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꽃식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꽃식물(Cryptogamae)은 씨앗을 생성하지 않는 식물을 의미하며, "숨겨진 생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칼 린네는 식물계를 24개의 강으로 나누면서 민꽃식물을 조류, 선태류, 양치류, 균류로 분류했다. 오늘날에는 균류와 남세균이 식물계에 속하지 않아, 민꽃식물은 다계통군으로 여겨진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암호 해독 학교에서 식물학자를 채용하는 등 역사적 의의를 가지며, 현재는 과학사 및 문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꽃식물 - 양치식물
    양치식물은 석송문과 양치식물문으로 구성되며, 고사리류가 다양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뿌리, 줄기, 잎을 가지며 포자체와 배우체가 세대교번하는 관속식물이다.
  • 민꽃식물 - 지의류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 또는 시아노박테리아의 공생체로,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가지며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복합 유기체로서,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는 등 환경 변화에 민감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 식물분류학 - 장미군
    장미군은 1830년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바르틀링이 발표한 식물 분류군에서 유래한 아강으로,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17개 목, 135개 과로 분류되며, 포도목과 진정장미군으로 나뉜다.
  • 식물분류학 - 학명
    학명은 칼 폰 린네의 이명법에 따라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단어로 속명과 종소명을 조합하여 생물 종을 나타내는 공식적인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며 하나의 종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민꽃식물
개요
포자낭이 있는 양치식물
"포자낭이 있는 양치식물(Fern)"
학명Cryptogamae
한국어 명칭민꽃식물
설명꽃이나 씨앗 없이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 또는 식물과 유사한 유기체를 지칭함.
분류
포함 범위균류
조류
선태식물 (이끼류, 우산이끼류, 뿔이끼류)
양치식물
역사적 분류
린네의 분류 체계카를 폰 린네는 식물계를 24개 강(class)으로 나누었으며, 그 중 '숨겨진 결혼(Hidden Marriage)'을 의미하는 'Cryptogamia' 강에 민꽃식물을 포함시킴.
민꽃식물의 세분화
린네의 분류조류(Algae)
이끼류(Musci)
양치류(Filices)
균류(Fungi)
현대적 관점
설명'민꽃식물'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분류학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다양한 진화 계통의 유기체를 포함하는 편리한 용어로 사용됨.

2. 분류

'Cryptogamae'는 κρυπτός|크립토스grc(숨겨진)와 γαμέω|가메오grc(결혼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숨겨진 생식" 즉, 씨앗을 만들지 않는 식물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탤로파이트", "하등 식물", "포자 식물"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Cryptogamae는 씨앗을 만드는 현화식물 또는 종자식물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한때 민꽃식물은 식물계 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그룹이었다. 칼 린네 (1707–1778)는 식물계를 24개의 강으로 나누었는데,[1] 그중 하나가 'Cryptogamia'였다. 여기에는 생식 기관이 숨겨져 있는 모든 식물이 포함되었다. 린네는 Cryptogamia를 조류, 선태류(이끼류), 양치류(고사리), 균류의 네 가지 목으로 나누었다.[2] 전통적으로는 점균류남세균도 이 분류에 포함시키기도 했다.[3] 또한, 민꽃식물은 탤로파이터, 선태식물, 양치식물이라는 세 개의 아계로 분류되기도 하였다.[3]

2. 1. 현대적 분류

과거 칼 린네가 분류했던 'Cryptogamia'는 식물계 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던 그룹이었으나,[1] 현재 린네식 분류법에서의 이 분류는 폐지되었다.

오늘날에는 과거 'Cryptogamae'로 묶였던 모든 생물이 식물계의 일부로 취급되지 않는다. 특히 균류는 식물보다는 동물과 더 가까운 관계를 가지는 별도의 로 분류되며,[3] 남세균은 세균으로 분류된다.[3]

따라서 현대의 식물 계통 분류학에서 'Cryptogamae'는 분류학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하나의 그룹이 아니라, 여러 계통이 섞인 다계통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 그룹에 속했던 생물들의 이름은 여전히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 규약''에 의해 규제된다.

3. 명명

''Cryptogamae''는 그리스어 κρυπτός|크립토스grc(숨겨진)와 γαμέω|가메오grc(결혼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숨겨진 생식"을 의미한다. 이는 씨앗을 만들지 않는 식물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때때로 "탤로파이트", "하등 식물", "포자 식물"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Cryptogamae''는 현화식물 또는 종자 식물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과거에는 식물계 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그룹이었다. 칼 린네(1707–1778)는 그의 분류 체계에서 식물계를 24개의 강으로 나누었는데,[1] 그중 하나가 'Cryptogamia'였다. 여기에는 '숨겨진' 생식 기관을 가진 모든 식물이 포함되었다. 린네는 Cryptogamia를 조류, 선태류(이끼류), 양치류(고사리), 균류의 네 가지 목으로 나누었다.[2] 전통적으로는 점균류남세균도 이 그룹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었다.[3] 이러한 분류는 현재 린네식 분류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민꽃식물을 탤로파이터, 선태식물, 양치식물의 세 아계로 나누기도 했다.[3]

오늘날에는 과거 ''Cryptogamae''로 분류되었던 모든 생물이 식물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특히 균류는 식물보다는 동물과 더 가까운 관계에 있는 별도의 생물 왕국으로 분류되며, 남세균은 세균의 한 이다. 따라서 현대의 식물 계통 분류학에서 "Cryptogamae"는 분류학적으로 일관된 그룹이 아니라 여러 계통이 섞인 다계통 그룹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과거 ''Cryptogamae''에 속했던 모든 생물의 학명은 여전히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 규약''에 따라 관리된다.

4. 역사적 의의

민꽃식물(Cryptogamae|크립토가매grc, κρυπτός|크립토스grc '숨겨진' + γαμέω|가메오grc '결혼하다')은 "숨겨진 생식"을 의미하며, 씨앗을 만들지 않는 식물을 가리킨다. 과거에는 "탤로파이트", "하등 식물", "포자 식물"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도 불렸다.

민꽃식물은 현화식물 또는 종자 식물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역사적으로 민꽃식물은 식물계 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그룹이었다. 칼 린네(1707–1778)는 그의 식물 분류 체계에서 식물계를 24개의 강으로 나누었는데, 그중 하나가 '크립토가미아(Cryptogamia)'였다.[1] 이 분류에는 '숨겨진' 생식 기관을 가진 모든 식물이 포함되었다. 린네는 크립토가미아를 조류, 선태류(이끼류), 양치류(고사리류), 균류의 4개 목으로 나누었으며,[2] 전통적으로는 점균류남세균도 이 그룹에 포함시켰다.[3] 과거에는 민꽃식물을 탤로파이터, 선태식물, 양치식물의 세 아계로 나누기도 했다.[3]

하지만 이러한 분류는 현재 린네식 분류법에서 폐지되었다. 오늘날에는 민꽃식물로 분류되었던 생물 중 일부가 식물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균류는 식물보다 동물과 더 가까운 별도의 계로 분류되며, 남세균은 세균의 한 이다. 따라서 현대 식물 계통 분류학에서 'Cryptogamae'는 분류학적으로 일관된 그룹이 아닌 다계통군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꽃식물에 속했던 모든 생물의 이름은 여전히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 규약''에 의해 규제된다.

생물학적 다양성이 밝혀지고 전통적인 2계 분류법의 근거가 약해지면서, '민꽃식물'이라는 용어의 분류학적 중요성은 크게 줄어들었다. 이는 동물 분류에서 무척추동물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방식과 유사하다. 현재 이 용어는 주로 과학사 분야에서 "미나카타 쿠마구스는 은화식물 연구를 지망하여…"와 같이 역사적 맥락에서 언급되거나, 문학 작품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사진가 이자와 마사나는 이 분야의 생물들을 주요 피사체로 삼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4. 1. 제2차 세계 대전과 은화식물

외경: 한 이야기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정부 암호 및 암호 해독 학교는 지오프리 탠디(Geoffrey Tandy)를 채용했는데, 그는 지구식물 전문가였으며, 누군가가 이를 암호문과 혼동하여 블레츨리 파크에 배치했다고 한다.[4][5][6] 하지만 이 이야기는 신화에 불과하다. 탠디가 실제로 블레츨리에서 근무한 것은 사실이지만, 실수로 채용된 것은 아니었다. 당시 암호학 분야는 매우 새로운 분야였고, 따라서 다른 분야에서 교육과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을 고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7]

5. 문화적 사용

한 이야기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정부 암호 및 암호 해독 학교가 지의류 전문가인 지오프리 탠디(Geoffrey Tandy)를 암호문 전문가로 착각하여 블레츨리 파크에 채용했다는 이야기가 있다.[4][5][6]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탠디가 블레츨리 파크에서 근무한 것은 맞지만, 실수로 채용된 것은 아니었다. 당시 암호학은 매우 새로운 분야였기 때문에 다른 분야에서 교육받고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을 고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7]

생물학적으로 민꽃식물(과거에는 '은화식물'로 불림)이라는 분류는 계통 및 생태적 다양성이 밝혀지고 2계설의 근거가 희미해지면서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그 사용 방식이나 운명은 동물 분류에서 무척추동물이라는 용어와 비슷하다. 현재 생물학 관련 분야에서 이 단어는 "미나카타 쿠마구스는 은화식물 연구를 지망하여…"와 같이 과학사 분야의 기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문학 작품에서는 상징적인 의미나 소재로 종종 등장하기도 한다. 일본의 사진가 이자와 마사나는 민꽃식물 전체를 피사체로 삼아 활발하게 사진 작업을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Biology of the Rhodophyta Oliver and Boyd, Edinburgh
[2] 웹사이트 Cryptogams http://www.rbge.org.[...]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2007-07-02
[3] 서적 Cryptogamic Botany, Vol. 1 https://archive.org/[...] McGraw-Hill
[4] 뉴스 Television Tuesday Watching brief https://www.theguard[...] 2015-07-23
[5] 뉴스 Cracking the code at last of Station X 1999-01-20
[6] 뉴스 Television Review 1999-01-20
[7] 웹사이트 The Debunked Yet Interesting Myth About How Seaweed Apparently Helped Break the Enigma Code https://www.warhisto[...] 2024-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