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래완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래완료는 특정 미래 시점 이전에 완료될 행위를 나타내는 시제이다.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아프리칸스어, 카탈루냐어, 그리스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세르비아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미래완료 시제가 존재하며, 각 언어별로 조동사, 과거분사, 어미 변화 등을 통해 표현된다. 언어에 따라 미래완료는 과거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거나, 조건절에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제 - 과거완료
    과거완료는 과거 특정 시점 이전에 시작되어 그 시점에 완료되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을 나타내는 시제로, 라틴어처럼 동사 활용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영어의 `had + 과거분사`나 한국어의 '-었었-' 어미처럼 조동사와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언어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드물게 사용되기도 한다.
  • 시제 - 현재완료
    현재완료는 과거에 시작된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시제로, 'have/has + 과거분사' 형태로 현재와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계속, 결과, 경험, 완료 등의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 미래 - 운명
    운명은 개인이나 집단에 영향을 주는 사건의 속성을 결정하는 힘으로 이해되며, 숙명과는 달리 노력으로 바뀔 수 있고, 다양한 문화와 철학에서 논의되어 온 핵심 개념이다.
  • 미래 - 제5천년기
    제5천년기는 서기 4001년부터 5000년까지의 기간으로, 이 시기에는 금성의 별 엄폐 현상과 혜성의 귀환 등 다양한 천문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완료
형태
긍정형주어 + will have + 과거 분사
부정형주어 + will not have + 과거 분사
의문형Will + 주어 + have + 과거 분사?
용법
미래의 특정 시점 완료미래의 특정 시점 이전에 완료될 행위나 사건을 나타냄
미래의 완료된 결과 강조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완료된 결과에 초점을 맞춤
예시
문장By next year, I will have finished my studies. (내년까지 나는 학업을 마칠 것이다.)
문장They will have left before we arrive. (우리가 도착하기 전에 그들은 떠났을 것이다.)
문장Will you have finished the report by Friday? (금요일까지 보고서를 끝낼 건가요?)
시간 표현
관련 표현by, before, until
예시By the time we get there, the concert will have started. (우리가 도착할 때쯤에는 콘서트가 시작되었을 것이다.)
참고 사항
단순 미래와의 비교단순 미래는 미래의 행동을 나타내지만, 미래 완료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완료될 행동을 나타냄.
주의점미래 완료 시제는 미래에 대한 추측이나 예상도 포함할 수 있음.

2. 언어별 미래완료

여러 언어에서 미래완료 시제는 미래의 특정 시점 이전에 완료될 행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각 언어별 미래완료 시제의 গঠন(구조)은 다음과 같다.


  • '''스페인어''': 'haber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예: habré hablado)
  • '''포르투갈어''': 'ter 또는 haver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예: terei falado)
  • '''프랑스어''': 'avoir 또는 être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예: j'aurai parlé)
  • '''독일어''': 'werden + sein/haben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예: Ich werde geschrieben haben)
  • '''네덜란드어''': 'zullen + 과거분사 + hebben/zijn' (예: Ik zal geschreven hebben)
  • '''아프리칸스어''': 'sal + 과거분사 + het' (예: Ek sal geskryf het)
  • '''카탈루냐어''': 'haver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예: hauré parlat)
  • '''현대 그리스어''': 'θα + έχω/είμαι + 부정사/분사' (예: Θα έχω τελειώσει)
  • '''고대 그리스어''': '동사 "이다"의 미래 시제 + 완료 능동 분사' 또는 '미래 시제 어미 + 완료 어간' (예: λελυκὼς ἔσομαι, λελύσομαι)
  • '''라틴어''': '완료 어간 + esse의 미래 시제' 또는 '수동 완료 분사 + esse의 미래 시제' (예: amāverō, amātus -a -um erō)
  • '''이탈리아어''': 'essere/avere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예: avrò mangiato)
  • '''루마니아어''': 'a fi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예: voi fi ajuns)
  • '''세르비아어''': 'biti의 활용형 + 과거분사' (예: budem pojeo)

2. 1. 영어

영어의 미래완료 시제는 'will have + 과거분사'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will'과 일반 부정사를 결합한 일반적인 미래 시제 동사 형태와 유사하다. 오래된 문법에서는 영어 미래완료 시제를 "제2미래 시제"라고 불렀다.[2][3]

2. 1. 1. 용법

영어에서 미래완료 시제는 ‘~할 것이다’(will) 또는 ‘~할 예정이다’(going-to future)와 같은 미래 시제와 주동사의 완료 부정사(조동사 have의 부정사와 주동사의 과거분사로 구성됨)로 구성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그녀는 우리가 집에 도착할 때쯤에는 잠들어 있을 것이다(She '''will have fallen''' asleep by the time we get home).
  • 나는 그때까지 떠났을 것이다(I '''shall have gone''' by then).
  • 내가 돌아왔을 때 끝냈을 거야?( '''Will''' you '''have finished''' when I get back?)


조동사는 구어체에서는 일반적으로 축약되어 'll'로 쓰이고, 종종 문어체에서도 사용되며, 완료 부정사의 첫 번째 부분은 구어체에서 've'로 축약되는 경우가 많다. 영어 조동사와 축약을 참조한다. 부정형은 'will not' 또는 'shall not'로 만들어지며, 이들은 각각 'won't'와 'shan't'로 축약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나는 저녁 6시까지 저녁을 준비해 놓을 것이다(I '''will have made''' the dinner by 6 PM).
  • 그는 오늘 저녁까지는 그것을 끝내지 못할 것이다(He '''won't have done''' (''or'' '''will not have done''') it by this evening).
  • 목요일까지 끝낼 수 없을 거야?( '''Won't''' you '''have finished''' by Thursday? (''or'' '''Will''' you '''not have finished''' by Thursday?))


미래완료 시제는 대부분 사건이 발생할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표현과 함께 사용된다. 그러나 "나는 지난 화요일에 그것을 끝냈을 것이다"와 같이 과거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1]

영어 미래완료 시제는 절대적인 미래 시점에 대한 행위의 관계만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경우 행위는 현재를 기준으로 미래에 있겠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일 비가 온다면 우리는 어제 헛수고를 했을 것이다"가 있다.[1]

'will'을 사용한 미래완료 시제는 때로는 현재 상황을 자신 있게 추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는 지금쯤 일어났을 것이다"가 있다.

영어 미래완료 시제의 관점 시간은 'will'을 과거 시제인 'would'로 바꿈으로써 현재에서 과거로 이동할 수 있다. "1982년에 나는 1986년까지 이미 감옥에 갔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 구문은 영어 가정법 과거완료 구문과 동일하다.

2. 2. 스페인어

스페인어에서 미래완료는 'haberes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형태로 구성된다.

haberes의 미래 시제는 미래 어간 habr- + 어미 -é, -ás, -á, -emos, -éis, -án으로 형성된다. 동사의 과거분사는 어미 -ado와 -ido를 각각 -ar 동사와 -er/-ir 동사에 추가하여 형성된다.

미래 완료 시제의 부정형을 만들려면 haberes의 형태 앞에 no를 추가하면 된다. 예: yo no habré habladoes. 재귀 동사와 함께 사용하려면 재귀 대명사를 haberes의 형태 앞에 놓는다. 예: bañarsees("목욕하다")에서 yo me habré bañadoes; 부정형: yo no me habré bañadoes.

2. 2. 1. 불규칙 과거분사

스페인어의 미래 완료 시제에서 사용되는 동사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불규칙 과거분사를 가진다.

동사 원형과거분사
abrirabierto
cubrircubierto
decirdicho
escribirescrito
freírfrito
hacerhecho
morirmuerto
ponerpuesto
vervisto
volvervuelto



이중동사의 경우에도 같은 과거분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predecir("예측하다")의 과거분사는 predicho이고, suponer("추측하다")의 과거분사는 supuesto이다. 또한 satisfacer("만족시키다")는 hacer("하다")와 비슷하여 과거분사가 satisfecho이다.

2. 3.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에서 미래완료는 스페인어와 마찬가지로 '주어 + ter 또는 haver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형태로 구성된다.[1] ''ter''의 미래 시제는 미래 어간 ''ter'' + 어미 ''-ei, -ás, -á, -emos, -eis, -ão''으로 형성된다(2인칭 복수형 ''tereis''는 고어체임). 동사의 과거분사는 어간에 각각 -ado와 -ido를 붙여서 만들어진다.[1]

예시는 다음과 같다.

  • ''eu haverei falado'' ("나는 말했을 것이다")
  • ''eu terei falado'' ("나는 말했을 것이다")

2. 3. 1. 불규칙 과거분사

다음은 불규칙 과거분사를 가지는 동사들이다.

  • abrir: aberto
  • cobrir: coberto
  • dizer: dito
  • escrever: escrito
  • fazer: feito
  • ganhar: ganho
  • gastar: gasto
  • pagar: pago
  • pôr: posto
  • ver: visto
  • vir: vindo


위의 불규칙 동사에서 파생된 동사들은 과거분사를 유사하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predizer(예측하다)의 과거분사는 ''predito''이며, supor(추측하다)의 과거분사는 ''suposto''이다. fazer(하다)에서 파생된 satisfazer(만족시키다)의 과거분사는 ''satisfeito''이다.[1]

2. 3. 2. 부정문 및 대명사 사용

미래완료의 부정문은 'não + ter의 활용형'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나는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는 ''eu não terei falado''가 된다.

간접 목적어 인칭 대명사를 사용할 때, 긍정문과 부정문에 따라 대명사의 위치가 달라진다.

경우대명사 위치예시
유럽 포르투갈어 및 형식적인 브라질 포르투갈어 문어체 (긍정문)중간삽입(mesoclisis)Eu tê-lo-ei visto (나는 그를 보았을 것이다)
유럽 포르투갈어 및 형식적인 브라질 포르투갈어 문어체 (부정문)보조 동사 앞Eu não o terei visto (나는 그를 보지 않았을 것이다)
비형식적인 브라질 포르투갈어 (me, te, se, nos, lhe/lhes와 같은 강세가 있는 대명사)ter의 활용형과 과거분사 사이eles terão me visto (그들은 나를 보았을 것이다)
비형식적인 브라질 포르투갈어 (부정문)não terão me vistonão me terão visto 모두 가능 (후자가 더 형식적)
무강세 대명사 (o, a 등)ter의 활용형 앞eu o terei visto (나는 그를 보았을 것이다) / eu não o terei visto (나는 그를 보지 않았을 것이다)


2. 4. 프랑스어

프랑스어의 미래완료 시제는 스페인어와 마찬가지로 'futur antérieur'라고 부르며, '조동사 avoir(avoir|가지다프랑스어) 또는 être(être|~이다프랑스어)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형태로 구성된다.

예시:

  • j'aurai parlé (나는 말했을 것이다)


미래 시제를 만들려면 미래 어간에 '-ai', '-as', '-a', '-ons', '-ez', '-ont' 어미를 추가한다. 대부분의 동사는 원형을 미래 어간으로 사용하지만, 'avoir'와 'être'는 불규칙적인 미래 어간을 가진다. (예: avoir의 미래 어간은 'aur-', 'être'의 미래 어간은 'ser-')

미래완료 시제를 부정형으로 만들려면 조동사 앞뒤에 'ne'와 'pas'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je n'aurai pas parlé' (나는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je ne serai pas venu' (나는 오지 않았을 것이다)와 같이 표현한다. 재귀 동사의 경우 재귀 대명사를 조동사 앞에 둔다. 예를 들어 'se baigner'(목욕하다)의 경우 'je me serai baigné'(나는 목욕했을 것이다), 부정형은 'je ne me serai pas baigné'(나는 목욕하지 않았을 것이다)와 같이 표현한다.

2. 4. 1. 조동사 선택

과거 시제에서 'être'를 사용하는 동사(「être」 동사, 재귀 동사)는 미래완료 시제를 형성할 때에도 'être'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je serai venu(e)'는 동작 동사 'venir'(venir|오다프랑스어)가 과거 시제에서 'être'를 사용하기 때문에 'être'의 미래 시제를 사용한다.

조동사의 미래 시제를 만들려면 미래 어간을 사용하고, 어미 '-ai', '-as', '-a', '-ons', '-ez', '-ont'를 추가한다. 'avoir'(avoir|가지다프랑스어)와 'être'(être|~이다프랑스어)는 모두 불규칙적인 미래 어간을 가지지만, '-re' 동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동사는 미래 어간으로 원형을 사용하며 (''je '''parler'''-ai', 나는 말할 것이다), 'avoir'의 미래 어간은 'aur-', 'être'의 미래 어간은 'ser-'이다.

'être'를 조동사로 사용할 때는 과거분사가 주어와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je serai venu (나는 [남성] 왔을 것이다)
  • je serai venue (나는 [여성] 왔을 것이다)
  • nous serons venus (우리는 [남성 또는 남녀 혼합] 왔을 것이다)
  • nous serons venues (우리는 [여성] 왔을 것이다)


'avoir'를 사용하는 동사는 일치가 필요하지 않다.

2. 4. 2. 불규칙 과거분사

프랑스어 과거분사는 일반적으로 어근에 '-er', '-ir', '-re' 동사에 각각 '-é', '-i', '-u'를 추가하여 만들지만, 이 규칙에는 많은 예외가 있다. 다음은 자주 사용되는 동사(그리고 그와 관련된 모든 동사)와 불규칙 과거분사 형태이다.

동사 원형과거분사관련 동사 (과거분사)
fairefait
mettremispromettre (mis)
ouvrirouvertoffrir (ouvert), souffrir (ouvert)
prendreprisapprendre (pris), comprendre (pris)
venirvenurevenir (venu), devenir (venu)


2. 4. 3. 성/수 일치

être프랑스어를 조동사로 사용할 때는 과거분사가 주어와 성, 수 일치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je serai venu''(나는 [남성] 왔을 것이다), ''je serai venu'''e'''(나는 [여성] 왔을 것이다)와 같이 표현한다. 또한, ''nous serons venu'''s'''(우리는 [남성 또는 남녀 혼합] 왔을 것이다), ''nous serons venu'''es'''(우리는 [여성] 왔을 것이다)와 같이 복수일 때도 성, 수 일치를 한다. 조동사로 ''avoir''를 사용하는 동사는 이러한 일치가 필요하지 않다.

2. 5. 독일어

독일어의 미래완료(Futur II, Vorzukunft 또는 vollendete Zukunft라고도 함)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과거 부정사의 미래 시제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 보조동사 ''werden''과 ''sein''( ich werde sein|나는 ~일 것이다de, du wirst sein|너는 ~일 것이다de 등) 또는 ''haben''( ich werde haben|나는 ~을 가질 것이다de, du wirst haben|너는 ~을 가질 것이다de 등)의 미래 시제를 사용하여 관련 동사의 과거 분사를 넣는다( ich werde gemacht haben|나는 ~하게 될 것이다de, du wirst gemacht haben|너는 ~하게 될 것이다de 등).[1]

예시는 다음과 같다.[1]

  • Ich werde etwas geschrieben haben|나는 무언가를 썼을 것이다.de [1]
  • Morgen um diese Uhrzeit werden wir bereits die Mathe-Prüfung gehabt haben|내일 이 시간이면 우리는 이미 수학 시험을 치렀을 것이다.de [1]
  • Es wird ihm gelungen sein|그는 성공했을 것이다.de [1]
  • Wir werden angekommen sein|우리는 도착했을 것이다.de [1]

2. 6.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의 미래 완료 시제는 독일어 미래 완료 시제와 매우 유사하다. 'zullen'('할 것이다') 동사를 사용하고 그 뒤에 과거분사와 'hebben'('가지다') 또는 'zijn'('이다')을 놓아서 만들어진다.[1]

:''Ik zal iets geschreven hebben''.[1]

:"나는 무언가를 썼을 것이다."[1]

:"나는 무언가를 써 놓았을 것이다."[1]

2. 7. 아프리칸스어

아프리칸스어 미래완료 시제는 네덜란드어 미래완료 시제와 매우 유사하게 'sal'("할 것이다") 동사와 과거분사, 그리고 'het'(동사 'hê'의 활용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

''Ek sal 'n brief geskryf het''는 "나는 편지를 썼을 것이다"라는 뜻이다.

2. 7. 1. 과거분사 규칙

아프리칸스어의 과거분사는 'gehad'와 'gedag'와 같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규칙적이다.[1] 그러나 과거분사가 형용사로 사용될 때는 네덜란드어의 강세 과거분사가 아프리칸스어에서도 때때로 유지된다.[1]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네덜란드어: ''een geschreven brief''
  • 아프리칸스어: '' 'n Geskrewe brief''
  • 영어: "a written letter"

2. 8. 카탈루냐어

카탈루냐어 문법에서 미래완료는 'haver' (~하다)의 미래 시제에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haver'의 미래 시제는 미래 어간 'haver'에 어미 '-é', '-às', '-à', '-em', '-eu', '-an'을 붙여 만들고, 동사의 과거분사는 'ar', 'er', 'ir' 동사에 각각 '-at', '-ut', '-it'을 추가하여 만든다. 예를 들어, "나는 말했다"는 jo|나는ca hauré|~일 것이다ca parlat|말했다ca와 같이 표현한다.

미래완료 시제를 부정형으로 만들려면 'haver' 앞에 'no'를 붙인다. 예를 들어, "나는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는 'jo no hauré parlat'이다. 재귀 동사와 함께 사용할 때는 재귀 대명사를 'haver' 앞에 둔다. 예를 들어, 'banyar-se' ("목욕하다")의 경우, "나는 목욕했을 것이다"는 'jo m'hauré banyat', 부정형은 'jo no m'hauré banyat' ("나는 목욕하지 않았을 것이다")이다.

2. 8. 1. 불규칙 과거분사

다음은 카탈루냐어 동사의 불규칙 과거분사 목록이다.

  • caldreca: calgutca
  • córrerca: corregutca
  • creureca: cregutca
  • dirca: ditca
  • durca: dutca
  • empènyerca: empèsca
  • entendreca: entèsca
  • escriureca: escritca
  • ferca: fetca
  • fondreca: fosca
  • haverca: hagutca
  • imprimirca: imprèsca
  • morirca: mortca
  • obrirca: obertca
  • prendreca: presca
  • resoldreca: resoltca
  • riureca: rigutca
  • treureca: tretca
  • valerca: valgutca
  • venirca: vingutca
  • viureca: viscutca

2. 9.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에서 미래완료는 미래 조동사인 θα (tha)와 조동사 έχω (écho, "갖다") 또는 είμαι (íme, "이다")에 부정사나 분사를 붙여서 만든다.

  • '''나는 그때까지 끝냈을 것이다'''
  • Θα έχω τελειώσει ... ("갖다" + 부정사)
  • Tha écho teliósi ...
  • '''나는 그때까지 고용될 것이다'''
  • θα είμαι προσληφθείς ... ("이다" + 분사)
  • Tha ime proslipthis ...

2. 9. 1.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에서 능동태 미래완료는 "이다" 동사의 미래 시제와 완료 능동 분사를 결합하여 주로 주술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λελυκὼς ἔσομαι|렐뤼코스 에소마이grc는 "나는 풀었을 것이다"를 의미한다. 중간태와 수동태에서도 주술적 구성이 매우 일반적이지만, 미래 시제 어미를 완료 어간에 추가하여 합성적 구성도 발견된다. 예를 들어 λελύσομαι|렐뤼소마이grc는 "나는 풀렸을 것이다"를 의미한다. 합성적 구성은 드물며, 몇몇 동사에서만 발견된다.[4]

2. 10. 라틴어

라틴어 활용에서 능동 미래완료는 동사의 완료 어간에 "되다"를 뜻하는 ''esse''의 미래 시제 형태를 접미사로 붙여 만든다. 단, 능동 지시법 3인칭 복수는 예상되는 ''-erunt'' 대신 ''-erint''를 접미사로 붙이는 예외가 있다. 수동 미래완료는 수동 완료 분사와 ''esse''의 미래 시제를 사용하여 만든다. 분사는 일반적인 형용사처럼 활용되며, 주어와 문법적으로 일치한다.

''amāre'' (사랑하다)
colspan=2|능동 미래완료수동 미래완료
1인칭단수amāverōamātus -a -um erō
복수amāverimusamātī -ae -a erimus
2인칭단수amāverisamātus -a -um eris
복수amāveritisamātī -ae -a eritis
3인칭단수amāveritamātus -a -um erit
복수amāverintamātī -ae -a erunt


2. 10. 1. 능동태

라틴어 활용에서 능동 미래완료는 동사의 완료 어간에 "되다"를 뜻하는 ''esse''의 미래 시제 형태를 접미사로 붙여 만든다. 단, 능동 지시법 3인칭 복수는 예상되는 ''-erunt'' 대신 ''-erint''를 접미사로 붙이는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amaverint''이고 ''amaverunt''가 아니다.

''amāre'' ("사랑하다")
1인칭 단수amāverō
1인칭 복수amāverimus
2인칭 단수amāveris
2인칭 복수amāveritis
3인칭 단수amāverit
3인칭 복수amāverint


2. 10. 2. 수동태

수동 미래완료는 수동 완료 분사와 ''esse''의 미래 시제를 사용하여 만든다. 분사는 일반적인 형용사처럼 활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주어와 문법적으로 일치한다.

''amāre'' (사랑하다)
colspan="2" |수동 미래완료
1인칭단수amātus -a -um erō
복수amātī -ae -a erimus
2인칭단수amātus -a -um eris
복수amātī -ae -a eritis
3인칭단수amātus -a -um erit
복수amātī -ae -a erunt


2. 11.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에서 미래완료(futuro anteriore)는 'essere/avere의 미래 시제 + 과거분사' 형태로 구성된다.[1]

2. 11. 1. 용법

미래완료는 주절의 시점보다 앞선 미래의 어떤 일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이탈리아어에서는 ''futuro anteriore''라고 하며, 미래 시제의 조동사 "essere"(되다) 또는 "avere"(갖다)와 과거분사를 함께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

:''Io avrò mangiato'' ("나는 먹었을 것이다")

:''Io sarò andato/a'' ("나는 갔을 것이다")

또한 영어에서 "must have"를 사용하는 것처럼 과거에 대한 의문을 표현할 때도 사용된다.[1]

:''Carlo e sua moglie non si parlano più: avranno litigato'' ("카를로와 그의 아내는 더 이상 말하지 않습니다. 싸웠을 것입니다.")

"내가 이것을 할 때까지/내가 이것을 마칠 때 너는 그것을 했을 것이다"를 번역할 때 이탈리아어는 이중 미래 시제를 사용한다. ''Quando io avrò fatto questo, tu avrai fatto quello''.[1]

2. 12.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의 미래완료(viitor anterior)는 한 미래 시점 이전에 발생하여 완료될 행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a fi'('~이다'라는 뜻의 동사)의 미래 시제와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만들어진다.[1]

:"''Eu voi fi ajuns acasă deja la ora 11.''" ("저는 11시 이전에 이미 집에 도착해 있을 것입니다.")[1]

2. 13. 세르비아어

세르비아어의 미래완료 시제는 일반적으로 조건절에 제한된다. 불완료상의 보조동사 ''biti''(''~이다'')의 활용형과 과거분사로 구성되며, 과거분사는 어떤 상이든 될 수 있고 성과 수에 따라 활용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발달된 상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시제는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Kad budem pojeo...'' ("내가 먹고 나면...")

:''Nakon što budeš gotov...'' ("네가 끝나면...")

2. 13. 1. 예외

카이카프어 방언에서는 미래 시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완료가 미래 시제 대신 사용된다. 보조동사 ''biti''는 카이카프어에서 다르게 발음되지만 슬로베니아어와 유사하다.

참조

[1] 서적 Tense Cambridge Univ. Press 1985
[2] 서적 A new spelling book, adapted to the different classes of pupils Kimber and Conrad 1811
[3] 서적 An abridgment of L. Murray's English grammar James Loring 1827
[4] 서적 A Greek Grammar for Colleg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