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당파 (도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당파는 중국 무술의 한 갈래로, 도교의 영향을 받아 내공을 중시하는 특징을 갖는다. 17세기 청나라 시대에 무당 무술의 개념이 등장했으며, 이후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 등이 내가 무술로 분류되었다. 현대에는 푸씨 우당권, 무당 단파, 무당 태일 오행권, 무당 현무파, 무당 삼풍파 등 다양한 문파로 나뉘어 전승되고 있다. 한국에도 내가권이 전래되었으며, 현대적 의미와 특징을 지닌 무술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도교 - 태극
    태극은 만물의 근원이자 음양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중국 사상의 개념으로, 우주 생성론의 핵심이며 한국 문화의 중요한 상징이다.
  • 도교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무당파 (도교)
개요
종류중국무술
기원중국
주요 근거지무당산
관련 인물장삼봉
특징
강조점내공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
스타일부드러움
원형 움직임
이경환력
역사 및 전승
창시 전설장삼봉이 창시했다고 전해짐
다른 이름내기권 (內家拳, Neijiaquan)
관련 종교도교
기술 및 수련
주요 기술맨손 격투
검술
기타 무기술
수련 방법내공 수련 중시
무당산
위치후베이성 북서부
중요성도교 성지이자 무당권의 중심지
관련 정보태극권 등의 무술과 관련 깊음
기타 정보
관련 용어쿵푸, 기공
영향다양한 중국무술에 영향

2. 역사

2. 1. 청나라

"내가"라는 용어와 내가/외가의 무술 구분은 1669년 황종희의 『왕정남묘지명』에 처음 등장한다.[12] 스탠리 헤닝은 『묘지명』에서 내가는 중국 고유의 도교와, 외가는 외래의 불교 소림사—그리고 황종희가 반대했던 만주 청나라와 연관시킨 것은 기술적 분류보다는 정치적 반항의 행위였다고 주장한다.[1]

1676년, 왕정남에게 무술을 배운 황종희의 아들 황백가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내가 무술 교본인 『내가권법』을 편찬했다.[12]

2. 2. 근대 (청 말 ~ 중화민국)

1800년대 후반, 동해천이 팔괘장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유덕관 등 유명 무술가들이 내가 무술 교류에 기여했다.[14] 1912년경, 부진송은 송웨이이에게 무당검법을 배우며 내가 무술의 범위를 넓혔다.[14][5] 1928년, 장즈장, 펑쭈지앙, 리징린 등이 전국 무술 대회를 개최하여 소림과 무당으로 구분하고,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을 내가(무당)로 분류했다.[1][6][13] 부전송은 북경에서 열린 격투 대회에서 우승하여 중국 전체 팔괘장 수석 사범으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는 무당이라는 이름이 중국 전역의 내공 무술에 대한 보편적인 용어가 된 역사적 시점으로 보인다. 무당권의 두 주요 계보는 리징린에서 부전송과 양구이산에게로 전해졌다.

2. 3. 현대 (중화인민공화국)

3. 주요 내가권 문파

3. 1. 푸씨 우당권 (Fu-style Wudangquan)

부정송(Fu Zhensong)은 남은 생애 동안 부씨 우당 권법을 발전시키는 데 힘썼다.[13][14][15][16][17][18][19][20][21][22][23][24] 이 시스템은 태극권, 팔괘장, 형의권의 수련법, 맨손 체계 및 무기 체계를 포함한다. 푸 전송이 잘 기록해둔 시그니처 형태인 량의권, 용장 팔괘장 및 용장 팔괘 추수(대부분 1940년대에 창안)를 포함했다.[13][14][15][16][17][18][19][20][21][22][23][24] 유명하지만 극히 희귀한 우당 검술은 푸 전송이 개발한 태극검, 칠성검, 팔괘선도,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룡 팔괘검의 형태로 구현되었다.[13][14][15][16][17][18][19][20][21][22][23][24] 푸 전송은 생전에 쑨바오궁 장군과 린 차오전 등 많은 유명한 제자를 두었다. 푸 전송의 장남인 푸융후이는 푸 전송의 수제자가 되었다. 융후이는 중국 무술의 황금기에 활동한 수많은 위대한 무술가들 틈에서 성장했다. 융후이는 아버지와 다른 훌륭한 스승들에게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는 열심히 수련했고, 부씨 우당 권법을 더욱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융후이에게는 두 명의 뛰어난 제자가 있었는데, 그의 아들인 푸성롱(빅터)과 마보선(견자단의 어머니이자 스승)이었다.[13][14][15][16][17][18][19][20][21][22][23][24]

3. 2. 무당 단파 (Wudang Danpai)

무당 단파는 ''태극권 잡지'' 29권 3호에 따르면 장삼봉의 직계 제자라고 주장한다. 명나라 시대 장송계(Zhang Songxi)를 시작으로 무당 단파는 13대째 전해져 내려왔다.[25] 9대 계승자는 송위의였으며, 그는 도교도가 아닌 최초의 계승자였다. 송위의는 이경림에게 계승(10대)했고, 이경림은 양귀상에게(11대), 양귀상은 전시명에게(12대) 계승했다.[26]

12대 종사(宗師)이자 중국 무당 단파의 문지기는 마걸이었으며, 그는 도교 스승 현단, 무당 검술 스승 맹소봉, 그리고 형의권과 팔괘장 스승 한목하에게 기술을 배웠다. 마걸의 문하생인 창무나와 여미혜(전시명의 제자이기도 함)가 현재 13대의 스승이자 문지기이다.[7][27]

이경림이 계승자를 맡았을 당시, 이경림과 그의 일행은 부진송에게 팔괘장을, 손록당에게 형의권을, 양징보에게 태극권을, 이서문에게 팔극권을 배웠으며, 무당 검술 기술은 송위의로부터 전수받았다.[5][6][7][13][14][16][23][25]

기술에는 무당 검술(6개 절 132동작), 무당 기공 태극권, 무당 내공 태극권, 무당 쌍인 검 대련 형, 무당 비검, 형의권, 팔괘장, 점혈 점타, 태극 추수, 무당 검술 스파링, 도교 내단공, 그리고 기타 명상 수행 등이 있다. 추수는 중국 레슬링과 관절 꺾기를 결합한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스템은 실용적인 적용, 싸움 능력, 치유 능력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스승들이 풀 컨택트 시합에 참가하거나 전통적인 치료사가 되었다. 내적 훈련과 외적 힘 모두에 동일한 비중을 둔다.

3. 3. 무당 태일 오행권 (Wudang Taiyi Boxing)

양 춘리는 진자타오(Chen Zitao)가 1929년 무당산에서 리헬링(Li Heling)에게서 무당 태일 오행권을 배웠다고 주장한다. 리가 사망한 시점부터 1980년대 초까지 진자타오는 무당산의 비밀 무술에 대한 지식을 가진 유일한 생존자였다. 1980년 진자타오는 산시성 타이위안시에서 열린 전국 무술 관람 및 모방 및 교류 대회에서 무당 태일 오행권을 시연했는데, 그 전에는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었다."

진자타오는 "무당 권법 연구소" 및 "무당 저널"과 연관되어 있다고 언급된다. 진자타오와 무당 삼봉파는 "태일"이라는 용어를 형(form)의 이름으로 사용한다는 점 외에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두 계통 모두 장삼봉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20세기 무당산에서 무당 무술을 배웠다고 주장한다.

현재, 종윈롱(Zhong Yunlong)의 계보를 잇는 도교 무술 고수들은 1994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무당산에서 무당 무술을 수련하고 가르치고 있다. 이들은 무당 우슈 또는 무당 쿵푸라고 부르는 무술을 수련하고 장삼봉을 신으로 숭배하며,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 ''기공'', 명상 및 량의(태일 오행권)의 커리큘럼을 가르친다.

3. 4. 무당 현무파 (Xuanwu Pai)

1989년 무당산의 도교 신자들이 현무를 수호신으로 모시고 무당 현무파를 결성했다. 이들은 영락제가 명나라 때 창건한 사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무당 현무파가 가르치는 무술에는 태극권, 형의권, 태을권, 팔괘장 등이 있다. 주요 스승으로는 14대 종주이자 현 그랜드마스터인 유현덕, 15대 유림민, 15대 진리생, 15대 탕리롱 등이 있다. 현무파의 가르침은 이스메트 힘메트(유리한), 고든 폴크너(유리수), 티나 폴크너 엘더스(진위영), 루시아 링-왓킨스(원위롱)와 같은 스승들을 통해 중국 밖으로 전파되었다.

3. 5. 무당 삼풍파 (Sanfeng Pai)

이 계보는 13대 종주 왕광덕(王光德, 1947~2001)을 통해 전수되었으며, 왕광덕은 1979년 종교 활동이 합법화된 후 무당산의 주지가 되었다. 왕광덕은 용문파 스승 이성옥(1885~2003)과 12대 무당 삼풍파 종주 소요완(1911~1997)에게서 수학했으며, 소요완에게서 계승을 받았다.[30][31]

1976년 문화 대혁명이 끝난 이후 중국은 세계에 개방하기 시작했다. 그 후, 도교 신자들이 무당으로 서서히 돌아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용문파의 스승인 곽고의(1900~1996)와 주성덕(1898~1990)이 1980년에 모두 돌아왔다는 것이다. 1981년, 종운룡(宗雲龍)은 무당으로 와서 내공 무술을 배우고, 왕광덕, 곽고의, 주성덕의 제자가 되어 그들에게서 삼풍파와 용문파 수행법을 배웠다. 1985년, 당시 무당 도교 협회 회장이었던 왕광덕은 문화 대혁명으로 흩어진 도교 신자들에게 무당으로 돌아오라는 요청을 했다. 동시에 그는 종운룡에게 중국 전역에 소개장을 보내어 도교 스승들이 자신의 제자에게 가르침을 전수하도록 지원했다. 종운룡은 여행과 수련을 통해 도교 무술에서 내단 및 치유 수행법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지식을 축적했다. 4년간의 여행 후 1989년에 무당으로 돌아와 왕광덕과 함께 자소궁에 도교 협회 무술 학원을 설립했으며, 곽고의가 무술 수석 강사로, 주성덕이 수석 기공 스승으로 활동했다.[32][33][34][35][36][37][38]

무당 삼풍파의 14대 종주인 종운룡은 90년대 초에 첫 제자를 받았다.[39][40]

4. 한국의 내가권

4. 1. 한국 내가권의 전래

4. 2. 한국 내가권의 현황 및 과제

5. 내가 무술의 특징 및 현대적 의의

5. 1. 내가 무술의 특징

5. 2. 내가 무술의 현대적 의의

참조

[1] 간행물 Ignorance, Legend and Taijiquan http://seinenkai.com[...] 2006-08-18
[2] 서적 The Fighting Art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 웹사이트 Kungfu Expo http://news.alibaba.[...] 2016-12-27
[4] 간행물 The Chief Priest of Wudang Mountain http://www.kungfumag[...] 2003-10
[5] 간행물 The Wudang Sword https://books.google[...] 1990-03
[6] 서적 Xing Yi Quan Xue Unique Publications
[7] 서적 The Major Methods of Wudang Sword https://books.google[...] Blue Snake Books
[8] 간행물 On Politically Correct Treatment of Myths in the Chinese Martial Arts http://seinenkai.com[...] 2010-11-08
[9] 서적 Jingwu Blue Snake Books
[10] 서적 The Shaolin Monaste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 웹사이트 Neijia FAQ https://www.qi-journ[...] 2019-09-22
[12] 간행물 Ming-Period Evidence of Shaolin Martial Practice https://web.archive.[...] 2001-12
[13] 서적 Fu Zhen Song's Dragon Bagua Zhang Blue Snake Books
[14] 간행물 The Pa Kua Chang of Fu Chen-Sung
[15] 서적 Baguazhang https://archive.org/[...] YMAA
[16] 간행물 Evasive Fu Style Bagua Zhang https://web.archive.[...] 2004-12
[17] 서적 Fu Style Dragon Form Eight Trigrams Palms Smiling Tiger Martial Arts
[18] 간행물 The New Wu Shu https://books.google[...] 1978-04
[19] 간행물 A Wushu Dream Comes True 1992-10
[20] 간행물 Fu Style T'ai Chi and Bagua 1996-04
[21] 간행물 The Power of Mind and Energy 1996-06
[22] 간행물 The Power of Yin/Yang Changes 2000-12
[23] 서적 The Whirling Circles of Ba Gua Zhang: The Art and Legends of the Eight Trigram Palm https://books.google[...] Blue Snake Books
[24] 뉴스 Grande Dame of Wu Dang http://nl.newsbank.c[...] 2010-01-22
[25] 간행물 Wudang Sword Applications- Past and Present 2005-06
[26] 간행물 The Essence of True Wudang Sword 2005-02
[27] 웹사이트 The Revival of Chinese Martial Arts: Part 1 https://web.archive.[...] jetli.com 2017-05-17
[28] 간행물 The Revival of Wudang Taiyi Wuxing Boxing 2006-02
[29] 웹사이트 Wudang GongFu http://www.wudanggon[...] Wudang GongFu 2016-12-27
[30] 웹사이트 Wudang San Feng Sect History https://www.okanagan[...] 2022-01-17
[31] 웹사이트 钟云龙道长简介_武当功夫_武当武术_太极养生_中国武当功夫网 http://www.wdgf.com/[...] 2022-01-17
[32] 웹사이트 Wudangquan {{!}} 武当拳 – Taiping Institute http://taipinginstit[...] 2022-01-17
[33] 웹사이트 Wudang Mountain martial arts with master Zhong Yunlong. https://www.emptymin[...] 2022-01-17
[34] 웹사이트 Sanfeng Academy http://wudangsanfeng[...] 2022-01-17
[35] 웹사이트 Welcome to KungFuMagazine https://www.kungfuma[...] 2022-01-17
[36] 웹사이트 Wudang San Feng Sect History https://www.okanagan[...] 2022-01-17
[37] 웹사이트 Wudang Martial Arts Roots https://www.wudangzi[...] 2022-01-17
[38] 웹사이트 Wudang Grandmaster https://www.wudangto[...] 2022-01-17
[39] 웹사이트 Welcome to KungFuMagazine https://www.kungfuma[...] 2022-01-17
[40] 웹사이트 袁修刚道长简介 - 武当山道家传统武术馆 https://www.wudangpa[...] 2022-01-17
[41] 웹사이트 武当三丰派十六代传人名单 - 武当山道家传统武术馆 https://www.wudangpa[...] 2022-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