하지 못하고 아스칼론으로 후퇴했다. 이후 열흘 동안 폭우가 쏟아졌고, 살라흐 앗 딘은 남은 소수의 병력을 이끌고 간신히 이집트로 퇴각했다.

3. 1. 양측 군대 규모

صلاح الدين الأيوبي|살라흐 앗 딘ar의 군대 규모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티레의 윌리엄은 살라흐 앗 딘의 병력을 26,000명으로 보고했고, 익명의 연대기 작가는 투르크 병사 12,000명과 아랍 병사 9,000명으로 추정했지만, 스티븐슨은 이를 과장된 것으로 본다.[5] 1181년 기록에는 살라흐 앗 딘의 맘루크 군대가 굴람 6,976명과 카라굴람 1,553명으로 기록되어 있다.[5] 그러나 시리아 등지에서 추가 병력이 동원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맘루크를 따라 보조 병력이 함께 했을 수도 있다.

십자군 측의 병력 또한 정확하지 않다. 기독교도 자료에서는 기사들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보병과 투르코폴의 숫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기 때문이다.[4] 다만, 사상자 수를 볼 때 기사 375명보다 더 많은 병력이 있었음은 분명하다. 한 동시대 연대기 작가는 십자군 군대의 병력을 7,000명으로 기록했고, 다른 동시대 추정치는 20,000명이었지만, 이는 10,000명의 오기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대 역사가들은 프랑크 군대의 숫자가 더 적었다고 본다. 템플 기사단 80명과 기사 375명, 즉 중장갑 기병 500명 미만과 보병 및 궁수(창병, 검병, 도끼병, 석궁병 및 투르코폴) 2,500명에서 4,000명이 있었다.

3. 2. 전투 경과

살라흐 앗 딘은 보두앵 4세가 소수의 병력으로 자신을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여 병력을 넓게 분산시켜 람라, 리다, 아르수프를 공략하고 주변 지역을 약탈했다.[18] 그러나 예루살렘 왕국 연합군은 이슬람군의 포위를 뚫고 해안을 따라 진군하여 이슬람군이 예루살렘에 먼저 도착하기 전에 저지하려 했다.

십자군 연합군은 람라 근처의 몽기사르(Mons Gisardi, 지자르디 산)에서 살라흐 앗 딘의 군대와 만났다.[18] 살라흐 앗 딘은 예상치 못한 적의 출현에 당황하여 흩어진 병력을 급히 불러모아 전투를 준비했다. 그러나 기병들은 이집트에서 출병한 이후로 쉬지 못해 지친 상태였고, 보병도 마찬가지였다. 살라딘이 병력을 모아 뒤로 돌아가는 동안 십자군은 중앙을 공격했다.

이슬람 진영은 급격히 무너졌고, 중앙이 돌파당해 보급품을 십자군에게 빼앗겼다. 이 전투에서 살라흐 앗 딘의 조카이자 타키 앗 딘의 아들인 아흐마드가 전사했고,[18] 율법학자 디야 앗 딘이 포로로 붙잡혔다. 살라흐 앗 딘은 경주용 낙타를 타고 가까스로 도망쳤다.[15] 이 전투에서 이슬람 병력의 90%가 죽거나 부상당하여 괴멸했다.[18]

보두앵 4세는 밤늦게까지 살라흐 앗 딘을 추격했으나 체포에 실패하고 아스칼론으로 물러났다. 10일 동안 심한 폭우가 내렸으며, 살라흐 앗 딘은 남은 소수의 병력을 이끌고 겨우 이집트로 퇴각했다. 이집트로 함께 돌아갈 수 있었던 병력은 전체의 10%에 불과했다.[18]

3. 3. 전투의 결과

이슬람군은 몽기사르 전투에서 크게 패배했다. 살라흐 앗 딘은 조카 타키 앗 딘의 아들을 잃었고, 율법학자 디야 앗 딘은 포로로 붙잡혔다. 살라흐 앗 딘은 경주용 낙타를 타고 겨우 도망쳤으며, 이슬람 병력의 9할이 죽거나 부상당했다.[16] 살라딘은 소수의 병력만 이끌고 이집트로 퇴각해야 했다.[16]

보두앵 4세는 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전투 현장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을 세웠다. 이 수도원은 전투가 벌어진 날이 축일인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에게 봉헌되었다. 그러나 구호기사단의 총장 로제 드 물랭은 전사자가 1100명, 부상자가 750명이라고 보고했을 정도로 십자군에게도 쉽지 않은 승리였다.

한편, 트리폴리의 레이몽 3세와 안티오키아의 보에몽 3세는 알자스의 필리프 1세와 함께 하림을 공격하는 별도의 원정에 참여했다.[17] 하림 공방전은 1178년까지 이어졌으며, 몽기사르 전투에서 살라딘이 패배하면서 그의 시리아 봉신들을 구원할 수 없게 되었다.[17]

4. 전투 이후

몽기사르 전투는 십자군에게 큰 승리였지만, 많은 희생이 따랐다. 보두앵 4세는 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전투 현장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을 건립하고,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에게 봉헌했다. 전투일은 성 카타리나의 축일이었다.[16] 구호기사단 총장 로제 드 물랭은 십자군 측 전사자가 1,100명, 부상자가 750명이라고 보고했다.[17]

4. 1. 살라딘의 후퇴 및 휴전

살라흐 앗 딘(살라딘)은 몽기사르 전투 패배로 큰 타격을 입고 이집트에서 힘을 기를 수밖에 없었다. 1178년 살라흐 앗 딘은 십자군과 휴전 협정을 맺었고, 약 1년간 양측은 소강상태를 보였다.[16]

트리폴리의 레몽 3세와 안티오키아의 보에몽 3세는 보두앵 4세와 별도로 시리아의 하림을 공격했다. 하림 공성전은 1178년까지 계속되었는데, 살라흐 앗 딘은 몽기사르 전투 패배로 하림을 도울 수 없었다.

살라딘의 퇴각과 기독교 측의 승리는 모든 무슬림에게 충격을 주었다. 살라딘의 측근들 중 일부는 거짓말을 하고 자신들이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말하기도 했다.[16] 보두앵 4세는 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전투 현장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을 세웠다. 이 수도원은 전투가 벌어진 날이 축일인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에게 봉헌되었다. 그러나 이 승리는 쉽지 않았다. 구호기사단의 총장 로제 드 물랭은 전사자가 1,100명, 부상자가 750명이라고 보고했다.

1179년 살라딘은 왕국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으며, 그해 마르주 아윤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는 1187년 하틴 전투에서 십자군에 대한 살라딘의 승리로 이어지는 거의 10년간의 전쟁을 가져왔다.

4. 2. 하림 공방전

트리폴리의 레몽 3세와 안티오키아의 보에몽 3세는 보두앵 4세와 별도로 시리아의 하림을 공격했다. 1178년까지 이어진 하림 공방전에서 살라흐 앗 딘은 몽기사르 전투에서 패배하여 하림을 도울 수 없었다.[17]

4. 3. 장기적인 영향

1178년 살라흐 앗 딘은 십자군과 휴전 협정을 맺고 약 1년간 양측은 소강상태를 보였다. 트리폴리의 레몽 3세와 보에몽 3세는 보두앵과 별도로 시리아의 하림을 공격하였고, 하림 공성전은 1178년까지 계속되었다. 살라흐 앗 딘은 몽기사르 전투의 패배로 하림을 도우러 갈 수 없었다.[16]

보두앵 4세는 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전투 현장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을 세웠으며, 이 수도원은 전투가 벌어진 날이 축일인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에게 봉헌되었다. 그러나 구호기사단의 총장 로제 드 물랭은 전사자가 1,100명, 부상자가 750명이라고 보고했다.

1179년 살라딘은 왕국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으며, 그해 마르주 아윤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는 1187년 하틴 전투에서 십자군에 대한 살라딘의 승리로 절정에 달하는 거의 10년간의 전쟁을 가져왔다.[17]

5. 기타

몽기사르 전투는 2005년 영화인 ''킹덤 오브 헤븐''에서 보두앵 4세가 16세의 나이로 살라딘을 격파한 전투로 언급된다. 또한 세실리아 홀란드가 쓴 소설 ''예루살렘''에도 묘사되어 있다.[1]

스웨덴 작가 얀 기유의 소설 ''템펠리다렌''(템플 기사)에서도 전투에 대한 묘사가 나오는데, 주인공 아르 마그누손(데 고티아)은 템플 기사단의 고위 멤버로 묘사되며, 몽기사르 전투에서 군대의 분견대를 지휘한다. 이 전투는 기유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아르: 템플 기사''에서도 보여진다.[1]

참조

[1] 서적 The Latin kingdom of Jerusalem North-Holland Pub. Co. Amsterdam 1979
[2] 서적 The Latin kingdom of Jerusalem North-Holland Pub. Co. Amsterdam 1979
[3] 웹사이트 Baldwin, Marshall W., and Setton, Kenneth M,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One, The First Hundred Year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1969, pp. 571, 595, 625, 650 http://digicoll.libr[...]
[4] 서적 The Latin kingdom of Jerusalem North-Holland Pub. Co. Amsterdam 1979
[5] 서적 God's Warriors: Knights Templar, Saracens and the Battle for Jerusalem Osprey Publishing 2005
[6] 문서 possibly at Tell el-Jezer
[7] 서적 The Crusader States TJ International Ltd 2012
[8] 서적 The chronicle of Ibn al-Athīr Ashgate Publishing Ltd 1935
[9] 문서 Malcolm Cameron Lyons, D. E. P. Jack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08-20
[10] 간행물 A day of terrible slaughter https://www.jstor.or[...] 2016
[11] 간행물 A day of terrible slaughter https://www.jstor.or[...] 2016
[12] 문서 Lane-Poole 1906, pp. 154–155
[13] 웹사이트 The Battle of Montgisard: A Heroic Stand Against the Odds – StMU Research Scholars https://stmuscholars[...]
[14] 간행물 A day of terrible slaughter https://www.jstor.or[...] 2016
[15] 문서 Ralph de Diceto (Radulf de Diceto decani Lundoniensis) Ymagines historiarum
[16] 웹사이트 The Battle of Montgisard: A Heroic Stand Against the Odds – StMU Research Scholars https://stmuscholars[...]
[17] 웹사이트 The Battle of Montgisard: A Heroic Stand Against the Odds – StMU Research Scholars https://stmuscholars[...]
[18] 문서 恐らく(Lane-Poole 1906, pp. 154–155)あるいは(Lyons & Jackson 1982, p. 123)
[19] 문서 Lane-Poole 1906, pp. 154–1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