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자키 고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자키 고요는 메이지 시대의 일본 소설가로, 1868년 에도에서 태어나 1903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1885년 문학 결사 겐유샤를 결성하고 회람 잡지 가락다 문고를 창간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요미우리 신문에 입사하여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고다 로한과 함께 홍로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다정다한', '금색야차' 등이 있으며, 특히 '금색야차'는 큰 인기를 얻어 연극과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 동문 - 최린
최린은 3·1 운동의 주요 기획자였으나, 이후 친일 행보를 보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는 등 극렬한 친일 활동을 펼쳤고, 광복 후 체포되었다가 석방, 한국 전쟁 중 월북하여 북한에서 사망, 남북 모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받으며 친일파 명단에 등재된 인물이다. -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 동문 - 아베 노부유키
아베 노부유키는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이자 정치인으로, 제39대 내각총리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과 일본의 중립 유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조선총독을 지내며 전쟁 말기 조선에서의 압제적 통치를 담당했다. - 1903년 사망 -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는 센트럴 파크 등을 설계한 미국의 조경 건축가이며, 저널리스트, 사회 운동가로 활동하며 미국 조경 건축의 아버지로 불린다. - 1903년 사망 - 제1대 준남작 조지 스토크스 경
조지 스토크스 경은 아일랜드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유체 역학, 광학, 수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루카시안 수학 교수직을 54년간 역임하고 스토크스 법칙, 스토크스 정리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무사시국 사람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무사시국 사람 - 메가타 다네타로
메가타 다네타로는 일본 제국의 관료이자 법률가, 교육자로, 귀족원 의원과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일본 법률 및 재정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대한제국 재정 고문으로 화폐정리사업을 실시하여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도 공헌했으며 국제연맹 총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
오자키 고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자키 도쿠타로 |
필명 | 엔잔, 도치만도 |
출생일 | 1868년 1월 10일 |
출생지 | 에도, 일본 |
사망일 | 1903년 10월 30일 |
사망지 | 도쿄, 일본 |
직업 | 작가 |
작품 활동 | |
장르 | 소설, 시 |
활동 기간 | 1889년 - 1903년 |
주요 작품 | 눈물과 후회 (1896년) 금색 야차 (1897년) 두 비구니의 색 참회 (1889년) 가라 베개 (1890년) 두 아내 (1892년) 세 아내 (1892년) 다정다한 (1896년) |
학력 | |
모교 | 제국대학 국문과 중퇴 |
문학 사조 | |
사조 | 의고전주의, 겐유샤 |
기타 정보 | |
묘소 | 아오야마 영원 |
일본어 표기 | |
일본어 이름 | 尾崎 紅葉 (おざき こうよう) |
로마자 표기 | Ozaki Kōyō |
일본어 본명 | 尾崎 徳太郎 |
로마자 본명 | Ozaki Tokutarō |
기타 필명 | 縁山 (Enzan) 十千万堂 (Tochimandō) |
영향 관계 | |
영향을 준 인물 | 야마다 비묘 |
동료 | 이시바시 시안 |
소속 단체 | 겐유샤 |
작품 관련 | 가라쿠타 분코 |
2. 생애
오자키 고요는 메이지 시대에 활동한 일본의 소설가이자 수필가, 하이쿠 작가이다. 1868년 1월 10일(게이오 3년 12월 16일) 에도(현재의 도쿄)에서 네쓰케 조각가였던 오자키 고쿠사이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본명은 오자키 도쿠타로(尾崎 徳太郎)이다.
어린 시절 조조지(増上寺)의 고요산(高尾山)에서 영향을 받아 '고요(紅葉)'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1885년 겐유샤(硯友社)를 결성하여 문학 활동을 시작했고, 요미우리 신문에 입사하여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고다 로한과 함께 '홍로시대'를 이끌며 메이지 시대 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대표작으로는 겐지모노가타리의 영향을 받은 심리 묘사가 돋보이는 『다정다한』(多情多恨, 1896)과, 청일 전쟁 이후의 사회상을 반영한 『금색야차』(金色夜叉, 1897) 등이 있다. 특히 『금색야차』는 큰 인기를 얻어 연극과 영화로도 제작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13년 조중환에 의해 《장한몽》으로 번안되기도 했다.
1903년 10월 30일, 지병이었던 위암이 악화되어 35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0] 그의 묘는 아오야마 묘지에 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868년 1월 10일(게이오 3년 12월 16일) 에도(현재의 도쿄도) 시바에서 네쓰케 조각가 오자키 고쿠사이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네 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시바신메이초(芝新明町)에 있는 조부모 슬하에서 자랐다. 어린 시절 조조지(増上寺)의 고요산(高尾山)에서 영향을 받아 '고요(紅葉)'라는 필명을 사용했다.1883년(메이지 16년) 도쿄대학 예비문에 입학하기 전부터 류쿠산(龍谷山)이라는 호를 쓰며 시작에 몰두했고, 입학 후 문우회, 돗토쿠회에 참가하여 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바이센 초등학교(白山小学校)를 거쳐 도쿄부 제2중학교(東京府第二中学校)에 진학했으나 2년 만에 중퇴했다. 이후 미타 영어학교(三田英語学校)를 거쳐 도쿄제국대학(東京帝国大学)에 진학했다.[2]
1885년(메이지 18년) 야마다 비묘, 이시바시 시안, 마루오카 규카 등과 겐유샤(硯友社)를 결성하고, 회람 잡지 『가락다 문고』를 발간했다.[2] 야마다 비묘, 가와카미 비잔 등의 작품도 이 잡지에 실렸다.
2. 2. 문단 활동과 겐유샤
1885년(메이지 18년) 5월 2일, 오자키 고요는 야마다 비묘, 이시바시 시안, 마루오카 쿠카 등과 함께 문예 결사 겐유샤(硯友社)를 결성하고 회람 잡지 『가락다 문고』를 발간했다.[2] 『가락다 문고』는 1885년 5월 2일부터 1886년 5월 25일까지 "에지마 기념품 우스꽝스러운 조개 병풍"을 연재했다. 처음에는 손으로 쓴 잡지였지만, 호평 때문에 1886년 11월 1일 활판 인쇄화되었다. 1888년(메이지 21년) 5월 25일, 『가락다 문고』를 판매하게 되어, 거기에 "풍류 교인형"을 연재하여 주목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 해, 비묘는 새로 나올 잡지 『도의 꽃』의 주필로 맞이하게 되어, 고요와 인연을 끊게 되었다.1889년(메이지 22년), 「가락다 문고」를 간행하고 있던 요시오카 서점이, 새로 소설의 신작 묶음책을 냈다. 「신저 백종」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그 시리즈의 제1권으로 고요의 『이인비구니색참회』가 간행되었다. 전국시대를 소재로 하여, 전쟁에서 죽은 젊은 무사를 위로하는 두 여성의 만남이라는 스토리와, 대화를 구어체로 하면서, 지문은 유려한 문어체라는 아속절충(雅俗折衷)의 문체가 당시 새로운 문학의 모습으로 호평을 받았고, 고요는 일약 유행 작가로 세상에 받아들여졌다.
겐유샤는 1885년에 결성되어 메이지 시대 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겐유샤의 주요 작가로는 야마다 비묘와 가와카미 비잔 등이 있다.[2]
2. 3. 요미우리 신문 입사와 전성기
1889년(메이지 22년) 말, 대학 재학 중에 요미우리 신문사에 입사하여, 이후 오자키 고요의 작품은 주로 『요미우리 신문』에 발표되었다. 1890년 7월 5일부터 9월 23일까지 「가라마쿠라」, 1892년 3월 6일부터 5월 11일까지는 「삼인처」 전편, 7월 5일부터 11월 4일까지는 후편을 연재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외에도 「이다」에서 언문일치를 시도한 「이인처」 등을 발표했다. 고다 로한과 함께 메이지 시대 문단의 중심 인물이 되었고, 이 시기는 홍로시대라고 불렸다.[10]1895년(메이지 28년), 겐지모노가타리를 읽고 영향을 받아 심리 묘사를 중심으로 한 『다정다한』 등을 썼다. 1897년(메이지 30년)부터는 요미우리 신문에 「금색야차」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간이치와 오미야를 둘러싼 돈과 사랑 이야기는 청일 전쟁 이후의 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이후 단속적으로 연재되었으나, 건강이 좋지 않아 1899년(메이지 32년)부터 건강을 해쳤다. 시오바라나 슈젠지에서 요양을 했고, 1903년(메이지 36년)에 『금색야차』의 속편을 연재(『속속 금색야차』로 간행)했지만, 3월에 위암 진단을 받고 중단했다.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약초 백굴채(쿠사노오/풀의 황)를 복용하는 등 적극적으로 치료했지만, 10월 30일 자택에서 3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
2. 4. 《금색야차》와 만년
1897년부터 요미우리신문에 연재된 《금색야차》는 관이치와 오미야를 둘러싼 돈과 사랑의 이야기로, 청일 전쟁 이후의 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4] 이 작품은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어 연극과 영화로도 제작되었다.[7][8] 한국에서는 1913년 조중환에 의해 《장한몽》으로 번안되기도 했다.《금색야차》는 장기간 연재되었으나, 원래 병약했던 오자키 고요는 1899년부터 건강이 악화되었다. 시오바라나 슈젠지에서 요양을 하기도 했지만, 1903년에 《금색야차》의 속편(《속속 금색야차》)을 연재하던 중 위암 진단을 받고 중단했다. 유독 성분도 포함되어 있지만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약초인 백굴채(쿠사노오/풀의 황)를 복용하는 등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했지만, 10월 30일 자택에서 3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 그의 묘는 아오야마 묘지에 있으며, 묘비의 글씨는 겐유샤 동인이자 친구였던 이와야 고하의 아버지이자 메이지의 삼필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이와야 이치로쿠가 썼다.
1980년 3월, 도쿄도 신주쿠에 있는 오자키 고요의 옛 거처는 신주쿠구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4] 《금색야차》의 무대 중 하나인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서는 매년 1월 17일에 "오자키 고요 축제"를 열고 있으며, 2019년에는 기념비가 건립되었다.[15]
2. 5. 한국 문학과의 관계
곤지키야샤(金色夜叉, 1897~1902)는 오자키 고요의 장편소설이다. 작가의 죽음으로 미완성으로 끝났지만, 메이지 시대 소설 중 가장 많은 독자를 얻었으며 연극과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1913년 한국의 소설가 조중환에 의해 <장한몽>으로 번안되기도 했다.[1]3. 작품 세계
오자키 고요는 영어 실력이 뛰어나 영미 대중소설을 많이 읽고, 이를 각색하여 자신의 작품에 활용했다. 특히 만년의 작품 『금색 야차』는 버사 크레이의 『여자보다 약한 것』을 원작으로 삼았다는 지적이 있다.[11]
3. 1. 의고전주의와 아속절충체
오자키 고요의 작품은 화려한 문장으로 세상의 주목을 받았으며, 구화주의에 비판적인 흐름 속에서 이하라 사이카쿠를 연상시키는 풍속 묘사의 뛰어난 솜씨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기타무라 토우야처럼 「가라 맥쿠라」에 나타나는 낡은 여성관을 비판하는 비평가도 있었다. 구니키다 도푸는 그의 전반기 작품을 "양장한 겐로쿠 문학"이었다고 평했다. 야마다 비묘의 언문일치체가 "입니다·습니다"체인 것에 대항하여 "이다"체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그의 작품에서는 주류가 되지는 못했다. 다만, 후년의 걸작 『다정다한』에서는 언문일치체를 이용한 내면 묘사가 성공적이다.오자키 고요는 영어 실력이 뛰어났는데, 우치다 로안의 마루젠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판매하기 시작했을 때 가장 먼저 팔린 3권 중 하나를 오자키 고요가 구입했다고 한다(브리태니커가 품절되어 센추리 대사전을 구입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죽음이 임박했던 오자키 고요에게는 입고를 기다리는 시간이 아까웠던 듯, 센추리의 구입은 지폐로 즉결했고, 우치다 로안은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충분히 알면서도 그다지 풍족하지 못한 재물에서 고가의 사전을 사는 것을 조금도 아끼지 않았던 오자키 고요의 마지막 일화는, 죽는 순간까지 지식에 대한 욕구를 결코 잊지 않았던 그의 기량이 컸음을 증명할 수 있다. (중략) 저술가로서의 귀한 마음가짐을 마지막 숨을 거둘 때까지 잊지 않았던 오자키 고요의 일화로서 후세에 전할 만하다."라고 평했다)[11]. 그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영미의 대중소설을 대량으로 읽고, 그것을 각색하여 자신의 작품의 골격으로 삼은 작품도 많다. 만년의 작품 『금색 야차』의 원고로 버사 크레이의 『여자보다 약한 것』이 호리 케이코에 의해 지적되었다.
3. 2. 심리 묘사와 언문일치체
오자키 고요의 작품은 화려한 문장으로 세상의 주목을 받았으며, 구화주의에 비판적인 흐름 속에서 이하라 사이카쿠를 연상시키는 풍속 묘사의 뛰어난 솜씨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기타무라 토우야처럼 「가라 맥쿠라」에 나타나는 낡은 여성관을 비판하는 비평가도 있었다. 구니키다 도푸는 그의 전반기 작품을 "양장한 겐로쿠 문학"이었다고 평했다. 야마다 비묘의 언문일치체가 "입니다·습니다"체인 것에 대항하여 "이다"체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그의 작품에서는 주류가 되지는 못했다. 다만, 후년의 걸작 『다정다한』에서는 언문일치체를 이용한 내면 묘사가 성공적이었다.[11]3. 3. 여성관 비판과 한계
오자키 고요의 작품은 화려한 문장으로 세상의 주목을 받았으며, 구화주의에 비판적인 흐름 속에서 이하라 사이카쿠를 연상시키는 풍속 묘사의 뛰어난 솜씨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기타무라 도코쿠처럼 「가라 마쿠라」에 나타나는 낡은 여성관을 비판하는 비평가도 있었다. 구니키다 돗포는 그의 전반기 작품을 "양장한 겐로쿠 문학"이었다고 평했다.[11]4. 주요 작품
5. 문하생
오자키 고요는 20대에 많은 제자를 거느렸다. 특히 이즈미 쿄카, 도쿠다 슈세이, 오구리 후우요, 야나가와 슌요 네 사람은 모미지 문하(홍엽 문하) 사천왕이라 불렸다. 그 외 문하생으로는 아카기 하산, 아라이 우센, 이신 시요, 이쿠타 키산, 이시쿠라 수이요, 이즈미 샤테이, 이소 히스이, 이노우에 아아, 이와세 우작, 오사와 텐센, 오오타 난가쿠, 카와이 코우, 카와시마 키요, 키타지마 슌세키, 키타다 하쿠히요, 쿠로다 코잔, 시노야마 긴요, 시노다 코쵸, 시노하라 레이요, 시바타 류세이, 스즈키 코케카, 세누마 카요, 타카노 류스이, 타케다 오우토우, 타케누키 카스이, 타나카 세이후, 타나카 료요, 타니 카츠토우, 타무라 세이오, 타야마 카후우, 츠츠이 토시미네, 나카야마 하쿠호, 니타 시즈완, 니시무라 조잔, 하라구치 슌코우, 후지이 시메이, 호소카와 후우코쿠, 마츠다 치쿠쇼, 미시마 소우센, 미즈노 요슈, 무라야마 쵸케이, 야스바 류쿠, 야마기시 카요, 야마자토 수이요, 야마다 쿄쿠난, 야마무라 수카쿠, 라소산진, 아키모토 세이테이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zaki Kōyō: Japanese autho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0-09-03
[2]
웹사이트
Ozaki Koyo: An Author Gone Too Soon {{!}} YABAI - The Modern, Vibrant Face of Japan
http://yabai.com/p/4[...]
2021-04-07
[3]
웹사이트
多情多恨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0-09-03
[4]
웹사이트
金色夜叉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0-09-03
[5]
웹사이트
Ozaki Kōyō {{!}} Japanese author
https://www.britanni[...]
2021-03-05
[6]
서적
The modern Murasaki : writing by women of Meiji Japan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7]
웹사이트
金色夜叉 (Konjiki Yasha)
http://www.kinenote.[...]
2021-11-11
[8]
웹사이트
金色夜叉(1937) (Konjiki Yasha 1937)
http://www.kinenote.[...]
2021-11-11
[9]
웹사이트
尾崎 紅葉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10-30
[10]
서적
作家の臨終・墓碑事典
東京堂出版
1997
[11]
서적
書店の近代
[12]
웹사이트
秋元洒汀とは
https://kotobank.jp/[...]
2022-09-09
[13]
서적
尾崎紅葉事典
翰林書房
2020-10-28
[14]
웹사이트
https://www.regasu-s[...]
[15]
뉴스
「尾崎紅葉の碑が完成 熱海・観光関係者ら祝う」
https://web.archive.[...]
静岡新聞
2019-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