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로어는 서기 900년경 페로 제도에 정착한 노르드인들이 사용하던 고대 노르드어에서 발전한 언어이다.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덴마크어가 행정 및 교육 언어로 사용되면서 서면어로서의 지위를 잃었지만, 1854년 벤세슬라우스 울리쿠스 하머샤임과 욘 시구르손에 의해 표준 서면어가 정립되었다. 1937년 덴마크어를 대체하여 공식 학교 언어가 되었으며, 1948년 페로 제도 자치법에 의해 국어로 지정되었다. 페로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음운, 문법, 어휘 면에서 특징을 보인다.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주요 방언으로는 북서, 중부, 북부, 남부 방언이 있다. 페로어 관련 미디어로는 신문,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로 제도의 언어 - 덴마크어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스웨덴어, 노르웨이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으며, 섬 덴마크어, 유틀란드어, 동부 덴마크어의 세 방언 지역으로 나뉘고, 굴절이 적고 어순이 고정된 분석적인 언어이다.
  • 덴마크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덴마크의 언어 - 덴마크어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스웨덴어, 노르웨이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으며, 섬 덴마크어, 유틀란드어, 동부 덴마크어의 세 방언 지역으로 나뉘고, 굴절이 적고 어순이 고정된 분석적인 언어이다.
  • 서노르드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서노르드어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문법을 보존하고 순수주의적 경향이 강하여 서면 언어의 변화가 적다는 특징을 가진 아이슬란드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다.
페로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고유어føroyskt mál
로마자 표기føroyskt mál
발음ˈføːɹɪst ˈmɔaːl
언어 이름페로어
발음ˈføːɹɪst
사용 국가페로 제도
사용자 민족페로 제도인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어파게르만어파
어군북게르만어군
분파서 스칸디나비아어
조어고대 노르드어
조어2서부 고대 노르드어
조어3고대 노르웨이어
조어4고대 페로어
문자 체계라틴 문자(페로어 알파벳) / 페로어 점자
공용 국가페로 제도
언어 관리 기관페로어 위원회 http://malrad.fo/
소수 언어 사용 국가덴마크
ISO 639-1fo
ISO 639-2fao
ISO 639-3fao
Glottologfaro1244
Glottolog 이름Faroese
Lingua52-AAA-ab
참고IPA
위험도UNESCO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 따르면 취약
총 화자 수69,150 명
통계 년도2015
언어학적 특징
형태굴절어
고립어
교착어
역사
초기 역사9세기경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하던 바이킹들이 정착하면서 고대 서노르드어에서 발전함.
15세기노르웨이의 지배 이후, 페로어는 구어체로만 사용되었고, 덴마크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됨.
16세기덴마크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음.
18세기예수의 일화가 처음으로 페로어로 번역됨.
19세기페로어의 지위를 높이려는 문화운동이 시작됨.
프레데리크 스바네가 페로어 문법을 개발함.
1890년대에 공식적인 페로어 철자법이 확립됨.
20세기1948년, 페로어는 페로 제도의 공용어로 공식 인정됨.
기타
표기라틴 문자 기반의 페로어 알파벳을 사용

2. 역사

900년경 페로 제도에서 사용된 언어는 고대 노르드어였으며, 이는 825년 페로 제도 정착 시기에 노르드인 정착민들이 가져온 것이었다. 많은 정착민들은 스칸디나비아 출신이 아닌 아일랜드 해 지역에 정착한 노르드인 정착민들의 후손이었다. 노르드 아일랜드, 오크니, 셰틀랜드 출신의 여성들이 페로 제도와 아이슬란드에 정착하기 전 스칸디나비아 원주민 남성과 결혼하는 경우가 많아, 아일랜드어가 페로어와 아이슬란드어에 영향을 미쳤다.[5]

미키네스, 스토라 디문, 리틀라 디문 및 아르기르와 같이 페로 제도의 일부 지명은 켈트어 어근을 포함하고 있다는 가설이 있다.[6] 켈트어에서 유래한 초기 단어의 예로는 blak|블라크fo/blaðak|블라다크fo (황유), drunnur|드룬누르fo (동물의 꼬리 부분), grúkur|그루쿠르fo (머리, 머리카락), lámur|라무르fo (, 발톱), tarvur|타르부르fo (황소), ærgi|애르기fo (목초지 외곽지대에서) 등이 있다.[7]

9세기와 15세기 사이에 독립적인 페로어가 발전했지만, 서고대 노르드어와 상호 이해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페로어는 16세기 초 덴마크-노르웨이 종교 개혁 이후, 덴마크어가 행정 및 교육 언어로 페로어를 대체하면서 서면 언어로서의 지위를 상실했다.[8] 섬 주민들은 발라드, 민담,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페로어를 계속 사용하며 구어 전통을 유지했지만, 300년 동안 서면 형태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1854년 벤세슬라우스 울리쿠스 하머샤임과 욘 시구르손이 현대 페로어의 표준 서면어를 발표했다.[9] 이들은 고대 노르드어에 기반을 두고 아이슬란드어와 유사한 철자법 표준을 설정했다. 이는 페로어의 다양한 방언을 동등하게 나타내고, 어원적으로 명확하며, 아이슬란드어 서면 언어와의 친족 관계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종종 서면 표기와 상당히 다르며, 문자 'ð'에는 특정 음소가 붙어 있지 않다.

야코브 야콥센은 음성 철자를 반영하는 경쟁적인 철자법 체계를 고안했지만, 이 체계는 채택되지 않았다.[10]

1937년 페로어는 덴마크어를 대체하여 공식 학교 언어가 되었고, 1938년에는 교회 언어가 되었으며,[11] 1948년에는 페로 제도 자치법에 의해 국어가 되었다.

2. 1. 고대 페로어

고대 페로어(miðaldarføroysktfo)는 14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중세 시대 페로 제도에서 사용되던 고대 노르드어의 한 형태이다. 페로어 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이중모음화와 구개음화이다.[17]

페로어의 정확한 연대기를 확립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가 없지만, 고대 아이슬란드어와 고대 노르웨이어의 연대기와 비교하여 대략적인 연대기를 만들 수 있다. 12세기/13세기에 ''á''와 ''ǫ́''는 로 합쳐졌고, 그 후 14세기 초에 순순음화가 일어났다: ''y'', ''øy'', ''au'' > ; ''í''와 ''ý''는 ''i''와 ''y''에 더해 합쳐졌지만, ''í''와 ''ý''의 경우에는 로의 후기 발달에 의해 기록된 것처럼 순음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언어는 고대 노르드어 ''e'', ''i'', ''y'', ''ø'', ''au'' 앞에서 ''k'', ''g'', ''sk''의 구개음화를 겪었다. > > . 구개음화 이전에 ''é''와 ''ǽ''는 로 합쳐졌고, 거의 같은 시기에 자음군 와 의 어말에 삽입 모음 ''u''가 삽입되었다.

중세 페로어에서도 대규모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skerping''의 경우, 순순음화 이후, 자음 뒤에 오는 ''ð''와 ''g'' 의 소실 이전에 일어났다. ''hv'' 의 로의 변화, (남아 있는) 어두 –유성음군 (''hr'', ''hl'', ''hn'' > ''r'', ''l'', ''n'')에서의 삭제, 그리고 ''þ''의 소멸 (''þ'' > ''t''; 지시형 대명사와 부사에서 ''þ'' > ''h'')[18]은 13세기 말 이전에 나타났다. 날짜가 없는 또 다른 변화는 ''ǫ'', ''ø'', ''ǿ''가 로 합쳐진 것이다; 비강음 앞의 ''ǫ'', ''ǫ́'' > ''o'', ''ó''. ''enk'', ''eng''은 아마도 14세기에 eingfo, einkfo이 되었을 것이다; ''a''의 로의 변화는 ''ng'', ''nk'' 앞에서 일어났으며, ''k'', ''g'', ''sk''의 구개음화가 완료된 후에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화는 매우 최근의 변화이며, ''Cve'' > ''Cvø''의 변화도 마찬가지이다.

고대 노르드어에서 현대 페로어로의 모음 변화[19]
9세기
(고대 노르드어)
14세기까지
(초기 페로어)
14세기~16세기
(고대 페로어)
17세기
(후기 고대 페로어)
20세기
(신 페로어)
colspan="4" align="center" |align="center" |북부남부북부남부북부남부
colspan="4" align="center" |align="center" |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
i와 yalign="center" |col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i, y
e와 æalign="center" |col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e
ø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ø
ǫalign="center" style="color:green;"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green;" |ø
ualign="center" |col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u
o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o
aalign="center" |col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
장모음 -> 이중모음
í와 ýstyle="color:green;" align="center" |col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í, ý
é와 ǽ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æ
ǿalign="center" style="color:green;"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ø
úalign="center" |col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ú
ó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ó
á와 ǫ́align="center" |col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style="color:green;"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á
진정한 이중모음
austyle="color:green;" align="center" |colspan="6"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ey
øystyle="color:green;" align="center" |colspan="6"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rowspan="2"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oy
eistyle="color:green;" align="center" |colspan="6"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ei


3. 문자

페로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에서 유래한 29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문자명칭명칭의 발음문자명칭명칭의 발음
Afyrra a[ˈfɪɹːa ɛaː]Nenn[ɛnː]
Áá[ɔaː]Oo[oː]
Bbe[peː]Óó[ɔuː]
Dde[teː]Ppe[pʰeː]
Ðedd[ɛtː]Rerr[ɛɹː]
Ee[eː]Sess[ɛsː]
Feff[ɛfː]Tte[tʰeː]
Gge[keː]Uu[uː]
H[hɔaː]Úú[ʉuː]
Ifyrra i[ˈfɪɹːa iː]Vve[veː]
Ífyrra í[ˈfɪɹːa ʊiː]Yseinna i[ˈsaiːtna iː]
Jjodd[jɔtː]Ýseinna í[ˈsaiːtna ʊiː]
K[kʰɔaː]Æseinna a[ˈsaiːtna ɛaː]
Lell[ɛlː]Øø[øː]
Memm[ɛmː]colspan="3" |



대문자
AÁBDÐEFGHIÍJKLMNOÓPRSTUÚVYÝÆØ
소문자
aábdðefghiíjklmnoóprstuúvyýæø


4. 음운

페로어는 다른 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총 26개의 많은 수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19] 모음 분포는 단모음이 폐음절(자음군이나 장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에 나타나고 장모음이 개음절에 나타나는 점에서 다른 북게르만어와 유사하다.[24]

페로어 모음
rowspan=3|전설중설후설
비원순원순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페로어는 아이슬란드어덴마크어와 마찬가지로 유성 여부가 아닌, 오직 흡음 유무에만 근거하여 파열음의 대조를 유지하는 특징을 공유한다. 이중 파열음은 음절 사이와 단어 끝 위치에서 예흡될 수 있다. 음절 사이에서 흡음 자음은 폐쇄 모음이 뒤따르지 않는 한 예흡된다. 자음군에서는 예흡이 앞선 비음이나 설첨 접근음과 합쳐져 무성음이 된다.

페로어 자음
colspan=2 rowspan=2|순음치음설후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마찰음()
유음()
()



페로어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음운론적 과정이 포함된다.


  • 비음은 일반적으로 다음 자음의 조음 위치와 후두 설정을 따릅니다.
  • 연구개 파열음은 및 앞에서 후치경구개 파찰음으로 된소리화됩니다.
  • 는 무성 자음 앞에서 가 됩니다.
  • 는 뒤와 앞에서 가 됩니다.
  • 은 자음군의 자음 앞에서 설후음이 되어, 의 변이음을 생성하는 반면 자체는 이 됩니다. 예: 는 로 발음됩니다.
  • 원래의 을 로, 을 으로 전폐쇄하는 것.
  • 원래의 무성 파열음 의 예흡은 비고모음 장모음과 이중모음 뒤 또는 무성 파열음 뒤에 가 올 때 발생합니다. 모든 장 무성 파열음은 이중화되거나 자음군에 있을 때 예흡됩니다.

5. 문법

아이슬란드어처럼 4개의 격(case)이 존재하는 굴절어적 특징이 강한 언어이다.

페로어 문법은 현대 아이슬란드어와 고대 노르드어와 관련이 있으며 매우 유사하다. 페로어는 세 가지 문법적 성과 네 가지 격(주격, 목적격, 여격, 소유격)을 갖는 굴절어이다.

다른 게르만어와 비교한 페로어 단어 및 구문
페로어아이슬란드어노르웨이어(뉴노르스크)노르웨이어(복말)덴마크어스웨덴어독일어네덜란드어서프리슬란드어영어
Vælkomin|VælkominfoVelkomin|VelkominisVelkomen|VelkomennnVelkommen|VelkommennbVelkommen|VelkommendaVälkommen|VälkommensvWillkommen|WillkommendeWelkom|WelkomnlWolkom|WolkomfyWelcome
Farvæl|FarvælfoFar vel; Farðu heill|Far vel; Farðu heillisFarvel, Far vel|Farvel, Far velnnFarvel|FarvelnbFarvel|FarveldaFarväl|FarvälsvLebwohl|LebwohldeVaarwel|VaarwelnlFarwol|FarwolfyFarewell
Hvussu eitur tú?|Hvussu eitur tú?foHvað heitir þú?|Hvað heitir þú?isKva (kvat) heiter du?|Kva (kvat) heiter du?nnHva heter du?|Hva heter du?nbHvad hedder du?|Hvad hedder du?daVad heter du?|Vad heter du?svWie heißt du?|Wie heißt du?deHoe heet je?|Hoe heet je?nlHoe hjitsto?|Hoe hjitsto?fyWhat is your name?
Hvussu gongur?|Hvussu gongur?foHvernig gengur?|Hvernig gengur?isKorleis gjeng / går det?|Korleis gjeng / går det?nnHvordan går det?|Hvordan går det?nbHvordan går det?|Hvordan går det?daHur går det?|Hur går det?svWie gehts?|Wie gehts?deHoe gaat het?|Hoe gaat het?nlHoe giet it?|Hoe giet it?fyHow is it going? (How goes it?)
Hvussu gamal|Hvussu gamalfo (m) / gomul|gomulfo (f) ert tú?|ert tú?foHversu gamall|Hversu gamallis (m) / gömul|gömulis (f) ert þú?|ert þú?isKor gamal er du?|Kor gamal er du?nnHvor gammel er du?|Hvor gammel er du?nbHvor gammel er du?|Hvor gammel er du?daHur gammal är du?|Hur gammal är du?svWie alt bist du?|Wie alt bist du?deHoe oud ben je?|Hoe oud ben je?nlHoe âld bisto?|Hoe âld bisto?fyHow old are you?
Reyður / reyð / reytt|Reyður / reyð / reyttfoRauður / rauð / rautt|Rauður / rauð / rauttisRaud(t)|Raud(t)nnRød(t)|Rød(t)nbRød(t)|Rød(t)daRött / Röd|Rött / RödsvRot|RotdeRood / Rode|Rood / RodenlRead(e)|Read(e)fyRed
Bláur / blá / blátt|Bláur / blá / bláttfoBlár / blá / blátt|Blár / blá / bláttisBlå(tt)|Blå(tt)nnBlå(tt)|Blå(tt)nbBlå(t)|Blå(t)daBlå(tt)|Blå(tt)svBlau|BlaudeBlauw(e)|Blauw(e)nlBlau(e)|Blau(e)fyBlue
Hvítur / hvít / hvítt|Hvítur / hvít / hvíttfoHvítur / hvít / hvítt|Hvítur / hvít / hvíttisKvit(t)|Kvit(t)nnHvit(t)|Hvit(t)nbHvid(t)|Hvid(t)daVit(t)|Vit(t)svWeiß|WeißdeWit(te)|Wit(te)nlWyt / wite|Wyt / witefyWhite


6. 어휘

페로어는 자체적으로 조어한 단어가 많으나 아이슬란드어에 비해 라틴어그리스어에서 받아들인 단어들이 많다.[1] 아이슬란드어와 친연 관계에 있으며 어휘의 60%를 공유하고, 단어의 철자 등 정서법은 아이슬란드어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1] 하지만 발음 등 음성 면에서는 노르웨이의 동부 방언에 가깝다고 여겨진다.[1] 또한 오랫동안 덴마크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학술, 행정 용어 등 덴마크어의 영향이 짙다.[1] 현재에도 새로운 외래어 등은 아이슬란드어에 맞추는 경우가 많다.[1]

7. 방언

페로어는 섬의 약 120개 지역 사회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는 언어이다. 공식적인 구어 표준어는 없지만, 토르스하운 방언이 도시의 큰 규모로 인해 사회언어학적 위상을 얻고 있다. 페로어 화자 공동체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방언 사용이 널리 장려된다.[20]

페로어 방언 연구는 수백 년 전부터 시작되었는데, 학자 루카스 데베스는 1673년 초에 남북의 차이를 언급했다. 18세기 언어학자 옌스 크리스티안 스바보는 토르스하운 방언을 식별하는 등 더 많은 차이점을 제시했지만, 그의 분류는 철저한 근거가 부족했다. 1891년 벤체슬라우스 울리쿠스 함머샤임은 장음 뒤 무성 파열음의 북부 기음화와 북부 대부분 지역에서 발음, 남부의 발음과 같은 남북의 구분 특징을 언급하면서, 언어 변이에 대한 더 확실한 연구를 저술했다.[21]

할마르 P. 페르센의 가장 최근이자 자세한 분류는 언어를 네 가지 주요 변종으로 나눈다.

방언 종류내용
북서 페로어장음 뒤에 기음화된 강음 자음을 특징으로 한다. 와 모음은 무성 어미절에서 합병되지 않는다. 장음 는 로 발음되고 단음 는 로 발음된다.[22][21]
중부 페로어수두르스트레이모이를 중심으로 하며, 무성 어미절에서 와 의 합병을 특징으로 한다. 강음 자음은 기음화되지도 약화되지도 않는다. 놀소이 섬은 토르스하운과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와 에 비해 장음 를 로, 단음 를 로 구현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북부 페로어약화된 강음 자음과 어미절에서 의 단모음 발음, 즉 를 특징으로 한다. 의 구현은 이 지역에서 우세하지만, 중부와 북서부의 일부 지역에서도 이 발음을 사용한다.
남부 페로어매우 독특하며, 산두르 북쪽의 다른 대부분의 섬을 연결한 수중터널 부족으로 인해 악화된 지리적 거리 때문일 수 있다. 이 섬들의 방언은 특정 인칭 대명사의 독특한 형태와 함께, 음운론적 특징인 비겹받침 자음의 음절간 유성화와 같은 특징이 있다.[23] 강음 자음 , , 는 장음 뒤에 기음화된다.



특정 섬과 마을의 추가적인 하위 방언도 식별되었다. 페르센과 이전 저자들의 대부분의 분석은 음운론적 증거를 기반으로 한다.[22]



8. 페로어 미디어

페로어 신문으로는 디말레팅, 소셜루린, 노르들리시드가 있다.

페로어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는 크링바르프 페이로야(페로 제도 국영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가 있으며, BBC, 덴마크 방송국 중계국이 있다.

페로어 라디오 방송국으로는 RÁS 2, 크링바르프 페이로야, 린딘(기독교 관련 방송)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Frå tre dialektar til tre språk http://folk.uib.no/h[...] Fróðskapur
[2] 웹사이트 Faroese 2019-05-08
[3] 서적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4] 웹사이트 History and Diachronic Variations - Medieval sources http://wanthalf.saga[...] wanthalf.saga.cz (part of a book) 2015-10-22
[5]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Faroes - Lost History of the Sheep Islands - Archaeology Magazine - March/April 2023 https://archaeology.[...] 2024-07-07
[6] 웹사이트 Faroese Language - Learn about the Faroe Islands language https://www.faroeisl[...] 2021-09-13
[7] 서적 Greinaval – málfrøðigreinir FØROYA FRÓÐSKAPARFELAG
[8] 웹사이트 The Faroese Language http://www.uv.es/cap[...] University of Valencia 2017-08-23
[9] 백과사전 Faroese language https://www.britanni[...] 2017-08-23
[10] 웹사이트 Jakob Jakobsen (1864-1918) http://snar.fo/tema-[...] 2014-04-28
[11] 학술지 Reconfiguring Hell: Urgency and Salvation in the Faroe Islands https://www.berghahn[...] 2022-12-01
[12] 논문 Danish in the Faroe Islands: a post-colonial perspective https://discovery.u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4-07-25
[13] 학술지 A "High-Intimacy" Language in the Atlantic: Radio and Purism in the Faroe Islands https://www.journals[...] 2016-03-01
[14] 웹사이트 Learn Faroese - History https://www.101langu[...] 2024-07-13
[15] 서적 Attitudes towards English in Europe. Volume 1: English in Europe De Gruyter Mouton 2015
[16] 뉴스 Faroe Islands launch live translation service https://www.bbc.co.u[...] 2017-10-06
[17] 서적 The Nord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history of the North Germa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2005
[18] 웹사이트 The Change of ''þ'' to ''h'' in Faroese https://setur.fo/upl[...] 2023-12-01 # 추정 날짜 - dead link 표시
[19] 서적 English loanwords in Faroese Fannir
[20] 학술지 Attitudes to variation in spoken Faroese https://onlinelibrar[...] 2018-06-01
[21] 학술지 Faroese Dialect Classifications http://www.publicaci[...] 2023-01-01 # 추정 날짜
[22] 학술지 Evidence for the modification of dialect classification of modern Faroese https://www.degruyte[...] Walter de Gruyter GmbH 2022-01-01 # 추정 날짜
[23] 학술지 Variation in Faroese and the development of a spoken standard: In search of corpus evidence https://www.cambridg[...] 2014-05-01
[24] 서적 The Phonology of Icelandic and Faroes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