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1센트 주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1센트 주화는 1793년부터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금속 구성과 디자인 변화를 거쳤다. 초기에는 구리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니켈, 청동, 강철, 황동 등 다양한 합금이 사용되었다. 1982년부터는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주화가 발행되고 있다. 1센트 주화는 링컨 센트로 알려져 있으며, 링컨 대통령의 초상이 새겨져 있다. 1센트 주화의 폐지 논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제조 비용이 액면 가치를 초과하고, 아연의 독성 문제 등이 그 이유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달러 주화 - 미국 쿼터 주화
    미국 쿼터 주화는 25센트 액면의 주화로, "피스 오브 에이트" 또는 "투 비트"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디자인의 기념 주화 시리즈로 발행된다.
  • 미국 달러 주화 - 미국 하프 달러 주화
    미국 하프 달러 주화는 1794년부터 발행된 50센트 주화로, 은화로 시작하여 다양한 디자인 변화와 합금 비율 및 유통량 변화를 겪었으며, 역사적 사건들과의 연관 속에서 수집용 주화로 발행되다 일반 유통용 생산이 재개되었다.
  • 에이브러햄 링컨 - 게티즈버그 연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게티즈버그 국립묘지 헌정식에서 남북전쟁의 의미를 되짚고 국가의 미래를 다짐하며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라는 명구절을 남긴 짧지만 강렬한 연설이 게티즈버그 연설이다.
  • 에이브러햄 링컨 - 미국 5달러 지폐
    미국 5달러 지폐는 에이브러햄 링컨 초상화와 링컨 기념관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 달러의 일종으로, 보안 기능과 시각장애인 접근성을 갖추고 있으며, 2008년부터 현재 디자인으로 유통되고 있다.
미국 1센트 주화
기본 정보
명칭센트
통칭페니
액면 가치0.01 미국 달러
디자인
앞면 도안에이브러햄 링컨
앞면 디자이너빅터 데이비드 브레너
앞면 디자인 날짜1909년 (이후 수정됨)
뒷면 도안유니언 실드
뒷면 디자이너린달 바스
뒷면 디자인 날짜2010년–현재
물리적 특징
질량(1982년–현재) 2.5g
직경19.05mm
두께1.52mm
가장자리평면
구성
재료 (1982년–현재)구리 도금 아연 (97.5% Zn, 2.5% Cu)
역사적 정보
주조 연도1793년–1814년, 1816년–현재

2. 금속 구성의 변혁

미국 1센트 주화의 금속 구성은 발행 초기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4][5] 이는 주로 원자재인 구리 가격의 변동과 전쟁과 같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았다.

초기 1센트 주화는 1793년부터 1857년까지 순수한 구리로 만들어졌으나, 이후 구리와 니켈 합금 시기를 거쳐 1864년부터는 청동(구리 95%, 주석 및 아연 5%)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구성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잠시 중단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구리 수요 급증으로 1943년에는 아연으로 도금된 강철 센트(1943년 강철 페니)가 발행되었다. 이 시기에는 1942년용 구리 소전(주화 제조용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희귀한 1943년 구리 센트나, 반대로 1944년에 만들어진 강철 센트도 존재한다. 또한 1944년부터 1946년까지는 회수된 탄약황동 포탄을 재활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주화 표면에 특이한 흔적이 남기도 했다.

전후에는 다시 청동 또는 황동(구리 95%, 아연 5%)으로 돌아왔으나, 1970년대 초 구리 가격이 급등하면서 1센트 주화의 금속 가치가 액면가에 육박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미국 조폐국알루미늄 등 대체 금속을 시험했으나, 기술적 문제와 안전성 우려로 1974년 알루미늄 센트의 발행은 무산되었다.[57]

결국 1982년, 구리 가격이 다시 상승하여 액면가를 넘어서자[58][7], 센트 주화의 성분은 현재와 같이 아연을 중심부에 사용하고 표면을 구리로 얇게 도금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55][56] 1982년에는 과도기적으로 95% 구리 센트와 새로운 구리 도금 아연 센트가 함께 발행되기도 했다.[55] 이러한 성분 변화로 인해 1982년 이전 센트와 이후 센트는 무게나 소리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59][8]

2. 1. 구리에서 아연으로

1970년대 초, 구리 가격이 상승하여 1센트 주화에 포함된 구리 함량이 액면가인 1센트에 육박하게 되었다.[7] 이에 미국 조폐국알루미늄, 청동 도금 강철 등 대체 금속 사용을 검토했다. 알루미늄이 유력한 후보로 선정되어, 1974년 알루미늄 센트 시제품이 150만 개 이상 제조되었으나[57], 두 가지 이유로 발행이 거부되었다. 첫째, 자동판매기 운영자들은 알루미늄 주화가 기계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고, 둘째, 소아과 의사와 방사선 전문의들은 알루미늄이 X선 사진에서 잘 식별되지 않아 어린이가 삼켰을 때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57] 이 알루미늄 센트는 현재 불법으로 간주되어 미국 비밀 정보기관의 압수 대상이나, 일부는 수집가들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한 개는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기증되었다.[57]

1974년에 제조된 알루미늄 센트 주화.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소장.


1982년, 구리 가격이 다시 상승하여 센트 주화의 금속 가치가 액면가를 넘어서면서[58][7], 주화 성분이 다시 변경되었다. 1982년에 주조된 센트 중 일부는 기존의 95% 구리-5% 아연 합금으로 만들어졌으나, 나머지는 97.5% 아연을 중심부에 두고 2.5% 구리로 도금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특히 1982년 10월 이후[5]).[55][56] 2009년 기념 센트를 제외하고 1982년 이후 주조된 미국 센트는 모두 이 구리 도금 아연 방식으로 만들어진다.[7] 이후 구리 가격은 다시 안정되어 주화 제조의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구리 함량이 높은 센트(1982년 이전)와 아연 중심 센트(1982년 이후)는 몇 가지 물리적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단단한 표면에 떨어뜨리거나 손가락으로 튕겨보면, 구리 센트는 12kHz의 높은 '쨍' 소리를 내는 반면, 아연 센트는 낮은 '텅' 소리를 내거나 거의 울리지 않는다.[59][8] 또한 무게에도 차이가 있어, 1982년 이전 센트 50개 롤의 무게는 약 약 153.09g인 반면, 1982년 이후 센트 50개 롤은 약 약 124.74g이다.[8]

미국 1센트 주화의 성분과 무게는 역사적으로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4][5]

발행 연도재료무게 (grain)무게 (그램)
1793년 ~ 1795년~100% 구리20813.48g
1795년 ~ 1857년~100% 구리16810.89g
1857년 ~ 1864년88% 구리, 12% 니켈 (NS-12)724.67g
1864년 ~ 1942년청동 (95% 구리, 5% 주석아연)483.11g
1943년아연 도금 강철 (1943년 강철 센트)422.72g
1944년 ~ 1946년황동 (95% 구리, 5% 아연)483.11g
1947년 ~ 1962년청동 (95% 구리, 5% 주석 및 아연)483.11g
1962년 ~ 1982년 9월황동 (95% 구리, 5% 아연)483.11g
1982년 10월 ~ 현재구리 도금 아연 (전체: 97.5% 아연, 2.5% 구리[55] / 중심부: 99.2% 아연, 0.8% 구리, 도금: 순수 구리[56])38.62.5g


2. 2. 금속 구성 변화표

미국 1센트 주화의 구성은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4][5]

연도재료무게 (그램)
1793–1795구리 100%13.48
1795–1857구리 100%10.89
1856–1864구리 88%, 니켈 12% (NS-12라고도 함)4.67
1864–1942청동 (구리 95%, 주석아연 5%)3.11
1943아연 도금 강철 (1943년 강철 센트라고도 함)2.72
1944–1946황동 (구리 95%, 아연 5%)3.11
1947–1962청동 (구리 95%, 주석아연 5%)3.11
1962–1982황동 (구리 95%, 아연 5%)3.11
1982–현재구리 도금 아연 (아연 97.5%, 구리 2.5%)
(1982년에는 95% 구리 센트와 97.5% 아연 센트 두 종류가 발행됨[55])[56]
2.5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3년에는 전쟁 물자로 구리가 많이 필요했기 때문에, 아연으로 도금된 강철 센트가 잠시 발행되었다. 이때 창고에 남아 있던 1942년용 소전(주화 제조용 금속판)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소수의 구리 센트도 존재한다. 반대로 1944년에 만들어진 강철 센트도 확인된 바 있다. 1944년부터 1946년까지는 미군이 회수한 탄약의 탄피를 재활용하여 주화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 시기 주화에서는 황동 줄무늬나 다른 해보다 검게 보이는 경우가 흔했다.

1970년대 초, 구리 가격이 상승하여 1센트 주화에 들어가는 구리의 가치가 액면가인 1센트에 육박하게 되었다. 이에 미국 조폐국알루미늄이나 청동 도금 강철 등 대체 금속을 시험했다. 알루미늄이 유력한 후보로 선정되어 1974년 알루미늄 센트 시제품이 150만 개 이상 만들어졌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실제 발행되지는 못했다. 자판기 업체들은 알루미늄 주화가 기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고, 소아과 의사들은 아이가 삼켰을 경우 X선 촬영으로 찾아내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57] 이 알루미늄 센트는 현재 불법으로 간주되어 미국 비밀 정보기관의 압수 대상이지만, 일부는 수집가들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는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1982년, 구리 가격이 다시 상승하여 센트 주화의 금속 가치가 액면가를 넘어서기 시작하자 주화의 성분이 다시 변경되었다.[58][7] 1982년에 발행된 센트 중 일부는 기존처럼 구리 95%로 만들어졌지만, 다른 일부는 아연 97.5%에 구리를 2.5% 도금한 새로운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발행되는 센트는 대부분 이 새로운 구리 도금 아연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오래된 청동구리 센트와 새로운 아연 센트는 소리로 구분할 수 있다. 단단한 표면에 떨어뜨리거나 손가락으로 튕겨보면, 구리 함량이 높은 센트는 맑고 높은 소리(약 12 kHz)가 나는 반면, 아연 센트는 둔탁한 소리가 나거나 거의 울리지 않는다.[59][8] 또한 무게에도 차이가 있어, 1982년 이전에 주로 만들어진 구리 센트 50개가 든 롤은 약 약 153.09g 인 반면, 1982년 이후의 아연 센트 50개 롤은 약 약 124.74g 이다.

2. 3. 예외적인 주화

미국 1센트 주화의 성분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4][5] 특히 몇몇 시기에는 예외적인 재료로 주화가 만들어지거나 시험 제작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구리가 군수물자로 중요해지면서, 1943년에는 일시적으로 아연으로 도금된 강철 센트(1943년 강철 페니)가 발행되었다.[57] 하지만 이때에도 조폐국 창고에 남아있던 1942년용 구리 소전(주화를 만드는 금속판)을 사용하여 극소수의 구리 센트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반대로 1944년에 만들어진 강철 센트도 확인된 바 있다. 1944년부터 1946년까지는 전쟁 중 회수된 탄약황동 포탄을 녹여 주화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 시기 센트 중에는 황동 줄무늬가 보이거나 표면이 다른 해의 주화보다 어둡게 보이는 경우가 흔했다.

1970년대 초, 다시 구리 가격이 상승하여 1센트 주화에 포함된 구리 가치가 액면가인 1센트에 육박하게 되었다. 이에 미국 조폐국은 알루미늄이나 청동을 입힌 강철 등 대체 금속을 시험했다. 이 중 알루미늄이 선택되어 1974년 알루미늄 센트가 150만 개 이상 시험 제작되었으나[57], 결국 발행되지는 못했다. 알루미늄 센트가 거부된 주된 이유는 두 가지였다. 첫째, 자동판매기 업체들이 알루미늄 주화가 기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둘째, 소아과 의사들과 방사선과 의사들은 알루미늄이 X선 사진에서 신체 내부 조직과 잘 구분되지 않아, 아이들이 삼켰을 경우 찾아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목했다.[57] 비록 이 알루미늄 센트들은 현재 불법으로 간주되어 미국 비밀 정보기관의 압수 대상이지만, 일부는 수집가들의 손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중 하나는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기증되어 전시 중이다.

1982년에는 또다시 구리 가격 상승으로 센트 주화의 성분이 변경되었다.[58][7] 이 해에는 기존의 95% 구리 합금 센트와 함께, 구리를 2.5%만 사용하고 나머지 97.5%는 아연으로 채운 새로운 센트가 함께 주조되었다. 1982년 10월 이후 발행된 센트(수집가용으로 특별 제작된 2009년 기념 센트 제외)는 대부분 구리를 도금한 아연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주화의 성분 차이는 소리나 무게로 구별할 수 있다. 단단한 표면에 떨어뜨리거나 손가락으로 튕겨보면, 구리 함량이 높은 센트는 맑고 높은 소리(약 12 kHz)가 나는 반면, 아연 센트는 둔탁한 소리가 나거나 거의 울리지 않는다.[59][8] 또한, 1982년 이전의 구리 센트 50개 묶음(1롤)의 무게는 약 약 153.09g이지만, 1982년 이후의 아연 센트 50개 묶음은 약 약 124.74g으로 더 가볍다.

다음은 미국 1센트 주화의 성분 및 무게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4][5]

연도재료무게
(grain)
무게
(그램)
1793–1795~100% 구리208 grain13.48
1795–1857~100% 구리168 grain10.89
1856–186488% 구리, 12% 니켈 (NS-12)72 grain4.67
1864–1942청동 (95% 구리, 5% 주석 및 아연)48 grain3.11
1943아연 도금 강철 (1943년 강철 페니)42 grain2.72
1944–1946황동 (95% 구리, 5% 아연)48 grain3.11
1947–1962청동 (95% 구리, 5% 주석 및 아연)48 grain3.11
1962 – 1982년 9월황동 (95% 구리, 5% 아연)48 grain3.11
1982년 10월 – 현재구리 도금 아연 (97.5% 아연, 2.5% 구리)[56]38.6 grain2.5


3. 디자인

미국 1센트 주화는 2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화해왔다. 초기에 발행된 1센트 주화는 지금보다 크기가 훨씬 커서, 1857년까지는 현재 통용되는 하프 달러 주화와 비슷한 크기였다.

주화 디자인은 크게 1857년 이전의 큰 센트 시대와 그 이후의 작은 센트 시대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시대별로 여러 종류의 도안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큰 센트 시대에는 플로잉 헤어(Flowing Hair), 리버티 캡(Liberty Cap), 클래식 헤드(Classic Head) 등의 디자인이 있었고, 작은 센트 시대에는 플라잉 이글(Flying Eagle), 인디언 헤드(Indian Head) 디자인을 거쳐 현재의 링컨 센트로 이어졌다.

1909년에 처음 등장한 링컨 센트는 미국 주화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이었는데, 신화 속 인물이나 상징이 아닌 실제 역사적 인물인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초상을 사용한 최초의 정규 유통 주화였기 때문이다. 링컨 센트는 발행 이후 앞면의 링컨 초상 디자인은 유지하면서 뒷면 디자인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했다. 처음에는 밀 이삭 도안이 사용되었고, 1959년 링컨 탄생 150주년을 맞아 링컨 기념관 도안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에는 링컨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생애 주요 단계를 담은 4가지 특별 도안이 발행되었으며, 2010년부터는 미국의 단결을 상징하는 '연방 방패'(Union Shield) 디자인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링컨 기념관 도안 시기(1959년~2008년)에는 기념관 건물 안에 작게 링컨 좌상이 묘사되어 있어, 에이브러햄 링컨이 미국 주화 역사상 앞면과 뒷면 모두에 등장하는 독특한 사례가 되기도 했다. (이후 조지 워싱턴도 쿼터 주화에서 앞뒷면에 모두 등장하게 된다.)

각 시대별 상세한 디자인 종류와 링컨 센트의 구체적인 변화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역대 디자인

1937년에 발행된 밀 이삭 센트 주화.


프루프급 링컨 센트 주화 앞면.


1990년에 발행되어 17년간 유통된 센트 주화의 앞면.


센트 주화 뒷면의 링컨 기념관 디자인 확대 이미지. 기념관 안에 에이브러햄 링컨 좌상이 보인다.


미국 1센트 주화는 2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여러 디자인을 거치며 변화해왔다. 1857년까지 발행된 1센트 주화는 현재의 미국 달러 주화 중 하프 달러 주화와 비슷한 크기였다.

역대 1센트 주화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구분디자인 명칭발행 연도
큰 센트플로잉 헤어 체인 (Flowing Hair Chain)1793년
플로잉 헤어 화환 (Flowing Hair Wreath)1793년
리버티 캡 (Liberty Cap)1793년 ~ 1796년
드레이프 버스트 (Draped Bust)1796년 ~ 1807년
클래식 헤드 (Classic Head)1808년 ~ 1814년
코로넷 (Coronet)1816년 ~ 1839년
땋은 머리 (Braided Hair)1839년 ~ 1857년
작은 센트플라잉 이글 센트 (Flying Eagle)1856년 ~ 1858년
인디언 헤드 센트 (Indian Head)1859년 ~ 1909년
링컨 센트 (Lincoln Cent, 1909년 ~ 현재)밀 이삭 (Wheat Ears)1909년 ~ 1958년
링컨 기념관 (Lincoln Memorial)1959년 ~ 2008년
링컨 탄생 200주년 기념 (4개 디자인)2009년
연방 방패 (Union Shield) [9]2010년 ~ 현재



1815년에는 센트 주화가 주조되지 않았다. 이는 1812년 전쟁 중 영국으로부터 구리 원판 수입이 금지되었고, 미국 조폐국의 공급이 1814년 10월에 소진되었기 때문이다. 센트 주화 주조는 1815년 12월에 재개되었으나, 1814년 또는 1816년 날짜로 발행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10][11]

링컨 센트의 역사에서 날짜 표기에는 여러 글꼴이 사용되었지만, 대부분 올드 스타일 숫자였다. 숫자 '4'와 '8'은 위아래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였으나, 숫자 '3'은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다른 숫자들과 같은 크기로 아래로 돌출되지 않았으나, 1934년 한 해 동안 아래로 돌출된 형태로 변경되었고, 1943년부터는 영구적으로 이 형태가 사용되었다. 숫자 '5' 역시 1945년까지는 작고 아래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였다.

=== 링컨 센트 ===

1941년부터 1974년까지의 링컨 1센트 수집품. 폴더에 거의 완전한 세트가 있으며, 두 개의 오류 동전도 포함되어 있다.


링컨 센트는 현재 통용되는 미국의 1센트 주화로, 1909년 에이브러햄 링컨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인디언 헤드 센트를 대체하며 도입되었다. 링컨 센트는 미국 주화 역사상 신화적인 자유 여신이 아닌 실제 인물의 초상화를 사용한 최초의 정규 주화라는 점에서 중요한 변화를 의미했다. 이전까지 미국 주화에 인물 초상화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가 있었으나, 링컨 탄생 100주년 기념 분위기와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의지가 이를 관철시켰다. 루스벨트는 당시 미국의 주화 디자인이 평범하다고 여겼으며, 리투아니아계 이민자 조각가 빅터 데이비드 브레너가 매튜 브레이디의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링컨 부조에 감명받아 그에게 새로운 센트 디자인을 의뢰했다. 미국 남북 전쟁 시기 주화 부족으로 유통되었던 링컨 이미지의 사제 토큰들도 링컨 센트의 액면가, 모양, 크기 및 구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면 디자인은 브레너가 제작한 기념패의 링컨 초상을 기반으로 하며, 필수 요소인 'LIBERTY'와 발행 연도 외에 'In God We Trust' 문구가 처음으로 1센트 주화에 포함되었다. 이 문구는 1865년 3월 3일 미국 의회 법에 따라 승인되었다.[13] 새로운 디자인 도입에는 별도의 법률 제정은 필요 없었으며, 프랭클린 맥베이 재무부 장관의 승인을 거쳐 1909년 8월 2일에 발행되었다.[12]

==== 밀 이삭 (1909년 ~ 1958년) ====

초기 링컨 센트의 뒷면 디자인은 두 개의 이삭이 액면가('ONE CENT')와 'UNITED STATES OF AMERICA' 문구를 감싸는 단순한 형태였다. 상단에는 국가 표어인 E Pluribus Unum|에 플루리부스 우눔la("여럿으로 이루어진 하나")이 새겨졌다.

원래 디자인에는 뒷면 하단에 디자이너 브레너의 이름('BRENNER')이 표기될 예정이었으나, 발행 직전 너무 눈에 띈다는 조폐국 관계자들의 의견에 따라 이니셜 'VDB'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이니셜마저도 너무 크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결국 완전히 제거되었다. 1918년, 논란이 잠잠해진 후 브레너의 이니셜 'VDB'는 앞면 링컨의 어깨 바로 아래, 흉상 테두리에 아주 작은 형태로 다시 추가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09년에는 필라델피아샌프란시스코 조폐국에서 각각 인디언 헤드 센트와 4종류의 링컨 센트(VDB 유무)가 발행되어 총 6가지 종류의 센트가 존재했다. 모든 경우 필라델피아 주조량이 샌프란시스코 발행량보다 훨씬 많았다. 가장 적게 주조된 것은 '09-S 인디언 헤드 센트'이지만, '09-S VDB' 센트는 링컨 센트 시리즈의 핵심 희귀품으로 여겨지며, 484,000개만 주조되어 가장 가치가 높다.

==== 링컨 기념관 (1959년 ~ 2008년) ====

1959년 2월 12일, 링컨 탄생 150주년을 맞아 뒷면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새로운 디자인은 당시 필라델피아 조폐국의 보조 조각사였던 프랭크 가스파로가 제작했으며, 링컨 기념관을 중앙에 배치했다. 기념관 건물 사이에는 작게 링컨 좌상이 묘사되어 있어,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 주화 역사상 앞면과 뒷면 모두에 등장한 인물이 되었다. (이후 1999년 뉴저지주 쿼터 주화 뒷면에 델라웨어 강을 건너는 조지 워싱턴이 그려지면서 유일한 기록은 아니게 되었다.) 디자이너의 이니셜 'FG'는 기념관 오른쪽 하단 덤불 근처에 새겨져 있다.

==== 링컨 탄생 200주년 기념 디자인 (2009년) ====

2005년 대통령 1달러 주화법에 따라 2009년에는 링컨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생애 주요 단계를 나타내는 4가지 다른 뒷면 디자인이 발행되었다. 각 디자인은 특정 시기의 링컨을 상징한다.

  • 켄터키에서의 탄생과 어린 시절: 통나무집을 묘사. (디자인: 리처드 마스터스, 조각: 짐 리카레츠) 2009년 2월 12일 발행.[14]
  • 인디애나에서의 성장기: 책을 읽는 청소년기 링컨. (디자인/조각: 찰스 비커스) 2009년 5월 14일 발행.[15]
  • 일리노이에서의 전문적인 삶: 스프링필드의 일리노이 주 의사당 앞의 링컨. (디자인: 조엘 이스코위츠, 조각: 돈 에버하트) 2009년 8월 13일 발행.[15]
  • 워싱턴 D.C.에서의 대통령 재임: 건설 중인 국회의사당 돔. (디자인: 수잔 갬블, 조각: 조셉 메나) 2009년 11월 12일 발행.[15]


수집가용으로는 1909년 센트와 동일한 구리 95% 합금으로 특별 제작되었으며[16], 일반 유통용 주화는 기존의 구리 도금 아연으로 제작되었다.

==== 연방 방패 (2010년 ~ 현재) ====

연방 방패 (Union Shield) 센트 뒷면


2005년 법안은 2009년 기념 주화 발행 이후, 2010년부터 "단일하고 통일된 국가로서의 미국의 보존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담은 영구적인 뒷면 디자인을 도입하도록 규정했다.[17] 여러 디자인 후보가 검토된 후[18][19][20][21], 최종적으로 시민 주화 자문 위원회(CCAC)가 제안했던 '유니언 쉴드(Union Shield)' 디자인이 채택되었다.[22]

이 디자인은 예술가 린달 베스가 디자인하고 미국 조폐국 조각가 조셉 메나가 조각했으며[25], 방패의 13개 줄무늬는 연방 정부를 지지하는 주들의 통합을 상징한다.[23] 방패 상단에는 E Pluribus Unum|에 플루리부스 우눔la이, 중앙 두루마리에는 'ONE CENT'가 새겨져 있다. 앞면의 링컨 초상 역시 브레너의 원본을 바탕으로 현대적으로 수정되었다.[24][22] 새로운 연방 방패 센트는 2010년 2월 11일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의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도서관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27]

2017년에는 미국 조폐국 창립 225주년을 기념하여 필라델피아에서 주조된 센트에 처음으로 'P' 조폐국 표시가 새겨졌다. 이는 필라델피아 센트에 조폐국 표시가 새겨진 유일한 해이다.[28] 2019년에는 웨스트포인트 조폐국에서 처음으로 'W' 조폐국 표시가 있는 센트가 주조되었는데, 이는 연례 수집가 세트로만 제공되었으며 미유통, 프루프, 리버스 프루프 마감으로 각각 발행되었다.[29][30]

3. 2. 링컨 센트


링컨 센트(Lincoln cent)는 현재 미국에서 통용되는 1센트 주화이다. 1909년 에이브러햄 링컨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기존의 인디언 헤드 센트를 대체하며 처음 발행되었다. 링컨 센트는 미국 주화 역사상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전까지 일반 주화에 주로 사용되던 신화적인 자유의 모습 대신 실제 인물인 에이브러햄 링컨의 초상을 담은 최초의 정규 주화였기 때문이다.[12] 이전까지 미국에서는 주화에 특정 인물의 초상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가 있었으나, 링컨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분위기 속에서 이러한 오랜 관행이 깨지게 되었다.

링컨 센트의 도안은 제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졌다. 루스벨트는 당시 미국 주화의 디자인이 평범하고 영감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했으며, 리투아니아 출신 조각가 빅터 데이비드 브레너(Victor David Brenner)가 제작한 링컨 기념패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루스벨트는 링컨을 연방의 수호자이자 위대한 대통령으로 존경했고, 자신을 그의 정치적 계승자로 여겼기에 브레너에게 링컨의 초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1센트 주화 디자인을 의뢰했다.[12] 주화 앞면에 사용된 링컨의 초상은 브레너가 이전에 제작했던 기념패 디자인을 수정한 것이다.

링컨 센트에는 미국의 법정 필수 요소인 'LIBERTY'와 발행 연도 외에도 "In God We Trust"라는 문구가 처음으로 새겨졌다. 이 문구는 미국 의회가 1865년 3월 3일 법률을 통해 승인한 것으로, 링컨 대통령 재임 기간 중에 결정된 사항이다.[13] 새로운 디자인은 별도의 법률 제정 없이 재무부 장관 프랭클린 맥베이의 승인을 받아 1909년 7월 14일 확정되었고, 같은 해 8월 2일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링컨 센트는 발행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면서 뒷면 디자인이 시대에 따라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또한, 발행 연도를 표기하는 숫자의 글꼴에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대부분 올드 스타일 숫자를 사용했지만, 숫자 '3'과 '5'의 형태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숫자 '3'은 1934년 이전에는 다른 숫자들과 같은 높이였으나, 1934년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형태로 바뀌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링컨 센트는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이 생산된 주화이며, 앞면의 링컨 초상 디자인은 미국 주화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는 도안이다. 이 주화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었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쟁 물자 확보를 위해 일시적으로 주화의 재질 구성이 변경되기도 했다.

3. 2. 1. 링컨 센트의 뒷면 변화

링컨 센트는 1909년 에이브러햄 링컨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기존의 인디언 헤드 센트를 대체하며 등장했다. 이후 뒷면 디자인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밀 이삭 (Wheat Ears, 1909–1958)'''

초기 링컨 센트의 뒷면은 빅터 데이비드 브레너(Victor David Brenner)가 디자인했으며, 두 개의 이삭이 액면가와 'UNITED STATES OF AMERICA', 그리고 국가 모토인 'E pluribus unum'(라틴어로 "여럿으로 이루어진 하나")을 감싸는 단순한 형태였다. 처음 발행된 주화에는 브레너의 이니셜 'VDB'가 뒷면 하단에 새겨졌으나, 이것이 너무 눈에 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곧 제거되었다.[12] 1918년부터는 논란이 가라앉아 앞면 링컨의 어깨 부분에 작은 크기로 'VDB' 이니셜이 다시 추가되었다. 1909년에는 필라델피아 조폐창과 샌프란시스코 조폐창에서 VDB 이니셜이 있는 버전과 없는 버전이 모두 생산되어 총 4가지 종류의 링컨 센트가 발행되었다(1909 '''VDB''', 1909-S VDB, 1909, 1909-S). 이 중 샌프란시스코에서 발행된 '09-S VDB'는 발행량이 484,000개로 매우 적어 수집가들 사이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링컨 기념관 (Lincoln Memorial, 1959–2008)'''

1959년 2월 12일, 링컨 탄생 150주년을 맞아 새로운 뒷면 디자인이 도입되었다. 필라델피아 조폐국의 조각가 프랭크 가스파로(Frank Gasparro)가 디자인했으며, 워싱턴 D.C.의 링컨 기념관을 중앙에 배치했다. 기념관 건물 사이에는 작게 링컨 좌상이 묘사되어 있어,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 주화 역사상 앞면과 뒷면에 모두 등장한 인물이 되었다. (이후 1999년 뉴저지주 쿼터 주화 뒷면에 델라웨어 강을 건너는 조지 워싱턴이 그려지면서 유일한 기록은 아니게 되었다.) 디자이너 가스파로의 이니셜 'FG'는 기념관 오른쪽 덤불 근처에 작게 새겨져 있다. 이 디자인은 약 50년간 사용되었다.

'''링컨 탄생 200주년 기념 디자인 (Lincoln Bicentennial, 2009)'''

2009년, 링컨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2005년 대통령 1달러 주화법에 따라 링컨의 생애 주요 단계를 나타내는 4가지 다른 뒷면 디자인이 발행되었다. 각 디자인은 특정 시기와 장소를 상징한다. 수집가용으로는 1909년과 동일한 구리 95% 합금으로 특별 제작되었으나, 일반 유통용 주화는 기존처럼 구리 도금 아연으로 만들어졌다.[16]

시기주제디자인 설명디자이너/조각가발행일
켄터키에서의 출생과 어린 시절탄생과 유년기링컨이 태어난 통나무집과 출생 연도 1809가 새겨짐. "통나무집 페니"라는 별칭.리처드 마스터스 / 짐 리카레츠2009년 2월 12일[14]
인디애나에서의 성장기성장기어린 링컨이 통나무에 앉아 책을 읽으며 잠시 휴식하는 모습. "인디애나 페니"라는 별칭.찰스 비커스 / 찰스 비커스2009년 5월 14일[15]
일리노이에서의 전문적인 삶청년기 및 정치 입문젊은 변호사 링컨이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의 구 주 의사당 앞에 서 있는 모습. "일리노이 페니"라는 별칭.조엘 이스코위츠 / 돈 에버하트2009년 8월 13일[15]
워싱턴 D.C.에서의 대통령 재임대통령 시기남북전쟁 시기 건설 중이던 미국 국회의사당의 미완성 돔 모습.수잔 갬블 / 조셉 메나2009년 11월 12일[15]



'''연방 방패 (Union Shield, 2010–현재)'''

2005년 법안은 2010년부터 "단일하고 통일된 국가로서의 미국의 보존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담은 새로운 뒷면 디자인을 사용하도록 규정했다.[17] 여러 디자인 시안 검토 끝에, 시민 주화 자문 위원회(CCAC)가 제안하고 미국 미술 위원회(CFA)가 최종 승인한 '연방 방패'(Union Shield) 디자인이 채택되었다.[20][21][22] 이 디자인은 예술가 린달 베스(Lyndall Bass)가 디자인하고 미국 조폐국 조각가 조셉 메나(Joseph Menna)가 조각했다.[25] 방패의 13개 줄무늬는 초기 13개 주를, 상단의 가로 막대는 연방 정부를 상징하며, 국가의 단결을 나타낸다.[23] 방패 위에는 'E Pluribus Unum' 문구가 새겨져 있다. 이 새로운 디자인은 2010년 2월 11일 스프링필드의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도서관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27]

2017년에는 미국 조폐국 창립 225주년을 기념하여 필라델피아에서 주조된 센트에 처음으로 'P' 조폐국 마크가 추가되었다.[28] 2019년에는 웨스트포인트 조폐국에서 처음으로 'W' 마크가 새겨진 센트가 특별 수집가용 세트로 발행되었다.[29][30]

4. 1센트 주화 폐지 논쟁

미국의 1센트 주화, 통칭 페니(영어: Penny)는 그 존폐를 둘러싸고 오랜 기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페니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여러 이유에서 제기된다: 낮은 실질 사용 빈도, 자동판매기 등에서의 비호환성,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동전의 액면가보다 생산 비용이 더 높아졌다는 점 등이 주요 근거다.[31][32] 실제로 미국 재무부는 페니 생산 과정에서 매년 상당한 재정적 손실을 보고 있다.[39]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국 의회에서는 공화당 소속 짐 콜베 하원의원 등이 페니 생산 중단을 목표로 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33] 또한, 과거 구리 가격 급등 시 페니를 녹여 금속으로 판매하려는 시도에 대응하여 미국 조폐국은 페니와 5센트 동전의 용해를 금지하고 수출을 제한하는 규제를 마련하기도 했다.[34][35]

반면, 페니의 존속을 지지하는 의견도 상당하다. 2012년 여론 조사에서는 미국인 3분의 2가 페니 유지를 원한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경제적 실용성보다는 페니 자체에 대한 문화적 애착이나 관습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54]

캐나다[54]오스트레일리아[53]와 같이 이미 최소 단위 동전을 폐지한 국가들의 사례도 이 논쟁에서 자주 언급된다.

4. 1. 폐지 찬성론

1센트 주화(페니)를 통화 단위에서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여러 이유로 제기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약 2,500억 개의 페니가 유통 중인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미국인 1인당 700개가 넘는 양이다.[31] 하지만 많은 미국인들은 페니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고 집에서 보관하거나, 은행에서 더 높은 액면가의 화폐로 교환하거나, 동전 계수기에서 현금화하는 경우가 많다.[31] 또한 대부분의 최신 자동판매기는 페니를 받지 않아 페니의 실용성을 더욱 떨어뜨리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생산 비용 증가는 동전의 액면 가치를 초과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32] 미국 재무부는 매년 1센트 주화 생산으로 수천만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13년에는 5,5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39]

1페니 제조 및 유통 비용(센트)
회계 연도2010[37]20112012[38]2013[39]2014[40]2015[41]2016[42]20172018[43]2019[44]2022[45]
비용(센트)1.792.412.001.831.701.671.501.822.061.992.72



1센트 제조 비용은 금속 가격 변동에 크게 좌우된다.[37] 과거 구리 가격 급등 시기에는 1센트 주화의 금속 가치가 액면가를 훨씬 초과하여 주화를 녹여 금속 가치 차익을 얻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를 막기 위해 미국 조폐국은 2006년 12월 14일, 페니와 5센트 동전의 용해를 금지하고 수출을 제한하는 규정을 발표했다.[34] 위반 시 최대 1만달러의 벌금이나 최대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35] 구리 가격이 높았던 시기(예: 2011년 2월 최고치[46])에는 1982년 이전에 발행된 95% 구리 센트의 용융 가치가 액면가의 3배 이상에 달하기도 했다.[47] 이러한 금속 가치 상승은 종종 1센트 동전 부족 현상을 유발하기도 했다.[48]

이러한 문제 때문에 미국 의회에서도 폐지 논의가 있었다. 애리조나주 출신 공화당 하원의원이었던 짐 콜베(Jim Kolbe)는 2001년 'Legal Tender Modernization Act영어'와 2006년 'Currency Overhaul for an Industrious Nation Act|COIN Act영어'이라는 이름으로 페니 생산 중단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33]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등 다른 국가에서는 이미 1센트 주화가 폐지되었다.[53] 캐나다는 2013년 2월 4일부로 1센트 주화 유통을 중단했다.[54]

4. 2. 폐지 반대론

2012년에 실시된 여론 조사에 따르면, 미국 국민의 3분의 2는 1센트 주화의 존속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의 경제학자 로버트 웨이플스(Robert Whaples)는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손익 계산보다는 1센트 주화에 대한 국민들의 애착심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폐지론자들이 아무리 폐지의 경제적 이점을 강조하더라도, 이러한 국민 정서 때문에 실제로 1센트 주화가 폐지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54]

4. 3. 대한민국의 경우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5. 유독성

1982년 이후에 주조된 미국 1센트 주화의 주요 성분인 아연 97.5%는 독성이 있다.[49] 아연 이온은 위산에 잘 녹기 때문에, 이 동전을 삼키면 위벽이 손상될 수 있다.[49] 동전은 어린이들이 가장 흔하게 삼키는 이물질이지만,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보통 자연적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린다.[50]

특히 1982년 이후에 만들어진 페니를 개가 삼키면 용혈성 빈혈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 있다.[51] 또한 애완 앵무새에게도 아연은 매우 유독하며, 중독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52]

참조

[1]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Mint Coin Specifications http://www.usmint.go[...] United States Mint 2009-11-09
[2] 웹사이트 Denominations http://www.treasur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Treasury 2015-03-03
[3] 웹사이트 Even the U.S. Treasury Secretary Wants to Scrap the Penny https://money.com/ge[...] 2016-04-20
[4] 웹사이트 Coin Specifications https://www.usmint.g[...] 2019-03-23
[5] 웹사이트 Coin Production https://www.usmint.g[...] 2020-12-20
[6] 논문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cent revealed through copper isotope fractionation
[7] 웹사이트 Historic Coin Production https://www.usmint.g[...] 2023-09-20
[8] 웹사이트 Is my Penny a Copper, or a Zinc Cent? http://coins.about.c[...] 2008-06-16
[9]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Mint Coins and Medals Program http://www.usmint.go[...] USMint.gov 2010-12-27
[10] 웹사이트 In What Year Were No Cents Produced? https://www.numismat[...] The Arena Group 2022-11-30
[11] 웹사이트 1815 the only date since 1793 for which no cents can be found https://www.coinworl[...] Amos Media 2015-01-21
[12] 뉴스 Penny Foolish https://www.nytimes.[...] 2010-05-22
[13] 웹사이트 History of 'In God We Trust' http://www.treasury.[...] 2016-04-29
[14] 뉴스 Lincoln's birthplace is launch site for new penny http://www.kentucky.[...] 2009-11-26
[15] 뉴스 Heads Abe, Tails New On Pennies Marking Lincoln Bicentennial https://www.washingt[...] 2017-08-22
[16] 웹사이트 U.S. Mint Online Product Catalog http://catalog.usmin[...] Catalog.usmint.gov 2011-07-20
[17] 간행물 Presidential $1 Coin Act of 2005, Title VI, §303 2005-12-22
[18] 웹사이트 2010 Lincoln Cent Design Proposals http://2010lincolnce[...] 2010 Lincoln Cents 2009-11-30
[19] 간행물 Wheat Design may appear on the 2010 cent 2009-05-04
[20] 간행물 Mint withdraws 2010 'Wheat' cent design 2009-05-18
[21] 간행물 Commission votes for U.S. flag on 2010 1¢ 2009-05-18
[22] 간행물 Cent to bear Union Shield design in 2010 2009-11-30
[23] 간행물 United States Mint Releases Fourth 2009 Lincoln Bicentennial One-Cent Coin http://usmint.gov/pr[...] United States Mint 2009-11-30
[24] 간행물 Mint Returns to 1909 Galvano for Portrait 2010-02-15
[25] 간행물 United States Mint Launches 2010 Lincoln One-Cent Coin http://usmint.gov/pr[...] United States Mint 2010-02-11
[26] 간행물 First Circulation Reports of 2010 Cents From Puerto Rico 2010-02-08
[27] 뉴스 Collectors seek to turn profit on pennies http://www.sj-r.com/[...] 2010-02-11
[28] 웹사이트 Philadelphia Mint Quietly Releases 2017-P Lincoln Cent https://coinweek.com[...] 2018-06-04
[29] 웹사이트 United States Mint Proof Set {{!}} U.S. Mint https://www.usmint.g[...] 2022-03-31
[30] 웹사이트 2019-W Lincoln cents available only as premiums https://www.coinworl[...] Amos Media Company 2024-12-08
[31] 뉴스 America Must Free Itself from the Tyranny of the Penny https://www.nytimes.[...] 2024-09-01
[32] 뉴스 Coins cost more to make than face value https://www.usatoday[...] 2006-10-04
[33] 뉴스 Kill-the-penny bill introduced https://money.cnn.co[...] 2019-07-28
[34] 웹사이트 United States Mint Moves to Limit Exportation & Melting of Coins https://www.usmint.g[...] Usmint.gov 2011-07-20
[35] 웹사이트 CFR 2010 title31 vol1 part82 http://www.gpo.gov/f[...]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3-01-05
[36] 웹사이트 Statement of Rodney J. Bosco Navigant Consulting, Inc. on "The Future of Money: Coin Production"" Before the House Financial Services Subcommittee on Domestic Policy & Technology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 April 17, 2012 http://financialserv[...] U.S. Congress 2012-09-10
[37] 웹사이트 U.S. Mint 2010 Annual Report http://www.usmint.go[...] 2011-01-16
[38] 웹사이트 Penny Costs 2.06 Cents to Make in 2018, Nickel Costs 7.53 Cents; US Mint Realizes $321.1M in Seigniorage https://www.coinnews[...] 2020-07-11
[39] 웹사이트 US Mint Cost To Make Penny and Nickel Declines in FY 2013 http://news.coinupda[...] 2014-01-21
[40] 웹사이트 About | U.S. Mint http://www.usmint.go[...] Usmint.gov 2018-04-24
[41] 웹사이트 US Mint Cost To Make Penny http://coincollectin[...] 2015-06-30
[42] 웹사이트 Penny Costs 1.5 Cents to Make in 2016, Nickel Costs 6.32 Cents; US Mint Realizes $578.7M in Seigniorage https://www.coinnews[...] 2020-07-11
[43] 웹사이트 Penny Costs 2.06 Cents to Make in 2018, Nickel Costs 7.53 Cents; US Mint Realizes $321.1M in Seigniorage https://www.coinnews[...] 2020-07-11
[44] 웹사이트 Penny Costs 1.99 Cents to Make in 2019, Nickel Costs 7.62 Cents; US Mint Realizes $318.3M in Seigniorage https://www.coinnews[...] 2020-07-11
[45] 간행물 2022 Biennial Report to Congress as Required by the Coin Modernization, Oversight, and Continuity Act of 2010 (Public Law 111-302) https://www.usmint.g[...] 2023-04
[46] 뉴스 METALS-Copper falls on euro zone disappointment, China worry https://www.reuters.[...] 2012-11-18
[47] 웹사이트 Current Melt Value Of Coins – How Much Is Your Coin Worth? http://www.coinflati[...] Coinflation.com 2014-01-21
[48] 뉴스 On the scent of a shortage: A penny saved is a penny out of circulation https://archive.org/[...] 2024-08-19
[49] 논문 Chronic Ingestion of a Zinc-Based Penny http://pediatrics.aa[...] 2003-03
[50] 논문 Management of esophageal coins https://www.ncbi.nlm[...] 2006-01
[51] 논문 Zinc phosphide poisoning in dogs 1978
[52] 웹사이트 list of common parrot illnesses and their causes http://www.petparrot[...]
[53] 뉴스 米1セント硬貨の製造コストは?―造るほど損の少額硬貨 http://jp.wsj.com/ar[...] 2017-04-25
[54] 웹사이트 1セント硬貨は不要? カナダが廃止、米国は存続派が優勢か https://www.cnn.co.j[...] CNN 2017-04-25
[55] 웹인용 The Composition of the Cent http://www.usmint.go[...] 2012-03-18
[56] 웹인용 Lincoln Cents http://www.coin-coll[...] Coin-collecting-guide-for-beginners.com 2011-07-20
[57] 논문 Radiodensity of the Proposed New Penny http://pediatrics.aa[...] 1982-02
[58] 웹사이트 1982 Lincoln Memorial Cents http://coins.thefunt[...]
[59] 웹인용 "Is my Penny a Copper, or a Zinc Cent?" http://coins.about.c[...] 2008-06-16
[60] 논문 Chronic Ingestion of a Zinc-Based Penny http://pediatrics.aa[...] 2003-03
[61] 논문 Zinc phosphide poisoning in dogs 1978
[62] 웹사이트 list of common parrot illnesses and their causes http://www.petparr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