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의 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의 꿈》은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중심으로 삼국 통일 과정을 그린 드라마이다. 김춘추, 김유신, 선덕여왕 등 주요 인물들의 활약과 신라 내부의 갈등, 삼국 간의 전쟁, 나당전쟁 등 주요 사건들을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선덕 시나리오 작품 - 왕이 된 남자
잦은 변란과 권력 다툼으로 혼란한 조선 중기를 배경으로 왕과 똑 닮은 광대가 왕의 대역을 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왕이 된 남자는 여진구, 김상경, 이세영 등이 출연하여 2019년 tvN에서 방영, 최고 시청률 10.851%를 기록했다. - 김선덕 시나리오 작품 - 세작, 매혹된 자들
《세작, 매혹된 자들》은 왕권을 둘러싼 암투와 복수를 위해 세작이 된 여인이 왕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2024년 tvN 드라마로, 조정석과 신세경이 주연을 맡아 비극적인 로맨스와 권력 다툼, 정치적 음모를 그린다. - 삼국통일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평양성 (영화)
2011년 개봉한 이준익 감독의 코믹 시대극 영화 《평양성》은 668년 고구려-당 전쟁을 배경으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평양성 공격을 중심으로 김유신, 연남건, 연남생 등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해외 영화제 상영 및 긍정적 평가, 정진영의 황금촬영상 수상 등의 성과가 있었다. - 삼국통일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삼국기
삼국기는 KBS에서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삼국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흥망성쇠와 주요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 김유신을 소재로 한 작품 - 평양성 (영화)
2011년 개봉한 이준익 감독의 코믹 시대극 영화 《평양성》은 668년 고구려-당 전쟁을 배경으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평양성 공격을 중심으로 김유신, 연남건, 연남생 등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해외 영화제 상영 및 긍정적 평가, 정진영의 황금촬영상 수상 등의 성과가 있었다. - 김유신을 소재로 한 작품 - 선덕여왕 (드라마)
신라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의 파란만장한 삶과 삼국통일의 기틀을 다지는 과정을 그린 팩션 사극 드라마 《선덕여왕》은 2009년 MBC에서 방영되었으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나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대왕의 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왕의 꿈 대왕의 꿈 |
장르 | 텔레비전 드라마 시대극 |
방송 시간 | 토요일, 일요일 밤 21:40 (KST) |
제작 | |
카메라 | 다중 카메라 |
상영 시간 | 토요일, 일요일 밤 21:40 (KST) |
극본 | 유동윤 김선덕 |
연출 | 신창석 김상휘 |
책임 프로듀서 | 김형일 |
프로듀서 | 한준서 |
주연 | 최수종 김유석 박주미 홍은희 이영아 장동직 |
국가 | 대한민국 |
방송사 | 한국방송공사 |
첫 방송 | 2012년 9월 8일 |
마지막 방송 | 2013년 6월 9일 |
에피소드 수 | 70부작 + 스페셜 5부작 |
오프닝 테마 | "마음의 길" - 제시카 |
제작사 | KBS 드라마 제작국 |
한국어 정보 | |
한국어 제목 | 대왕의 꿈 |
한자 표기 | 의 꿈 |
로마자 표기 | Daewangui Kkum |
문화어 표기 | Taewangŭi Kkum |
번역 제목 | 위대한 왕의 꿈 |
2. 주요 등장인물
: 신라 제 29대 국왕인 태종 무열왕. 폐위된 진지왕의 손자이며 진평왕의 외손. 제18대 풍월주. 몰락한 왕가의 후손으로 태어나 구귀족세력의 끊임없는 견제를 받았으나 대의명분의 정치와 리더쉽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국가의 중추로 성장하였다. 뛰어난 외교력으로 나당동맹을 주도하였으며, 결국 삼한일통의 대업을 이루어 통일 신라의 창업주가 된다.†(67회)
: 통일 신라 창업의 일등 공신. 제15대 풍월주이자 김서현과 만명부인의 장남. 금관가야 왕실의 후예로 김춘추의 평생의 동지이자 정치적 후원자가 된다. 낭비성 싸움을 시작으로 여러 전투를 승리로 이끌면서 백전불패의 명장이자 신라를 구할 미륵으로 명성을 떨치게 된다. 무열왕 즉위 후 백제와 고구려를 정벌해 삼한일통의 대업을 이룬다. 또한 가야계 출신으로 최초의 상대등이 되었으며 후일 42대 흥덕왕에 의해 신라 역사상 유일하게 신하로서 사후 흥무대왕으로까지 추존된 인물.†(70회)
: 신라 제27대 국왕. 진평왕의 둘째딸이며 김춘추의 어머니인 천명공주의 동생[25]. 성조황고(聖祖皇姑)의 존호를 받으며 즉위한 신라 최초의 여성 군주로써 어진 성품과 현숙함으로 백성들의 추앙을 받았다. 안으로는 보수 귀족 세력의 도전과 밖으로는 고구려와 백제의 공세에 직면하여 국운을 지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민생안정과 내치에 힘쓰는 한편, 첨성대 및 황룡사 구층탑 등을 건립하는 업적을 남겼다. 647년 비담의 난을 진압하던 중 병사한다.†(47회)
: 진평왕의 후비이며 덕만공주와 김춘추의 정치적 라이벌. 진흥왕의 혈통으로 일찍 부모를 여의고 사도태후에게 길러졌다. 사도태후로부터 신국의 도를 지키기 위한 후계자로 지명되어, 마야왕후 사후 진평왕의 정실이 된다. 서라벌 구귀족세력의 강력한 지지와 귀문의 군사력을 등에 업고 덕만과 춘추를 끊임없이 위협한다. 진평왕 말기 비형, 칠숙, 석품 등을 사주하여 난을 일으키지만 실패하고 서라벌을 떠난다.
2. 1. 신라
- 최수종 - 김춘추 역[5][6][7][8]
- * 채상우 - 어린 김춘추 역
- 김유석 - 김유신 역
- * 노영학 - 어린 유신 역
- 박주미 (8 ~ 18화) 와 홍은희 (19 ~ 70화) - 덕만공주 역[9][10][11][12][13][14]
- * 선주아 - 어린 덕만 역
- 이영아 와 손여은 - 승만공주 역
- * 김현수 - 어린 승만 역
- 정동환 - 김용춘 (김춘추의 아버지)
- 조경숙 - 천명공주 (김춘추의 어머니)
- 추소영 - 보라궁주 (김춘추의 첫 번째 부인)
- 리나 - 김문희, 후일 문명왕후 (김춘추의 두 번째 부인이자 김유신의 누이)
- 그리나 박 - 김고타소
- * 정다빈 - 어린 김고타소
- 이종수 - 김법민, 후일 신문왕
- * 김진성 - 어린 김법민
- 전광진 - 김인문
- 최규현 - 자의왕후
- 조용진 - 김정명
- 최일화 - 김서현 (김유신의 아버지)
- * 김동윤 - 어린 김서현
- 김예령 - 만명부인 (김유신의 어머니)
- * 김형미 - 어린 만명부인
- 민지아 - 김보희 (김유신의 누이)
- 박재웅 - 김흠순 (김유신의 남동생)
- 김현숙 - 재매부인
- 김동윤 - 김삼광
- 백승우 - 김원술
- 이슬비 - 지소부인 (김유신의 세 번째 부인이자 김춘추의 딸)
- 김하균 - 진평왕
- 정재순 - 사도태후
- 홍일권 - 갈문왕 국반 (진평왕의 형제)
- 조양자 - 만호태후
- 임난영 - 마야부인
- 이시원 - 보량궁주
- 장민교 - 보로전군
- 천보근 - 만화
- 임혁 - 알천
- 서인석 - 숙흘종
- 이우석 - 을제
- 박칠용 - 김후직
- 양재성 - 임종
- 최철호 - 비담
- 강지후 - 염종
- 이원석 - 사진
- 김명국 - 금강
- 김태형 - 강수
- 최규환 - 김진주
- 정동규 - 김진흠
- 이일재 - 호림
- 배도환 - 염장 (아역 김기두)
- 유민호 : 천광
- 윤홍빈 : 관창
- 김지훈 : 반굴
- 이대호 - 원광
- 최왕순 : 예원
- 이명호 : 양도
- 정욱 : 군관
- 이원발 : 김품일
- 김형일 : 동타천
2. 1. 1. 김춘추 가문
- 정동환 : 김용춘 역 : 김춘추의 아버지. 진지왕과 지도부인의 차남. 제13대 풍월주를 지냈다. 보수 귀족들의 견제로부터 춘추를 보호하며 삼한일통의 대망을 심어준 정치적 스승.[25]†(36회)
- 조경숙 : 천명공주 역 : 김춘추의 어머니. 진평왕의 첫째딸이며 선덕여왕의 언니.[25]†(33회)
- 추소영 : 보라궁주 역 : 김춘추의 첫 번째 부인. 미실궁주의 손녀이자 제16대 풍월주 보종의 딸. 딸 고타소를 낳다가 산고로 사망한다.†(13회)
- 린아 : 문명왕후 역 : 김춘추의 두 번째 부인이자 문무왕의 생모. 김유신의 누이로 김춘추를 적극적으로 내조한 여걸.
- 민지아 : 보희 역 : 김유신의 첫째 누이, 문희의 언니. 기록상 무열왕의 세 번째 부인이나 극중에서는 혼인하지 않고 비형 사후 서라벌을 떠난다.
- 박그리나 : 고타소 역 (아역 정다빈) : 김춘추와 보라궁주 사이에서 태어난 딸. 훗날 대야성주인 품석과 혼인하였으나 백제군의 침입으로 자결한다.†(37회)
- 이종수 : 김법민 역 (아역 김진성) : 신라 제30대 문무왕. 김춘추와 김문희 사이에서 태어난 맏아들. 김유신과 함께 종군하여 백제 정벌에 큰 공을 세운다. 무열왕 사후 고구려를 정벌하고 나당전쟁을 승리로 이끌며 삼한일통의 대업을 완성한다.
- 전승빈 : 김인문 역 : 김춘추와 김문희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 나당동맹에서 중추적 활약을 하며 삼한일통을 물심양면으로 돕는다. 후일 친당파의 거두로 성장하여 나당전쟁 과정에서 갈등하기도 한다. 삼한일통 이후에도 당에 머물며 방송와 당을 중재한다.
- 최규현 : 태자비 역 : 김춘추의 맏며느리이며 김법민의 부인이고 김정명의 어머니이다. 훗날 김춘추가 왕위에 오르자 김법민이 태자로 책봉됨에 따라 태자비가 되었고 무열왕 사후 김법민이 왕위에 오르자 자의왕후가 된다.
- 미상 : 김정명 역 (아역 조용진) : 태종무열왕의 손자, 문무왕의 차남이며 신라 제31대 신문왕.
2. 1. 2. 김유신 가문
김서현은 김유신의 아버지로,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 구형왕의 손자이자 진흥왕 대의 명장 김무력의 아들이다. 극 중에서는 칠숙과 석품의 난을 맞아 전사한다.[26]만명부인은 김유신의 어머니로, 숙흘종과 만호태후의 딸이다.
김흠순은 김유신의 동생으로, 제19대 풍월주였다. 그는 역발산 기개세의 용장으로 삼한일통의 주역으로 활약한다.
재매부인은 김유신의 첫 번째 부인이다.
삼광은 김유신의 장남으로, 김유신 휘하에서 여러 전투에 참전하여 활약한다.
김원술은 김유신의 차남이다. 나당전쟁 초기 패전으로 김유신의 분노를 사 부자 관계를 끊었다. 김유신 사후 나당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주역이 된다.
지소공주는 김춘추와 문명왕후의 딸이자, 김유신의 마지막 부인이다.
김유신은 김서현과 만명부인의 아들이다.
김보희는 김유신의 누이이다.
2. 1. 3. 왕실
- 손효원 : 진지왕 역 (특별출연)
: 신라 제25대 국왕. 사도태후에 의해 폐위당한다. 김용춘과 비형랑의 아버지이며 김춘추의 조부이다.
: 신라 제26대 국왕. 이름은 백정이며 진흥왕의 장남인 동륜태자의 첫째아들. 54년의 재위기간 동안 구귀족세력의 발호와 고구려, 백제의 침공에 유연하게 대처하였으며, 왕권 강화에 힘을 기울였다.[29]
- 정재순 : 사도태후 역
: 진흥왕의 왕후. 동륜태자와 진지왕의 어머니이자 진평왕의 할머니이며, 선덕여왕의 증조모. [9]
- 홍일권 : 국반 갈문왕 역
: 진평왕의 막내동생이자 진덕여왕의 아버지.[9]
: 진평왕의 생모. 후에 숙흘종과 혼인하여 만명부인을 낳은 김유신의 외조모.[8]
- 임난영 : 마야왕후 역
: 진평왕의 왕후. 천명공주와 선덕여왕의 어머니.[8]
: 진평왕의 후비. 보라궁주의 언니로 미실궁주의 손녀이자 보종의 딸. 승만왕후의 자객에 의해 사망한다.[12]
- 장민교 : 보로전군 역
: 진평왕의 서자로 보량궁주의 아들.
- 천보근 : 만화 역
: 승만왕후가 자신의 딸 연화 대신 바꿔치기한 천출(賤出)의 사내아이.[28]
: 신라 28대 국왕. 국반 갈문왕과 월명부인의 딸로 선덕여왕과 사촌지간이다. 신라의 마지막 성골 왕으로 647년 비담의 난 진압과 동시에 즉위한다. 재위 기간 동안 김춘추를 통해 나당동맹을 추진하고, 백제와의 전쟁에서 김유신을 중용함으로써 삼한일통의 발판을 마련한다.
- 최수종 - 김춘추 역[5][6][7][8]
- * 채상우 - 어린 김춘추 역
- 김유석 - 김유신 역
- * 노영학 - 어린 유신 역
- 박주미 (8 ~ 18화) 와 홍은희 (19 ~ 70화) - 덕만공주 역[9][10][11][12][13][14]
- * 선주아 - 어린 덕만 역
- 이영아 와 손여은 - 승만공주 역
- * 김현수 - 어린 승만 역
;김춘추 가문
- 정동환 - 김용춘 (김춘추의 아버지)
- 조경숙 - 천명공주 (김춘추의 어머니)
- 추소영 - 보라궁주 (김춘추의 첫 번째 부인)
- 리나 - 김문희, 후일 문명왕후 (김춘추의 두 번째 부인이자 김유신의 누이)
- 그리나 박 - 김고타소
- *정다빈 - 어린 김고타소
- 이종수 - 김법민, 후일 신문왕
- *김진성 - 어린 김법민
- 전광진 - 김인문
- 최규현 - 자의왕후
- 조용진 - 김정명
;김유신 가문
- 최일화 - 김서현 (김유신의 아버지)
- *김동윤 - 어린 김서현
- 김예령 - 만명부인 (김유신의 어머니)
- *김형미 - 어린 만명부인
- 민지아 - 김보희 (김유신의 누이)
- 박재웅 - 김흠순 (김유신의 남동생)
- 김현숙 - 재매부인
- 김동윤 - 김삼광
- 백승우 - 김원술
- 이슬비 - 지소부인 (김유신의 세 번째 부인이자 김춘추의 딸)
2. 1. 4. 정치 귀족
- 임혁 : 알천 역. 진평왕부터 진덕여왕까지 3대에 걸쳐 서라벌 개혁파 신료들의 대표로 활약하였다. 진덕여왕 사후 화백회의를 통해 섭정에 추대되지만, 김춘추에게 섭정 자리를 양보한다.
- 서인석 : 숙흘종 역. 서라벌 구귀족 세력의 실력자이자 김유신의 외조부. 진흥왕의 동생이다. 극 중에서는 선덕여왕 즉위 후 비담에 의해 실각한다.(33회)
- 이우석 : 을제 역. 알천의 정치적 동료. 극 중에서는 비담의 난에 동참하였다가 사진에게 죽음을 당한다.(48회)
- 박칠용 : 김후직 역. 숙흘종의 정치적 동료. 극 중에서는 비담에 의해 살해당한다.(29회)
- 양재성 : 임종 역. 서라벌 구귀족 세력 인물로 숙흘종을 지지한다. 극 중에서는 비담에 의해 살해당한다.(29회)
- 최철호 : 비담 역. 선덕여왕 대의 정치적 실력자이며 김춘추의 정적. 극 중에서는 승만왕후 이후 선덕여왕과 김춘추를 위협하는 주요 반동인물로 등장한다. 647년 선덕여왕에 맞서 반란을 일으키지만 실패하고 죽음을 맞는다.(49회)
- 강지후 : 염종 역. 비담의 참모. 비담의 난에 동조하였다가 참살당한다.(49회)
- 이원석 : 사진 역. 비담파 신료. 모략에 능한 기회주의자로, 비담의 난에 동조하였다가 김춘추의 편에 가담한다. 비담의 난 이후에도 고구려와 내통하고, 염장을 살해하는 등 김춘추를 곤경에 빠뜨리다가 김유신에게 죽음을 당한다.(52회)
- 전일범 : 친당파 귀족 역
- 최왕순 : 예원 역. 제20대 풍월주. 통일전쟁의 주역으로 활약한다. 반당파 신료
- 이명호 : 양도 역. 제22대 풍월주. 통일전쟁의 주역으로 활약한다. 반당파 신료 (70회)
- 정욱 : 군관 역. 제23대 풍월주. 통일전쟁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며, 문무왕 시기 병부령으로 활약한다. 반당파 신료
- 이원발 : 김품일 역. 무열왕 대의 장군. 화랑 관창의 아버지. 반당파 신료
- 김형일 : 동타천 역. 661년 북한산성 전투에서 고구려군의 침입을 막아낸 용맹한 장수. 극 중에서는 김유신의 측근으로 친당파 축출과 나당전쟁에서 활약한다. 반당파 장군 (70회)
- 김명국 : 금강 역. 중도파 신료. 선덕여왕 대의 이찬, 태종무열왕 대의 상대등으로 활약한다.(54회)
- 김태형 : 강수 역. 신라 3대 문장가 중 하나로 김춘추의 참모로 활약한다. 무열왕 즉위 이후에는 친당파 중신으로 나당외교를 주도한다.
- 최규환 : 김진주 역. 무열왕 대의 장군. 인문과 함께 친당파의 영수로 활약한다. 반당노선을 실행하는 문무왕과 대립하다가 제거당한다.(67회)
- 정동규 : 김진흠 역. 친당파 장군. 김진주와 함께 문무왕에게 제거당한다.(67회)
2. 1. 5. 화랑도
- 이일재 : 호림 역 - 마야왕후의 동생이며 선덕여왕의 외삼촌. 제14대 풍월주. 화랑도에 불교의 기풍을 일으켰으며, 빈민들의 구제에 힘써 탈의지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삼한일통의 기초를 다진 주역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극 중에서는 비담에게 살해당한다.†(31회)
- 배도환 : 염장 역 (아역 김기두) - 제17대 풍월주. 서라벌 최고의 재력가로 김춘추를 지원한다. 극 중에서는 사진에 의해 살해당한다.†(51회)
- 유민호 : 천광 역 - 제24대 풍월주. 극 중에서는 계백으로부터 법민을 구하다가 대신 죽음을 당한다.†(49회)
- 윤홍빈 : 관창 역 - 김품일의 아들. 황산벌 전투(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를 승리로 이끈 영웅이다. 전초전에서 신라군이 네 번이나 패하자 단기로 백제 진영에 돌격하여 죽음을 맞는다. 그의 죽음은 신라군이 전의를 회복하여 황산벌에서 승리하는 원동력이 된다.†(57회)
- 김지훈 : 반굴 역 - 김흠순의 아들. 황산벌 전투에서 단기로 백제 진영에 돌격하여 죽음을 당한다. 관창과 마찬가지로 죽음을 통해 신라군의 사기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57회)
- 이대호 - 원광
2. 2. 고구려
최동준이 연기한 연개소문은 고구려의 독재자이자 철혈 재상이었다. 642년 영류왕과 친당 정책을 추진하던 조정 신료들을 살해하고 대막리지에 올랐다. 연개소문은 대당강경책을 유지하며 20년 간에 걸친 당나라의 공격을 막아낸 위대한 전략가였다.김동균이 연기한 영류왕은 고구려의 제27대 태왕으로, 영양왕의 이복동생이었으나 연개소문에게 시해당했다.
안신우가 연기한 보장왕은 고구려의 제28대 태왕이자 마지막 군주였다. 영류왕의 친동생인 태양의 아들로, 연개소문에 의해 옹립되어 실권 없이 재위했다.
김명현이 연기한 연남생은 연개소문의 장남이었다. 연개소문 사후 동생들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하여 당나라에 항복했다.
김정민이 연기한 연남건은 연개소문의 차남이었다. 연개소문 사후 남생을 축출시키고 대막리지에 올랐으며, 668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끝까지 항전했다.
윤익이 연기한 연남산은 연개소문의 삼남이었다. 남건을 따라 남생의 축출에 동참했지만, 고구려 멸망 직전 나당연합군에게 항복했다.
김선동이 연기한 뇌음신은 고구려의 장군이었다. 661년 벌어진 북한산성 전투에서 고구려군을 지휘했다.
박용진이 연기한 걸걸중상은 고구려의 장군이자 훗날 발해를 건국하는 대조영의 아버지였다.
최익준이 연기한 술탈, 이승찬이 연기한 생해는 고구려의 장군이었다.
이성이 연기한 신성은 고구려의 고승이었다. 668년 평양성이 포위되자 보장왕을 설득하여 나당연합군에게 항복하도록 종용하였다.
2. 3. 백제
박철호가 연기한 무왕은 백제 제30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신라를 40차례 공격할 정도로 강인한 군주였다. 이진우가 연기한 의자왕은 백제 제31대 마지막 국왕으로, 무왕의 아들이다. 초기에는 해동증자(海東曾子)로 칭송받을 만큼 성군의 자질을 보였으나, 점차 사치와 향락에 빠져 백제 멸망을 초래했다.공정환이 연기한 부여융은 의자왕의 장남으로, 백제 멸망 후 당나라의 신라 견제 정책에 의해 웅진도독부로 부임했다. 허정민이 연기한 부여태는 의자왕의 차남으로, 백제 멸망 당시 웅진성으로 피신한 의자왕 대신 스스로 왕이 되어 나당연합군에 대항하였으나 항복했다. 김민기가 연기한 부여효는 의자왕의 삼남으로, 형 부여융을 제치고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백제 멸망 후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로 압송되었다. 장태성이 연기한 부여풍은 의자왕의 아들로, 왜국에 볼모로 가 있다가 백제 멸망 후 귀국하여 백제 부흥군의 수장이 되었으나, 백제 부흥운동 실패 후 고구려로 망명했다.
최재성이 연기한 계백은 백제의 명장으로, 황산벌에서 5천 결사대를 이끌고 김유신의 신라 대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김영기가 연기한 복신은 백제의 왕족이자 장군으로, 백제 멸망 후 백제 부흥 운동을 이끌었으나 부여풍과의 갈등으로 죽음을 맞았다. 김원배가 연기한 성충은 백제의 충신이자 재상으로, 말년에 향락에 빠진 의자왕에게 직언을 하다 투옥되어 옥사했다. 임병기가 연기한 흥수는 백제의 충신으로, 나당동맹군의 공격을 예견하고 의자왕에게 직언을 올렸지만 귀양에 처해졌다.
최동엽이 연기한 의직은 백제의 명장으로, 660년 기벌포 해전에서 소정방의 당나라 군대와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최우준이 연기한 윤충은 백제의 명장으로, 642년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원석연이 연기한 상영과 김용헌이 연기한 충상은 백제의 대신으로, 백제 멸망 과정에서 신라와 내통했다. 김철기가 연기한 도충은 계백의 부장으로, 백제 멸망 이후 자결했다. 홍인영이 연기한 화시는 백제의 여자 무사로, 대야성 함락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계백의 측근으로 여러 전투에 종군하다 백제 멸망 후 소정방 암살을 시도하다 죽음을 맞았다. 정승우가 연기한 도침은 고구려의 승려이자 연개소문의 밀정으로, 백제 부흥군에 참여했지만 복신과의 갈등으로 살해당했다. 조태봉이 연기한 충승과 허재호가 연기한 충지는 부여풍의 측근으로, 백강 전투에서 전사했다.
2. 4. 당
윤승원은 이세민 역을 맡아 당나라 제2대 황제를 연기했다. 당 태종은 정관의 치(貞觀之治)라 불리는 부국강병의 시대를 연 명군으로 평가받으며, 신라의 김춘추를 후대하고 648년 나당동맹을 체결했으나, 649년 고구려 원정 실패의 후유증으로 사망한다. 서동수는 이치 역을 맡아 당나라 제3대 황제를 연기했다. 당 고종은 당 태종의 나당동맹을 계승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지만, 나당전쟁의 실패로 신라의 삼한일통을 인정한다.정흥채는 당나라의 명장 소정방 역을 맡았다. 소정방은 660년 13만 대군을 이끌고 백제를 멸망시키고, 이후 고구려 원정에도 참여한다. 한태일은 당나라의 명장 이세적 역을 맡았다. 이세적은 당 태종을 보필하여 당나라 창업에 기여하고 668년 고구려 멸망 시 나당연합군의 영수로 참전하였다.
성민수는 당나라의 명장 설인귀 역을 맡았다. 설인귀는 당 태종과 당 고종 시대에 걸쳐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활약하고, 고구려 멸망 후 안동도호부에 주둔하며 나당전쟁에 참전한다. 방형주는 당나라 장군 동보량 역을 맡아 660년 소정방의 백제 공격에 참여하였다. 선동혁은 당나라 장군 유인원 역을 맡아 소정방의 백제 공격에 종군하고 웅진도독부에 주둔하며 백제 부흥군과 전투를 벌인다.
황천우는 당나라 장군 왕문도 역을 맡았는데, 당 고종에 의해 웅진도독으로 임명되었으나 김유신에 의해 살해당한다. 김영선은 당나라 장군 유인궤 역을 맡아 웅진도독부에 주둔하며 백제 부흥군과의 전투에 종군한다. 최낙희는 당나라 장군 손인사 역을 맡아 나당전쟁에서 활약한다.
2. 5. 왜
김민경은 사이메이 천황 역을 맡았다. 사이메이 천황은 왜의 제35대, 제37대 국왕으로, 조메이 천황의 아내이자 국후로 텐지 천황과 덴무 천황을 낳았다. 재위 초기 소가노 가문의 위세에 눌려 실권이 없었으나, 645년 장남인 나카노오오에가 주도한 다이카 개신으로 왕권을 되찾는다. 이후 고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다가 그의 사망 후 복위하였다. 김춘추에게 호감을 갖는 인물이었다.안홍진은 덴지 천황 역을 맡았다. 덴지 천황은 왜 제38대 국왕으로 이름은 나카노오오에이다. 고교쿠 천황의 장남으로 645년 조정의 실세인 소가노 가문을 멸족시키고 다이카 개신을 주도하였다.
정진각은 소가노 이루카 역을 맡았다. 소가노 이루카는 왜 아스카 왕조의 권신으로, 다이카 개신 때 나카노오오에에 의해 제거된다.
노승진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역을 맡았다.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는 후지와라 가문의 시조이자, 텐지 천황의 측근이었다. 다이카 개신 후 왜 조정의 중신으로 활약한다.
김진국은 고토쿠 천황 역을 맡았다. 고토쿠 천황은 왜의 제36대 국왕으로, 고교쿠 천황의 남동생이며 다이카 개신으로 인해 누나의 선위로 즉위하였다.
3. 주요 사건
3. 1. 신라 내부의 갈등
3. 2. 삼국 간의 전쟁
3. 3. 나당전쟁
4. 삼국통일의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SNSD Jessica to Sing OST for ''The King's Dream''
https://web.archive.[...]
2014-07-26
[2]
웹사이트
Jessica sings for KBS drama
http://koreajoongang[...]
2014-07-26
[3]
웹사이트
SNSD Jessica's ''Heart's Way'' MV for ''The King's Dream'' Released
https://web.archive.[...]
2014-07-26
[4]
웹사이트
The Cast of ''The King's Dream'' Don Their Shiny Traditional Outfits for the Cameras
https://web.archive.[...]
2014-07-26
[5]
웹사이트
Actor Choi Su-jong suffers light injury in car accident
https://www.koreatim[...]
2014-07-26
[6]
웹사이트
Injury-Prone Choi Soo-jong Falls off Steed Again
http://english.chosu[...]
2014-07-26
[7]
웹사이트
Choi Soo-jong injured on drama set
http://koreajoongang[...]
2014-07-26
[8]
웹사이트
Choi Soo-jong hurt on KBS set again
http://koreajoongang[...]
2014-07-26
[9]
웹사이트
Park Joo-mi involved in car crash
http://koreajoongang[...]
2014-07-26
[10]
웹사이트
Choi Soo-jong, Park Joo-mi Injured While Shooting Drama
http://english.chosu[...]
2014-07-26
[11]
웹사이트
Park Joo-mi's injury delays drama
http://koreajoongang[...]
2014-07-26
[12]
웹사이트
Park Joo-mi Jettisons Starring Role After Accident
http://english.chosu[...]
2014-07-26
[13]
웹사이트
Hong Eun-hee to Step In as Female Lead of KBS Drama
http://english.chosu[...]
2014-07-26
[14]
웹사이트
Park Joo-mi replaced by Hong Eun-hee
http://koreajoongang[...]
2014-07-26
[15]
웹사이트
The Grace's LINA to mark small screen debut with grace
https://web.archive.[...]
2014-07-26
[16]
웹사이트
Hong Soo-ah apologizes for Western wedding dress
http://koreajoongang[...]
2014-07-26
[17]
웹사이트
‘광개토태왕’ 후속 대하드라마 제목변경 ‘태종무열왕’→‘대왕의 꿈’
http://www.newsen.co[...]
[18]
웹사이트
パク・チュミの代役にホン・ウニ=『大王の夢~王たち戦争』
https://ekr.chosunon[...]
2024-12-15
[19]
웹인용
‘광개토태왕’ 후속 대하드라마 제목변경 ‘태종 무열왕’→‘대왕의 꿈’
http://www.newsen.co[...]
뉴스엔
[20]
뉴스
KBS "'태종무열왕'→'대왕의꿈' 제목 변경"
http://entertain.nav[...]
TV리포트
2017-11-04
[21]
뉴스
최재성 사극 하차 "'대왕의 꿈' 김유신 역 연습 중 심한 무릎부상"
http://entertain.nav[...]
부산일보
2017-11-04
[22]
뉴스
[텔레비안 나이트] ‘대왕의 꿈’ ‘태종무열왕’ 누가 짝퉁?
http://entertain.nav[...]
TV리포트
2017-11-04
[23]
웹사이트
박주미 교통사고...'대왕의 꿈' 촬영장 향하다 25t 덤프트럭과 그만…
http://www.etoday.co[...]
[24]
웹사이트
홍은희, '대왕의 꿈' 승선 확정…박주미 후임
http://joynews.inews[...]
[25]
문서
선덕여왕과 천명공주에 대한 기록의 엇갈림
[26]
문서
진평왕과의 이부남매 관계
[27]
웹인용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https://web.archive.[...]
[28]
웹인용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http://www.agbnielse[...]
2012-09-23
[29]
뉴스
'대왕의 꿈', 70부로 조기종영…6월9일 마지막 방송
https://news.naver.c[...]
조이뉴스24
[30]
뉴스
최재성 무릎부상으로 KBS '대왕의 꿈' 하차
https://entertain.v.[...]
뉴스엔
[31]
뉴스
배우 김유석, 김유신 역으로 '대왕의 꿈' 최종 합류
https://entertain.v.[...]
스포츠서울
[32]
뉴스
최재성 "말냄새 맡으니 현장느낌"…대왕의꿈 계백
https://news.naver.c[...]
뉴시스
[33]
뉴스
홍은희, '대왕의 꿈' 승선 확정…박주미 후임
http://joynews.inews[...]
조이뉴스
[34]
뉴스
'대왕의 꿈' 최수종 하차는 막았지만 1월 첫 주 결국 결방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7-07-14
[35]
뉴스
'부상' 최수종, '대왕의꿈' 목소리 복귀.."3주예상"
http://star.mt.co.kr[...]
스타뉴스
[36]
뉴스
‘대왕의 꿈’ 낙마사고 최수종 복귀 어땠나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3-02-04
[37]
뉴스
'대왕의 꿈', 갓길 교통사고로 스태프 6명 중경상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3-03-22
[38]
뉴스
드라마 촬영하다가 부상 무술 연기자 첫 산재 인정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3-04-09
[39]
뉴스
최철호 '대왕의 꿈' 하차, 후임은 이진우
http://sports.khan.c[...]
경향신문
2012-10-19
[40]
뉴스
공정환, 득녀에 '대왕의 꿈' 출연까지…'겹경사'
http://xportsnews.ha[...]
엑스포츠뉴스
2013-04-08
[41]
뉴스
최주봉 아들 배우 최규환, 성폭행 배우? X자 제스처 사진 걸고 진땀 해명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3-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