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성 연구개 파열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의 뒤쪽 부분과 연구개를 사용하여 조음하는 파열음의 하나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ɡ]로 표기된다. 이 소리는 성대의 울림을 동반하며, 입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구강음이며, 폐에서 기류가 발생한다. 한국어에서는 '가', '고' 등 '가-' 계열의 음절 머리에서 나타나며,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열음 - 성문 파열음
    성문 파열음은 조음기관 내 공기 흐름을 막아 성문을 닫은 상태에서 발음되며, 무성음으로 분류되고, 아랍어 등 여러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난다.
  • 파열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은 혀의 뒷부분과 연구개 사이의 좁은 틈으로 공기를 통과시켜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x/로 표기되며 여러 변이음을 가지고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유성 연구개 파열음
발음 정보
국제 음성 기호ɡ
십진수609
엑스-삼파g
점자g
국제 음성 기호 ɡ
국제 음성 기호
일반 정보
음성 기호 번호110
16진수609
JIS X 02131-10-89
엑스-삼파 g
엑스-삼파 기호
엑스-삼파g
아스키g
음성학 정보
조음 방법파열음
조음 위치연구개음
발성유성음

2. 특징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혓바닥과 연구개로 조음하는 연구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유성 연구개 파열음

  • 기류의 발생원은 폐기류기구에서의 호기이다.
  • 발성은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이다.
  • 조음 위치는 후설면과 연구개에 의한 연구개음이다.
  • 조음 방법은 구강 내 기류를 완전히 폐쇄했다가 한꺼번에 개방함으로써 발생하는 파열음이며, 구개帆을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강음이다.

2. 1. IPA 기호

국제 음성 기호(IPA)의 기호는 이며, 이에 상응하는 X-SAMPA 기호는 `g`이다. 엄밀히 말하면, IPA 기호는 1층 g
이지만, 2층 g
도 허용되는 대안으로 간주된다. 유니코드 문자 는 글꼴에 따라 1층 g 또는 2층 g으로 렌더링된다. 문자는 항상 1층 g이지만, 일반적으로 IPA 확장 유니코드 문자 블록이 있는 글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는 엄밀히 말하면 인쇄에서도 가 아니라 필기체에 가까운 이 되며, 유니코드에서도 음성 기호와 ASCII 라틴 문자 g는 구분된다. 다만, 일반적인 g(U+0067)를 사용해도 무방하다[5].

2. 2. 변종

IPA설명
ɡ일반적인 ɡ
ɡʱ숨소리 나는 ɡ
ɡʲ연구개 접근 ɡ
ɡʷ순음화된 ɡ
ɡ̚무성 방출 ɡ
ɡ̥무성 ɡ
ɡ͈긴장된 ɡ


3. 발음의 예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이언 매디슨은 연구개음의 유성화에 따른 물리적 어려움 때문에 다른 기본 파열음보다 발음하기 어렵다고 추측한다. 유성화는 공기 흐름이 구강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연구개 자음의 위치에 의해 허용되는 비교적 작은 공간은 공기로 빠르게 채워지게 되어, 에서 유성음을 또는 만큼 오래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3]

인도아리아어족 언어, 예를 들어 힌디어에서는 일반 [g]와 유기음 [gh]가 대립 분포에 있다.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는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유성음(ㅁ, ㄴ, ㄹ, ㅇ) 받침과 모음 사이의 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메기'의 'ㄱ'은 로 소리난다. '가', '고' 등 가- 계열의 음절 머리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모음 사이에서는 마찰음 이나 비음 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기', '겨', '규', '교'와 같은 겹받침에서는 구개음화된 가 나타난다.

3. 2. 기타 언어



4. 언어별 분포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 한국어: 모음 사이 또는 유성음(ㅁ, ㄴ, ㄹ, ㅇ) 받침과 모음 사이의 ''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시로 '메'''기'''', '아'''가'''씨' 등이 있다.
  • 일본어: 행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페르시아어: گ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제르바이잔어: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쇼나어: dy와 g에서 이 소리가 나는데, dy는 선파열음화 자음, g는 숨소리 자음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자음 패턴(세 가지 조음 위치와 유성음)에서 예상되는 여섯 가지 자음 중 와 가 가장 자주 누락되는데, 이러한 패턴을 가진 언어의 약 10%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자음이 없는 것은 지역적 특징이지만(무성 양순 파열음 참조), 가 없는 경우는 (언어가 유성음을 사용하여 파열음을 대조할 때)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벨라루스어, 네덜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에는 /ɡ/가 원어적인 음소가 아니며, 이들 언어에서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는 다른 기본 파열음보다 발음하기가 다소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이언 매디슨은 이것이 연구개음의 유성화에 따른 물리적 어려움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유성화는 공기 흐름이 구강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연구개 자음의 위치 때문에 허용되는 비교적 작은 공간이 공기로 빠르게 채워져, 에서 유성음을 또는 만큼 오래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언어단어IPA의미참고
압하스어ажыга|ažëgaab[aˈʐəɡa]'삽'압하스어 음운론 참조
아디게어샤프수그[ɡʲaɡʷaːɬa]'장난감'방언적.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테미르고이[t͡ʂəɡə]'나무'방언적.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아르메니아어동부գանձ|gandzhy[ɡɑndz]'보물'
아시리아 신아람어[ɡaːna]'자기 자신'주로 도시 코이네에서 사용됨. 우르미아, 일부 티야리, 질루 방언에서는 에 해당.
아제르바이잔어qara|qaraaz[ɡɑɾɑ]'검은색'
바스크어galdu|galdueu[ɡaldu]'잃다'
벵골어গান|ganbn[ɡan]'노래'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벵골어 음운론 참조
체첸어[ɡɔʊ̯r]'말'
덴마크어표준lykke|lykkeda[ˈløɡə]'행복'부분적으로만 유성화됨; 모음 사이 위치에서 의 동소이음일 가능성이 있음. 대부분 무성 임.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네덜란드어모든 방언zakdoek|zakdoeknl[ˈzɑɡduk]'티슈'원어 단어에서 유성 자음 앞에만 나타나는 의 동소이음.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표준'g''oal|goalnl[ɡoːɫ]'골'차용어에만 있음.
필리핀어gulo|gulofil[ɡulɔ]'소란'
조지아어ული|gulika[ˈɡuli]'심장'
구자라트어ગાવું|gavugu[gaːʋʊ̃]'노래하다'구자라트어 음운론 참조
히브리어גב|gavhe[ɡav]'등'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카바르디노어바슬라네이гьанэ|gänakbd[ɡʲaːna]'셔츠'방언적.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카가야넨어kalag|kalagcgc[kað̞aɡ]'영혼'
크메르어ហ្គាស|gaskm[gaːh]'가스'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한국어메기|megi한국어[meɡi]'메기'한국어 음운론 참조
림뷔르흐어[zεgə]'말하다'일반적. 베어트 방언의 예.
리투아니아어garai|garailt[ɡɐrɐɪ̯ˑ]'김'리투아니아어 음운론 참조
룩셈부르크어agepack|agepacklb[ˈɑɡəpaːk]'지나가다'대부분 무성 임. 룩셈부르크어 음운론 참조
마케도니아어гром|grommk[ɡrɔm]'천둥'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조
말레이어guni|gunims[ɡuni]'자루'
마라티어वत|gëvëtmr[ɡəʋət]'풀'마라티어 음운론 참조
네팔어गाउँ|gaũne[ɡä̃ũ̯]'마을'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네팔어 음운론 참조
오디아어ଗଛ|gočhoor[ɡɔtʃʰɔ]'나무'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페르시아어گوشت|guştfa[guʃt]'고기'
펀자브어ਗਾਂ|gaapa[ɡɑ̃ː]'암소'
소말리아어gaabi|gaabiso[ɡaːbi]'짧게 하다'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남부 민어호키엔어我|góanan[ɡua˥˧]'나'
스와힐리어giza|gizasw[ˈɡīzɑ]'어둠'스와힐리어 음운론 참조
텔루구어చ్చు|gacute[ɡat͡sːu]'바닥'유기음 형태(이는 기식음으로 발음됨)와 대조됨.
우크라이나어ґанок|ganokuk[ˈɡɑn̪ok]'현관'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서프리스어gasp|gaspfy[ɡɔsp]버클 (명사)서프리스어 음운론 참조
우어상하이어狂|guaonwuu[ɡuɑ̃23]'미친'
共|wonghsn'함께'
ꈨ|ɡeii[ɡɤ˧]'듣다'
사포텍어틸키아판'g''an|ganztt[ɡaŋ]'할 수 있을 것이다'화자와 말하기의 정확성에 따라 는 로 연화될 수 있음.


4. 1.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많은 언어에서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를 찾아볼 수 있다.

인도아리아어족 언어, 예를 들어 힌디어에서는 일반 [g]와 유기 [gh]가 대립 분포에 있다.

언어단어IPA의미참고
알바니아어gomar|gomarsq'당나귀'
불가리아어гора|гораbg'숲'불가리아어 음운론 참조
카탈루냐어guant|guantca'장갑'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체코어gram|gramcs'그램'체코어 음운론 참조
네덜란드어많은 화자goal|'g''oalnl'골'차용어에만 있음.
아멜란드goëd|'g''oëdnl'좋은'
영어gaggle|gaggle영어'큰 무리'영어 음운론 참조
프랑스어gain|gain프랑스어'수입'프랑스어 음운론 참조
독일어Lüge|Lügede'거짓말'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그리스어γκάρισμα|γκάρισμαel / γκάρισμα|gkárismael'당나귀 울음소리'현대 그리스어 음운론 참조
힌디어गाना|गानाhi / گانا|گاناur'노래'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힌디어 음운론 참조
헝가리어engedély|engedélyhu'허가'헝가리어 음운론 참조
아일랜드어gaineamh|gaineamhga'모래'아일랜드어 음운론 참조
이탈리아어gare|gareit'대회'[a], [o], [u] 뒤에 오는 경우 문자 G로 표기되며, [i], [e], [ɛ] 앞에서는 발음이 d͡ʒ로 바뀜. [i], [e], [ɛ] 모음 앞에 [g] 음소가 나타나려면 GH 이중자음이 사용됨.
노르웨이어gull|gullno'금'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폴란드어gmin|gminpl'평민'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포르투갈어língua|línguapt'혀'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루마니아어[4]gând|gândro'생각'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러시아어голова|головаru'머리'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손님'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슬로바키아어miazga|miazgask'림프'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참조
슬로베니아어gost|gostsl'손님'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스페인어gato|gatoes'고양이'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스웨덴어god|godsw'맛있는'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터키어salgın|salgıntr'유행병'터키어 음운론 참조
웨일스어gwyn'흰색'웨일스어 음운론 참조


4. 2.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와 레반트 아랍어의 일부 방언(예: 레바논 아랍어, 시리아 아랍어)에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ɡ/)이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아랍어 방언은 ق|ar 또는 드물게 ج|ar의 반영으로 /ɡ/를 음소 체계에 가지고 있다.[3]

다음은 아랍어 방언별 /ɡ/ 발음의 예시이다.

}는 알제리에서도 사용됨

|-

| 헤자즈

| rowspan="3" | قمر|/gamarar

| rowspan="3" |

| rowspan="3" | '달'

| rowspan="3" | 고전 아랍어 및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는 에 해당.

|-

| 나즈드 ||

|-

| 사이디 ||

|-

| rowspan="2" | 예멘 || قال|/gäälar || || '(그는) 말했다' || 북부와 중부의 사나아 방언과 동부의 하드라마우트 방언에서 ق|ar의 발음

|-

| جمل|/gämälar || || '낙타' || 남부의 타이즈-아덴 방언과 서부의 티하마에서 ج|ar의 발음

|-

| 이집트 || راجل|/raagelar || || '남자' || 이집트에서 ج|ar의 표준 발음이며, 다른 발음에서는 , 또는 에 해당.

|}

4. 3. 기타

한국어에서는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유성음(ㅁ, ㄴ, ㄹ, ㅇ) 받침과 모음 사이의 ''에서 이 소리가 난다. 일본어에서는 が행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러시아어에서는 음절말에 오지 않는 Г에서, 페르시아어에서는 گ에서 이 소리가 난다.

독일어, 체코어, 말레이어, 폴란드어, 슬로베니아어, 웨일스어, 헝가리어에서는 g에서 이 소리가 난다. 프랑스어, 영어에서는 g 뒤에 /e, i, y/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아제르바이잔어에서는 q에서, 튀르키예어에서는 g 뒤에 /e, i, ö, ü/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노르웨이어에서는 g 뒤에 /ei, i, j, øy, y/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γκ(g) 뒤에 /αι(ai), ε(e), ι(i), οι(oi), υ(y)/[6]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스웨덴어에서는 g 뒤에 /ä, e, i, ö, y/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카탈루냐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에서는 g 뒤에 /e, i/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쇼나어에서는 dy와 g에서 이 소리가 나는데, dy는 선파열음화 자음, g는 숨소리 자음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자음 패턴(세 가지 조음 위치와 유성음)에서 예상되는 여섯 가지 자음 중 와 가 가장 자주 누락되는데, 이러한 패턴을 가진 언어의 약 10%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자음이 없는 것은 지역적 특징이지만(무성 양순 파열음 참조), 가 없는 경우는 (언어가 유성음을 사용하여 파열음을 대조할 때)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벨라루스어, 네덜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에는 /ɡ/가 원어적인 음소가 아니며, 이들 언어에서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현대 표준 아랍어와 레바논 아랍어, 시리아 아랍어와 같은 일부 레반트 아랍어 방언처럼 두 자음 모두 없는 언어도 있지만, 대부분의 현대 아랍어 방언은 또는 드물게 의 반영으로 를 원어적인 음소 체계에 가지고 있다.

는 다른 기본 파열음보다 발음하기가 다소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이언 매디슨은 이것이 연구개음의 유성화에 따른 물리적 어려움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유성화는 공기 흐름이 구강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연구개 자음의 위치 때문에 허용되는 비교적 작은 공간이 공기로 빠르게 채워져, 에서 유성음을 또는 만큼 오래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는 와 가 혼동되어 구별이 사라지거나, 언어가 처음으로 유성음 구별을 시작할 때 가 전혀 발달하지 않는 두 가지 효과를 낳을 수 있다. 후두음의 경우, 성문과 혀 사이의 공기 흐름 공간이 더 적기 때문에 불균형이 더 심하다. 유성 는 무성 보다 훨씬 드물다.[3]

인도아리아어족 언어, 예를 들어 힌디어에서는 일반 [g]와 유기 [gh]가 대립 분포에 있다.

방언단어IPA의미참고
모로코أݣادير|/’agaadiirar'아가디르'
튀니지ڨفصة|/gafs’aar'가프사'{{lang|ar|ڨ|}
언어단어IPA의미참고
압하스어ажыга|ažëgaab[aˈʐəɡa]'삽'압하스어 음운론 참조
아디게어샤프수그[ɡʲaɡʷaːɬa]'장난감'방언적.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테미르고이[t͡ʂəɡə]'나무'방언적.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알바니아어gomar|gomarsq[ˈɡomaɾ]'당나귀'
아랍어모로코أݣادير|'agaadiirar[ʔaɡaːdiːr]'아가디르'
튀니지ڨفصة|gafs'aar[ɡɑfsˤɑ]'가프사'ڨ|ڨar는 알제리에서도 사용됨
헤자즈قمر|gamarar[ɡamar]'달'고전 아랍어 및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는 에 해당.
나즈드[ɡəmar]
사이디[ɡɑmɑr]
예멘قال|gäälar[gæːl]'(그는) 말했다'북부와 중부의 사나아 방언과 동부의 하드라마우트 방언에서 ق|قar의 발음
جمل|gämälar[gæmæl]'낙타'남부의 타이즈-아덴 방언과 서부의 티하마에서 ج|جar의 발음
이집트راجل|raagelar[ˈɾɑːɡel]'남자'이집트에서 ج|جar의 표준 발음이며, 다른 발음에서는 , 또는 에 해당.
아르메니아어동부գանձ|գանձhy[ɡɑndz]'보물'
아시리아 신아람어[ɡaːna]'자기 자신'주로 도시 코이네에서 사용됨. 우르미아, 일부 티야리, 질루 방언에서는 에 해당.
아제르바이잔어qara|qaraaz[ɡɑɾɑ]'검은색'
바스크어galdu|galdueu[ɡaldu]'잃다'
벵골어গান|ganbn[ɡan]'노래'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벵골어 음운론 참조
불가리아어гора|гораbg[ɡora]'숲'불가리아어 음운론 참조
카탈루냐어guant|guantca[ˈɡwɑnt]'장갑'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체첸어[ɡɔʊ̯r]'말'
체코어gram|gramcs[ɡram]'그램'체코어 음운론 참조
덴마크어표준lykke|lykkeda[ˈløɡə]'행복'부분적으로만 유성화됨; 모음 사이 위치에서 의 동소이음일 가능성이 있음. 대부분 무성 임.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네덜란드어모든 방언zakdoek|zakdoeknl[ˈzɑɡduk]'티슈'원어 단어에서 유성 자음 앞에만 나타나는 의 동소이음.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표준
많은 화자'g''oal|'g'oalnl[ɡoːɫ]'골'차용어에만 있음. 일부 화자는 ~ ~ ~ (일반적인 네덜란드어 와 같음) 또는 로 발음할 수 있음.
아멜란드'g''oëd|'g'oëdnl[ɡuə̯d]'좋은'
영어gaggle|gaggle영어[ˈɡæɡɫ̩]'큰 무리'영어 음운론 참조
필리핀어gulo|gulofil[ɡulɔ]'소란'
프랑스어gain|gain프랑스어[ɡɛ̃]'수입'프랑스어 음운론 참조
조지아어ული|ულიka[ˈɡuli]'심장'
독일어ge|Lügede[ˈlyːɡə]'거짓말'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그리스어γκάρισμα|γκάρισμαel[ˈɡɐɾizmɐ]'당나귀 울음소리'현대 그리스어 음운론 참조
구자라트어ગાવું|ગાવુંgu[gaːʋʊ̃]'노래하다'구자라트어 음운론 참조
히브리어גב|גבhe[ɡav]'등'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힌디어गाना|gánáhi / گانا|gánáur[ɡɑːnɑː]'노래'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힌디어 음운론 참조
헝가리어engedély|engedélyhu[ɛŋɡɛdeːj]'허가'헝가리어 음운론 참조
아일랜드어gaineamh|gaineamhga[ˈɡanʲəw]'모래'아일랜드어 음운론 참조
이탈리아어gare|gareit[ˈɡäːre]'대회'[a], [o], [u] 뒤에 오는 경우 문자 G로 표기되며, [i], [e], [ɛ] 앞에서는 발음이 d͡ʒ로 바뀜. [i], [e], [ɛ] 모음 앞에 [g] 음소가 나타나려면 GH 이중자음이 사용됨.
일본어[ɡaitoː]'외투'일본어 음운론 참조
카바르디노어바슬라네이гьанэ|гьанэkbd[ɡʲaːna]'셔츠'방언적.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카가야넨어kalag|kalagcgc[kað̞aɡ]'영혼'
크메르어ហ្គាស|gaskm[gaːh]'가스'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한국어메기|megi한국어[meɡi]'메기'한국어 음운론 참조
림뷔르흐어[zεgə]'말하다'일반적. 베어트 방언의 예.
리투아니아어garai|garailt[ɡɐrɐɪ̯ˑ]'김'리투아니아어 음운론 참조
룩셈부르크어agepack|agepacklb[ˈɑɡəpaːk]'지나가다'대부분 무성 임. 룩셈부르크어 음운론 참조
마케도니아어гром|громmk[ɡrɔm]'천둥'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조
말레이어guni|gunims[ɡuni]'자루'
마라티어वत|वतmr[ɡəʋət]'풀'마라티어 음운론 참조
네팔어गाउँ|गाउँne[ɡä̃ũ̯]'마을'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네팔어 음운론 참조
노르웨이어gull|gullno[ɡʉl]'금'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오디아어ଗଛ|gočhoor[ɡɔtʃʰɔ]'나무'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페르시아어گوشت|guştfa[guʃt]'고기'
폴란드어gmin|gminpl[ɡmʲin̪]'평민'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포르투갈어língua|línguapt[ˈɫĩɡwɐ]'혀'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펀자브어ਗਾਂ|gaapa[ɡɑ̃ː]'암소'
루마니아어gând|gândro[ɡɨnd]'생각'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러시아어голова|головаru[ɡəɫɐˈva]'머리'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ɡȏ̞ːs̪t̪]'손님'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슬로바키아어miazga|miazgask[ˈmjäzɡä]'림프'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참조
슬로베니아어gost|gostsl[ˈɡɔ̂s̪t̪]'손님'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소말리아어gaabi|gaabiso[ɡaːbi]'짧게 하다'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남부 민어호키엔어我|góanan[ɡua˥˧]'나'
스페인어gato|gatoes[ˈɡät̪o̞]'고양이'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스와힐리어giza|gizasw[ˈɡīzɑ]'어둠'스와힐리어 음운론 참조
스웨덴어god|godsw[ɡuːd̪]'맛있는'구어체에서는 유사음일 수 있음.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텔루구어చ్చు|gacute[ɡat͡sːu]'바닥'유기음 형태(이는 기식음으로 발음됨)와 대조됨.
터키어salgın|salgıntr[säɫˈɡɯn]'유행병'터키어 음운론 참조
우크라이나어ґанок|ґанокuk[ˈɡɑn̪ok]'현관'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웨일스어gwyn[ɡwɪn] or [ɡwɨ̞n]'흰색'웨일스어 음운론 참조
서프리스어gasp|gaspfy[ɡɔsp]버클 (명사)서프리스어 음운론 참조
우어상하이어狂|guaonwuu[ɡuɑ̃23]'미친'
共|wonghsn[ɡoŋ]'함께'
ꈨ|ggeii[ɡɤ˧]'듣다'
사포텍어틸키아판'g''an|'g'anztt[ɡaŋ]'할 수 있을 것이다'화자와 말하기의 정확성에 따라 는 로 연화될 수 있음.



이 음은 많은 언어에 존재한다.


  • 한국어 - '가' 。'가', '고' 등 가- 계열의 음절 머리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모음 사이에서는 마찰음 이나 비음 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기'나 '겨', '규', '교' 와 같은 겹받침에서는 구개음화된 가 나타난다.
  • 영어 - get|get영어 'g'로 표기된다. 하지만 'g'가 항상 이 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e'나 'i' 앞에서는 고유어를 제외하고 유성 후치경 파찰음 로 발음된다.
  • 키릴 문자 - г|гru
  • 그리스어 - 고대에는 γ|γel가 이 음으로 발음되었으나, 시대가 내려오면서 마찰음으로 변화했다. 현대에서 이 음을 나타내려면 γκ|γκel의 합자를 사용한다.

참조

[1] 문서 pre-velar의 다른 명칭들
[2] 문서 post-velar의 다른 명칭들
[3] 웹사이트 Chapter 5 – Voicing and Gaps in Plosive Systems http://wals.info/cha[...] 2012-04-27
[4] 웹사이트 DEX Online 검색 결과 (g) http://dexonline.ro/[...]
[5] 간행물 IPA symbols and definitions with information about their Unicode characters https://www.internat[...]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6] 문서 괄호 안은 로마자 전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