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즈시마 고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즈시마 고이치는 일본의 외교관으로, 1985년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했다. 외무성에서 경제협력, 아시아, 북미 관련 부서를 거쳤으며, 주미국, 주가나, 주제네바 일본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2017년 주한 일본 대사관 공사로 부임하여 특명전권공사로 승진했으며, 이후 영사국장을 역임하고, 2021년 주이스라엘 특명전권대사를 거쳐 2024년 주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주재 일본 대사 - 아이보시 고이치
아이보시 고이치는 도쿄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대한민국 등에서 근무했으며, 주 대한민국 특명 전권 대사를 역임하다가 2024년 5월 의원 면직되었다. - 이스라엘 주재 일본 대사 - 도미타 고지
도미타 고지는 일본의 외교관으로 주미국 특명전권대사, 주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등을 역임했으며, 윈스턴 처칠과 마거릿 대처에 관한 저서를 출판하고, 야마모토 시치헤이 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아이보시 고이치
아이보시 고이치는 도쿄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대한민국 등에서 근무했으며, 주 대한민국 특명 전권 대사를 역임하다가 2024년 5월 의원 면직되었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시게이에 도시노리
시게이에 도시노리는 1969년 외무성에 입성하여 미국, 말레이시아, 영국 등에서 대사관 근무 후 외무성 북미국 안전보장과장, 주미 일본 대사관 공사 등을 역임하고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대한민국 주재 특명전권대사로 활동한 일본의 외교관이다. - 교토부 출신 - 미타 히로코
미타 히로코는 1980년대 일본을 대표하는 아이돌이자 배우, 가수, 방송인으로, 드라마 데뷔와 가수 활동을 거쳐 "천연 바보" 캐릭터로 인기를 얻었으며, 가부키 배우와 결혼 후 현재는 인스타그램으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교토부 출신 - 와타나베 미사토
와타나베 미사토는 1985년 데뷔하여 'My Revolution' 등의 히트곡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전반까지 에픽 레코드를 대표하는 싱어송라이터이자 8년 연속 앨범 1위 기록을 보유한 '앨범 아티스트'로서,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에서의 스타디움 라이브와 'MISATO TRAIN' 운행, 코무로 테츠야, 오카무라 야스유키 등과의 협업, 드라마 및 영화 음악 참여, 자작곡 활동 등 폭넓은 활동을 펼쳤다.
미즈시마 고이치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즈시마 고이치 |
본명 | 수시마 코이치 |
출생 | 1940년 10월 28일 |
사망 | 2022년 12월 14일 (향년 82세) |
출생지 | 일본 도쿄도 |
사망지 | 일본 |
국적 | 일본 |
직업 | 외교관 기업인 |
학력 | 도쿄 대학 법학부 졸업 |
경력 | |
1963년 | 외무성 입성 |
1993년 | 주오스트레일리아 일본대사관 총영사 |
1996년 | 주인도 일본대사관 공사 |
1999년 | 주이스라엘 특명전권대사 |
2003년 | 퇴임 |
이후 | 일본-이스라엘 협회 회장 미쓰비시 상사 고문 |
수상 | |
2013년 | 욱일중수장 |
2. 주요 경력
미즈시마 고이치는 교토부 출신으로 1985년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하여, 외무성 및 해외 대사관에서 주요 직책들을 역임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직책 |
---|---|
1992년 | 외무성 경제협력국 기술협력과 과장 보좌 |
1995년 | 총리부 행정관리국 부감리관 |
1997년 | 외무성 아시아국 지역시책과 과장 보좌, 수석사무관 |
1999년 9월 | 주미국 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 |
2002년 1월 | 주미국 일본 대사관 참사관 |
2002년 8월 | 주가나 일본 대사관 참사관 |
2004년 8월 | 외무성 경제국 정책과 경제협력개발기구 실장 |
2006년 3월 | 외무성 북미국 북미제2과장 |
2007년 8월 | 외무성 대신관방 보도과장 |
2009년 7월 | 주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참사관 |
2010년 1월 | 주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공사 |
2011년 9월 | 외무성 대신관방 회계과장 |
2013년 6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4년 7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겸 국제협력국 |
2014년 10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 |
2015년 6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5년 10월 |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6년 2월 |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 겸 종합외교정책국(대사), 영사국, 유엔 담당 대사, 사이버 정책 담당 대사 |
2017년 7월 | 주한 일본 대사관 공사 |
2018년 7월 | 주한 일본 대사관 특명전권공사 |
2019년 7월 | 외무성 영사국장[9][10][11] |
2021년 1월 | 주이스라엘 특명전권대사[12] |
2024년 4월~현재 | 주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
2019년 외무성 영사국장을 역임했으며,[1][2][3] 2020년에는 외무성 본성 직원 중 처음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 후 복귀했다.[4][5][6]
2. 1. 외무성 입성 및 초기 경력
교토부 출신으로 1985년 4월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했다.연도 | 직책 |
---|---|
1992년 | 외무성 경제협력국 기술협력과 과장 보좌 |
1995년 | 총리부 행정관리국 부감리관 |
1997년 | 외무성 아시아국 지역시책과 과장 보좌, 수석사무관 |
1999년 9월 | 주미국 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 |
2002년 1월 | 주미국 일본 대사관 참사관 |
2002년 8월 | 주가나 일본 대사관 참사관 |
2004년 8월 | 외무성 경제국 정책과 경제협력개발기구 실장 |
2006년 3월 | 외무성 북미국 북미제2과장 |
2007년 8월 | 외무성 대신관방 보도과장 |
2009년 7월 | 주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참사관 |
2010년 1월 | 주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공사 |
2011년 9월 | 외무성 대신관방 회계과장 |
2013년 6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4년 7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겸 국제협력국 |
2014년 10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 |
2015년 6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5년 10월 |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6년 2월 |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 겸 종합외교정책국(대사), 영사국, 유엔 담당 대사, 사이버 정책 담당 대사 |
2. 2. 주미국, 주가나, 주제네바 일본 대사관 근무
1999년 9월, 주미국 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으로 부임하였다.[9] 2002년 1월에는 주미국 일본 대사관 참사관으로 승진하였다.[9] 같은 해 8월, 주가나 일본 대사관 참사관으로 자리를 옮겼다.[9]2009년 7월에는 주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참사관으로 부임하였고,[9] 2010년 1월에는 주 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공사로 승진하였다.[9]
2. 3. 외무성 본부 근무
1985년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한 후, 미즈시마 고이치는 주로 외무성 본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연도 | 직책 |
---|---|
1992년 | 외무성 경제협력국 기술협력과 과장 보좌 |
1995년 | 총리부 행정관리국 부감리관 |
1997년 | 외무성 아시아국 지역시책과 과장 보좌, 수석사무관 |
1999년 9월 | 주미국 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 |
2002년 1월 | 주미국 일본 대사관 참사관 |
2002년 8월 | 주가나 일본 대사관 참사관 |
2004년 8월 | 외무성 경제국 정책과 경제협력개발기구 실장 |
2006년 3월 | 외무성 북미국 북미제2과장 |
2007년 8월 | 외무성 대신관방 보도과장 |
2009년 7월 | 주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참사관 |
2010년 1월 | 주제네바 국제기구 일본정부대표부 공사 |
2011년 9월 | 외무성 대신관방 회계과장 |
2013년 6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4년 7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겸 국제협력국 |
2014년 10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 |
2015년 6월 | 외무성 대신관방 참사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5년 10월 |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보도·홍보·문화교류 담당)(외무 부보도관) |
2016년 2월 |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 겸 종합외교정책국(대사), 영사국, 유엔 담당 대사, 사이버 정책 담당 대사 |
2017년 7월 | 주한 일본 대사관 공사 |
2018년 7월 | 주한 일본 대사관 특명전권공사 |
2019년 7월 | 외무성 영사국장[9][10][11] |
2021년 1월 | 주이스라엘 특명전권대사[12] |
2024년 4월~현재 | 주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
2019년 외무성 영사국장을 역임했으며,[1][2][3] 2020년에는 외무성 본성 직원 중 처음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 후 복귀했다.[4][5][6]
2. 4. 주한, 주이스라엘 일본 대사관 근무
미즈시마 고이치는 2017년 7월 주한 일본 대사관 공사로 근무하기 시작했으며,[9][10][11] 2018년 7월에는 특명전권공사로 승진했다.[1][2][3] 2024년 주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었다.[8]2021년 1월부터는 주이스라엘 특명전권대사로 근무했다.[12][7]
3. 기타
2020년에 외무성 본부 직원으로서는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격리 치료를 받은 뒤 같은 해에 업무에 복귀했다.[13][14][15]
4. 외무성 동기
미즈시마 고이치일본어의 외무성 동기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주요 경력 |
---|---|
아이키 토시히로 | 2021년 타지키스탄 대사 |
이소마타 아키오 | 2024년 스리랑카 대사, 2021년 아랍에미리트 대사 |
이치카와 토미코 | 2023년 군축 회의 대표부 대사 |
이토 쿄코 | 2023년 칠레 대사, 2020년 에티오피아 대사 |
이나가키 히사오 | 2023년 통가 대사 |
오스카 타케시 | 2022년 튀니지 대사, 2019년 유엔 차석 대사, 2018년 외무 보도관, 2017년 아프리카 부장 |
오모리 세츠오 | 2022년 보츠와나 대사 |
시마다 준지 | 2021년 멜버른 총영사 |
시미즈 신스케 | 2022년 특명 전권 대사 (아프리카 개발 회의(TICAD) 담당 겸 아프리카의 뿔 지역 관련 담당, 유엔 안보리 개혁 담당,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선거 담당), 2018년 튀니지 대사 |
스즈키 히데오 | 2024년 특명 전권 대사 (홍보 외교 담당 겸 국제 보건 담당, 메콩 협력 담당), 2020년 체코 대사, 2019년 국제 협력국장, 2017년 지구 규모 과제 심의관 |
스즈키 히로시 | 2022년 인도 대사, 2020년 외무 심의관, 2012년 내각총리대신 비서관 |
스즈키 료타로 | 2021년 아이슬란드 대사 |
타키자키 시게키 | 2020년 내각 관방 부장관보, 2019년 아시아 대양주 국장 |
타케우치 카즈유키 | 2022년 잠비아 대사 |
타레 히데오 | 2020년 중국 대사, 2019년 관방장관 |
나카마에 타카히로 | 2022년 스페인 대사, 2019년 아르헨티나 대사, 2017년 중남미 국장 |
하시모토 나오후미 | 2022년 특명 전권 대사 (인권 담당 겸 국제 평화 공헌 담당), 2020년 오키나와 대사, 2018년 이라크 대사 |
후쿠시마 히데오 | 2021년 파나마 대사, 2018년 휴스턴 총영사 |
마에다 토오루 | 2021년 브루나이 대사 |
미즈시마 고이치 | 2021년 이스라엘 대사, 2019년 영사국장 |
미즈코시 히데아키 | 2024년 스웨덴 대사, 2021년 스리랑카 대사, 2020년 국제 정보 총괄관 |
무토 아키라 | 2023년 러시아 대사, 2022년 외무성 연수소장 |
모리 미키오 | 2023년 뉴욕 총영사, 2021년 영사국장 |
야마모토 타케시 | 2023년 페루 대사, 2019년 과테말라 대사, 2017년 도쿄도 외무장 |
미야가와 마나부 | 2022년 오키나와 대사, 2019년 덴마크 대사 |
참조
[1]
뉴스
"イラン・日本による人権対話が実施 2月 13, 2016 20:45 Asia/Tokyo"
https://parstoday.co[...]
ParsToday
2016-02-13
[2]
외무성
"報道発表日独サイバー協議(結果)"
https://www.mofa.go.[...]
[3]
일본경제신문
官房長に垂秀夫氏 外務省
https://www.nikkei.c[...]
2019-07-02
[4]
마이니치신문
新型コロナ感染の外務省幹部が復帰 2回のPCR検査で陰性
https://mainichi.jp/[...]
2020-05-25
[5]
日テレNEWS24
外務省の領事局長が感染 邦人保護など担当
https://news.ntv.co.[...]
[6]
외무성
報道発表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感染者について
https://www.mofa.go.[...]
2020-04-10
[7]
SankeiBiz
イスラエル大使に水嶋氏 外務省領事局長は森氏
https://web.archive.[...]
2021-01-15
[8]
뉴스
駐韓大使に水嶋氏
https://sp.m.jiji.co[...]
時事通信社
2024-04-09
[9]
뉴스
"イラン・日本による人権対話が実施 2月 13, 2016 20:45 Asia/Tokyo"
https://parstoday.co[...]
ParsToday
2016-02-13
[10]
외무성
報道発表日独サイバー協議(結果)
https://www.mofa.go.[...]
[11]
니혼케이자이신문
官房長に垂秀夫氏 外務省
https://www.nikkei.c[...]
2019-07-02
[12]
SankeiBiz
イスラエル大使に水嶋氏 外務省領事局長は森氏
https://web.archive.[...]
2021-01-15
[13]
마이니치신문
新型コロナ感染の外務省幹部が復帰 2回のPCR検査で陰性
https://mainichi.jp/[...]
2020-05-25
[14]
日テレNEWS24
外務省の領事局長が感染 邦人保護など担当
https://news.ntv.co.[...]
[15]
외무성
報道発表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感染者について
https://www.mofa.go.[...]
2020-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