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명왕후는 신라의 왕족으로, 태종무열왕의 부인이자 문무왕의 어머니이다. 언니 보희가 꾼 꿈을 문희가 사들인 후 김춘추와 혼인하게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가계는 가락국 왕족의 후손이며, 김유신의 누이이자 김서현의 딸이다. 드라마 《원효대사》, 《삼국기》, 《연개소문》, 《대왕의 꿈》, 《한국사기》 등 여러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한국의 여자 - 선덕여왕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진평왕의 딸로 태어나 화백회의에서 추대되어 즉위하여 재위 기간 동안 당나라와의 외교 강화, 불교 진흥,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첨성대 축조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백제와 고구려의 침략, 비담의 난을 겪고 승하하였으며, 뛰어난 통찰력과 예지력을 보여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 7세기 한국의 여자 - 진덕여왕
진덕여왕은 647년 신라의 제28대 왕으로 즉위하여 김유신과 함께 비담의 난을 진압하고 나당동맹을 통해 백제와 고구려에 대응하다 654년에 사망했다. - 신라의 왕비 - 미실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 인물로,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삶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신라의 왕비 - 만월부인
만월부인은 신라 경덕왕의 왕비이자 혜공왕의 어머니로, 아들이 없던 중 불국사 승려 표훈의 도움으로 혜공왕을 낳았으며 혜공왕 즉위 후 태후로서 섭정을 맡았다. - 신라의 불교 신자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신라의 불교 신자 - 진덕여왕
진덕여왕은 647년 신라의 제28대 왕으로 즉위하여 김유신과 함께 비담의 난을 진압하고 나당동맹을 통해 백제와 고구려에 대응하다 654년에 사망했다.
문명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신라 태종무열왕의 왕비 |
별칭 | 훈제부인(訓帝夫人) |
시호 | 문명왕후(文明王后) |
배우자 | 태종무열왕 |
아버지 | 김서현 |
어머니 | 만명부인 |
출생일 | 610년 |
사망일 | 681년 |
국적 | 신라 |
종교 | 불교 |
신라 왕후 | |
재위 | 654년 ~ 661년 |
가족 관계 | |
자녀 | 문무왕 김인문 김문왕 김노차 김지경 김개원 지소공주 |
형제자매 | 김유신 김흠순 보희 |
2. 설화
문명왕후의 언니 보희가 서형산(西兄山) 위에서 소변을 보는 꿈을 꾸었는데, 그 소변이 서라벌을 가득 채웠다. 보희는 이 꿈을 동생 문희에게 비단치마를 받고 팔았다.[1]
열흘 뒤, 김유신의 집에서 김춘추와 문희가 만나게 되었고, 문희는 김춘추의 아이를 임신하였다. 김유신은 문희가 결혼 전에 아이를 가진 것을 꾸짖고, 누이를 불태워 죽이겠다는 소문을 냈다.[1]
선덕여왕이 이 소문을 듣고 김춘추에게 문희를 구하라고 명하여, 김춘추는 문희와 혼인하였다.[1]
2. 1. 설화의 의문점
김춘추는 603년에 태어났고, 632년에 선덕여왕이 즉위했을 때에는 서른 살이었다. 만약 선덕여왕의 명으로 문희와 결혼했다면, 아이를 낳았을 때는 632년 이후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김춘추와 문희의 첫 번째 아들인 김법민은 626년생으로, 문희가 김법민을 임신했을 때는 선덕여왕이 즉위하기 5년 전인 진평왕 때라는 것이 된다. 즉, 설화의 시기가 맞지 않음이 드러난다.또한, 김춘추가 문희와 결혼하는 것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이유로는 다음 두 가지가 거론된다. 첫째, 신라 왕족이 아닌 멸망한 가야 왕족과의 결혼이 자칫 자신의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미 김춘추에게는 첫 번째 부인이 있었다는 점이다. 첫 번째 이유가 맞다면, 위 설화를 통해 신라 왕족과 가야 왕족의 결혼이라는 극적인 연출을 하려는 목적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라면, 김춘추의 딸인 고타소의 나이와 대야성에서의 이야기를 통해 첫 번째 부인이 있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첫 번째 부인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하지 않다.
3.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구형왕 | 가락국의 마지막 왕 |
증조모 | 계화부인 | |
조부 | 김무력 | |
조모 | 아양공주 | 진흥왕과 사도왕후의 딸 |
아버지 | 김서현 | |
외조부 | 숙흘종 | |
외조모 | 만호태후 | 이화랑과 지소태후의 딸 |
어머니 | 만명부인 | |
오빠 | 김유신 | |
오빠 | 김흠순 | |
언니 | 영창부인 | |
언니 | 김정희 | |
남편 | 태종무열왕 | 신라 제29대 왕 |
장남 | 문무왕 | 신라 제30대 왕 |
며느리 | 자의왕후 | |
손자 | 신문왕 | 신라 제31대 왕 |
차남 | 김인문 | |
삼남 | 김문왕 | 강릉 김씨의 선조 |
사남 | 김노차 | |
오남 | 김지경 | |
육남 | 김개원 | |
딸 | 지소공주 | 김유신의 부인 |
4. 문명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 1986년 KBS 드라마 《원효대사》 (배우: 최선자)
- 1992년 KBS 드라마 《삼국기》 (배우: 김보미)
- 2006년 KBS 드라마 《연개소문》 (배우: 이매리, 전혜상, 배나연)
- 2012년 KBS 드라마 《대왕의 꿈》 (배우: 린아)
- 2017년 KBS 드라마 《한국사기》 (배우: 신유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