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역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역수지는 한 국가의 경상수지에서 상품의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무역수지는 국가의 생산량과 국내 수요 간의 차이를 반영하며, 환율 변동, 생산 비용, 무역 장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무역수지는 흑자 또는 적자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국가의 순 국제 자산 포지션에 영향을 미친다. 무역수지에 대한 경제적 영향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며, 긍정적, 부정적 견해와 함께 케인스주의, 통화주의 등 다양한 경제 이론이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 계정 -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 거래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품 및 서비스 수출입, 해외 순소득, 순경상이전을 합산하여 계산되며, 흑자는 순대출, 적자는 순차입을 의미하고, 국제수지의 일부로서 순외자산 변화와 동일하며, 불균형은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국민 계정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국제 무역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국제 무역 - 태평양 동맹
    태평양 동맹은 2011년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대통령들이 결성한 지역 경제 협력체로, 아시아를 지향하며 자유 무역 증진을 목표로 라틴 아메리카 GDP의 약 35%를 차지하는 경제 블록이다.
무역수지
개요
유형거시경제 지표
분야국제 경제학
관련 항목자본수지
경상수지
국제수지
환율
수출
수입
정의
정의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
수식무역수지 = 수출액 - 수입액
흑자수출액 > 수입액
적자수출액 < 수입액

2. 무역수지의 개념 및 구성

무역수지는 한 국가의 경제 활동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경상수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유로존 국가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수지


1960년 이후 미국 무역 수지


미국 무역 수지 및 무역 정책(1895–2015)


1870년 이후 영국 상품 무역 수지


무역수지와 국제 수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무역 수지국제 수지
상품(유형)의 수입과 수출만을 포함한다.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무역 수지라고 하며, 수입이 수출보다 많으면 불리한 무역 수지,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유리한 무역 수지라고 한다.상품의 수출입 외에 서비스, 소득, 이전소득 등 모든 유형 및 무형의 항목을 포함한다.
상품의 수입 및 수출로 인해 수취되거나 지급된 수입만을 표시한다.유형 또는 무형의 모든 수입 및 자본 항목을 포함한다. 따라서 무역 수지는 국제 수지의 일부이다.


2. 1. 무역수지의 정의

무역 수지는 경상 수지의 일부이며, 순 국제 투자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소득과 국제 원조 등 다른 거래도 포함된다. 경상 수지가 흑자이면 해당 국가의 순 국제 자산 포지션도 비례하여 증가하고, 적자이면 순 국제 자산 포지션이 감소한다.

무역 수지는 한 국가의 생산량과 국내 수요 간의 차이와 같다. 즉, 한 국가가 생산하는 상품과 해외에서 구매하는 상품 양의 차이이다. (해외 주식에 재투자된 금액은 포함되지 않으며, 국내 시장 생산을 위한 상품 수입 개념도 고려되지 않는다.)

무역 수지 측정은 데이터 기록 및 수집 문제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공식 데이터를 합산하면 수출이 수입보다 거의 1% 더 많아, 세계가 자체적으로 흑자 무역 수지를 기록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모든 거래는 각 국가 계정에 동일한 신용 또는 차변을 포함하므로 이는 사실일 수 없다. 이러한 불일치는 자금 세탁, 탈세, 밀수 및 기타 가시성 문제와 관련된 거래로 설명될 수 있다.[3][4][5] 개발도상국의 통계 정확성은 의심스러울 수 있지만, 실제 불일치의 대부분은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가진 선진국 간에 발생한다.

무역 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수출입 경제의 생산 비용(토지, 노동, 자본, 세금, 인센티브 등) 비교
  • 원자재, 중간재 및 기타 투입재의 비용 및 가용성
  • 환율 변동
  • 다자간, 양자간 및 일방적 무역에 대한 세금 또는 제한
  • 환경, 건강, 안전 기준과 같은 비관세 장벽
  • 수입 대금 지불에 필요한 적절한 외환 가용성
  • 국내 제조 상품 가격 (공급 탄력성에 영향받음)


무역 수지는 경기 순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출 주도 성장(예: 석유 및 초기 산업 상품)의 경우, 경기 확장 기간 동안 무역 수지가 수출 쪽으로 이동한다. 반면 국내 수요 주도 성장(미국 및 호주 등)의 경우, 경기 순환의 같은 단계에서 무역 수지가 수입 쪽으로 이동한다.

무역의 통화적 균형은 무역의 물리적 균형[6](총 물질 소비로도 알려진 원자재의 양)과 다르다. 선진국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상당량의 원자재를 수입한다. 이러한 수입 자재는 완제품으로 변환되어 부가가치를 더한 후 수출될 수 있다. 재무 무역 수지 통계는 물질 흐름을 숨긴다. 대부분의 선진국은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원자재를 소비하므로 대규모 물리적 무역 적자를 겪는다.

2. 2. 경상수지와의 관계

무역수지는 경상수지의 일부이며, 경상수지는 순 국제 투자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소득과 국제 원조와 같은 다른 거래도 포함한다. 경상수지가 흑자이면 해당 국가의 순 국제 자산 포지션이 증가하고, 적자는 순 국제 자산 포지션을 감소시킨다.

무역수지는 한 국가의 생산량과 국내 수요 간의 차이와 같다. 즉, 한 국가가 생산하는 상품과 해외에서 구매하는 상품 양의 차이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해외 주식에 재투자된 금액은 포함되지 않으며, 국내 시장 생산을 위한 상품 수입 개념도 고려되지 않는다.)

다음은 무역수지와 국제수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표이다.

무역 수지국제 수지
유형의 수입과 수출, 즉 상품의 수입과 수출만 포함한다.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무역 수지라고 한다. 수입이 수출보다 많으면 불리한 무역 수지,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면 유리한 무역 수지라고 한다.상품의 수출입 외에 해당 국가에서 수출되고 수입되는 모든 유형 및 무형의 항목을 포함한다.
상품의 수입 및 수출로 인해 수취되거나 지급된 수입을 포함한다. 수입 항목만 표시한다.유형 또는 무형의 모든 수입 및 자본 항목을 포함한다. 따라서 무역 수지는 국제 수지의 일부를 형성한다.


3.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무역수지는 생산 비용, 원자재 및 중간재 가격, 환율, 무역 장벽, 외환 보유액, 국내 상품 가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인들은 수출과 수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쳐 무역수지를 결정한다.[3][4][5]

또한 무역 수지는 경기 순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출 주도 성장의 경우 경기 확장 기간 동안 무역 수지가 수출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국내 수요 주도 성장의 경우 경기 순환의 같은 단계에서 무역 수지가 수입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무역의 통화적 균형은 무역의 물리적 균형과 다르다.[6] 선진국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상당한 양의 원자재를 수입하여 완제품으로 가공 후 수출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선진국은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원자재를 소비하기 때문에 대규모 물리적 무역 적자를 겪고 있다.

3. 1. 생산 비용

토지, 노동, 자본, 세금, 인센티브 등 생산 비용은 수출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3]

3. 2. 원자재 및 중간재

원자재 및 중간재의 비용과 가용성은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수출하는 상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자재와 중간재의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다면, 수출 경쟁력이 높아져 무역수지가 개선될 수 있다. 반대로, 원자재와 중간재의 가격이 비싸거나 구하기 어렵다면,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어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있다.[3][4][5]

3. 3. 환율

환율 변동은 수출품과 수입품의 가격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3][4][5]

3. 4. 무역 장벽

무역 장벽은 무역 흐름을 제한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관세와 비관세 장벽이 포함된다.[3][4][5]

  • 관세: 양자간, 다자간, 일방적 관세 등 무역에 대한 세금이나 제한을 의미한다.
  • 비관세 장벽: 환경, 보건, 안전 기준과 같이 무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규제를 말한다.

3. 5. 외환 보유액

수입 대금 결제에 필요한 적절한 외환의 이용 가능성은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6] 이는 수입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3. 6. 국내 상품 가격

국내에서 제조되는 상품의 가격은 공급 탄력성에 따라 무역 수지에 영향을 미친다.[3][4][5]

4. 무역수지 측정의 문제점

무역 수치는 데이터 기록 및 수집 문제로 인해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공식 데이터를 합산하면 수출이 수입보다 거의 1% 더 많은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모든 거래가 각 국가의 계정에 동일한 신용 또는 차변을 포함해야 하므로 불가능하다.[3][4][5] 이러한 불일치는 자금 세탁, 탈세, 밀수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개발도상국의 통계는 정확성이 의심스러울 수 있지만, 실제 불일치의 대부분은 선진국의 통계에서 발생한다.

4. 1. 데이터 불일치

전 세계 국가들의 무역 데이터를 합산하면 수출이 수입보다 많은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모든 거래가 각 국가의 계정에 동일한 신용 또는 차변을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일 수 없다. 이러한 불일치는 자금 세탁, 탈세, 밀수 및 기타 가시성 문제와 관련된 거래로 설명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3][4][5] 개발도상국의 통계 정확성은 의심스러울 수 있지만, 실제 불일치의 대부분은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가진 선진국 간에 발생한다.

4. 2. 통계 정확성

무역 수지를 측정하는 데는 데이터 기록 및 수집 문제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공식 데이터를 합산하면 수출이 수입보다 거의 1% 더 많은데, 이는 모든 거래가 각 국가의 계정에 동일한 신용 또는 차변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실일 수 없다. 이러한 불일치는 자금 세탁, 탈세, 밀수 및 기타 가시성 문제와 관련된 거래로 설명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개발도상국의 통계 정확성은 의심스러울 수 있지만, 실제 불일치의 대부분은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가진 선진국 간에 발생한다.[3][4][5]

5. 무역수지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다양한 관점

무역수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3]


  • 수출국과 수입국의 생산 비용 (토지, 노동, 자본, 세금, 인센티브 등)
  • 원자재, 중간재 등의 비용 및 가용성
  • 환율 변동
  • 다자간, 양자간 및 일방적 무역에 대한 세금 또는 제한
  • 환경, 건강, 안전 기준과 같은 비관세 장벽
  • 수입 대금 지불에 필요한 외환의 가용성
  • 국내 상품 가격 (공급 탄력성에 영향)


또한 무역 수지는 경기 순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출 주도 성장의 경우, 경기 확장 기간 동안 무역 수지가 수출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국내 수요 주도 성장의 경우, 경기 순환의 같은 단계에서 무역 수지가 수입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무역의 통화적 균형은 총 물질 소비로 표시되는 무역의 물리적 균형과는 다르다.[6] 선진국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원자재를 수입하여 완제품으로 가공, 부가가치를 더해 수출한다. 따라서 재무 무역 수지 통계는 이러한 물질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대부분의 선진국은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원자재를 소비하므로 대규모 물리적 무역 적자를 겪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양자 간 무역 적자 자체가 나쁘다는 개념에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다.[20][21][22][23][2]

5. 1. 부정적 견해 (IMF 등)

IMF에 따르면 무역 적자는 국제 수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외환 부족에 영향을 미쳐 국가에 해를 끼칠 수 있다.[24]

5. 2. 긍정적 견해 (조지프 스티글리츠, 칼라 노를뢰프 등)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흑자를 내는 국가가 무역 상대국에게 "부정적 외부 효과"를 행사하며, 적자를 내는 국가보다 세계 번영에 훨씬 더 큰 위협을 가한다고 지적한다.[25][26][27] 벤 버냉키는 "유로존 내의 지속적인 불균형은 건전하지 않으며, 이는 불균형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재정 불균형을 초래한다. 독일이 구매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판매한다는 사실은 (전 세계 다른 국가뿐만 아니라) 이웃 국가로부터 수요를 전환하여 독일 밖의 생산량과 고용을 감소시킨다."라고 주장했다.[28]

칼라 노를뢰프는 미국에 대한 무역 적자가 세 가지 주요 이점이 있다고 주장한다.[29]

  • 생산보다 더 큰 소비: 미국은 생산량보다 더 많이 소비할 수 있다.
  • 효율적으로 생산된 외국산 중간재의 사용은 미국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미국은 글로벌 분업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 다른 국가가 수출에 의존하는 큰 시장은 미국이 무역 협상에서 협상력을 강화한다.

5. 3. 고전적 이론 (애덤 스미스, 프리드리히 리스트)

애덤 스미스는 무역 수지 균형 이론이 불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자유 무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1776년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31]

원문에는 프리드리히 리스트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애덤 스미스의 주장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했다.

5. 4. 케인스주의 이론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국제 무역의 균형 문제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1944년 브레턴우즈 체제를 수립한 국제 연합 통화 금융 회의에 영국 대표단을 이끌었다.[32]

케인스는 국제 청산 연합에 대한 제안의 주 저자였는데, 이 계획의 두 가지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았다.[32]

  • 미결제 잔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국제 통화'를 '창출'해야 한다.
  • 채무국과 채권국을 거의 똑같이 균형을 교란하는 자로 취급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계획은 "미국 여론이 채무-채권 관계에서 이례적인 평등 대우 원칙을 기꺼이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거부되었다.[32]

케인스는 흑자 국가가 무역 상대국에 "부정적 외부 효과"를 가하며, 적자 국가보다 세계 번영에 더 큰 위협을 준다고 보았다.[36] 그는 흑자 국가는 흑자를 없앨 강력한 동기를 갖게 되고, 이를 통해 다른 국가의 적자를 자동적으로 해결할 것이라고 제안했다.[35] 이를 위해 자체 통화인 뱅코어를 발행하는 글로벌 은행을 제안했다. 뱅코어는 고정 환율로 각국 통화와 교환 가능하며 국가 간의 계산 단위가 되어 무역수지 적자 또는 흑자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모든 국가는 국제 청산 연합의 뱅코어 계정에 대한 마이너스 통장 시설을 갖게 된다.[36]

케인스는 이미 ''"National Self-Sufficiency" (The Yale Review, Vol. 22, no. 4, 1933년 6월)''에서 자유 무역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들을 강조한 바 있다.[37][38] 당시 많은 경제학자 및 논평가들이 지지했던 그의 견해는 채권국이 채무국만큼 교환 불균형에 대한 책임이 있을 수 있으며, 둘 다 무역을 균형 상태로 되돌릴 의무가 있다는 것이었다. 제프리 크라우더는 "국가 간의 경제 관계가 어떤 식으로든 균형에 거의 도달하지 못하면 혼란으로 인한 빈곤의 결과를 세계에서 구할 수 있는 금융 시스템은 없다"고 말했다.[39]

이러한 케인스의 아이디어는 대공황 이전의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케인스와 다른 사람들은 주로 미국이 주도한 국제 대출이 건전한 투자의 능력을 초과하여 비생산적이고 투기적인 용도로 전환되었고, 이는 다시 채무 불이행과 대출 과정의 갑작스러운 중단을 초래했다고 보았다.[40]

케인스의 영향을 받아, 전후 시대의 경제학 교과서는 무역 균형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화폐 개요''의 제2판은 10개의 챕터 중 마지막 3개를 외환 관리 문제, 특히 '균형 문제'에 할애했다.[41] 그러나 1971년 브레턴우즈 체제가 종료된 이후, 1980년대 통화주의 학파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특히 대규모 지속적인 무역 불균형에 직면하면서 이러한 우려는 주류 경제학 담론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케인스의 통찰력은 간과되었다.[42][43]

5. 5. 통화주의 이론 (밀턴 프리드먼, 프레데리크 바스티아)

밀턴 프리드먼은 무역 적자가 자동적으로 조정되며, 반드시 경제에 해로운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44] 1971년 닉슨 행정부가 고정 환율 제도를 폐지한 이후, 미국의 경상 수지는 2010년 기준으로 총 7.75조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으로 유입되는 투자와 일치한다. 국제 수지 정의에 따르면, 경상 수지 적자는 외국인 투자의 유입과 일치한다.[44]

프리드먼은 높은 수출이 통화 가치를 상승시켜 수출을 감소시키고, 수입의 경우 그 반대가 되어 무역 적자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고 보았다. 그는 무역 적자가 통화가 다시 자국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경제에 반드시 해로운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 예를 들어, 국가 A가 국가 B에 판매하고, 국가 B는 국가 C에 판매하며, 국가 C는 국가 A에서 구매하는 상황에서 무역 적자는 A와 B 사이에만 발생하지만, 결국 통화는 순환하게 된다.[44]

프리드먼은 통화가 원산지로 절대 돌아오지 않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실제로는 최상의 결과라고 보았다. 이는 싸구려 종이 조각(통화)을 교환하여 상품을 구매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를 수출국이 벌어들인 달러를 불태워 시장 순환에 전혀 반환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44] 이러한 주장은 데이비드 흄의 정리와도 일맥상통한다. 흄은 영국이 수출을 통해 영구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는데, 금(통화)을 비축하면 영국에서 금이 풍부해져 영국 상품 가격이 상승하고, 수출 매력이 떨어지며 외국 상품의 수입 매력이 높아져 결국 무역 수지가 균형을 이룬다는 것이다.[45]

프레데리크 바스티아는 무역 적자가 실제로는 손실이 아닌 이익의 표현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프랑스 와인을 수출하고 영국 석탄을 수입하는 자신의 예를 들어 설명했다. 와인을 수출하여 얻은 돈으로 더 가치 있는 석탄을 수입하면 결국 이익을 얻는다는 것이다. 그는 ''귀류법''을 통해 국가의 무역 적자가 실패하는 경제가 아닌 성공적인 경제의 지표라고 주장했다. 즉, 성공적이고 성장하는 경제는 더 큰 무역 적자를 초래하고, 실패하고 축소되는 경제는 더 낮은 무역 적자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러한 예측은 20세기에 밀턴 프리드먼에 의해 재확인되었다.

6. 한국의 무역수지

이전 출력이 빈 문자열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참조

[1]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Pearson Prentice Hall
[2] 뉴스 What Is the Trade Deficit? https://www.nytimes.[...] 2018-06-10
[3] 뉴스 UK and US report trade surplus with each other https://www.ft.com/c[...] 2023-08-15
[4] 뉴스 Trump vs. Trudeau: Both Right, Both Wrong https://www.npr.org/[...]
[5] 웹사이트 The Daily — Comparing Canadian and US bilateral trade in goods data, 2014, 2015 and 2016 https://www150.statc[...] 2023-08-15
[6] 웹사이트 Physical Trade Balance, OECD Glossary of Statistical Terms http://stats.oecd.or[...] 2018-03-15
[7] 간행물 Colbert, Mercantilism and the French Quest for the Asian Trade
[8] 문서
[9] 문서
[10] 웹사이트 Debt and the dollar http://www.epinet.or[...] Economic Policy Institute 2007-07-08
[11] 서적 Bad Money: Reckless Finance, Failed Politics, and the Global Crisis of American Capitalism Penguin
[12] 웹사이트 Major foreign holders of Treasury securities http://www.treas.gov[...] United States Treasury
[13] 웹사이트 Macroeconomic effects of Chinese mercantilism https://krugman.blog[...] 2018-03-15
[14] 웹사이트 China's Economic Mercantilism http://www.industryw[...] 2018-03-15
[15] 뉴스 U.S. tech group urges global action against Chinese https://www.reuters.[...] 2018-03-15
[16] 웹사이트 Protectionism http://www.investope[...] 2018-03-15
[17] 뉴스 Russia was most protectionist nation in 2013: study https://www.reuters.[...] 2018-03-15
[18] 웹사이트 Study: Russia Insulated From Further Sanctions by Import Substitution Success http://russia-inside[...] 2018-03-15
[19] 웹사이트 Food import substitution turns out to be extremely profitable https://www.rbth.com[...] 2018-03-15
[20] 웹사이트 Economists Take Aim at Trump Trade Theory – Again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magazine) 2017-03-12
[21] 뉴스 Analysis: Trump rails against trade deficit, but economists say there's no easy way for him to make it go away https://www.washingt[...] 2017-03-12
[22] 뉴스 Trump warns of trade deficits. Economists say, who cares? https://www.pri.org/[...] 2017-10-17
[23] 웹사이트 Trade Balances http://www.igmchicag[...] 2017-10-27
[24] 웹사이트 The IMF in Action: How can the IMF help in a crisis? Getting a member country's economy back on track https://www.imf.org/[...] www.imf.org 2018-03-15
[25] 웹사이트 Reform the euro or bin it by Joseph Stiglitz https://www.theguard[...] www.theguardian.com 2010-05-05
[26] 뉴스 Nobel Laureate Joseph Stiglitz Says the Euro Needs Big Reform https://www.nytimes.[...] 2018-03-15
[27] 웹사이트 Lahcen Bounader's weblog: A Critical Issue Addressed to Joseph Stiglitz http://lahcenbounade[...] 2016-12-31
[28] 웹사이트 Germany's trade surplus is a problem https://www.brooking[...] 2018-03-15
[29] 서적 America's Global Advantage: US Hegemon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0] 논문 Macroeconomic Consequences of Tariffs http://www.nber.org/[...] 2018
[31] 문서
[32] 서적 An Outline of Money Thomas Nelson and Sons
[33] 웹사이트 Deregulation http://www.investope[...] 2018-03-15
[34] 웹사이트 Trade Liberalization http://www.investope[...] 2018-03-15
[35] 웹사이트 Current Global Imbalances and the Keynes Plan https://scholarworks[...] 2019-08-21
[36] 웹사이트 Reform the euro or bin it - Joseph Stiglitz https://www.theguard[...] 2010-05-05
[37] 웹사이트 Inicio https://grepa.es/
[38] 웹사이트 601 David Singh Grewal, What Keynes warned about globalization http://www.india-sem[...] 2018-03-15
[39] 서적 An Outline of Money Thomas Nelson and Sons
[40] 서적 An Outline of Money Thomas Nelson and Sons
[41] 서적 An Outline of Money Thomas Nelson and Sons
[42] 문서
[43] 문서
[44] 웹사이트 TheIdeaChannel.tv http://www.ideachann[...] 2018-03-15
[45] 서적 Essays, Moral, Political, and Literary https://archive.org/[...]
[46] 웹사이트 Expenditure Method http://www.investope[...] 2010-05-11
[47] 웹사이트 Bureau of Economic Analysis https://www.bea.gov/[...] 2018-03-15
[48]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 Definition & Formula https://www.britanni[...] 2018-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