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연구개 비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연구개 비음은 조음 방법, 비음, 무성음, 비강음, 폐장기류음의 특징을 갖는 자음이다. 이 소리는 국제 음성 기호(IPA)로 [ŋ̊]로 표기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페로어에서는 기식된 연구개음 앞에서 /n/이, 아이슬란드어에서는 "h" 다음에 "ng"가 올 때, 웨일스어에서는 /k/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또한 알류픽어, 버마어,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파나어, 와쇼어, 수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언어학에 관한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언어학에 관한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무성 연구개 비음 | |
---|---|
음성 기호 정보 | |
IPA 기호 | ŋ̊ |
X-SAMPA | N_0 |
키르셴바움 | ŋ̊ |
2. 특징
무성 연구개 비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조음 기관 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2. 1. 조음 방법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