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세는 법적으로 금지된 행위로, 개인이나 기업이 세금을 회피하기 위해 소득을 축소하거나, 허위 신고를 하는 등의 행위를 의미한다. 경제적 영향으로 소득세 탈세는 세율, 실업률, 소득 수준 등과 관련이 있으며, 부의 규모가 커질수록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탈세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전 세계 금융 자산의 일부가 조세피난처에 은닉되는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탈세의 유형에는 소득세 탈세, 관세 탈세, 부가가치세 및 판매세 탈세, 밀수 등이 있으며, 각국은 세무 행정 효율성, 세금 징수 민영화, 조세 징수권 매각 등을 통해 탈세에 대응한다. 탈세는 벌금이나 징역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국제 공조를 통해 조세피난처를 이용한 탈세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익명 신고 제도가 운영되나, 공정한 과세 시스템 구축, 세법 간소화, 조사 능력 향상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세 - 암시장
암시장은 제도적 규칙을 회피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불법 상품 및 서비스 거래, 탈세, 소비자 피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지만, 규제 완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탈세 - 밀조주
밀조주는 탈세나 법적 규제 회피를 목적으로 불법 제조되는 술을 의미하며, 안전 문제와 법적 처벌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금융에 관한 - 2023년 미국 은행 위기
2023년 미국 은행 위기는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실리콘밸리 은행 등 여러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미국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금융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금융에 관한 - 원천징수
원천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자(납세의무자)를 대신하여 소득세를 징수하여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로, 소득세법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 적용되며 세금 납부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시행된다. - 사이드바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사이드바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탈세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금융범죄 |
정의 | 불법적인 방법으로 세금 납부를 피하는 행위 |
관련 개념 | |
관련 법률 | 조세법 |
관련 행위 | 탈세, 밀수, 암시장, 불법 고용, 조세 피난처 이용 |
특징 | |
목적 | 세금 납부 회피 |
수단 | 소득 축소, 허위 비용 계상, 역외탈세, 조세 피난처 이용 등 |
비윤리적 행동 | 세금 회피를 위해 기술적으로 합법적인 방법이라도 법 정신에 위배될 수 있음 |
처벌 | |
법적 제재 | 채무자 감옥, 벌금, 징역 등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조세 탈세 조세회피 조세 저항 세무 조사 세금 도피처 밀수 암시장 미신고 고용 국제 조세 이전 가격 세원 침식 및 이익 이전 (BEPS) 더블 아이리시 더치 샌드위치 역외 금융 센터 조세 회피지 금융 비밀 지수 스위스 리크스 사건 파나마 페이퍼스 파라다이스 페이퍼스 룩스릭스 리히텐슈타인 세금 사건 미국 조세 피난처 아일랜드 조세 피난처 패러다이스 페이퍼스 |
참고 문헌 | |
연구 자료 | 조세 회피에 관한 연구 자료 세금 준수에 대한 결과 지향과 정의 관심사의 영향 |
2. 경제적 영향
탈세는 국가의 재정 수입을 감소시켜 정부가 제공해야 할 공공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교육, 복지, 의료, 사회 기반 시설 등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재원이 부족해지면 결국 그 피해는 사회 전체 구성원에게 돌아가게 된다. 또한, 탈세는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는 대다수 시민에게 상대적인 박탈감을 안겨주고 세금 부담을 가중시켜 조세 정의에 대한 불신을 키우며 사회 통합을 저해한다.
특히 조세피난처를 이용한 역외 탈세는 국경을 넘나들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발과 추적이 어려워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행위는 국가 경제의 투명성을 해치고 지하경제를 활성화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더욱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유층일수록 탈세에 가담할 확률과 그 규모가 커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2017년 Alstadsæter 등의 연구는 매우 부유한 사람들이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탈세에 가담할 가능성이 약 10배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2] 이는 탈세가 단순한 재정 문제를 넘어 소득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임을 시사한다.
2. 1. 조세 회피 모델
196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게리 베커는 범죄 경제학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했으며,[4] 이를 바탕으로 M.G. 앨링엄(Allingham)과 A. 샌드모(Sandmo)는 1972년에 조세 회피에 대한 경제 모델을 발표했다. 이 모델은 주로 선진국의 주요 세수원인 소득세 탈세 문제를 다룬다. 앨링엄과 샌드모는 소득세 탈세 수준이 법으로 정해진 탐지 확률과 처벌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5]그러나 이후의 연구들은 이 초기 모델의 한계를 지적했다. 개인들이 자신들이 내는 세금이 적절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믿고, 공공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고 느낄 때 세금을 더 성실하게 납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6][7][8][9]
조세 회피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들은 탈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밝히려는 시도에서 정교하게 발전했지만, 어떤 변수가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의 방향과 크기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결과를 내놓기도 한다. 따라서 이론적인 논의만으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우며, 실제 데이터를 통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경험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득세 탈세는 세율, 실업률, 소득 수준, 그리고 정부에 대한 불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0] 미국의 경우, 1986년 세법 개정법이 미국 내 조세 회피를 줄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11]
2017년에 발표된 Alstadsæter 등의 연구는 무작위 계층화 감사와 유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부의 규모가 커질수록 조세 회피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매우 부유한 사람들은 평균적인 사람들보다 조세 회피에 가담할 가능성이 약 10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부유층의 조세 회피 문제가 심각함을 시사했다.[12]
2. 2. 세수 격차 (Tax Gap)
세수 격차(Tax gap)는 실제로 징수된 세금에 비해 징수되어야 할 세금의 규모를 나타낸다. 미국 국세청(Internal Revenue Service, IRS)은 특정 연도의 실제 세금 부과액과 실제로 제때 납부된 세금 간의 차이를 총 세수 격차로 정의한다. 여기에는 미신고 격차, 누락 신고 격차, 미납(또는 송금) 격차가 포함된다. 미국의 자발적 세금 준수율은 실제로 납부해야 할 세금의 약 85%이며, 총 세수 격차는 약 15% 수준이다.
세수 격차는 주로 두 가지 요인, 즉 집행력 부족과 준수율 부족으로 인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집행력 부족은 주로 세법 집행에 높은 비용이 드는 문제에서 비롯된다.[14] 준수율 부족은 세금 준수 자체가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비용(세금 신고, 관료주의 등)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 때문에 일부 납세자는 세금을 내지 않는 것이 더 경제적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2. 3. 탈세와 불평등
연구에 따르면, 부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탈세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2017년 Alstadsæter 등의 연구는 무작위 계층화 감사와 유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우 부유한 사람들이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탈세에 가담할 가능성이 약 10배 더 높다고 결론지었다.[12]
경제학자 Annette Alstadsæter, Niels Johannesen, Gabriel Zucman의 연구는 HSBC 스위스("스위스 유출 사건")와 모색 폰세카("파나마 문서")의 자료를 통해 이러한 경향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는 평균적으로 개인 소득세의 약 3%가 탈세되지만, 이 비율은 부의 분포 상위 0.01%에 속하는 최상위 부유층에서는 약 30%까지 치솟는다.[42] 이는 부유층일수록 탈세 규모가 커지는 경향을 보여주며, 특히 최상위 0.01% 부자들이 파나마 문서에 등장하거나 HSBC에 신고되지 않은 계좌를 보유할 확률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52]
이러한 탈세는 소득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연구자들은 탈세를 고려할 경우, 1970년대 이후 세금 자료에서 나타나는 소득 불평등 증가폭이 실제로는 훨씬 더 크다고 지적한다. 이는 세금 자료만으로는 상위 계층의 정확한 소득과 부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세금 준수율이 비교적 높은 국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42]
전 세계 금융 자산의 약 8%가 역외 계좌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52] 이러한 역외 자산은 일반적인 세무 감사에서 잘 탐지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53] 이는 고액 자산가들이 역외 조세피난처를 이용하여 탈세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한편, 연구 결과는 탈세와의 싸움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세 특별 감면 등을 통해 탈세를 줄인 후에도 탈세자들이 합법적인 방식으로 세금을 더 회피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탈세 단속 강화가 특히 최상위 부유층으로부터 더 많은 세수를 확보하고 조세 형평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42]
3. 탈세의 유형
탈세는 다양한 세금 유형에서 발생하며, 그 규모는 세수 격차(Tax gap)라는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다. 세수 격차는 실제로 징수되어야 할 세금 총액과 실제로 징수된 세금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세청(IRS)은 자국의 자발적 세금 준수율을 약 85%로 추산하며, 이는 약 15%의 세수 격차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세수 격차는 세법 집행의 어려움과 비용, 그리고 납세자 입장에서 세금 신고 및 납부 과정의 번거로움과 비용 부담 때문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14]
납세자가 세금을 탈루하는 동기는 다양하다. 개인적인 재정 이익 추구가 주된 이유일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이 감수하려는 위험 수준과 관련된다.[19] 또한, 납세자가 자신이 내는 세금에 비해 정부로부터 받는 공공 서비스나 혜택이 불충분하다고 느끼는 '교환 관계 불균형' 인식도 탈세 동기가 될 수 있다.[20][21][22] 세무 당국의 탈세 적발 능력이 부족하여 적발될 위험이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도 탈세 유인이 증가할 수 있다.[23]
구체적인 탈세 유형으로는 수입품 가격이나 수량을 허위 신고하는 관세 탈세, 사업자가 매출액을 축소 신고하거나 소비자가 다른 지역 구매품 세금을 미납하는 부가가치세 및 판매세 탈세 등이 있다.
탈세와 합법적인 절세, 법의 허점을 이용하는 조세회피의 구분은 국가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탈세는 고의적인 소득 은닉이나 허위 신고 등 부정한 행위를 통해 납세 의무를 면하는 것을 의미한다.[56]
단순 실수나 세법 해석 차이로 인한 과소 신고는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신고 누락'으로 처리되기도 한다. 고의성 입증이 어려워 실제 탈세 의도가 있었더라도 신고 누락으로 종결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가산세[57][58]나 납세 지연 가산금 등은 부과될 수 있다.
한편, 융자 등을 목적으로 수입을 부풀리는 분식결산 등은 세금을 줄이려는 목적이 아니므로 탈세와는 구별되지만, 특별배임죄, 사기죄, 금융상품거래법 위반 등으로 처벌될 수 있다.
3. 1. 소득세 탈세
196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게리 베커(Gary Becker)는 처음으로 범죄 경제학 이론을 제시했으며,[4] 이를 바탕으로 M.G. 앨링엄(Allingham)과 A. 샌드모(Sandmo)는 1972년 조세 회피에 대한 경제 모델을 발표했다. 이 모델은 선진국의 주요 세수원인 소득세 탈세를 다루며, 소득세 탈세 수준은 법으로 규정된 탐지 확률과 처벌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5] 그러나 이후의 연구들은 이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며, 개인들이 세금이 적절하게 사용된다고 믿고 공공 결정에 참여할 수 있을 때 세금을 더 잘 준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6][7][8][9]
이러한 이론적 모델들은 탈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규명하려 했지만, 어떤 변수가 탈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의 방향과 크기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따라서 이론적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득세 탈세는 세율, 실업률, 소득 수준, 그리고 정부에 대한 불만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0] 미국의 경우, 1986년 세법 개정법(Tax Reform Act of 1986)이 미국 내 조세 회피를 줄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11]
2017년 Alstadsæter 등의 연구는 무작위 감사와 유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부의 규모가 커질수록 조세 회피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며, 매우 부유한 사람들이 평균적인 사람들보다 조세 회피에 가담할 가능성이 약 10배 더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부유층의 탈세 문제가 심각함을 시사한다.[12]
미국에서 연방 탈세는 연방법에 의해 부과된 세금의 평가 또는 납부를 고의적으로 불법 회피하려는 시도로 정의된다. 탈세 유죄 판결 시 벌금과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탈세 혐의당 5년의 징역형이 가능하다.[47][48]
미국 국세청(Internal Revenue Service, IRS)은 연방세 납부액과 실제 징수액 간의 차이, 즉 '세수 차이'에 소규모 사업체와 개인 사업자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상당한 조사를 하지 않는 한 이들의 수입 누락이나 미신고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령 회사는 불투명한 소유 구조를 이용해 탈세 및 기타 불법 금융 활동의 수단으로 악용되어 왔다. 실질적인 영업이나 자산 없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 이러한 법인을 통해 개인은 실제 신원과 자산을 숨겨 세금을 회피하고 자금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은 기업 투명성 법(Corporate Transparency Act, CTA)을 제정했다. CTA는 기업이 수익적 소유자 정보를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Financial Crimes Enforcement Network, FinCEN)에 공개하도록 의무화하여 유령 회사의 익명성을 해소하고 기업 소유권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탈세 목적의 유령 회사 악용을 막고 금융 범죄와의 싸움을 강화하려는 목적을 가진다.[49]
과거에는 자선 기부금, 특히 교회 기부금을 과다 신고하는 것이 흔한 탈세 수단 중 하나였다.[50]
3. 2. 관세 탈세
관세는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중요한 세금 수입원이다. 수입업자들은 수입품의 가격이나 수량을 실제보다 낮게 신고하거나, 제품 설명을 실제와 다르게 신고하는 방식으로 관세를 탈루하려 한다. 예를 들어, 가격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는 종가세의 경우, 가격을 낮게 신고하여 과세표준을 줄이는 방식이다. 특정 세율이 적용되는 물품의 경우, 수량을 허위로 신고하기도 한다. 또한, 더 낮은 관세율이 적용되도록 HS 코드 분류를 조작하여 제품 설명을 변경하기도 한다.[24]밀수는 상품을 불법적으로 수입하거나 수출하는 행위로, 관세를 완전히 회피하거나 밀수품 거래를 목적으로 이루어진다.[15] 밀수업자들은 운송 사실 자체를 숨기므로 세관 신고를 하지 않아 관세를 납부하지 않는다.[24]
이러한 관세 탈루를 방지하기 위해 선적 전 검사(PSI) 기관들이 활동한다. 대표적인 기관으로 Société Générale de Surveillance S.A.|소시에테 제네랄 드 쉬르베이양스 S.A.fra(SGS)와 그 자회사 코텍나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저가 계약이나 허위 신고를 통한 관세 탈루를 방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일부 PSI 기관이 오히려 수입업자의 관세 탈루를 묵인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방글라데시 당국은 코텍나가 수입업자와 공모하여 대규모 관세 탈루를 방조한 사실을 적발했다.[31] 2005년 8월, 방글라데시 정부는 수입품의 가격, 품질, 수량을 인증하기 위해 코텍나 검사 SA, SGS(방글라데시) 유한회사, 뷰로 베리타스 BIVAC(방글라데시) 유한회사, 인터텍 테스팅 유한회사 등 4개 PSI 회사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2008년 3월, 방글라데시 국세청은 심각한 규정 위반을 이유로 코텍나의 인증을 취소했으며, 다른 세 개의 PSI 회사에 대한 수입업자들의 불만도 커졌다. 결국 방글라데시는 관세청 자체적으로 직원들에게 관세평가, 무역 정책, ASYCUDA 시스템, 위험 관리 교육을 실시하여 검사 업무를 직접 담당할 계획을 세웠다.[32]
코텍나는 파키스탄에서도 뇌물 스캔들에 연루되었다. 파키스탄 수입업자를 통해 당시 총리 베나지르 부토에게 뇌물을 제공하고 PSI 계약을 따낸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건으로 부토와 그녀의 남편은 파키스탄과 스위스 양국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33]
3. 3. 부가가치세 및 판매세 탈세

20세기 후반,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적으로 부가가치세(VAT)가 현대적인 소비세 형태로 등장했다.[17] 부가가치세를 소비자로부터 징수하는 생산자는 매출액을 실제보다 적게 신고하는 방식으로 세금을 탈세할 수 있다. 미국은 연방 차원에서 광범위한 소비세를 부과하지 않으며, 현재 어떤 주도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지 않는다. 대신 대부분의 주는 판매세를 징수한다. 캐나다는 연방 차원에서는 부가가치세(상품 및 서비스세)를, 주 차원에서는 판매세를 모두 사용하며, 일부 주에서는 두 가지 형태를 결합한 단일 세금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부가가치세나 판매세를 부과하는 대부분의 관할 구역에서는 주민이 다른 관할 구역에서 구매한 품목에 대해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하도록 법적으로 요구한다. 이는 낮은 세율이나 세금이 없는 관할 구역에서 물건을 구매하여 자신의 관할 구역에서 부가가치세 또는 판매세를 피하려는 소비자가 있다면, 이는 대부분의 경우 법을 위반하는 행위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의 탈세는 미국이나 캐나다와 같이 하위 행정 구역별로 부가가치세나 판매세율이 다른 연방 국가에서 특히 흔하게 나타난다.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내부 관할 구역 간의 국경 통제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점이 지역 판매세 탈세를 막는 데 근본적인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세율이 다른 관할 구역 사이를 개인 차량으로 오가며 운반하는 비교적 저렴한 상품에 대한 세금 징수는 일반적으로 비용 효율적이지 않다. 그러나 각 지방 정부는 보통 자동차와 같이 가격이 높은 품목에 대해서는 판매세를 징수하려고 노력한다.[18]
3. 4. 밀수
밀수는 불법적인 수단으로 상품을 수입하거나 수출하는 행위이다.[15] 밀수는 관세를 완전히 피하거나, 밀수품 자체를 들여오고 내보내기 위해 이루어진다. 밀수업자는 상품을 몰래 운반하므로 세관에 신고하지 않고, 따라서 관세를 내지 않는다.[24]4. 각국의 대응
탈세의 수준은 숨기려는 금액의 규모, 세무 행정의 효율성, 세무 공무원의 부패 여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각국 정부는 탈세를 줄이고 세금 징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데, 세금 징수 업무를 민간에 맡기는 민영화[24]나 조세 징수권 매각(Tax farming)[25][26] 등이 그 예시이다.
어떤 행위를 탈세로 간주하는지, 그리고 그 판단 기준은 국가마다 다르다. 즉, 탈세와 합법적인 절세의 경계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으며, 탈세로 판정된 경우의 행정적 대응 방식 역시 다양하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탈세를 “허위 기타 부정한 행위”를 통해 납세 의무를 면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과거에는 허위 신고서를 제출하는 방식이 많았지만, 거래의 세계화와 인터넷 거래 확산으로 인해 신고 자체를 하지 않는 무신고 사례가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었다.[56] 일반적으로 단순한 계산 오류나 세법 해석 차이 등으로 인한 과소 신고는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는 한 '신고 누락'으로 처리되지만, 이 경우에도 가산세 등이 부과될 수 있다.[57][58]
한편,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기간 동안 자진 신고 및 납부를 유도하는 조세 사면(Tax amnesty) 제도를 시행하기도 한다.
4. 1. 정부 대응
탈세 수준은 세무 행정의 효율성과 세무 공무원의 청렴도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세무 공무원의 부패는 탈세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다. 부패한 공무원은 탈세자와 공모하여 뇌물을 받고 적발된 탈세 사례를 묵인하기도 하며,[29] 이는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29]각국 정부는 탈세를 줄이고 세금 징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세금 징수 업무의 민영화[24]와 조세 징수권 매각(Tax farming)[25][26]이 있다. 세금 징수 민영화는 정부 부서보다 민간이 더 효율적으로 탈세를 통제할 수 있다는 크리스토퍼 후드(Christopher Hood) 교수의 제안[30]에 따라 일부 정부에서 채택되었다.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는 1991년 관세 행정을 부분적으로 민영화했다.[24]
조세 징수권 매각은 정부가 민간 기업으로부터 미리 세금을 일시불로 받고, 해당 기업이 직접 세금을 징수하여 수익을 얻는 역사적인 방식이다. 이 방식이 저개발 국가에서 탈세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25] 그러나 이 제도는 정치적 통제가 미흡할 경우 이익을 추구하는 징수인의 남용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민간 세금 징수원의 남용은 때때로 세금 행정을 아웃소싱한 정부의 혁명적 전복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실제로 프랑스에서는 조세 징수인의 남용이 (귀족을 면제하는 조세 제도와 함께) 프랑스 혁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정부는 또한 직접적인 단속 강화를 통해 탈세에 대응하기도 한다. 2011년 영국의 세금 징수 기관인 HMRC는 2015년까지 180억파운드의 추가 세수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탈세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7] 2010년에는 중산층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진 신고 및 납부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5억파운드을 징수하기도 했다.[28]
4. 2. 처벌 수준
탈세는 거의 모든 선진국에서 범죄이며, 범죄자는 벌금 또는 징역을 받을 수 있다. 탈세의 정도는 탐지 가능성과 함께 처벌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여겨진다.[5]그러나 탈세로 간주하는 행위와 그 판단 기준, 그리고 탈세자에 대한 행정의 대응 등은 국가마다 다르다. 즉, 탈세와 이른바 절세의 경계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다.
스위스에서는 다른 나라에서 형사 탈세에 해당하는 많은 행위가 민사 문제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세금 보고서에 소득을 고의가 아닌 방식으로 잘못 신고하는 것이 반드시 범죄로 간주되지는 않으며, 이러한 문제는 스위스의 형사 법원이 아닌 세금 법원에서 다루어진다. 하지만 스위스에서도 고의적인 기록 위조와 같은 일부 세금 위반 행위는 범죄로 취급된다. 또한 민사상의 세금 위반도 처벌을 초래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탈세는 “허위 기타 부정한 행위”를 통해 납세를 면하는 행위로 정의된다. 과거에는 허위 신고가 주된 방식이었으나, 거래의 세계화와 인터넷 거래 확산으로 신고해야 할 소득을 아예 신고하지 않는 사례(무신고)가 늘어났다. 이에 따라 2011년 세제 개정을 통해 확정신고서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아 소득세 등을 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엔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게 되었다.[56] 계산 오류, 세법 해석 차이, 소득 발생 사실 인지 부족 등으로 인한 과소 신고는 일반적으로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는 한 '신고 누락'으로 처리된다. 고의적인 소득 은닉이 아닌 신고 누락의 경우에도 과소 신고 가산세[57]·무신고 가산세[58]나 납세 지연 가산금이 부과된다. 만약 세무조사 결과 소득 은닉을 목적으로 한 허위·은닉 사실이 인정되면 일반 가산세 대신 중가산세가 부과된다. 일본에서 조세범은 형사소송법 절차에 따라 처리되며, 그 전제로 국세기본법에 따른 위반 사건 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탈세는 사기죄의 특별법으로서 각 세법의 벌칙이 적용되어, 직접세, 관세, 소비세 탈세범은 소득세법, 법인세법 등에 따라 일반적으로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엔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병과 가능).[59]


영국의 세금징수기관인 영국 국세청(HMRC)은 탈세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2013년, 당시 연립 정부는 경제 범죄 단속의 일환으로 탈세를 지원하는 행위를 새로운 범죄로 규정하고, 탈세자를 기소하기 위해 세무 당국이 "탈세 의도"를 증명해야 하는 요건을 완화했다.[44] 2015년에는 당시 재무장관 조지 오즈번이 해외 은행 계좌를 보유한 탈세자를 대상으로 HMRC에 새로운 권한을 부여하며 50억파운드를 추가 징수하겠다고 발표했다.[45] 이러한 조치 이후 탈세 혐의로 기소된 사람의 수는 2014/15년에 1,258명으로 전년 대비 두 배 증가했다.[46] HMRC는 2016~2017년 세금 납세 연도에 순수 탈세로 인해 정부가 입은 손실을 53억파운드로 추산했다.[43]
4. 3. 국제 공조
2021년 10월 초,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는 판도라 문서를 통해 1,190만 건의 유출된 금융 기록을 공개했다. 이 문서는 약 35명의 세계 지도자들이 조세피난처에 비밀 해외 계좌를 만들어 세금을 회피한 정황을 드러냈다. 폭로된 인물 중에는 두바이 통치자이자 아랍에미리트 총리인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도 포함되었다. 그는 바하마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같은 조세피난처에 등록된 3개 회사의 주주로 밝혀졌으며, 이 회사들을 통해 유럽 전역의 고급 부동산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34][35]또한, 판도라 문서는 국제통화기금(IMF) 전 총재이자 전 프랑스 재무장관인 도미니크 스트로스-칸이 모로코 회사의 세금 면제가 만료된 2018년 이후, 아랍에미리트에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여 수백만 달러 상당의 컨설팅 수수료를 세금 없이 받았다고 지적했다.[36]
한편, 은행, 주식 거래업자, 변호사 등이 연루된 네트워크가 배당금 세금 관련 사기(이른바 CumEx-파일 스캔들)를 통해 유럽 각국 재무부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빼돌린 사실도 드러났다. 주요 피해 국가와 추정 손실액은 다음과 같다.[37]
국가 | 추정 손실액 |
---|---|
독일 | 약 310억유로[38] |
프랑스 | 최소 170억유로[39][40][41] |
이탈리아 | 45억유로[39][40][41] |
덴마크 | 17억유로[39][40][41] |
벨기에 | 2.01억유로[39][40][41] |
이들 5개국의 피해액만 합쳐도 최소 629억달러에 달한다.[37]
5. 한국의 현실과 과제
탈세 신고가 본래 목적 외에 경쟁 업체 견제나 개인적 보복 등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면서 사회적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5. 1. 한국의 탈세 현황
(작성할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탈세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탈세 신고 방법과 일본의 특정 업종 탈세 사례만을 언급하고 있습니다.)5. 2. 한국의 대응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대응'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일본의 탈세 정의, 판단 기준, 처벌 규정, 관련 법률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의 대응' 섹션을 작성하기 위한 정보를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5. 3. 익명 신고
익명으로 자신의 신원을 밝히지 않고 탈세 사실을 신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익명 신고 제도는 자영업자나 중소기업 간에 경쟁 업체를 견제하거나, 임금체불과 같은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이를 고발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반면, 실명으로 신고하는 경우에는 신고 대상자와 다시 관계를 맺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스마트폰 등의 녹음 기능을 활용하여 몰래 대화 내용을 녹음한 뒤, 이를 증거로 국세청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신고한 탈세 금액이 클 경우, 신고자는 포상금을 받을 수도 있다.
5. 4. 과제
탈세를 방지하고 공정한 조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1]6. 한국의 탈세 사건
한국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유형의 탈세 사건들이 발생하며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키곤 했다.
6. 1. 주요 탈세 사건
- 금丸 사건
- 명전공 사건
- 광진 사건
- 노무라 사치요 탈세 사건
- 구도회 노무라 총재 탈세 사건
- 고스 클리닉 탈세 사건
- 야마구치구미 타케나카 조장 탈세 사건
- 기타큐슈 토지 굴리기 사건
- 프로야구 탈세 사건
- 도쿄 퍼브코 탈세 사건
- 케이 원 탈세 사건
- 가토 고이치 전 비서 탈세 사건
- 네오길드 탈세 지도 사건[61]
- 라이징 프로덕션 탈세 사건
- 이토햄 수입 돼지고기 관세 탈세 사건
- 카와모토 겐지로 탈세 사건
- 다이코 사건
- 나이스 어시스트 사건
- 미사키 유타 탈세 사건
- 유포테이블 탈세 사건
- 테이쿄 대학 의학부 뒷문 입학 사건
- 일본 헬시 산업 탈세 사건
참조
[1]
논문
Tax Evasion & Whistleblowers: Curious Policy or Durable Strategy?
https://papers.ssrn.[...]
SSRN
2020-05-05
[2]
논문
The Impact of Outcome Orientation and Justice Concerns on Tax Compliance
https://digitalcolle[...]
2016-07-26
[3]
논문
Money at the Docks of Tax Havens: A Guide
https://www.cesifo.o[...]
2021-12-20
[4]
논문
Crime and Punishment: An Economic Approach
https://www.nber.org[...]
2018-03-09
[5]
논문
Income Tax evasion: A Theoretical Analysis
[6]
서적
Tax Compliance and Tax Morale: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07-01-01
[7]
논문
Of democratic governance and revenue: Participatory institutions and tax generation in Brazil
https://onlinelibrar[...]
2021-12-18
[8]
논문
Measuring, explaining, and controlling tax evasion: lessons from theory, experiments, and field studies
https://doi.org/10.1[...]
[9]
논문
Tax morale and direct democracy
https://www.scienced[...]
2021-12-18
[10]
논문
America's Underground Economy: Measuring the Size, Growth and Determinants of Income Tax Evasion in the U.S
https://ideas.repec.[...]
Ideas.repec.org
2015-03-21
[11]
논문
Did the Tax Reform Act of 1986 Improve Compliance? Three Studies of Pre- and Post-TRA Compliance Attitudes*
https://onlinelibrar[...]
2021-12-18
[12]
논문
Tax Evasion and Inequality∗
https://gabriel-zucm[...]
[13]
뉴스
Conspiracy Theories / How more funding for the I.R.S. became a political firestorm
https://www.nytimes.[...]
2022-08-26
[14]
논문
The Theory of Tax Evasion: A Retrospective View
[15]
웹사이트
Lawyer for tax and customs criminal Law Torsten Hildebrandt
https://steuerstrafr[...]
2024-06-20
[16]
뉴스
Where's the fraud, Mr. President?
https://web.archive.[...]
2011-12-13
[17]
서적
Tax Policy and the Underground Economy
Ashgate Publishing
[18]
웹사이트
Tax Evasion in the Czech Republic – In: A Brief Introduction to Czech Law. Rincon: The American Institute for Central European Legal Studies (AICELS) 2008. pp. 111–21 ISBN 978-0-692-00045-8
https://web.archive.[...]
[19]
논문
Income tax evasion: a theoretical analysis
https://www.scienced[...]
2021-04-26
[20]
서적
The effects of tax reform on tax evasion
https://www.worldcat[...]
Australian Tax Research Foundation
[21]
논문
Possible causes of tax evasion
https://www.scienced[...]
[22]
논문
Tax evasion and inequity
http://dx.doi.org/10[...]
[23]
뉴스
Small businesses dodge £4.4bn of UK tax each year
https://www.ft.com/c[...]
2024-09-08
[24]
논문
Evasion of Customs Duty in Bangladesh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Monash University, Australia
[25]
논문
Tax Farming: A Radical Solution for Developing Country Tax Problems?
http://elibrary.imf.[...]
2022-11-02
[26]
서적
Introduction of PSI system in Bangladesh: Facts and Documents
Desh Prokashon
[27]
웹사이트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tax evasion and avoidance
https://www.gov.uk/g[...]
2024-12-17
[28]
뉴스
HMRC opens 16 criminal cases over tax evasion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11-06-10
[29]
웹사이트
TAX ADMINISTRATION AND CORRUPTION. TOPIC GUIDE
https://knowledgehub[...]
2024-12-17
[30]
논문
Privatizing UK tax Law Enforcement?
[31]
뉴스
NBR showcauses Cotecna on car import scam
https://web.archive.[...]
Media New Age Ltd
2007-09-14
[32]
뉴스
PSI system likely to continue
https://web.archive.[...]
2008-05-03
[33]
뉴스
Pakistan: Bhutto Sentenced In Switzerland
https://www.nytimes.[...]
2003-08-06
[34]
웹사이트
World Leaders, Including Jordan's Abdullah, UAE's Sheikh Mohammed Found in Pandora Papers
https://themedialine[...]
2021-10-04
[35]
웹사이트
Pandora Papers: The offshore companies of UAE's Sheikh Mohammed
https://www.middleea[...]
2021-10-04
[36]
웹사이트
Meet the European leaders named in the Pandora Papers
https://www.politico[...]
2021-10-04
[37]
웹사이트
CORRECTIV – Investigative. Independent. Non-profit.
https://web.archive.[...]
2018-10-18
[38]
뉴스
Germany fears huge losses in massive tax scandal
https://www.bbc.com/[...]
2017-06-09
[39]
웹사이트
Kuppet mod Europa
https://www.dr.dk/ny[...]
[40]
뉴스
Norge rammet av europeisk skatteskandale
https://www.nrk.no/u[...]
[41]
뉴스
"CumEx Files " : la fraude fiscale à 55 milliards d'euros
https://www.lepoint.[...]
2018-10-18
[42]
웹사이트
Tax Evasion and Inequality
http://gabriel-zucma[...]
2018-10-23
[43]
웹사이트
Measuring tax gaps 2018 edition
https://assets.publi[...]
HM Revenue & Customs
2018-06-14
[44]
웹사이트
UK government announces corporate tax evasion clampdown
https://www.bbc.co.u[...]
2015-03-19
[45]
웹사이트
George Osborne wages war on tax evasion and avoidance
http://www.channel4.[...]
2015-03-19
[46]
뉴스
Lawyers and tradesmen caught in tax clampdown
http://www.thetimes.[...]
2015-12-14
[47]
법률
26 U.S.C. § 7201
[48]
웹사이트
Brooklyn business owner pleads guilty to tax evasion; underreported proceeds from his buyout agreement
https://www.irs.gov/[...]
Internal Revenue Service
2024-05-31
[49]
웹사이트
The Corporate Transparency Act is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Friend of the Court" Briefs Make Clear
https://thefactcoali[...]
2024-05-07
[50]
뉴스
Tax Cheats Cost U.S. hundreds of billions
http://www.post-gaze[...]
2007-03-25
[51]
웹사이트
Tax Gap for Tax Year 2006 Overview Jan. 6, 2012
https://www.irs.gov/[...]
U.S. Internal Revenue Service
[52]
논문
Tax Evasion and Inequality
2019-06-01
[53]
논문
Tax Evasion at the Top of the Income Distribution: Theory and Evidence
https://www.nber.org[...]
2021-03-22
[54]
사전
脱税犯
[55]
기타
[56]
웹사이트
所得税法の一部改正 財務省
http://www.mof.go.jp[...]
財務省
[57]
웹사이트
과소신고가산세 국세청
https://www.nta.go.j[...]
국세청
[58]
웹사이트
무신고가산세 국세청
https://www.nta.go.j[...]
국세청
[59]
웹사이트
세대저널 5 2007.6 논설 소비세수환부죄에 관한 일고찰 국세청총무과국세기획관 옆본이익
https://www.nta.go.j[...]
국세청
[60]
웹사이트
고발이 많았던 업종 국세청
http://www.nta.go.jp[...]
국세청
[61]
웹사이트
네오길드관련재판 세리사이세는 온정판결
https://www.tabis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