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세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세균은 핵이 없는 원핵생물로, 틸라코이드에서 광합성을 수행한다. 세포벽은 뮤코펩티드로 구성되며,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다. 일부는 질소 고정을 통해 생태계에 기여하며,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성한다. 이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시아노비온트로서 다른 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한다. 남세균은 집단 행동을 보이며, 일부 종은 유해한 독소를 생성하여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생명공학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도 있으며, 기후 변화와도 관련이 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세균 - 스트로마톨라이트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시아노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 활동으로 형성된 층상 구조의 탄산염암으로, 지구 초기 생명체 증거로서 중요하며 선캄브리아 시대에 번성했으나, 캄브리아기 이후 감소하여 현재는 특정 극한 환경에서만 발견된다. - 남세균 - 염주말
염주말은 질소 고정 능력과 뛰어난 내성을 지닌 실 모양 군체의 생물로, 엽록체를 통한 광합성, 특수한 세포 보유, 전 세계적 분포, 생태계 기여, 식용 이용, 미관 문제, 분류학적 재편 가능성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 광영양 세균 - 녹만균류
녹만균류는 클로로플렉수스문에 속하는 외막 없는 단막 세균 무리로,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퇴적물, 온천, 하수처리장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계통학적으로 여러 강으로 세분화되어 각 강은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 광영양 세균 - 녹만균강
녹만균강은 녹황색을 띠는 광합성 세균의 심층 분기군으로, 녹만균목, 뱀실이목, Kallotenuales의 세 목으로 구성되며, 뚜렷한 카로티노이드, 퀴논, 지방산 프로필을 특징으로 한다. - 환경화학 - 부영양화
부영양화는 과도한 영양소 공급으로 수질이 악화되어 식물 성장이 과해지는 현상으로, 인간 활동으로 인해 심화되었으며 조류 대발생, 산소 고갈,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을 초래하므로 영양염류 유입 감소와 농업 및 하수 관리 개선 등 다각적인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화학 - 토양 오염
토양 오염은 유해 물질로 토지가 오염되어 인체 건강 및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정화 기술과 정책을 통해 해결하려는 환경 문제이다.
남세균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Cyanobacteria |
학명 명명자 | Stanier, 1973 |
다른 이름 | Chloroxybacteria (Margulis & Schwartz 1982) "Cyanophycota" (Parker, Schanen & Renner 1969) "Cyanophyta" (Steinecke 1931) "Diploschizophyta" (Dillon 1963) "Endoschizophyta" (Dillon 1963) "Exoschizophyta" (Dillon 1963) Gonidiophyta (Schaffner 1909) "Phycobacteria" (Cavalier-Smith 1998) Phycochromaceae (Rabenhorst 1865) Prochlorobacteria (Jeffrey 1982) Prochlorophycota (Shameel 2008) Prochlorophyta (Lewin 1976) Chroococcophyceae (Starmach 1966) Chamaesiphonophyceae (Starmach 1966) Cyanobacteriia Cyanophyceae (Sachs 1874) Cyanophyta (Steinecke 1931) Hormogoniophyceae (Starmach 1966) Myxophyceae (Wallroth 1833) Nostocophyceae (Christensen 1978) Pleurocapsophyceae (Starmach 1966) Prochlorophyceae (Lewin 1977) Scandophyceae (Vologdin 1962) Phycochromaceae (Rabenhorst 1865) Oxyphotobacteria (Gibbons & Murray 1978) Schizophyceae (Cohn 1879) |
한국어 이름 | 시아노박테리아, 남색세균, 람세균, 남조, 람조, 남색식물, 남조식물 |
영어 이름 | cyanobacteria, cyanoprokaryotes, blue-green algae, cyanophytes |
어원 | 그리스어 'κύανος (kyanos)', "파란색" |
분류 | 크로오코칼레스 크로오코키디오프시달레스 글로에오박테랄레스 노스토칼레스 오실라토리아레스 플레우로캅살레스 스피룰리날레스 시네코코칼레스 Incertae sedis †Gunflintia †Ozarkcollenia 색소체 (내생공생) |
생태 및 진화 | |
화석 범위 | (가능성 있는 고시생대 기록) |
특징 | 광합성 원핵생물 |
참고 | |
교육과정 | 2019년 현재, 고등학교 교육 지도 요령 및 ()에서는, 「시아노박테리아」가 선정되어 있다. |
2. 특징
남세균은 원핵생물로 조류에 속하며, 대부분 단세포, 군체, 실 모양의 다세포체를 이룬다. 편모는 없고 분열법, 포자법 등으로 무성 생식을 한다. 지구 역사상 최초로 광합성을 시작한 생물로, 산소 발생을 통해 지구 환경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생명체의 출현에 기여했다.[19]
남세균은 담수, 해수, 토양, 온천, 극지방 등 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지 살 수 있으며, 심지어 눈 속이나 80°C 이상의 뜨거운 온천 속에서도 발견된다.[24] 해양 에어로졸에 포함되어 전 세계를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18] 매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한다.
남세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세포 내에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의 세포 기관이 분화되어 있지 않다.
- 동화 색소로는 엽록소 a와 남조소, 홍조소 등의 피코빌린 색소를 갖고 있으며, 이 색소는 틸라코이드라는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 안이나 표면에 붙은 상태로 세포 속에 흩어져 있다.
- 광합성 결과 체내에 저장되는 동화 물질은 남조 녹말이다.
-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물질은 뮤코펩티드라는 화합물이며, 세포벽 바깥쪽에는 점질물의 층이 있다.
- 무성 생식만을 하며, 유성 생식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 생식 세포에는 편모가 없어 헤엄을 칠 수 없다.
남세균은 매우 크고 다양한 문에 속하는 광합성 원핵생물이다.[159] 온천, 고염수, 사막 및 극지방과 같은 극한 환경뿐 아니라, 더 평범한 환경에서도 널리 분포하는[20][21] 사상 남세균은 종종 미생물 매트의 상층부를 지배한다. 일부 종은 질소 고정을 하며 다양한 습한 토양과 물에서 자유롭게 또는 식물이나 지의류를 형성하는 균류와 공생 관계를 유지한다.[23]
남세균은 전 세계적인 생지화학적 순환에 주요 기여를 하는[125] 광합성 원핵생물이며, 유일한 산소 발생 광합성 원핵생물이다.[24] 플랑크톤성 남세균은 해양 먹이 그물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며, 전 세계적인 탄소 순환과 질소 순환 흐름에 주요 기여를 한다.[25][26]
남세균은 단세포성, 군체성, 사상성 종이 있다.[285][286][287][288][289][290]
- '''단세포성''' (unicellular): 몸이 1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의 형태는 구형이나 간상인 것이 많고(예: , ), 또한 이극성(heteropolarity; 기단과 선단에서 형태가 다름)을 나타내는 종도 있다(예: ).
- '''군체성''' (colonial): 몸이 복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만, 세포가 밀접하지 않고, 세포 분화가 보이지 않는 등 다세포라고 부르기 어려운 것이다. 군체 전체의 형태는 다양하다(부정형, 구형, 다면체, 시트 모양, 끈 모양 등).
- '''사상성''' (filamentous): 세포가 밀접하여 열을 이루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사상성 남세균에서 세포 열을 '''트리콤'''(세포사 trichome), 1개에서 복수의 트리콤이 공통의 외피에 싸인 것을 '''사상체''' (filament)라고 부른다.
2. 1. 구조
남세균은 세균류와 마찬가지로 핵이 없는 원핵생물이지만, 세포 내에 DNA를 가지며, 틸라코이드라는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에서 광합성을 수행한다. 세포벽은 뮤코펩티드로 구성되며, 바깥쪽에는 점질물 층이 있다.[289]남세균의 세포는 지름 1 마이크로미터(µm) 이하인 경우도 있지만, 원핵생물로서는 대형인 것이 많아, 지름 100 µ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전형적인 그람 음성 세균(대장균 등)과 마찬가지로 남세균의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 층'''(peptideglycan layer)과 그 바깥쪽을 덮는 '''외막'''(outer membrane)으로 구성된다.[294] 펩티도글리칸 층은 아미노당인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N-아세틸무라민산이 교대로 연결된 당쇄가 올리고펩티드로 가교된 물질인 펩티도글리칸(무레인 murein)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세균의 펩티도글리칸 층은 일반적인 그람 음성 세균에 비해 두꺼운 경우가 많고(12–700 나노미터(nm)), 또한 올리고펩티드의 가교가 많다(그람 양성 세균적인 특징).[294] 펩티도글리칸 층이 존재하는 세포막과 외막 사이의 공간을 페리플라즘(periplasm)이라고 한다. 외막은 세포막과 마찬가지로 지질 이중층이지만, 바깥쪽 층에는 당쇄가 결합된 지질(리포다당류 lipopolysaccharide, LPS)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그람 음성 세균에서는 리포다당류가 독이 될 수 있으며(내독소), 남세균이 갖는 외막의 리포다당류에도 그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295]
사상 남세균의 트리콤에서는 세포열이 공통 외막에 싸여 있으며, 또한 펩티도글리칸 층을 공유하고 있다.[292] 세포 사이에는 펩티도글리칸 층을 관통하여 인접한 세포의 세포막끼리 연결하는 구조인 셉토솜(septosome, 격벽 결합 septal junction, 미세 원형질 연락 microplasmodesmata)이 다수 존재한다.[292][296][297] 셉토솜은 길이가 25 nm, 외경 15 nm, 내경 6 nm 정도이며, 아마도 세포 간 저분자 물질 수송에 관여하고 있다.[298]
외막 바깥쪽에는 결정성 당단백질로 이루어진 층이 존재할 수 있으며, S층(surface layer, S-layer)이라고 한다.[299][300][301] 이러한 당단백질 층은 세포 보호, 물질 투과, 부착, 인식, 운동, 포식 방어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세포는 단백질이나 세포외 다당류(exopolysaccharide)로 이루어진 '''세포외 고분자 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에 의해 덮여 있는 경우가 있다.[294][302][303] 세포외 고분자 물질은 그 두께나 형태, 성상에 따라 鞘(sheath; 얇고 치밀하며 광학 현미경 하에서 명확한 구조), 캡슐 (capsule; 두껍고 균질하며 윤곽이 명확한 구조), 점액질 (slime; 세포에 따른 형태를 보이지 않는 불확정형 구조)이라고 한다.[304][305] 다수의 개체가 세포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 기질에 싸여 군체나 바이오필름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외피는 무기 영양분의 저장, 건조 내성, 자외선 내성, 부력 증대, 포식 방어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03][306][307][308] 세포외 고분자 물질에 포함된 자외선 흡수 색소로 스키토네민(scytonemin)[309]과 글로에오캡신(gloeocapsin)[310], 마이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 (mycosporine-like amino acid, MAA)[311]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세포외피가 석회화(탄산 칼슘이 침착)되는 경우가 있으며, 아마도 광합성에서의 이산화 탄소 농축 기구와 관련이 있다.[312] 이러한 석회화에 의해 스트로마톨라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313]
3. 분류학
현재 알려져 있는 남세균은 약 150속 2,000종이다. 이들은 바닷물이나 민물뿐만 아니라 토양 속, 나무 줄기 위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심지어 눈 속이나 80°C 이상의 온천에서도 발견될 정도로, 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생존할 수 있다. 특이하게도 같은 종류가 한대, 온대, 열대 지역에 모두 분포하는 경우도 있다.[225][226][227]
남세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세포 내에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의 세포 기관이 분화되어 있지 않다.
- 엽록소 a와 남조소, 홍조소 등의 피코빌린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한다.
- 광합성 결과 생성되는 저장 물질은 남조 녹말이다.
- 세포벽은 뮤코펩티드라는 화합물로 구성되며, 세포벽 바깥쪽에는 점액질 층이 있다.
- 무성 생식만 하며, 유성 생식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생식 세포에 편모가 없어 헤엄칠 수 없다.
남세균은 전통적으로 체제(몸의 구조)에 따라 몇 개의 목(Order)으로 구분되어 왔다.
- 남구슬말목(Chroococcales) 또는 소구체목
- Chroococcidiopsidales
- Gloeobacterales
- 구슬말목(Nostocales) 또는 줄구슬말목, 염주말목
- 흔들말목(Oscillatoriales)
- 플레우로캅사목(Pleurocapsales) 또는 굳은막말목
- Spirulinales
- Synechococcales
하지만,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위의 전통적인 분류군 대부분은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다. 특히 단세포성과 사상성 사이에서는 빈번한 진화가 일어났다고 추정된다.
최근에는 16S rRNA 기반의 LTP와 GTDB 등의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남세균의 분류 체계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남세균의 분류 체계는 아직 과도기적 상황에 있으며, 형태 형질 및 분자 정보에 기반한 새로운 분류 체계가 계속해서 제안되고 있다.
3. 1. 하위 분류
남세균의 하위 분류는 전통적으로 체제(몸의 구조)에 따라 여러 목(Order)으로 구분되어 왔다. 그러나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이러한 분류군의 대부분은 여러 계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단세포성과 사상성 사이에서 빈번한 진화가 일어났다고 추정된다.2019년 현재, 남세균의 분류 체계는 과도기적 상황에 있다. 분자 계통 분석이 이루어진 남세균은 아직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아래는 형태 형질 및 분자 정보에 기반한 Komárek et al. (2014)의 분류 체계(목 수준)에 이후 보고된 글로에오말가리타목을 추가한 것이다.
남세균의 분류에서는 속(Genus) 수준에서도 비단일계통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525] 이러한 속의 일부는 게놈 수준의 분자 계통 분석에 기반하여 다수의 속으로 세분화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521][526]
4. 형태
남세균은 단세포, 사상, 군체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사상 형태는 이형세포 (질소 고정), 아키네트 (휴면 단계 세포), 호르모고니아 (생식성, 운동성 사상)와 같은 기능적 세포 분화를 나타낸다.[43][44][45][125]
• 비-이형세포: (c) ''Arthrospira maxima''
• 가짜 또는 비분지 이형세포: (f) ''Nostoc''
• 진정한 분지 이형세포: (h) ''Stigonema''
많은 남세균은 호르모고니아라고 불리는 운동성 세포 사상을 형성한다.[46][47] 호르모고니아는 주된 생물량에서 떨어져 나와 새로운 군체를 형성한다.[46][47] 호르모고니아의 세포는 종종 영양 상태보다 더 얇으며, 운동성 사슬의 양쪽 끝에 있는 세포는 가늘어질 수 있다. 모체 군체에서 떨어져 나오기 위해 호르모고니아는 종종 사상의 약한 세포(네크리듐)를 찢어야 한다.
일부 사상 종은 여러 가지 다른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다.
- 영양 세포 - 유리한 성장 조건에서 형성되는 정상적인 광합성 세포
- 아키네트 - 환경 조건이 악화될 때 형성될 수 있는 기후 저항성 포자
- 두꺼운 벽 이형세포 - 질소 고정에 필수적인 효소 질소 고정 효소를 포함한다.[49][50][51] 산소에 대한 민감성으로 인해 혐기성 환경에서[51] 생성된다.
각 개별 세포 (각 단일 남세균)는 일반적으로 두껍고 젤라틴질 세포벽을 가지고 있다.[52] 편모가 없지만, 일부 종의 호르모고니아는 표면을 따라 활주하여 이동할 수 있다.[53] 물 기둥에서 일부 남세균은 기포를 형성하여 부유하며, 이는 고세균에서도 볼 수 있다.[54] 이러한 소포는 세포 소기관이 아니며, 지질 막이 아닌 단백질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
남세균은 단세포성, 군체성, 사상성 종이 있다.[285][286][287][288][289][290]
- '''단세포성''' (unicellular): 몸이 1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의 형태는 구형이나 간상인 것이 많고(예: Synechococcus, Synechocystis), 또한 이극성(heteropolarity; 기단과 선단에서 형태가 다름)을 나타내는 종도 있다(예: Chamaesiphon).[289]
- '''군체성''' (colonial): 몸이 복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만, 세포가 밀접하지 않고, 세포 분화가 보이지 않는 등 다세포라고 부르기 어려운 것이다(명확한 정의는 어렵다). 군체 전체의 형태는 다양하다(부정형, 구형, 다면체, 시트 모양, 끈 모양 등).[289] 또한 군체 양식으로는, 다수의 세포가 공통의 점액질에 싸인 팔메라상 군체(palmelloid colony; 예: Aphanocapsa)가 많지만, 그 외에도 세포가 밀착하여 덩어리 모양이 되는 사르시나상 군체(sarcinoid colony; 예: Cyanosarcina)나, 분기하는 점액질 자루의 선단에 각각 세포가 위치하는 수지상 군체(dendroid colony) 등이 있다.[289]
- '''사상성''' (filamentous):
세포가 밀접하여 열을 이루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사상성 남세균에서 세포 열을 '''트리콤'''(세포사 trichome), 1개에서 복수의 트리콤이 공통의 외피에 싸인 것을 '''사상체''' (filament)라고 부른다.[290] 또한 다수의 트리콤이 공통의 점액질로 싸인 거시적인 군체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예: 넷주모속). 세포가 '''단열''' (uniseriate)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많지만, '''다열''' (multiseriate)로 배열되어 있는 것도 있다(예: 스티고네마속 Stigonema). 트리콤 말단의 세포는 보통 다른 세포와는 약간 다른 형태를 하고 있으며, 특히 선단이 비후되어 있는 경우는 칼립트라(정관 calyptra)라고 불린다. 일부 종에서는, 트리콤이 이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히게모속(Rivularia) 등에서는, 트리콤의 기부에 이질세포가 존재하고, 트리콤 선단의 세포가 가늘고 길게 뻗어 있다. 이 경우, 기부의 이질세포에서 질소 고정, 정단부에서 인 흡수를 한다.[291] (즉, 세포 간에 형태 분화와 함께 기능 분화를 나타낸다). 트리콤은 '''무분지''' (unbranching)인 것이 많지만, 일부는 위분지 또는 진분지를 한다.[290] '''위분지''' (false branching)는, 트리콤의 도중이 단절되어(보통 세포사), 그 일단 또는 양단이 세포 열에서 벗어나 신장함으로써 형성된 분지 모양의 구조를 말한다. 한편, '''진분지''' (true branching)는, 트리콤을 구성하는 세포가 2방향 이상으로 분열함으로써 형성된 분지이다. 분지하는 종 중에는, 포복사과 직립사의 분화 등의 이사성 (heterotrichous)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예: Fischerella). 사상성 남세균은, 종종 세포 분화(선단의 세포, 이사성, 이질세포나 아키네트 등)나 세포사을 동반하는 형태 형성(위분지, 연쇄체 형성 등), 세포 간의 연락(페리플라즘의 공유나 셉토솜)을 나타내, 원핵생물이기는 하지만 진정한 다세포체라고 할 수 있는 몸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292][293]
5. 질소 고정
일부 남세균은 이형세포라는 특수한 세포를 통해 혐기성 조건에서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할 수 있다.[50][51] 이형세포는 고정 질소가 부족할 때 적절한 환경 조건(무산소)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형세포를 형성하는 종은 질소 고정에 특화되어 있으며, 질소 가스를 암모니아(NH3), 아질산염(NO2-) 또는 질산염(NO3-)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식물이 흡수하여 단백질과 핵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대기 중의 질소는 내생 공생 질소 고정 세균을 가진 식물, 특히 콩과를 포함한 일부 식물을 제외하고는 식물에게 생물학적 이용 가능하지 않다).
자유 생활 남세균은 논의 물에 존재하며, 남세균은 녹조류인 ''차라''의 표면에서 착생식물로 자라면서 질소를 고정할 수 있다.[55] ''아나바에나''(수생 고사리 ''아졸라''의 공생체)와 같은 남세균은 바이오비료를 벼 재배지에 공급할 수 있다.[56]
6. 광합성
남세균은 지구 역사상 최초로 광합성을 시작한 생물이다. 이들은 이산화 탄소, 메테인과 같은 온실 기체를 이용하여 산소를 만들어 냈다. 남세균의 광합성은 지금도 바다에 산소를 공급하고 있으며, 대기 산소 농도를 급증시켜 오존층을 형성하고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해상 생물이 육상 생물로 진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76]
6. 1. 탄소 고정
남세균은 햇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한다. 광합성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로부터 유기 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이다. 남세균은 수생 생물이기 때문에, 무기 탄소 (이산화 탄소(CO2) 또는 탄산수소염)를 얻기 위해 "탄소 고정 기작"이라고 불리는 여러 전략을 사용한다.[58] 이 중 하나는 카르복시솜이라는 세균 미세 구획을 이용하는 것이다.[59] 카르복시솜은 세포질 내에 탄산수소염을 축적하기 위해 CO2 및 탄산수소염의 활성 수송체와 협력한다.[59] 카르복시솜은 지름이 수백 나노미터에 달하는 케이지 형태의 구조로, 육량체 껍질 단백질로 구성된 정이십면체 구조이다. 이 구조는 CO2 고정 효소인 RuBisCO와 탄산 탈수 효소를 껍질 내부에 고정시켜, 대사 채널링을 통해 국소 CO2 농도를 높여 RuBisCO 효소의 효율을 높인다.[60]6. 2. 전자 전달
남세균의 틸라코이드 막은 세포질 막과 분리되어 있으며, 피코빌리솜이라는 광수확 복합체가 부착되어 있어 광합성 효율을 높인다.[61][62] 광합성과 호흡은 틸라코이드 막에서 함께 일어나며, 전자 전달 사슬을 공유한다.[64] 물에서 유래된 고에너지 전자의 대부분은 남세균 세포 자체에서 사용되지만, 일부는 전기 발생 활동을 통해 외부 환경으로 기증될 수 있다.[63]6. 2. 1. 전자 전달 사슬
남세균의 광합성은 광계 II와 I (Z-scheme)의 활동을 결합하여 물을 산화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66] 단일 광계를 사용하는 녹황세균과는 달리, 물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는 것은 두 개의 광계를 필요로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크다.[66]틸라코이드 막에 부착된 피코빌리소마는 광계의 빛-수확 복합체 역할을 한다.[67] 피코빌리소마를 구성하는 피코빌리단백질은 대부분의 남세균에서 나타나는 청록색 색소의 원인이 된다.[68] 이러한 색소 외에도 세포에 적갈색을 부여하는 카로티노이드와 피코에리트린이 존재한다. 일부 남세균은 빛의 색상에 따라 피코빌리소마의 구성을 변화시키기도 한다.[69][70] 예를 들어 녹색광에서는 녹색광을 흡수하는 피코에리트린을 더 많이 축적하고, 적색광에서는 적색광을 흡수하는 피코시아닌을 더 많이 생성한다. 이러한 "보색 색소 적응" 과정을 통해 세포는 광합성에 사용 가능한 빛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71]
소수의 속은 피코빌리소마 대신 클로로필 b를 갖는다. (''프로클로론'', ''프로클로로코쿠스'', ''Prochlorothrix'') 이들은 한때 프로클로로파이트 또는 클로록시박테리아로 분류되었으나, 여러 다른 남세균 계통에서 진화한 것으로 밝혀져 현재는 남세균 그룹에 포함된다.[72][73]
6. 2. 2. 대사
남세균은 햇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한다. 광합성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로부터 유기 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이다. 남세균은 물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하고 산소를 생성하지만, 일부는 황화 수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74]이산화 탄소는 캘빈 회로를 통해 환원되어 탄수화물을 형성한다.[75] 대기 중의 많은 양의 산소는 고대 남세균의 활동에 의해 처음 생성된 것으로 여겨진다.[76] 남세균의 광합성으로 인해 지금도 바다에 산소를 공급하고 있으며, 대기 산소 농도를 급증시켜 오존층을 형성하고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해상 생물이 육상 생물로 진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남세균은 수생 생물이므로, 무기 탄소([
호흡은 남세균에서 광합성과 함께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64] 광합성 전자 전달 사슬은 호흡 전자 전달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획을 공유한다. 광합성의 목표가 CO2로부터 탄수화물을 만들어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라면, 호흡은 그 반대이며, 탄수화물이 다시 CO2로 변환되면서 에너지가 방출된다.
남세균은 호흡 사슬의 구성 요소만 포함하는 원형질막과 호흡 및 광합성 전자 전달 사슬이 상호 연결된 틸라코이드 막을 사용하여 이 두 과정을 분리하는 것으로 보인다.[64] 남세균은 호흡을 위해 숙신산 탈수소 효소에서 나온 전자를 NADPH 대신 사용한다.[64] 남세균은 빛을 받고 있는 동안 전자 전달에 사용되는 설비가 광합성을 위해 반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밤(또는 어둠 속) 동안에만 호흡한다.[65]
대부분의 남세균은 호기성 세포 호흡 조건에서 질소와 이산화탄소를 환원할 수 있으며, 이는 진화적 및 생태적 성공의 원인일 수 있다. 물을 산화시키는 광합성은 광계 (PS) II와 I (Z-scheme)의 활동을 결합하여 수행된다. 단일 광계를 사용하는 녹황세균과는 대조적으로, 물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는 것은 두 개의 광계를 필요로 하므로 에너지적으로 부담이 된다.[66]
틸라코이드 막에 부착된 피코빌리소마는 광계의 빛-수확 복합체 역할을 한다.[67] 피코빌리소마 구성 요소 (피코빌리단백질)는 대부분의 남세균의 청록색 색소를 담당한다.[68] 이러한 변이는 주로 세포에 적갈색 색상을 부여하는 카로티노이드와 피코에리트린 때문이다. 일부 남세균에서 빛의 색상은 피코빌리소마의 구성을 변경한다.[69][70] 녹색광에서는 녹색광을 흡수하는 피코에리트린을 더 많이 축적하고, 적색광에서는 적색광을 흡수하는 피코시아닌을 더 많이 생성한다. 따라서 이 박테리아는 녹색광이나 적색광에 노출되는지에 따라 벽돌색에서 밝은 청록색으로 변할 수 있다.[71] 이러한 "보색 색소 적응" 과정은 세포가 광합성에 사용 가능한 빛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이다.
소수의 속은 피코빌리소마가 없고 대신 클로로필 b를 가지고 있다. (''프로클로론'', ''프로클로로코쿠스'', ''Prochlorothrix''). 이들은 원래 프로클로로파이트 또는 클로록시박테리아로 함께 묶였지만, 여러 다른 남세균 계통에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남세균 그룹의 일부로 간주된다.[72][73]
남세균의 탄소 대사에는 불완전한 크레브스 회로[78], 오탄당 인산 경로, 그리고 당 분해가 포함된다.[79] 일부 그룹은 종속 영양 성장이 가능하며,[80] 다른 그룹은 기생하며 무척추동물이나 조류에서 질병을 일으킨다(예: 흑색 띠 질병).[81][82][83]
7. 생태
남세균은 해양, 담수, 습한 토양, 사막, 극지방 등 거의 모든 환경에서 서식한다.[85] 플랑크톤 세포로 존재하거나 광합성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며, 일부는 다른 생물과 공생 관계를 유지한다.[85] 특히, 수생 남세균은 조류 번식(algal bloom)을 일으켜 수질 오염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87] 남세균의 성장은 잔잔하고 따뜻한 물에서 활발하며,[88] 높은 온도와 부영양화는 유해 남조류 대발생(녹조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88]
남세균은 매우 크고 다양한 문에 속하는 광합성 원핵생물이다.[19] 이들은 독특한 생물학적 색소 조합과 산소 발생 광합성을 수행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19] 종종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군체 집합체에 살기도 한다.[159] 특히 사상 남세균은 온천, 고염수, 사막 및 극지방과 같은 극한 환경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환경에서도 널리 분포한다.[20][21] 일부 종은 질소 고정을 하며 다양한 습한 토양과 물에서 자유롭게 또는 식물이나 지의류를 형성하는 균류와 공생 관계를 유지한다.[23]
남세균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전 세계적인 생지화학적 순환에 주요 기여를 한다.[125] 이들은 유일한 산소 발생 광합성 원핵생물이며, 다양하고 극한 환경에서 번성한다.[24]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 중 하나이며, 화석 기록은 최소 21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71] 플랑크톤성 남세균은 해양 먹이 그물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며, 전 세계적인 탄소 순환과 질소 순환 흐름에 주요 기여를 한다.[25][26] 일부 남세균은 유해 조류 번식을 형성하여 수생 생태계 서비스의 교란을 일으키고, 마이크로시스틴, 삭시톡신, 실린드로스퍼몹신과 같은 강력한 독소(시아노톡신)를 생성하여 야생 동물과 인간을 중독시킨다.[27][28] 오늘날 남세균 번식은 수생 환경과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120][125]
해양 환경에서 남세균은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양 식물 플랑크톤의 일부로서 현재 지구 전체 1차 생산량의 거의 절반을 기여한다.[29] 전 세계 해양 1차 생산량의 약 25%는 남세균에 의해 기여된다.[30]
남세균 내에서, ''Crocosphaera''와 친척, 남세균 UCYN-A, ''Trichodesmium'', ''Prochlorococcus'', ''Synechococcus''와 같은 몇몇 계통만이 넓은 바다에 서식한다.[31][32][33][34] 질소 고정 남세균은 질소 가스를 암모늄으로 변환하여 해양 1차 생산성과 심해로의 유기 탄소 수출을 통제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암모늄은 나중에 아미노산과 단백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해양 피코남세균(''Prochlorococcus''와 ''Synechococcus'')은 현대 해양의 대부분의 식물 플랑크톤 집합체에서 수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며, 1차 생산성에 중요하게 기여한다.[33][34][35] 일부 플랑크톤성 남세균은 단세포이며 자유 생활 세포(예: ''Crocosphaera'', ''Prochlorococcus'', ''Synechococcus'')이지만, 다른 것들은 햅토조류, 예를 들어 코콜리소포어와 공생 관계를 맺고 있다.[32]
해양 남세균은 가장 작은 광합성 유기체를 포함한다. 가장 작은 것 중 하나인 ''Prochlorococcus''는 폭이 0.5µm~0.8µm에 불과하다.[39] 개체 수 측면에서, ''Prochlorococcus''는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속일 가능성이 있다. 표면 해수 1밀리리터는 이 속의 세포 100,000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여러 옥틸리언(1027, 100경) 개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0] ''Prochlorococcus''는 위도 40°N과 40°S 사이에서 어디에나 존재하며, 해양의 빈영양(영양분이 부족한) 지역에서 우세하다.[41] 이 박테리아는 지구 대기 중 산소의 약 20%를 차지한다.[42]
남세균은 육상 서식지와 유기체 군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세균 토양 피막은 침식을 방지하고 물을 유지하기 위해 토양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었다.[91]
7. 1. 시아노비온트 (Cyanobionts)
일부 남세균은 시아노비온트(남세균 공생체)라고 불리며, 다른 유기체와 공생 관계를 맺는다.[109] 남세균은 육상 식물과 공생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많은 예가 있다.[97][98][99][100] 남세균은 기공을 통해 식물로 들어가 세포 간 공간을 식민지화하여 고리와 세포 내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101] ''Anabaena'' spp.는 밀과 목화 식물의 뿌리를 식민지화한다.[102][103][104] ''Calothrix'' sp.는 밀의 뿌리 계통에서도 발견되었다.[103][104] 밀과 벼와 같은 외떡잎식물은 ''Nostoc'' spp.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105][106][107][108] 1991년 Ganther 등은 식물 뿌리와 토양에서 ''Nostoc'', ''Anabaena'' 및 ''Cylindrospermum''을 포함한 다양한 이형세포 질소 고정 남세균을 분리했다. 밀 묘목 뿌리 평가 결과 ''Anabaena''에 의한 뿌리털의 느슨한 식민지화와 ''Nostoc''에 의한 제한된 구역 내 뿌리 표면의 긴밀한 식민지화의 두 가지 유형의 연관 패턴이 나타났다.[105][96]
(a) ''O. magnificus''는 띠(cingulum)의 위쪽과 아래쪽 목록(검은색 화살표)에 많은 시아노비온트가 존재하며, 이는 공생 챔버로 불립니다.
(b) 공생 챔버에 많은 시아노비온트가 서식하는 ''O. steinii''.
(c) (b)의 영역을 확대한 것으로, 이분 횡분열(흰색 화살표)에 의해 분열되는 두 개의 시아노비온트가 보입니다.

시아노비온트(남세균 공생체)와 원생생물 숙주 간의 관계는 특히 주목할 만하며, 일부 질소 고정 남세균(디아조트로프)은 질소가 제한된 빈영양 해양에서 해양 1차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10][111][112] 남세균은 주로 피코 크기의 ''Synechococcus''와 ''Prochlorococcus''이며, 어디에나 존재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광합성 유기체로, 해양 생태계에서 고정된 모든 탄소의 4분의 1을 차지한다.[35][113][41] 자유 생활 해양 남세균과 달리, 일부 시아노비온트는 숙주에서 탄소 고정보다는 질소 고정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4][115] 그러나 대부분의 시아노비온트의 생리적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시아노비온트는 와편모조류, 종벌레, 방사충, 아메바, 규조류, 갈조류를 포함한 수많은 원생생물 그룹에서 발견되었다.[116][117] 이 시아노비온트 중에서, 특히 와편모조류 숙주와 관련된 공생의 특성(예: 유전적 다양성, 숙주 또는 시아노비온트 특이성, 시아노비온트 계절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109] 질소는 단백질과 핵산의 원료로서 모든 생물에게 필수적인 원소이다. 질소는 질소 분자 형태(N2)로 공기 중에 대량으로 존재하지만, 모든 진핵생물을 포함한 많은 생물은 질소 분자를 직접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원핵생물 중에는 질소 분자를 암모니아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며, 이 반응을 '''질소 고정'''이라 한다.[361][362][363]
7. 2. 집단 행동
일부 남세균은, 심지어 단세포 남세균조차도 놀라운 집단 행동을 보이며 물에 뜰 수 있고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하는 군집(또는 조류 대발생)을 형성한다.[118] 예를 들어, 수십억 년 전에 해양 원생대 남세균 군집은 탄소 화합물을 매장하고 대기 중에 산소가 처음 축적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생물권을 만드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119] 반면에, 유해 남세균 대발생은 그 독소가 동물에게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사회에 점점 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120] 극심한 대발생은 또한 물의 산소를 고갈시키고 햇빛의 침투와 가시성을 감소시켜 빛에 의존하는 종의 먹이 섭취와 짝짓기 행동을 손상시킬 수 있다.[118]
오른쪽 그림에 표시된 것처럼, 박테리아는 개별 세포로 부유 상태를 유지하거나, 표면에 집단적으로 부착되어 생물막을 형성하거나, 수동적으로 침전되거나, 응집하여 부유하는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남세균은 부유하는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황산화된 다당류 (세포 덩어리를 둘러싼 노란색 헤이즈)를 생성할 수 있다. 2021년, 마에다 등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남세균이 생성한 산소는 다당류와 세포 네트워크에 갇혀 미생물이 부유성 대발생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121] 섬모 (세포에서 방사되는 선으로 표현됨)로 알려진 특정 단백질 섬유가 세포를 서로 또는 표면에 연결하는 추가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일부 남세균은 또한 정교한 세포내 가스 소포를 부유 보조제로 사용한다.[118]


왼쪽 위의 그림은 미생물 분포, 공간적 조직, 응집체와 인접 영역에서 탄소 및 O2 순환에 대한 제안된 모델을 보여준다. (a) 응집체는 더 조밀한 남세균 필라멘트와 종속 영양 미생물을 포함한다. 밀도의 초기 차이는 남세균의 운동성에 달려 있으며 짧은 시간 척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응집체 외부의 더 어두운 파란색은 응집체에 인접한 영역에서 더 높은 산소 농도를 나타낸다. 산화성 매체는 응집체를 떠나기 시작하는 모든 필라멘트의 반전 빈도를 증가시켜 응집체로부터의 순 이동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짧은 시간 척도에서 초기 응집체의 지속을 가능하게 한다; (b) 응집체 내 광합성과 호흡 사이의 공간적 결합. 남세균에 의해 생성된 산소는 덮여 있는 매질로 확산되거나 호기성 호흡에 사용된다. 용존 무기 탄소 (DIC)는 덮여 있는 매질에서 응집체로 확산되며, 호흡에 의해 응집체 내에서도 생성된다. 산화성 용액에서 높은 O2 농도는 CO2 고정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글리콜산의 배출을 초래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응집은 탄소의 유지와 응집체 내 남세균에 의한 무기 탄소의 동화를 자극하면 남세균에게 유익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응집체에서 입자상 유기 탄소 (세포, 시스 및 종속 영양 유기체)의 축적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122]
남세균이 왜, 어떻게 군집을 형성하는지는 불분명했다. 응집은 일반적으로 다량의 세포외 물질을 생성하므로 더 많은 남세균을 만드는 핵심 활동에서 자원을 돌려야 한다. 또한, 조밀한 응집체의 중심에 있는 세포는 음영과 영양소 부족으로 고통받을 수 있다.[123][124] 그렇다면 이 집단 생활은 남세균에게 어떤 이점을 가져다주는가?[118]

남세균이 어떻게 대발생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은 남세균 ''시네코시스티스''(Synechocystis)에 대한 2021년 연구에서 나왔다. 이들은 해양 조류와 동물 조직에서 자주 발견될 수 있는 황산염 그룹으로 수정된 설탕 분자 사슬인 황산화된 다당류의 생산 및 수출을 조절하는 유전자 세트를 사용한다. 많은 박테리아가 세포외 다당류를 생성하지만, 황산화된 다당류는 남세균에서만 관찰되었다. ''시네코시스티스''에서 이러한 황산화된 다당류는 남세균이 세포와 다당류의 끈적한 웹에 산소 방울을 가두어 부유성 응집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121][118]
''시네코시스티스''에 대한 이전 연구에 따르면 남세균의 표면을 장식하는 4형 섬모도 대발생 형성에 역할을 한다.[127][123] 이 수축 가능하고 부착성 있는 단백질 섬유는 운동성, 기질 부착 및 DNA 흡수에 중요하다.[128] 대발생의 형성은 4형 섬모와 시네칸(Synechan)이 모두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모는 다당류를 세포 외부로 수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단백질 섬유의 활동은 사상 남세균에서 세포외 다당류의 생성과 연결될 수 있다.[129] 더 명확한 답변은 섬모가 세포를 서로 또는 세포외 다당류에 결합시켜 응집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와 마찬가지로,[130] 섬모의 특정 구성 요소는 같은 종의 남세균이 서로를 인식하고 초기 접촉을 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결국 세포외 다당류 덩어리를 구축하여 안정화된다.[118]
마에다 등이 확인한 기포 부유 메커니즘은 남세균이 가스 소포를 사용하거나 탄수화물 밸러스트를 축적하는 것과 같이 부력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알려진 전략에 합류한다.[131] 4형 섬모만으로도 점성 항력을 조절하여 물기둥에서 해양 남세균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132] 세포외 다당류는 남세균에게 부유 장치에서 식품 저장, 방어 메커니즘 및 이동 보조 장치에 이르기까지 다목적 자산인 것으로 보인다.[129][118]
7. 3. 세포 사멸
남세균의 세포 사멸은 생태생리학적으로 중요한 과정이며, 다양한 스트레스 조건에서 조절된 세포 쇠퇴가 관찰된다.[125] 세포 사멸은 개체군 생존 전략, 아키네트 및 이형세포 분화와 같은 발달 과정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133][140][141][43][125]해양 및 담수 남세균의 세포 사멸에 대한 보고는 이 과정이 미생물 군집의 생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134][135][136][137] 여러 스트레스 조건에서 다양한 형태의 세포 쇠퇴가 남세균에서 관찰되었다.[138][139]

7. 4. 남세균 파지 (Cyanophages)
남세균 파지는 남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이다. 담수와 해양 환경 모두에서 발견될 수 있다.[142] 해양 및 담수 남세균 파지는 이중 가닥 DNA를 포함하는 정십이면체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커넥터 단백질에 의해 꼬리에 부착된다.[143] 머리와 꼬리의 크기는 남세균 파지 종에 따라 다르다. 다른 박테리오파지와 마찬가지로 남세균 파지는 브라운 운동에 의존하여 세균과 충돌한 다음 수용체 결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세포 표면 단백질을 인식하여 부착된다. 수축성 꼬리가 있는 바이러스는 꼬리에 있는 수용체에 의존하여 숙주 세포 표면의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을 인식한다.[144]
남세균 파지는 광범위한 남세균을 감염시키며 수생 환경에서 남세균 개체군의 주요 조절 인자이며, 담수 및 해양 생태계에서 남세균 번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번식은 특히 부영양화된 담수 호수에서 인간과 다른 동물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해양 환경에서 ''Synechococcus'' 종에 속하는 세포에서 매우 흔하며, 해양 남세균 세포에 속하는 세포의 최대 5%가 성숙한 파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5]
최초의 남세균 파지인 LPP-1은 1963년에 발견되었다.[146] 남세균 파지는 박테리오파지 과 내에서 분류되며, ''Myoviridae'' (예: AS-1, N-1), ''Podoviridae'' (예: LPP-1) 및 ''Siphoviridae'' (예: S-1)에 속한다.[146]
8. 운동
오랫동안 사상 남세균은 표면 운동을 수행하며 이러한 움직임이 IV형 선모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147][129][148] 또한 해양 남세균인 ''Synechococcus''는 세균 편모와는 다른 메커니즘으로 25μm/s의 속도로 헤엄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9] 남세균 표면에서 파도가 형성되어 주변 물을 뒤로 밀어내는 것으로 생각된다.[150][151] 세포는 활공 방식으로 운동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52] 편모 운동과 관련이 없는 새롭고 특징이 없는 비광주성 수영 방식도 있다.[153]
많은 남세균 종이 활공할 수 있다. 활공은 기어다니거나 헤엄치는 것과는 다른 형태의 세포 운동으로, 뚜렷한 외부 기관이나 세포 형태의 변화에 의존하지 않으며, 기질이 있는 경우에만 발생한다.[154][155] 사상 남세균의 활공은 세포가 수화되면서 빠르게 팽창하는 젤을 배출하여 추진력을 제공하는 "점액 제트"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보이지만,[156][157] 일부 단세포 남세균은 활공을 위해 IV형 선모를 사용한다.[158][21]
남세균은 엄격한 광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 빛이 너무 적으면 에너지 생성이 불충분해질 수 있으며, 일부 종에서는 세포가 종속 영양 호흡에 의존하게 될 수 있다.[20] 빛이 너무 많으면 세포가 억제되고 광합성 효율이 감소하며 표백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UV 방사선은 남세균에 특히 치명적이며, 일반적인 태양 수준은 경우에 따라 이러한 미생물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159][160][21]
미생물 매트에서 사는 사상 남세균은 광합성을 위한 빛 요구 사항과 광손상에 대한 민감성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매트 내에서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멕시코 게레로 네그로의 과염수 벤토스 매트에서 발견되는 사상 남세균인 ''Oscillatoria'' sp.와 ''Spirulina subsalsa''는 강렬한 햇빛을 피하기 위해 낮에는 하층으로 이동한 다음 황혼에 표면으로 올라온다.[161] 반대로, 프랑스 카마르그의 과염수 매트에서 발견되는 ''Microcoleus chthonoplastes'' 개체군은 낮 동안 매트의 상층으로 이동하고 밤에는 매트를 통해 균일하게 퍼진다.[162] ''Phormidium uncinatum''을 사용한 시험관 내 실험에서도 이 종이 손상 방사선을 피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159][160] 이러한 이동은 일반적으로 일종의 광운동의 결과이지만 다른 형태의 택시스도 역할을 할 수 있다.[163][21]
광운동(입사광의 함수로서의 세포 운동의 조절)은 남세균이 환경에서 최적의 광 조건을 찾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광운동에는 광운동, 주광성 및 광 공포 반응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164][165][166][21]
광운동성 미생물은 입사광 강도에 따라 활공 속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Phormidium autumnale''의 활공 속도는 입사광 강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167][21]
주광성 미생물은 환경 내 빛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며, 양성 주광성 종은 빛과 평행하게 움직여 광원을 향하는 경향이 있다. ''Phormidium uncinatum''과 같은 종은 빛을 향해 직접 조종할 수 없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스스로를 정렬하기 위해 무작위 충돌에 의존한 후 빛을 향해 더 많이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Anabaena variabilis''와 같은 다른 종은 트리콤을 구부려 조종할 수 있다.[168][21]
마지막으로, 광공포성 미생물은 공간적 및 시간적 빛 기울기에 반응한다. 단계적 광공포 반응은 유기체가 어두운 곳에서 더 밝은 영역으로 들어가 방향을 바꾸어 밝은 빛을 피할 때 발생한다. 반대 반응인 단계적 반응은 유기체가 밝은 곳에서 어두운 영역으로 들어가 방향을 바꾸어 빛 속에 머무를 때 발생한다.[21]
9. 진화
계통 분석에 따르면, 남세균은 세균 중에서 클로로플렉수스 문, 데이노코쿠스-테르무스 문, 방선균 문, 피르미쿠테스 문 등과 가까운 관계가 있으며, 이들을 테라박테리아로 묶는 것이 제안되었다.[484][485] 남세균은 최초로 산소 발생형 광합성 능력을 획득한 생물군으로 여겨진다. 메타게놈 연구를 통해 동물의 장, 토양, 오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남세균과 가까운 비광합성 세균들(메라이나박테리아 등)이 발견되었다.[486][487][488] 이 세균들이 광합성 능력의 흔적이 없다는 점에서, 남세균의 조상은 혐기성 비광합성 생물이었으며, 유전자 수평 이동 등으로 산소 발생형 광합성 능력을 얻었다고 생각된다.[487][489]
남세균 이외의 광합성 세균은 남세균이 가진 광화학계 I 또는 광화학계 II 중 하나만 가지고 있다.[490]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물의 광분해가 일어나지 않아 비산소 발생형 광합성이 수행된다. 두 광화학계가 연결된 산소 발생형 광합성을 하는 세균은 남세균뿐이다.
남세균의 진화는 화석, 바이오마커, 분자 시계 계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널리 합의된 가설은 없다. 약 24억 년 전 지구 환경이 급격히 변화한 '''대산소화 사건'''은 광합성으로 생성된 산소가 원인으로 추정되며, 남세균은 적어도 이 시기까지는 탄생했을 것으로 보인다.[494] 그러나 대산소화 사건 이전에도 산소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어, 남세균의 탄생 시기는 논쟁 중이다.[495][496]
9. 1. 지구 역사
남세균은 지구 역사에서 최초로 광합성을 시작한 생물로 알려져 있다.[19]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화석 기록은 약 35억 년 전의 것으로, 세균류나 남세균과 비슷한 생물이었다.[172] 약 19억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은 현존하는 흔들말류와 매우 유사하다.스트로마톨라이트는 얕은 물에서 퇴적물이 생물막(미생물 매트)에 의해 포획, 결합되어 형성된 층상 구조로, 특히 남세균에 의해 만들어진다.[169] 선캄브리아 시대 동안, 미생물 스트로마톨라이트 군집은 대부분의 해양 및 비해양 환경의 광합성대에서 성장했다. 캄브리아기 대폭발 이후, 초식 동물이 스트로마톨라이트 매트를 뜯어먹으면서 해양 환경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 발생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 이후,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초식 무척추 동물이 살 수 없는 고염분 조건(예: 샤크만)에서 발견된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35억 년 전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화석 유물을 통해 지구의 고대 생명 기록을 제공한다.[170]
남세균의 가장 오래된 확실한 증거는 21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27억 년 전까지 그 증거가 있다.[171] 남세균은 35억 년 전에도 출현했을 수 있다.[172] 대기 중의 산소 농도는 24억 년 전까지 오늘날 수준의 0.001% 이하로 유지되었다(대산소화 사건).[173] 산소 증가는 대기 중 메탄 농도의 감소를 유발하여 약 24억 년 전부터 21억 년 전까지 휴로니안 빙하기를 촉발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남세균은 당시의 다른 박테리아 대부분을 죽였을 수 있다.[174]
남세균의 탄생으로 지구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였고(호기적 환경, 유기물 안정적 공급, 오존층 형성 등), 현재 지구 생태계의 기초가 다져졌다.[282][503][504]
9. 2. 광합성의 기원
산소 발생 광합성은 단 한 번, 원핵생물인 남세균에서 진화했으며, 모든 광합성 진핵생물(식물, 조류 포함)은 남세균 또는 그들과의 내부 공생을 통해 이 능력을 획득했다.[180] 즉, 호기성 생물이 호흡하는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는 대부분 남세균 또는 그 후손인 색소체에서 기원한다.[180]남세균은 시생대 후반과 원생대 대부분 동안 주요 일차 생산자였는데, 이는 해양의 산화 환원 구조가 질소 고정이 가능한 광합성 독립 영양 생물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개체 수는 이 시대 전체에 걸쳐 변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181][182] 녹조류와 홍조류와 같은 고세포생물들은 신원생대 말경 대륙붕에서 남세균을 제치고 주요 일차 생산자가 되었지만, 중생대(2억 5100만~6500만 년 전)에 와편모조류, 코코리토포리드 및 규조류와 같은 이차 광합성 독립 영양 생물이 번성하면서 해양 선반 수역에서의 일차 생산이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남세균은 해양 소용돌이의 일차 생산자, 생물학적 질소 고정의 작용제, 그리고 변형된 형태로 해양 조류의 색소체로서 해양 생태계에 여전히 중요하다.[183]
메타게놈 연구를 통해 동물의 장관, 토양, 오수, 지하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남세균과 근연 관계에 있는 비광합성 세균의 계통군(메라이나박테리아 등)이 발견되었다.[486][487][488] 이 세균들이 광합성 능력의 흔적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남세균의 조상은 혐기성 비광합성 생물이었으며, 유전자 수평 이동 등을 통해 산소 발생형 광합성 능력을 획득했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된다.[487][489]
남세균 이외의 광합성 세균은 남세균이 가진 광화학계 I 또는 광화학계 II 중 어느 한쪽에만 상동적인 광합성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490]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물의 광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며, 비산소 발생형 광합성이 수행된다. 두 개의 광화학계가 연결된 산소 발생형 광합성을 수행하는 세균은 남세균 외에는 알려져 있지 않다.
남세균의 진화는 화석 및 바이오마커, 분자 시계 계산 등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널리 합의된 가설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지질학적 증거에 따르면 약 24억 년 전에 지구의 산화적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했으며, 이를 '''대산소화 사건'''이라고 한다.[494] 이는 광합성에 의해 생성된 산소가 원인이라는 설명이 가장 유력하며, 그 때문에 남세균은 적어도 대산소화 사건까지는 탄생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대산소화 사건 이전에도 소량의 산소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여러 건 있으며, 남세균의 탄생 시기가 어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495][496]
남세균의 탄생으로 지구 환경은 격변하였고 (호기적 환경, 유기물 안정적 공급, 오존층 형성 등), 현재 지구 생태계의 기초가 다져졌다.[282][503][504] 그 후 어떤 진핵생물에 남세균이 세포 내 공생하여 엽록체(색소체)라고 불리는 세포 소기관으로 변화했다.[282][427][505] 이 현상을 '''일차 공생'''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진핵생물이 산소 발생형 광합성 능력을 획득했다.
9. 3. 엽록체의 기원
엽록체는 공생 남세균에서 진화한 세포 소기관으로, 식물과 조류에서 광합성을 담당한다.[184][185] 엽록체는 순환 염색체, 원핵생물형 리보솜, 광합성 반응 중심에서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여 남세균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203][204]공생설에 따르면, 광합성 세균이 초기 진핵생물 세포에 의해 (세포내섭취에 의해) 획득되어 최초의 식물 세포를 형성했다. 따라서 엽록체는 식물 세포 내부의 생활에 적응한 광합성 세균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와 마찬가지로 엽록체는 식물 숙주 세포의 핵 DNA 및 이 엽록체 DNA의 유전자와 별개로 자체 DNA를 가지고 있으며, 이 DNA는 남세균의 DNA와 유사하다.[205]
엽록체와 남세균 사이의 형태학적 유사성은 19세기에 독일 식물학자 안드레아스 프란츠 빌헬름 쉼퍼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191] 엽록체는 식물과 조류에서만 발견되는데,[192] 이를 통해 러시아 생물학자 콘스탄틴 메레슈코프스키가 1905년에 엽록체의 공생 기원을 제안했다.[193] 린 마굴리스는 60년 이상 후에 이 가설에 다시 주목했지만,[194] 보충 데이터가 축적되기 시작하기 전까지 이 아이디어는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엽록체의 남세균 기원은 이제 다양한 계통발생학적,[195][187][190] 유전체학적,[196] 생화학적[197][198] 및 구조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199] 남세균과 별개의 진핵생물 계통(리자리아의 ''Paulinella chromatophora'') 사이의 또 다른 독립적이고 더 최근의 일차 공생 사건에 대한 설명 또한 엽록체의 공생 기원에 신뢰성을 부여한다.[200]
일차 공생을 통해 진핵생물이 산소 발생형 광합성 능력을 획득했다. 생물의 역사에서 일차 공생은 단 한 번의 현상이었다고 여겨지며, 모든 엽록체는 단일 일차 공생에서 유래한다. 다수의 유전자를 사용한 계통 분석 결과, 일차 공생에서 공생체가 된 남세균은 글로에오마가리타속(Gloeomargarita)이라는 담수산 단세포성 남세균과 근연 관계에 있는 남세균이었음이 시사되었다.[507]
9. 4. 해양 기원
남세균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광합성 원핵생물이며, 전 세계적인 생지화학적 순환에 주요 기여를 한다.[125] 이들은 유일하게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 원핵생물이며, 다양하고 극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24] 플랑크톤성 남세균은 해양 먹이 그물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며, 전 세계적인 탄소 순환과 질소 순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5][26]남세균은 해양 환경에 널리 퍼져 있으며,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해양 식물 플랑크톤의 일부이며, 현재 지구 전체 1차 생산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29] 전 세계 해양 1차 생산량의 약 25%는 남세균에 의해 이루어진다.[30]
넓은 바다에는 ''Crocosphaera''와 그 친척, 남세균 UCYN-A, ''Trichodesmium'', ''Prochlorococcus'', ''Synechococcus'' 등 몇몇 계통의 남세균만이 서식한다.[31][32][33][34] 이 중에서 질소를 고정하는 남세균은 질소 가스를 암모늄으로 변환하여 1차 생산성과 심해로의 유기 탄소 수출을 조절하는 데 특히 중요하다. 암모늄은 이후 아미노산과 단백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해양 피코남세균 (''Prochlorococcus''와 ''Synechococcus'')은 현대 해양의 대부분의 식물 플랑크톤 군집에서 수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며, 1차 생산성에 크게 기여한다.[33][34][35] 일부 플랑크톤성 남세균은 ''Crocosphaera'', ''Prochlorococcus'', ''Synechococcus''처럼 단세포이며 자유 생활을 하지만, 다른 것들은 햅토조류(예: 코콜리소포어)와 공생 관계를 맺는다.[32] 사상 형태 중에서는 ''Trichodesmium''이 자유 생활을 하며 군집을 형성한다. 그러나 사상 헤테로시스트 형성 남세균 (예: ''Richelia'', ''Calothrix'')은 ''Hemiaulus'', ''Rhizosolenia'', ''Chaetoceros''와 같은 규조류와 함께 발견된다.[36][37][38][206]
해양 남세균은 가장 작은 광합성 유기체를 포함한다. 가장 작은 것 중 하나인 ''Prochlorococcus''는 폭이 0.5~0.8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하다.[39] ''Prochlorococcus''는 개체 수 측면에서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속일 가능성이 있다. 표면 해수 1밀리리터에는 이 속의 세포가 100,000개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여러 옥틸리언 (1027, 100경) 개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0] ''Prochlorococcus''는 위도 40°N과 40°S 사이에서 어디에나 존재하며, 해양의 빈영양 (영양분이 부족한) 지역에서 우세하다.[41] 이 박테리아는 지구 대기 중 산소의 약 20%를 생산한다.[42]
남세균은 지구의 지구화학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210][207] 플랑크톤 남세균의 기원은 선캄브리아기 말에 질소 순환과 탄소 순환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기 때문에 이들의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215]
10. 유전학
남세균은 자연적으로 유전자 형질전환이 가능하다.[220][221][222] 자연적 유전자 형질전환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래 DNA를 직접 흡수하고 통합하여 세포의 유전적 변형을 일으키는 과정이다. 세균의 형질전환이 일어나려면 수용 세균이 역능 상태여야 하는데, 이는 기아, 높은 세포 밀도, DNA 손상 물질 노출과 같은 조건에 대한 반응으로 자연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염색체 형질전환에서 상동 형질전환 DNA는 상동 재조합에 의해 수용체 게놈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DNA 손상 복구에 대한 적응으로 보인다.[223]
10. 1. DNA 복구
남세균은 활성 산소와 같이 환경적 스트레스나 내부 생성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DNA 손상을 복구하는 여러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224] 이들은 대장균과 유사한 DNA 복구 유전자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일부는 작은 게놈 내에서도 잘 보존되어 있다.[224] 상동 재조합 복구, 뉴클레오타이드 절제 복구, 메틸 지향적 DNA 미스매치 복구와 같은 핵심 DNA 복구 과정은 남세균에서 흔하게 발견된다.[224]11. 인간과의 관계
남세균은 질소 고정 능력을 가지고 있어 유기 비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개구리밥류는 잎 내부에 남세균을 공생시켜 질소를 고정하며, 이는 논의 녹비로 이용된다.[473]
남세균이 생성하는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과 세포 외피의 보수성, 자외선 방어 능력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높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74][475][476][304][477]
또한 남세균을 이용한 재생 에너지 연구도 활발하다. 유전자 변형을 통해 광합성으로 에탄올을 생산하거나,[480] 질소 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478] 남세균의 광합성을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481][482]
미국 NASA는 화성 테라포밍에 남세균을 이용하는 방안을 언급하기도 했다.[483]
11. 1. 생명공학
남세균은 유전체 연구, 바이오 연료 생산, 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생명공학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단세포 남세균 ''Synechocystis'' sp. PCC6803은 게놈이 완전히 염기서열 분석된 최초의 광합성 생물로, 중요한 모델 생물로 활용되고 있다.[240][241]최근 연구에 따르면 남세균을 사용하여 햇빛을 직접 전기로 변환하여 재생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제시되었다. 내부 광합성 경로는 외부 전극으로 전자를 전달하는 화학적 매개체와 결합될 수 있다.[246][247] 단기적으로는 조류 기반 연료, 예를 들어 경유, 휘발유, 제트 연료와 같은 연료를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63][248][249] 남세균은 에탄올을 생산하도록 엔지니어링되었으며, 한두 개의 CBB 유전자가 과발현될 때 수율이 훨씬 더 높을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타났다.[250][251][252]
남세균은 언젠가 인간에게 항염증제 역할을 하고 세균 감염과 싸울 수 있는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253] 남세균의 당과 산소의 광합성 생산은 심장 마비를 겪은 쥐에서 치료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4]
스피루리나에서 추출한 파란색은 천연 식품 착색제로 사용된다.[256]
여러 우주 기관의 연구자들은 남세균이 화성에서 인간 소비를 위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행성에서 구할 수 있는 물질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57]
11. 2. 건강 위험
일부 남세균은 시아노톡신이라고 불리는 신경독, 세포독, 내독소, 간독소 (예: 마이크로시스틴을 생성하는 세균 속 마이크로시스티스) 등을 생성할 수 있다.[262][263][264][265]아나톡신-a, 구아니톡신, 아플리시아톡신, 시아노펩토린, 실린드로스페르몹신, 도모산, ''노둘라리아''에서 생성되는 노둘라린 R, 네오삭시톡신, 삭시톡신 등이 시아노톡신의 예시이다. 남세균은 특정 조건에서 급격하게 번식하여 조류 번식을 일으키는데, 이는 다른 종에게 유해할 수 있다. 특히 남세균이 독소를 생성하는 경우 인간과 동물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인간 중독 사례도 여러 건 기록되었다. 그러나 관련 지식 부족으로 인해 위험을 정확하게 평가하기는 어렵다.[262][263][264][265] 애버딘 로버트 고든 대학교의 린다 로튼과 에든버러 왕립 학회 회원(FRSE) 등은 30년 동안 이 현상과 수질 안전 개선 방법을 연구해왔다.[266]
최근 연구에 따르면 BMAA와 같은 독소를 생성하는 남세균에 많이 노출되면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남세균에 오염된 호수 반 마일 이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나머지 인구보다 ALS 발병 위험이 2.3배 더 높았으며, 뉴햄프셔주의 마스코마 호수 주변 사람들은 예상 발병률보다 최대 25배 더 높은 ALS 발병 위험을 보였다.[267] 걸프전 참전 용사들의 ALS 발병률 증가는 카타르 전역에서 발견되는 사막 지각의 BMAA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63][268]
11. 3. 화학적 제어
차아염소산 칼슘, 황산구리(II), 큐프라이드(킬레이트 구리), 시마진을 포함한 여러 화학 물질을 이용하여 수영장과 같은 소규모 수계 시스템에서 남세균 번식을 제거할 수 있다.[269] 차아염소산 칼슘의 필요량은 남세균 번식의 정도에 따라 다르며, 주기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호주 농업부에 따르면, 물 1000L당 70% 물질 12g의 비율이 번식 처리에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269] 황산구리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가축, 갑각류 및 어류를 죽이기 때문에 호주 농업부에서는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다.[269] 큐프라이드는 황산구리보다 독성 위험이 낮은 킬레이트 구리 제품으로 번식을 제거한다. 권장 복용량은 1000m2당 190ml에서 4.8L까지 다양하다.[269] 50mg/L의 비율로 철 명반 처리를 하면 조류 번식이 감소한다.[269][270] 제초제이기도 한 시마진은 살포 후 며칠 동안 번식을 계속 죽인다. 시마진은 다양한 농도(25, 50, 90%)로 판매되며, 제품별로 물 1 세제곱 미터당 권장량은 25% 제품 8ml, 50% 제품 4ml 또는 90% 제품 2.2ml이다.[269]11. 4. 기후 변화
기후 변화는 부영양화된 호수, 저수지 및 강어귀에서 남세균 번성의 빈도, 강도, 지속 시간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271][120] 번식성 남세균은 다양한 신경독소, 간독소, 피부독소를 생성하며, 이는 조류와 포유류 (물새, 소, 개 포함)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며, 레크리에이션, 식수 생산, 농업 관개 및 어업에 사용되는 물을 위협한다.[120] 유해 남세균은 타이호 (중국), 이리호 (미국), 오키초비 호 (미국), 빅토리아호 (아프리카), 발트해 등에서 주요 수질 문제를 일으켰다.[120][272][273][274]기후 변화는 직접적, 간접적으로 남세균 번성을 촉진한다.[120] 많은 번식성 남세균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잘 성장한다.[275] 호수와 저수지의 열 성층화 증가는 부유성 남세균이 위로 떠올라 밀집된 표면 번성을 형성하게 하며, 이는 빛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부유하지 않은 식물성 플랑크톤 유기체보다 선택적 이점을 제공한다.[276][88] 여름철 장기간 가뭄은 저수지, 강, 강어귀의 물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정체되고 따뜻한 물은 남세균 번성 발달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한다.[277][274]
유해 남세균 속 ''Microcystis''가 높아진 이산화탄소(CO2) 수준에 적응하는 능력은 실험실 및 현장 실험에서 모두 입증되었다.[278] ''Microcystis'' 종(spp.)은 CO2와 중탄산염(HCO3-)를 흡수하여 무기 탄소를 카르복시솜에 축적하며, 균주의 경쟁력은 무기 탄소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기후 변화와 증가된 CO2 수준은 남세균 번성의 균주 구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278][274]
참조
[1]
논문
Taxonomic classification of cyanoprokaryotes (cyanobacterial genera) 2014, using a polyphasic approach
https://preslia.cz/P[...]
[2]
논문
Cyanophyceae
https://accessscienc[...]
McGraw Hill Education
2011-04-21
[3]
논문
A proposal for further integration of the cyanobacteria under the Bacteriological Code
2004-09
[4]
논문
UV-protectants in cyanobacteria
[5]
문서
cyan
2018-01-21
[6]
문서
κύανος
2018-01-21
[7]
웹사이트
Life History and Ecology of Cyanobacteria
https://ucmp.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12-07-17
[8]
웹사이트
Taxonomy Browser – Cyanobacteria
https://ncbi.nlm.nih[...]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8-04-12
[9]
간행물
Algae
Oxford University Press
[10]
논문
The geologic history of primary productivity
2023-11
[11]
서적
The Marine Microbiome: An Untapped Source of Biodiversity and Biotechnological Potential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6
[12]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Their Diversity in Space and Tim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3]
웹사이트
Bacteria
https://basicbiology[...]
Basic Biology
2016-03-18
[14]
서적
The Cyanobacteria: Molecular Biology, Genomics, and Evolution
Horizon Scientific Press
[15]
논문
Organization and flexibility of cyanobacterial thylakoid membranes examined by neutron scattering
2013-02
[16]
논문
Long Term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Non-photosynthetic Cyanobacteria in Peri-Alpine Lakes
2019-07-27
[17]
논문
Cyanobacterial Farming for Environment Friendly Sustainable Agriculture Practices: Innovations and Perspectives
2018
[18]
웹사이트
Living Bacteria Are Riding Earth's Air Currents
https://www.smithson[...]
2022-08-10
[19]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20]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Their Diversity in Space and Tim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2-02-15
[21]
논문
Modeling filamentous cyanobacteria reveals the advantages of long and fast trichomes for optimizing light exposure
[22]
뉴스
A Primeval Tide of Toxins
http://www.latimes.c[...]
2006-07-30
[23]
논문
The ecology of 'Nostoc'
[24]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Their Diversity in Space and Tim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7-05
[25]
논문
Physiology and molecular biology of aquatic cyanobacteria
[26]
논문
Revisiting the distribution of oceanic N2 fixation and estimating diazotrophic contribution to marine production
2019-02
[27]
논문
Toxins produced in cyanobacterial water blooms - toxicity and risks
2009-06
[28]
논문
Harmful cyanobacterial bloom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s
2013-05
[29]
논문
Primary production of the biosphere: integrating terrestrial and oceanic components
https://www.escholar[...]
1998-07
[30]
논문
α-cyanobacteria possessing form IA RuBisCO globally dominate aquatic habitat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2-10
[31]
논문
Nitrogen fixation by marine cyanobacteria
2011-04
[32]
논문
Unicellular cyanobacterium symbiotic with a single-celled eukaryotic alga
2012-09
[33]
논문
Niche partitioning among Prochlorococcus ecotypes along ocean-scale environmental gradients
2006-03
[34]
논문
Ecological genomics of marine picocyanobacteria
2009-06
[35]
논문
Present and future global distributions of the marine Cyanobacteria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2013-06
[36]
논문
Nitrogen fixation and transfer in open ocean diatom-cyanobacterial symbioses
2011-09
[37]
논문
Laboratory Culture and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of the Nitrogen-Fixing Rhizosolenia-Richelia Symbiosis
[38]
논문
Host specificity in the Richelia-diatom symbiosis revealed by hetR gene sequence analysis
1999-10
[39]
논문
Patterns and implications of gene gain and loss in the evolution of Prochlorococcus
2007-12
[40]
APOD
Earth from Saturn
2006-09-27
[41]
논문
Prochlorococcus, a marine photosynthetic prokaryote of global significance
1999-03
[42]
웹사이트
The Most Important Microbe You've Never Heard Of
https://www.npr.org/[...]
[43]
논문
Bacterial solutions to multicellularity: a tale of biofilms, filaments and fruiting bodies
https://pure.rug.nl/[...]
2014-02
[44]
논문
Branching an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the Section V cyanobacterium Mastigocladus laminosus, a complex multicellular prokaryote
2014-03
[45]
논문
The multicellular nature of filamentous heterocyst-forming cyanobacteria
2016-11
[46]
논문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hmp locus, a chemotaxis-like gene cluster that regulates hormogonium development and motility in Nostoc punctiforme
2014-04
[47]
논문
A Putative O-Linked β-''N''-Acetylglucosamine Transferase Is Essential for Hormogonium Development and Motility in the Filamentous Cyanobacterium Nostoc punctiforme
2017-05
[48]
논문
Cyanobacterial nitrogenases: phylogenetic diversity, regulation and functional predictions
[49]
논문
An overview of the genome of Nostoc punctiforme, a multicellular, symbiotic cyanobacterium
2001
[50]
논문
Heterocyst formation in Anabaena
1998-12
[51]
논문
Oxygen relations of nitrogen fixation in cyanobacteria
1992-06
[52]
서적
Text Book of Botany Diversity of Microbes And Cryptogams
Rastogi Publications
[53]
뉴스
Differences between Bacteria and Cyanobacteria
http://www.microbiol[...]
2015-10-29
[54]
논문
Gas vesicles
1994-03
[55]
논문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nitrogenase activity {{chem|C|2|H|2}} reduction) of rice roots
[56]
논문
Azolla-Anabaena as a Biofertilizer for Rice Paddy Fields in the Po Valley, a Temperate Rice Area in Northern Italy
[57]
논문
Probing the biogenesis pathway and dynamics of thylakoid membranes
2021-06
[58]
논문
Bacterial microcompartments
[59]
논문
Functions, compositions, and evolution of the two types of carboxysomes: polyhedral microcompartments that facilitate CO2 fixation in cyanobacteria and some proteobacteria
2013-09
[60]
논문
Analysis of carboxysomes from Synechococcus PCC7942 reveals multiple Rubisco complexes with carboxysomal proteins CcmM and CcaA
2007-10
[61]
논문
Biogenesis and origin of thylakoid membranes
2001-12
[62]
논문
Quantitative analysis of extracted phycobilin pigments in cyanobacteria-an assessment of spectrophotometric and spectrofluorometric methods
2014-02
[63]
논문
Light-dependent electrogenic activity of cyanobacteria
2010-05
[64]
서적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Cyanobacteria. eLS.
John Wiley & Sons, Ltd
2001
[65]
서적
How the Earth Turned Green: A Brief 3.8-Billion-Year History of Plants
https://www.press.uc[...]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66]
논문
Cyanobacteria in Sulfidic Spring Microbial Mats Can Perform Oxygenic and Anoxygenic Photosynthesis Simultaneously during an Entire Diurnal Period
2016
[67]
논문
The phycobilisome, a light-harvesting complex respons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1993-09
[68]
웹사이트
Colors from bacteria {{!}} Causes of Color
http://www.webexhibi[...]
2018-01-22
[69]
서적
Encyclopedia of Microbiology
[70]
논문
Chromatic adaptation and the evolution of light color sensing in cyanobacteria
2010-05
[71]
논문
Responding to color: the regulation of complementary chromatic adaptation
2006
[72]
논문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prochlorophytes, the chlorophyll b-containing prokaryotes
1992-01
[73]
논문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prochlorophytes within the cyanobacterial radiation
1992-01
[74]
논문
Adaptation to Hydrogen Sulfide of Oxygenic and Anoxygenic Photosynthesis among Cyanobacteria
1986-02
[75]
서적
Molecular Mechanisms of Photosynthesis
Wiley-Blackwell
[76]
논문
The Neoproterozoic oxygenation event: Environmental perturbations and biogeochemical cycling
2012-01
[77]
서적
The Prokaryot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
[78]
논문
The tricarboxylic acid cycle in cyanobacteria
2011-12
[79]
논문
Phosphoketolase pathway contributes to carbon metabolism in cyanobacteria
2015-12
[80]
서적
The Biology of Blue-green Alga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1]
논문
Diseases of Echinodermata. I. Agents microorganisms and protistans
[82]
서적
Diseases of Marine Animals
https://www.int-res.[...]
John Wiley & Sons
[83]
논문
Sarcinastrum urosporae, a Colourless Parasitic Blue-green Alga
http://www.seaweedaf[...]
[84]
논문
Tiny Microbes with a Big Impact: The Role of Cyanobacteria and Their Metabolites in Shaping Our Future
2016-05
[85]
논문
Ultrastructur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endolithic cyanobacterial biofilms colonizing Antarctic granite rocks
2007-02
[86]
서적
Mammalogy
https://google books[...]
Jones and Barlett
[87]
간행물
Photosynthetic viruses keep world's oxygen levels up
https://www.newscien[...]
2009-08-30
[88]
논문
Summer heatwaves promote blooms of harmful cyanobacteria
https://ir.cwi.nl/pu[...]
2008-03-01
[89]
웹사이트
Linda Lawton –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xic Cyanobacteria
http://ictc11.org/sp[...]
2021-06-25
[90]
논문
Climate change: links to global expansion of harmful cyanobacteria
2012-04
[91]
논문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cyanobacterial soil crusts in the Kalahari: Implications for soil surface properties
2007-03-15
[92]
논문
Soil Microstructure in Soils of the Colorado Plateau: The Role of the Cyanobacterium Microcoleus Vaginatus
1993
[93]
논문
Spatial self-segregation of pioneer cyanobacterial species drives microbiome organization in biocrusts
https://doi.org/10.1[...]
2022-11-16
[94]
논문
The cells that rule the seas
http://guowei.ccps.t[...]
2014-04-19
[95]
서적
Oceans and Human Health: Risks and Remedies from the Seas
Academic Press
2011-09-02
[96]
논문
Algae as New Kids in the Beneficial Plant Microbiome
Frontiers Media SA
2021-02-04
[97]
논문
Colonization of wheatpara-nodules by the N2-fixing cyanobacterium Nostocsp. Strain 2S9B
[98]
논문
Mechanical damage of roots provides enhanced colonization of the wheat endorhizosphere by the dinitrogen-fixing cyanobacterium Nostoc sp. Strain 2S9B
[99]
논문
The mechanisms whereby the green alga Chlorella ohadii, isolated from desert soil crust, exhibits unparalleled photodamage resistance
2016-06
[100]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ukaryotic algal communities in the tropical phyllosphere based on real-time sequencing of the 18S rDNA gene
2018-12
[101]
논문
Endophytic cyanobacteria in a 400-million-yr-old land plant: A scenario for the origin of a symbiosis?
[102]
논문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electron microscopic investigation of cyanobacteria associated with wheat rhizosphere
[103]
논문
Analysing the colonisation of inoculated cyanobacteria in wheat plants using biochemical and molecular tools
[104]
논문
Decipher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lonization of rice plants by cyanobacteria
2015-04
[105]
논문
Colonization of wheat (Triticum vulgare L.) by N2-fixing cyanobacteria: II. An ultrastructural study
[106]
논문
Association of non-heterocystous cyanobacteria with crop plants
http://dare.uva.nl/p[...]
[107]
논문
Root colonization and phytostimulation by phytohormones producing entophytic Nostoc sp. AH-12
2013-11
[108]
논문
Effect of IAA on in vitro growth and colonization of Nostoc in plant roots
[109]
논문
Cyanobiont genetic diversity and host specificity of cyanobiont-bearing dinoflagellate Ornithocercus in temperate coastal waters
2021-05
[110]
논문
Trichodesmium, a Globally Significant Marine Cyanobacterium
[111]
논문
Biogeochemical Controls and Feedbacks on Ocean Primary Production
1998-07
[112]
논문
CO2 control of Trichodesmium N2 fixation, photosynthesis, growth rates, and elemental ratios: Implications for past, present, and future ocean biogeochemistry
https://digitalcommo[...]
[113]
논문
Novel lineages of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in the global oceans
2012-02
[114]
서적
Stress Biology of Cyanobacteria: Molecular Mechanisms to Cellular Respons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3-03
[115]
논문
Globally distributed uncultivated oceanic N2-fixing cyanobacteria lack oxygenic photosystem II
2008-11
[116]
서적
Marine Protists
[117]
논문
Diversity, Genomics,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Cyanobacterium Single-Cell Symbiotic Associations
2019-09
[118]
논문
The social life of cyanobacteria
2021-06
[119]
논문
High pCO2-induced exopolysaccharide-rich ballasted aggregates of planktonic cyanobacteria could explain Paleoproterozoic carbon burial
2018-05
[120]
논문
Cyanobacterial blooms
2018-08
[121]
논문
Biosynthesis of a sulfated exopolysaccharide, synechan, and bloom formation in the model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CC 6803
2021-06
[122]
논문
Oxygen-Dependent Morphogenesis of Modern Clumped Photosynthetic Mats and Implications for the Archean Stromatolite Record
[123]
논문
Factors Controlling Floc Formation and Structure in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CC 6803
2019-10
[124]
논문
Blue-/Green-Light-Responsive Cyanobacteriochromes Are Cell Shade Sensors in Red-Light Replete Niches
2020-03
[125]
논문
Cell Death in Cyanobacteria: Current Understanding and Recommendations for a Consensus on Its Nomenclature
[126]
논문
Essential versus accessory aspects of cell death: recommendations of the NCCD 2015
2015-01
[127]
논문
Axenic Biofilm Formation and Aggregation by ''Synechocystis'' sp. Strain PCC 6803 Are Induced by Changes in Nutrient Concentration and Require Cell Surface Structures
2019-04
[128]
논문
Appendages of the cyanobacterial cell
2015-03
[129]
논문
Evidence that a modified type IV pilus-like system powers gliding motility and polysaccharide secretion in filamentous cyanobacteria
2015-12
[130]
논문
DNA-uptake pili of Vibrio cholerae are required for chitin colonization and capable of kin recognition via sequence-specific self-interaction
2019-09
[131]
논문
A computer model of buoyancy and vertical migration in cyanobacteria
[132]
논문
Pili allow dominant marine cyanobacteria to avoid sinking and evade predation
2021-03
[133]
논문
Programmed Cell Death-Like and Accompanying Release of Microcystin in Freshwater Bloom-Forming Cyanobacterium ''Microcystis'': From Identification to Ecological Relevance
2019-12
[134]
논문
Viability and niche segregation of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cells across the Central Atlantic Ocean.
2004-06
[135]
논문
Cell death in lake phytoplankton communities
[136]
논문
What is the role and nature of programmed cell death in phytoplankton ecology?
[137]
논문
Patterns of cell death in freshwater colonial cyanobacteria during the late summer bloom
[138]
논문
The demise of the marine cyanobacterium, Trichodesmium SPP., via an autocatalyzed cell death pathway
[139]
논문
Programmed Cell Death-Like and Accompanying Release of Microcystin in Freshwater Bloom-Forming Cyanobacterium ''Microcystis'': From Identification to Ecological Relevance
2019-12
[140]
논문
Oxidative Stress, Programmed Cell Death and Microcystin Release in ''Microcystis aeruginosa'' in Response to ''Daphnia'' Grazers
2020
[141]
논문
An overview of the genome of Nostoc punctiforme, a multicellular, symbiotic cyanobacterium
[142]
서적
The Ecology of Cyanobacteria
Springer Netherlands
2000-01-01
[143]
논문
Marine cyanophages infecting oceanic and coastal strains of Synechococcus: abundance, . morphology, cross-infectiv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144]
논문
Molecular architecture of tailed double-stranded DNA phages
2014-01
[145]
논문
Viral mortality of marine bacteria and cyanobacteria
[146]
서적
'Cyanophages' in Handbook of Cyanobacteria
CRC Press
[147]
논문
Molecular analysis of genes in Nostoc punctiforme involved in pilus biogenesis and plant infection
2007-06
[148]
논문
Motility in cyanobacteria: polysaccharide tracks and Type IV pilus motors
2015-12
[149]
논문
A cyanobacterium capable of swimming motility
1985-10
[150]
논문
On the mysterious propulsion of Synechococcus
[151]
논문
Tree of motility - A proposed history of motility systems in the tree of life
2020-01
[152]
서적
The biology of cyanobacte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53]
논문
A cyanobacterium capable of swimming motility
1985-10
[154]
논문
Bacterial gliding motility: multiple mechanisms for cell movement over surfaces
[155]
논문
Taxonomy of the gliding bacteria
[156]
논문
The junctional pore complex, a prokaryotic secretion organelle, is the molecular motor underlying gliding motility in cyanobacteria
1998-10
[157]
논문
Gliding motility in cyanobacterial: observations and possible explanations
[158]
논문
The role of an alternative sigma factor in motility and pilus formation in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CC6803
1999-03
[159]
논문
Modeling filamentous cyanobacteria reveals the advantages of long and fast trichomes for optimizing light exposure
[160]
논문
Effects of tropical solar radiation on the motility of filamentous cyanobacteria
[161]
논문
Diel Migrations of Microorganisms within a Benthic, Hypersaline Mat Community
1994-05
[162]
논문
Vertical migration of phototrophic bacterial populations in a hypersaline microbial mat from Salins-de-Giraud (Camargue, France)
2006-09
[163]
논문
Diel Vertical Movements of the Cyanobacterium Oscillatoria terebriformis in a Sulfide-Rich Hot Spring Microbial Mat
1987-09
[164]
논문
EFFECTS OF UV-B IRRADIATION ON PHOTOMOVEMENT IN THE DESMID, Cosmarium cucumis
[165]
논문
Photomovement in motile microorganisms--II
1988-06
[166]
간행물
"Photomovements of microorganisms: An introduction"
CRC Press
[167]
논문
"DER EINFLUSS DES LICHTES AUF DIE BEWEGUNG DER CYANOPHYCEEN: III. Mitteilung: PHOTOPHOBOTAXIS VON PHORMIDIUM UNCINATUM."
https://www.jstor.or[...]
[168]
논문
Investigations on the phototactic orientation of Anabaena variabilis
[169]
논문
The term stromatolite: towards an essential definition
[170]
논문
Nano-porous pyrite and organic matter in 3.5-billion-year-old stromatolites record primordial life
https://discovery.uc[...]
[171]
논문
Evolution of multicellularity coincided with increased diversification of cyanobacteria and the Great Oxidation Event
2013-01
[172]
논문
Early Archean (3.3-billion to 3.5-billion-year-old) microfossils from Warrawoona Group, Australia
1987-07
[173]
논문
Atmospheric influence of Earth's earliest sulfur cycle
2000-08
[174]
뉴스
First breath: Earth's billion-year struggle for oxygen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0-02-06
[175]
논문
A complex microbiota from snowball Earth times: microfossils from the Neoproterozoic Kingston Peak Formation, Death Valley, USA
2003-04
[176]
논문
Sappington (Kinderhookian) sponges and their environment [Montana]
http://jpaleontol.ge[...]
1959-11-01
[177]
서적
Calcareous Algae and Stromatolites
Springer-Verlag Press
1991
[178]
서적
Phanerozoic Stromatolites
Springer
1981
[179]
논문
First record of Cyanobacteria in Cambrian Orsten deposits of Sweden
[180]
웹사이트
How do plants make oxygen? Ask cyanobacteria
https://phys.org/new[...]
Science X
2017-03-30
[181]
논문
Claypool continued: Extending the isotopic record of sedimentary sulfate
https://www.scienced[...]
2019-05-20
[182]
논문
A productivity collapse to end Earth's Great Oxidation
2019-08
[183]
서적
The Cyanobacteria: Molecular Biology, Genomics and Evolution
Caister Academic Press
[184]
논문
The number, speed, and impact of plastid endosymbioses in eukaryotic evolution
[185]
논문
An Expanded Ribosomal Phylogeny of Cyanobacteria Supports a Deep Placement of Plastids
2019
[186]
논문
The origin of plastids
2008-08
[187]
논문
Monophyly of primary photosynthetic eukaryotes: green plants, red algae, and glaucophytes
2005-07
[188]
논문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2012-09
[189]
논문
Cyanophora paradoxa genome elucidates origin of photosynthesis in algae and plants
2012-02
[190]
논문
An Early-Branching Freshwater Cyanobacterium at the Origin of Plastids
2017-02
[191]
논문
Über die Entwicklung der Chlorophyllkörner und Farbkörper
http://publikationen[...]
[192]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https://www.ncbi.nlm[...]
Garland
[193]
논문
Über Natur und Ursprung der Chromatophoren im Pflanzenreiche
https://archive.org/[...]
[194]
논문
On the origin of mitosing cells
1967-03
[195]
논문
Origins of prokaryotes, eukaryotes, mitochondria, and chloroplasts
1978-01
[196]
논문
Genomic perspectives on the birth and spread of plastids
2015-08
[197]
논문
Early evolution of photosynthesis
2010-10
[198]
논문
Primary endosymbiosis and the evolution of light and oxygen sensing in photosynthetic eukaryotes
[199]
논문
Membrane heredity and early chloroplast evolution
2000-04
[200]
논문
Chromatophore genome sequence of Paulinella sheds light on acquisition of photosynthesis by eukaryotes
2008-03
[201]
논문
Diversit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plastids and their hosts
2004-10
[202]
논문
The puzzle of plastid evolution
2009-01
[203]
논문
Plastid evolution: origins, diversity, trends
1998-12
[204]
논문
The origin and establishment of the plastid in algae and plants
[205]
논문
Genomics and chloroplast evolution: what did cyanobacteria do for plants?
[206]
논문
Origin of marine planktonic cyanobacteria
2015-12
[207]
논문
Dating the rise of atmospheric oxygen
2004-01
[208]
논문
Isotopic evidence for massive oxidation of organic matter following the great oxidation event
2011-12
[209]
논문
The age of the Gunflint Formation, Ontario, Canada: Single zircon U–Pb age determinations from reworked volcanic ash
[210]
논문
The oxygenation of the atmosphere and oceans
2006-06
[211]
논문
Earth history. Low mid-Proterozoic atmospheric oxygen levels and the delayed rise of animals
https://resolver.cal[...]
2014-10
[212]
논문
The rise of oxygen in Earth's early ocean and atmosphere
2014-02
[213]
논문
Ocean oxygenation in the wake of the Marinoan glaciation
2012-09
[214]
논문
Late-Neoproterozoic deep-ocean oxygenation and the rise of animal life
2007-01
[215]
논문
Oxidation of the Ediacaran ocean
https://resolver.cal[...]
2006-12
[216]
논문
A neoproterozoic transition in the marine nitrogen cycle
2014-03
[217]
논문
The Cambrian conundrum: early divergence and later ecological success in the early history of animals
2011-11
[218]
논문
Ferruginous Conditions: A Dominant Feature of the Ocean through Earth's History
[219]
논문
Proterozoic ocean chemistry and evolution: a bioinorganic bridge?
2002-08
[220]
논문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blue-green bacterium, Anacystis nidulans
1974-06
[221]
논문
Transformation in Agmenellum quadruplicatum
1980-10
[222]
논문
Transformation in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6803
[223]
논문
Sex in microbial pathogens
2018-01
[224]
논문
Comparative Genomics of DNA Recombination and Repair in Cyanobacteria: Biotechnological Implications
2016
[225]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1-02-23
[226]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1-02-23
[227]
웹사이트
LTP_12_2021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1-02-23
[228]
웹사이트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3-05-10
[229]
웹사이트
bac120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230]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3-05-10
[231]
논문
Bericht über die Verhandlungen der 33. Versammlung deutscher Naturforscher und Ärzte, gehalten in Bonn von 18 bis 24 September 1857
[232]
서적
Generelle Morphologie der Organismen
https://archive.org/[...]
Reimer, Berlin
[233]
논문
''Pansporella perplexa'': amœbien à spores protégées parasite des daphnies réflexions sur la biologie et la phylogénie des protozoaires
[234]
논문
Polyphyly of true branching cyanobacteria (Stigonematales)
2004-03
[235]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and molecular signatures defining a monophyletic clade of heterocystous cyanobacteria and identifying its closest relatives
2014-11
[236]
논문
Taxonomic classification of cyanoprokaryotes (cyanobacterial genera) 2014, using a polyphasic approach
http://www.preslia.c[...]
[237]
서적
Farblose Algen: Ein Beitrag zur Evolutionsforschung
https://google books[...]
Gustav Fischer Verlag
[238]
웹사이트
"Cyanobacteria"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22-01-22
[239]
웹사이트
Cyanobacteria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axonomy database
2021-03-20
[240]
논문
Sequence analysis of the genome of the unicellular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CC6803. II. Sequence determination of the entire genome and assignment of potential protein-coding regions
1996-06
[241]
논문
Sll1330 controls the expression of glycolytic genes in Synechocystis sp. PCC 6803
2007-04
[242]
논문
Taxonomic resolution of the genus Cyanothece (Chroococcales, Cyanobacteria), with a treatment on Gloeothece and three new genera, Crocosphaera, Rippkaea , and Zehria
https://onlinelibrar[...]
2019-03-04
[243]
논문
Genome divergence in two Prochlorococcus ecotypes reflects oceanic niche differentiation
2003-08
[244]
논문
Genome sequence of the cyanobacterium Prochlorococcus marinus SS120, a nearly minimal oxyphototrophic genome
2003-08
[245]
논문
Genome Size of Cyanobacteria
[246]
논문
Renewable energy from Cyanobacteria: energy production optimization by metabolic pathway engineering
2011-08
[247]
논문
3D-printed hierarchical pillar array electrodes for high-performance semi-artificial photosynthesis
https://www.reposito[...]
2022-07
[248]
뉴스
Blue green bacteria may help generate 'green' electricity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0-06-21
[249]
웹사이트
Joule wins key patent for GMO cyanobacteria that create fuels from sunlight, CO2 and water : Biofuels Digest
https://www.biofuels[...]
2022-08-10
[250]
논문
Ethanol synthesis by genetic engineering in cyanobacteria
1999-02
[251]
논문
Engineering photoautotrophic carbon fixation for enhanced growth and productivity
2018-11-20
[252]
논문
Engineered cyanobacteria with additional overexpression of selected Calvin-Benson-Bassham enzymes show further increased ethanol production
2021-06
[253]
논문
Honaucins A-C, potent inhibitors of inflammation and bacterial quorum sensing: synthetic derivatives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2012-05
[254]
뉴스
Need to Fix a Heart Attack? Try Photosynthesis
https://www.smithson[...]
2021-05-20
[255]
논문
Current Status and Future Strategies to Increase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from Cyanobacteria
2020-11
[256]
논문
Nature's palette: the search for natural blue colorants
2014-07
[257]
논문
Sustainable life support on Mars – the potential roles of cyanobacteria
2016
[258]
논문
Commercial applications of microalgae
2006-02
[259]
논문
Microalgae: a novel ingredient in nutrition
2011-12
[260]
논문
Edible blue-green algae reduce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inhibiting NF-κB pathway in macrophages and splenocytes
2013-04
[261]
논문
Health benefits of algal polysaccharides in human nutrition
[262]
논문
"[Cyanobacteria, their toxins and health risks]"
[263]
웹사이트
Blue-Green Algae (Cyanobacteria) and Their Toxins - Drinking Water
http://www.hc-sc.gc.[...]
2022-08-10
[264]
웹사이트
Harmful Bloom in Lake Atitlán, Guatemala
https://earthobserva[...]
2022-08-10
[265]
논문
Freshwater harmful algal blooms: toxins and children's health
2014-01
[266]
웹사이트
Professor Linda Lawton
https://rgu-reposito[...]
2021-06-25
[267]
논문
A cluster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New Hampshire: a possible role for toxic cyanobacteria blooms
[268]
논문
Cyanobacteria and BMAA exposure from desert dust: a possible link to sporadic ALS among Gulf War veterans
[269]
웹사이트
Toxic Algae Blooms
http://archive.agric[...]
agric.wa.gov.au
2014-11-18
[270]
논문
Reduction of toxic algae in farm dams by ferric alum
[271]
논문
Climate. Blooms like it hot
2008-04
[272]
논문
Spati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position, biovolume, and resulting microcystin concentrations in the Nyanza Gulf (Lake Victoria, Kenya)
2012-07
[273]
논문
Public health responses to toxic cyanobacterial blooms: Perspectives from the 2016 Florida event
[274]
논문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microorganisms and climate change
2019-09
[275]
논문
How rising CO2 and global warming may stimulate harmful cyanobacterial blooms
2016-04
[276]
논문
The selective advantage of buoyancy provided by gas vesicles for planktonic cyanobacteria in the Baltic Sea
1997-07
[277]
논문
Impacts of the 2014 severe drought on the Microcystis bloom in San Francisco Estuary
2017-03
[278]
논문
Rapid adaptation of harmful cyanobacteria to rising CO2
2016-08
[279]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280]
간행물
ラン藻
2021-09-25
[281]
웹사이트
Cyanophyceae
https://www.algaebas[...]
2021-09-23
[282]
서적
藻類30億年の自然史 -藻類からみる生物進化-
東海大学出版会
[283]
웹사이트
非酸素発生型光合成
https://photosyn.jp/[...]
日本光合成学会
2022-11-11
[284]
간행물
光合成細菌
https://hdl.handle.n[...]
[285]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286]
서적
Algae
Benjamin Cummings
[287]
서적
藻類多様性の生物学
内田老鶴圃
[288]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9]
서적
Freshwater Algae of North America. Ecology and Classification
Academic Press
[290]
서적
Freshwater Algae of North America. Ecology and Classification
Academic Press
[291]
간행물
Influence of salinity on hair formation and phosphatase-activities of the blue-green-alga (cyanobacterium) ''Calothrix viguieri'' D253
[292]
간행물
Compartmentalized function through cell differentiation in filamentous cyanobacteria
[293]
간행물
Determining cell shape: adaptive regulation of cyanobacterial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morphology
[294]
간행물
Cyanobacterial cell walls: News from an unusual prokaryotic envelope
[295]
간행물
Cyanobacterial lipopolysaccharides and human health - a review
[296]
간행물
Septal junctions in filamentous heterocyst-forming Cyanobacteria
[297]
간행물
Role of two cell wall amidases in septal junction and nanopore formation in the multicellular cyanobacterium ''Anabaena'' sp. PCC 7120
[298]
간행물
Mechanism of intercellular molecular exchange in heterocyst-forming cyanobacteria
[299]
간행물
S-layers on cell walls of cyanobacteria
[300]
간행물
On the mysterious propulsion of ''Synechococcus''
[301]
간행물
A giant cell surface protein in ''Synechococcus'' WH8102 inhibits feeding by a dinoflagellate predator
[302]
간행물
Complexity of cyanobacterial exopolysaccharides: composition, structures, inducing factors and putative genes involved in their biosynthesis and assembly
[303]
간행물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 from the slime layer of the cyanobacterium ''Microcystis flos-aquae'' C3-40
https://doi.org/10.1[...]
[304]
간행물
Exocellular polysaccharides from cyanobacteria and their possible applications
[305]
간행물
Outermost polysaccharidic investments of cyanobacteria: nature, significance and possible applications
[306]
간행물
Swimming motility mutants of marine ''Synechococcus'' affected in production and localization of the S-layer protein SwmA
[307]
간행물
Variability in the provision and function of mucilage in phytoplankton: facultative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308]
간행물
UV-protectants in cyanobacteria
[309]
간행물
UV-B-induced synthesis of photoprotective pigments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in the terrestrial cyanobacterium ''Nostoc commune''
[310]
간행물
Raman characterization of the UV-protective pigment gloeocapsin and its role in the survival of cyanobacteria
[311]
간행물
Structure of a novel oligosaccharide-mycosporine-amino acid ultraviolet A/B sunscreen pigment from the terrestrial cyanobacterium ''Nostoc commune''
[312]
간행물
Calcifying cyanobacteria-the potential of biomineralization for carbon capture and storage
[313]
간행물
The role of microbes in accretion, lamination and early lithification of modern marine stromatolites
[314]
간행물
Thylakoidal patterns in oscillatorialean genera
[315]
간행물
Evolutionary patterns of thylakoid architecture in cyanobacteria.
https://doi.org/10.3[...]
[316]
논문
Membrane‐bound protein complexes for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cyanobacteria
[317]
논문
A cyanobacterium which lacks thylakoids
[318]
서적
Ultrastructure of Microalgae
CRC Press
[319]
서적
Cell Biology of Cyanobacteria
Caister Academic Press
[320]
논문
Thylakoid biogenesis has joined the new era of bacterial cell biology
[321]
논문
Biogenesis of thylakoid membranes
[322]
서적
Kryptogamen-Flora. 14. Band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323]
논문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cyanobacterial CO2-concentrating-mechanism (CCM): functional components, Ci transporters, diversity, genetic regulation and prospects for engineering into plants
[324]
논문
Protein-based organelles in bacteria: carboxysomes and related microcompartments
[325]
논문
Photosynthetic carbon assimilation and the suppression of photorespiration in the cyanobacteria
[326]
논문
Photorespiration: players, partners and origin
[327]
논문
The carboxysomes (polyhedral bodies) of autotrophic prokarygtes
[328]
논문
Metabolic symbiosis and the birth of the plant kingdom
[329]
논문
Some cyanobacteria synthesize semi-amylopectin type α-polyglucans instead of glycogen
[330]
논문
Biosynthesis of the cyanobacterial reserve polymer multi‐L‐arginyl‐poly‐L‐aspartic acid (cyanophycin)
[331]
논문
Cyanobacterial cell inclusions
[332]
서적
Ultrastructure of Microalgae
https://books.google[...]
CRC Press
[333]
논문
"Description of ''Gloeomargarita lithophora'' gen. nov., sp. nov., a thylakoid-bearing, basal-branching cyanobacterium with intracellular carbonates, and proposal for Gloeomargaritales ord. nov."
[334]
논문
Floating and sinking in gas-vacuolate cyanobacteria
[335]
논문
Buoyancy regulation and the potential for vertical migration in the oceanic cyanobacterium ''Trichodesmium''
[336]
서적
The Cyanobacteria
Elsevier
[337]
논문
Complexity of gas vesicle biogenesis in Halobacterium sp. strain NRC-1: identification of five new proteins
[338]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339]
논문
Facultative anoxygenic photosynthesis in the cyanobacterium ''Oscillatoria limnetica''
[340]
논문
Adaptation to hydrogen sulfide of oxygenic and anoxygenic photosynthesis among cyanobacteria
https://doi.org/10.1[...]
[341]
논문
Photoheterotrophy and chemoheterotrophy among unicellular blue-green algae
[342]
논문
Globally distributed uncultivated oceanic N2-fixing cyanobacteria lack oxygenic photosystem II
[343]
논문
Metabolic streamlining in an open-ocean nitrogen-fixing cyanobacterium
[344]
논문
Sarcinastrum urosporae, a colourless parasitic blue-green alga
https://doi.org/10.2[...]
[345]
논문
Extraordinary pigment composition of a prokaryotic alga
[346]
논문
Chlorophyll ''d'' as a major pigment
[347]
논문
A red-shifted chlorophyll
[348]
논문
A novel free-living prochlorophyte abundant in the oceanic euphotic zone
[349]
논문
The pigments of ''Prochlorococcus marinus'': the presence of divinyl chlorophyll a and b in a marine prokaryote
[350]
논문
A photosystem I reaction center driven by chlorophyll d in oxygenic photosynthesis
[351]
서적
The Molecular Biology of Cyanobacteria
Springer, Dordrecht
[352]
논문
The phycobilisomes: an early requisite for efficient photosynthesis in cyanobacteria
[353]
논문
Phycoerythrocyanin and phycoerythrin: properties and occurrence in cyanobacteria
[354]
논문
シアノバクテリアの補色応答の多様性
https://doi.org/10.5[...]
日本植物形態学会
[355]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356]
논문
Cyanobacteriochromes: a new superfamily of tetrapyrrole-binding photoreceptors in cyanobacteria
[357]
웹사이트
光合成事典
http://photosyn.jp/p[...]
日本光合成学会編
[358]
논문
Carotenoids and carotenogenesis in cyanobacteria: Unique ketocarotenoids and carotenoid glycosides
[359]
논문
Interaction of photosynthesis, respira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cyanobacteria
[360]
논문
The tricarboxylic acid cycle in cyanobacteria
[361]
논문
Some aspects of structure and function in N fixing cyanobacteria
[362]
논문
Nitrogen fixation and photosynthetic oxygen evolution in cyanobacteria
[363]
논문
Marine diazotrophic cyanobacteria: out of the blue
[364]
논문
Generic assignments, strain histories and properties of pure cultures of cyanobacteria
[365]
논문
Cyclic appearance of aerobic nitrogenase activity during synchronous growth of unicellular cyanobacteria
[366]
논문
Diurnal expression of hetR and diazocyte development in the filamentous non-heterocystous cyanobacterium ''Trichodesmium erythraeum''
[367]
논문
''Trichodesmium'' - a widespread marine cyanobacterium with unusual nitrogen fixation properties
[368]
웹사이트
藍藻の分類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21-09-25
[369]
서적
The Molecular Biology of Cyanobacteria
Kluwer Academic Publishers
[370]
논문
Cyanobacterial heterocysts
[371]
논문
Ploidy in cyanobacteria
[372]
논문
Sequence analysis of the genome of the unicellular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CC6803. II. Sequence determination of the entire genome and assignment of potential protein-coding regions
[373]
논문
Genome size of Cyanobacteria
[374]
논문
シアノバクテリア (光合成研究法) -- (植物・藻類・細菌の材料の入手と栽培・培養)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低温科学研究所
[375]
논문
Molecular analysis of genes involved in pilus biogenesis and plant infection in ''Nostoc punctiforme''
[376]
논문
The surprisingly diverse ways that prokaryotes move
[377]
논문
Sensing the light: photoreceptive systems and signal transduction in cyanobacteria
[378]
논문
シアノバクテリアの補色順化における光色感知機構
https://doi.org/10.1[...]
日本農芸化学会
[379]
논문
Modern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yanophytes. 3. Oscillatoriales
[380]
논문
Regulation of cellular differentiation in filamentous cyanobacteria in free-living and plant-associated symbiotic growth states
[381]
논문
Dormancy and Resistance in Harsh Environments
Springer Berlin Heidelberg
[382]
논문
Heterocyst differentiation and pattern formation in cyanobacteria: a chorus of signals.
[383]
논문
Genomic islands and the ecology and evolution of ''Prochlorococcus''
[384]
서적
The Ecology of Cyanobacteria: Their Diversity in Time and Space
Kluwer Academic Pub.
[385]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Their Diversity in Space and Tim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86]
논문
Estimates of global cyanobacterial biomass and its distribution
[387]
논문
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Group I. Cyanobacteria
[388]
논문
Ecology of Cyanobacteria II
Springer Net.
[389]
논문
Deriving restoration goals for acidified lakes from taxonomic studies
[390]
논문
The Biology of the Cyanobacteria
Blackwell Science Publications
[391]
논문
Advances in Microbial Ecology, Vol. 13
Plenum Press
[392]
논문
Seasonal and spatial variability in phytoplankton biomass, productivity and growth in the northwestern Indian ocean: the southwest and northeast monsoon, 1992-1993
[393]
논문
Global phylogeography of marine ''Synechococcus'' and ''Prochlorococcus'' reveals a distinct partitioning of lineages among oceanic blooms
[394]
논문
Present and future global distributions of the marine Cyanobacteria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395]
논문
Picophytoplankton in freshwater ecosystems: the importance of small-sized phototrophs
[396]
웹사이트
ネンジュモ目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null
[397]
서적
アオコ : その出現と毒素
東京大学出版会
[398]
논문
Dynamics of cyanophage-like particles and algicidal bacteria causing ''Microcystis aeruginosa'' mortality
[399]
논문
Inhibition of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the dinoflagellate ''Peridinium gatunense'' by ''Microcystis'' sp. (cyanobacteria): a novel allelopathic mechanism
[400]
논문
Grazing on ''Microcystis'' (Cyanophyceae) by testate amoebae with special reference to cyanobacterial abundance and physiological state
[401]
논문
Photoheterotrophy and light‐dependent uptake of organic and organic nitrogenous compounds by ''Planktothrix rubescens'' under low irradiance
[402]
논문
Cyanobacterial dominance of polar freshwater ecosystems: are high-latitude mat-formers adapted to low temperature?
[403]
논문
A comment on the systematic confusion of thrombolites
[404]
논문
A complex microbiota from snowball Earth times: microfossils from the Neoproterozoic Kingston Peak Formation, Death Valley, USA
[405]
서적
The Ecology of Cyanobacteria
Springer Netherlands
[406]
논문
Endolithic cyanobacteria in halite rocks from the hyperarid core of the Atacama Desert
[407]
논문
クリオコナイトと氷河の暗色化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低温科学研究所
[408]
논문
Isolation of salt-induced periplasmic proteins from ''Synechocystis'' sp. strain PCC 6803
[409]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Their Diversity in Time and Spa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410]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Their Diversity in Space and Tim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411]
서적
The Prokaryotes. A Handbook on the Biology of Bacteria, vol 1, 3rd ed. Symbiotic Associations, Biotechnology, Applied Microbiology
Springer
[412]
논문
Marine cyanobacterial symbioses
[413]
서적
Algae and Symbioses: Plants, Animals, Fungi, Viruses, Interactions Explored
Biopress Limited
[414]
서적
Marine Protists
https://link.springe[...]
Springer Japan
[415]
서적
Cyanobacteria in Symbio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416]
논문
''Geosiphon pyriforme'', a fungus forming endocytobiosis withNostoc (Cyanobacteria), is an ancestral member of the glomales: evidence by SSU rRNA analysis
[417]
논문
Studies on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artner association in ''Geosiphon pyriforme'' (Kütz.) v. Wettstein, a unique endocytobiotic system of a fungus (Glomales) and the cyanobacterium ''Nostoc punctiforme'' (Kütz.) Hariot
[418]
서적
In Vitro Culture of Mycorrhizas. Soil Biology, Volume 4, Part V
null
[419]
논문
The ecology and phylogeny of cyanobacterial symbionts in sponges
[420]
논문
Episymbiotic microbes as food and defence for marine isopods: unique symbioses in a hostile environment
[421]
논문
Host specificity and phylogeography of the prochlorophyte ''Prochloron'' sp., an obligate symbiont in didemnid ascidians
[422]
논문
Unicellular cyanobionts in open ocean dinoflagellates, radiolarians, and tintinnids: ultra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localization of phycoerythrin and nitrogenase
[423]
논문
Reverse transcription PCR amplification of cyanobacterial symbiont 16S rRNA sequences from single non-photosynthetic eukaryotic marine planktonic host cells
[424]
논문
Algal symbiosis in larger foraminifera
[425]
논문
Cyanobacterial endosymbionts in the benthic dinoflagellate Sinophysis canaliculata (Dinophysiales, Dinophyceae)
[426]
논문
Environmentally-related seasonal variation in symbiotic associations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with cyanobacteria in the western Bay of Bengal
http://drs.nio.org/d[...]
[427]
논문
The puzzle of plastid evolution
[428]
논문
もう一つの一次共生?-''Paulinella chromatophora'' とそのシアネレ―
https://doi.org/10.1[...]
日本原生生物学会
[429]
논문
Cyanobacterium-plant symbioses
[430]
논문
Cyanobacteria-bryophyte symbioses
[431]
논문
''Azolla'' and other plant-cyanobacteria symbioses - aspects of form and function
[432]
논문
Diversity and host specificity of genus ''Azolla'' cyanobionts
[433]
서적
Cyanobacteria in Symbio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434]
서적
Cyanobacteria in Symbio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435]
논문
The ''Gunnera''-''Nostoc'' symbiosis
https://www.jstor.or[...]
[436]
논문
Biomagnification of cyanobacterial neurotoxin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among the Chamorro people of Guam
[437]
논문
Intracellular cyanobiont ''Richelia intracellularis'': ultrastructure and immuno-localisation of phycoerythrin, nitrogenase, Rubisco and glutamine synthetase
[438]
논문
Characterization of diatom-cyanobacteria symbioses on the basis of ''nifH'', ''hetR'' and 16S rRNA sequences
[439]
논문
Nitrogen fixation and transfer in open ocean diatom-cyanobacterial symbioses
[440]
논문
Distribution and activity of diazotrophs in the Eastern Equatorial Atlantic
[441]
논문
Summer surface waters in the Gulf of California: prime habitat for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442]
논문
Discovery of an endosymbiotic nitrogen-fixing cyanobacterium UCYN-A in ''Braarudosphaera bigelowii'' (Prymnesiophyceae)
[443]
논문
Genetic diversity of the unicellular nitrogen‐fixing cyanobacteria UCYN‐A and its prymnesiophyte host
[444]
논문
The cyanobacterial endosymbiont of the unicellular algae Rhopalodia gibba shows reductive genome evolution
[445]
논문
Discovery of symbiotic nitrogen-fixing cyanobacteria in corals
[446]
논문
Nitrogen fixation by symbiotic cyanobacteria provides a source of nitrogen for the scleractinian coral ''Montastraea cavernosa''
[447]
논문
Symbiosis between diatoms and cyanobacterial colonies
[448]
논문
Epiphytic cyanobacteria maintain shifts to macroalgal dominance on coral reefs following ENSO disturbance
[449]
논문
Molecular detection of epiphytic ''Acaryochloris'' spp. on marine macroalgae
[450]
논문
Epiphytic cyanobacteria on Chara vulgaris are the main contributors to N2 fixation in rice fields
[451]
논문
Transfer of fixed-N from N2-fixing cyano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oss ''Sphagnum riparium'' results in enhanced growth of the moss
[452]
논문
Cyanobacteria in Symbio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453]
논문
The distribution of algae epiphytic on pneumatophores of the mangrove, ''Avicennia marina'', at different salinities in the Kosi System
[454]
논문
Nitrogen fixation by epiphytic and epibenthic diazotrophs associated with seagrass meadows along the Tanzanian coast, Western Indian Ocean
[455]
논문
Characterization and com- parison of prokaryotic epiphytes associated with three East African seagrasses
[456]
논문
Associative cyanobacteria isolated from the roots of epiphytic orchids
[457]
논문
Cyanobacterial and eukaryotic algal odour compounds: signals or by-products? A review of their biological activity
[458]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459]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460]
논문
Cyanobacterial toxins: risk management for health protection
https://doi.org/10.1[...]
[461]
논문
Toxin production of cyanobacteria is increased by exposure to zooplankton
[462]
논문
Ecotoxicological effects of selected cyanobacterial secondary metabolites a short review
https://doi.org/10.1[...]
[463]
논문
2-II-17 機能性食品スピルリナ錠剤に含まれるビタミンB_<12>同族体の単離と同定
https://doi.org/10.2[...]
日本ビタミン学会
[464]
웹사이트
食品安全関係情報詳細 資料管理ID:syu04830460475
https://www.fsc.go.j[...]
[465]
웹사이트
【初心者向き】水槽のコケ対策と種類をプロがアドバイス!
https://tropica.jp/2[...]
株式会社東京アクアガーデン
2021-09-23
[466]
웹사이트
【コケ種類別】熱帯魚飼育におすすめのコケ取り名人
https://www.gex-fp.c[...]
GEX
2021-09-23
[467]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468]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Springer Netherlands
[469]
웹사이트
フィコシアニン(天然系青色素 リナブルー®)
https://www.dic-glob[...]
DIC
2022-11-05
[470]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471]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472]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473]
논문
アカウキクサ-ラン藻の共生による生物的窒素固定とその利用
https://doi.org/10.2[...]
日本土壌肥料學會
[474]
논문
Structure and biosynthesis of borophycin, a new boeseken complex of boric acid from a marine strain of the blue-green alga ''Nostoc linckia''
[475]
논문
Blue-green algae as an immuno-enhancer and biomodulator
https://www.ganzheit[...]
[476]
논문
Honaucins A−C, potent inhibitors of inflammation and bacterial quorum sensing: synthetic derivatives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477]
서적
Ecology of Cyanobacteria II
Springer Netherlands
[478]
논문
多彩な戦略で挑むシアノバクテリア由来の燃料生産:持続可能な第三世代バイオ燃料生産の最前線
https://doi.org/10.1[...]
日本農芸化学会
[479]
논문
シアノバクテリアの光合成能力を利用したバイオ燃料生産
https://dl.ndl.go.jp[...]
日本生物工学会
[480]
논문
Algenol hits 9K gallons/acre mark for algae-to-ethanol process]
http://www.biofuelsd[...]
[481]
논문
Light-dependent electrogenic activity of cyanobacteria
[482]
논문
Renewable energy from Cyanobacteria: energy production optimization by metabolic pathway engineering
[483]
논문
Sustainable life support on Mars–the potential roles of cyanobacteria
[484]
논문
A major clade of prokaryotes with ancient adaptations to life on land
[485]
논문
Insights into the phylogeny and coding potential of microbial dark matter
[486]
논문
An expanded genomic representation of the phylum Cyanobacteria
[487]
논문
On the origins of oxygenic photosynthesis and aerobic respiration in Cyanobacteria
[488]
논문
Hydrogen-based metabolism as an ancestral trait in lineages sibling to the Cyanobacteria
[489]
논문
Crown group Oxyphotobacteria postdate the rise of oxygen
[490]
간행물
The Phototrophic Way of Life
https://doi.org/10.1[...]
Springer
2013
[491]
논문
Evolution of the 3-hydroxypropionate bicycle and recent transfer of anoxygenic photosynthesis into the Chloroflexi
https://www.pnas.org[...]
2017-10-03
[492]
논문
Phototrophy and carbon fixation in Chlorobi postdate the rise of oxygen
https://www.biorxiv.[...]
2021-01-24
[493]
논문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Anoxygenic Phototrophy in the Bacterial Phylum Candidatus Eremiobacterota (WPS-2)
https://www.frontier[...]
2019
[494]
논문
The oxygenation of the atmosphere and oceans
[495]
논문
A Whiff of Oxygen Before the Great Oxidation Event?
https://www.science.[...]
2007-09-28
[496]
논문
Reconciling evidence of oxidative weathering and atmospheric anoxia on Archean Earth
https://www.science.[...]
[497]
논문
Reappraisal of hydrocarbon biomarkers in Archean rocks
https://www.pnas.org[...]
2015-05-12
[498]
논문
Identification of a methylase required for 2-methylhopanoid produ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ation of sedimentary hopanes
https://www.pnas.org[...]
2010-05-11
[499]
논문
ストロマトライト研究の歴史と今後の展望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500]
논문
Microbially influenced formation of 2,724-million-year-old stromatolites
[501]
논문
Fossil evidence of Archaean life
[502]
논문
The Meaning of Stromatolites
https://www.annualre[...]
2013-05-30
[503]
논문
The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cyanobacteria: molecular-phylogenetic and paleontological perspectives
[504]
논문
Multiple sulfur isotopes and the evolution of the atmosphere
[505]
논문
A molecular timeline for the origin of photosynthetic eukaryotes
[506]
논문
Plastid evolution
[507]
논문
An early-branching freshwater cyanobacterium at the origin of plastids
[508]
논문
Systematische Übersicht über die mit Flagellaten in Zusammenhang stehenden Algenreihen und Versuch einer Einreihung dieser Algenstämme in die Stämme des Pflanzenreiches
[509]
서적
The Biology of the Algae. 2nd Edition
[510]
웹사이트
藻類
https://photosyn.jp/[...]
日本光合成学会
null
[511]
서적
キャンベル生物学 原書11版
丸善出版
[51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bacteria and Myxophyceae
[513]
논문
What's in a name? The case of cyanobacteria
[514]
논문
A proposal for further integration of the cyanobacteria under the Bacteriological Code
[515]
논문
Prochlorophyta as a proposed new division of algae
[516]
논문
Modern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yanophytes. 1. Introduction
[517]
논문
The origin of multicellularity in cyanobacteria
[518]
논문
System of cyanoprokaryotes (cyanobacteria) - state in 2004
[519]
논문
Cyanobacteria and the Great Oxidation Event: evidence from genes and fossils
[520]
논문
Improving the coverage of the cyanobacterial phylum using diversity-driven genome sequencing
[521]
논문
Ecogenomics and taxonomy of Cyanobacteria phylum
[522]
논문
A comprehensive study of cyanobacterial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evolutionary dynamics through deep geologic time
[523]
논문
Taxonomic classification of cyanoprokaryotes (cyanobacterial genera) 2014, using a polyphasic approach
[524]
간행물
AlgaeBase
2019
[525]
논문
Several problems of the polyphasic approach in the modern cyanobacterial system
[526]
논문
Comparative genomics of ''Synechococcus'' and proposal of the new genus ''Parasynechococcus''
[527]
서적
日本淡水藻図鑑
内田老鶴圃
[528]
서적
바이오디버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529]
서적
바이오디버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530]
논문
Cyanobacterial systematics and nomenclature as featured in the international bulletin of bacteriological nomenclature and taxonomy/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31]
웹사이트
CyanoDB 2.0 - On-line database of cyanobacterial genera
http://www.cyanodb.c[...]
Univ. of South Bohemia & Inst. of Botany AS CR
2019
[532]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1/1
Borntraeger
[533]
웹인용
Cyanophyceae
http://www.accesssci[...]
Access Science
2011-04-21
[534]
간행물
A proposal for further integration of the cyanobacteria under the Bacteriological Code
[535]
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
https://news.naver.c[...]
동아사이언스
2018-04-30
[536]
뉴스
전기 생산하는 양송이버섯…버섯서 남세균 생존한계 극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11-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낙동강 보는 ‘녹조 독소’ 에어로졸 제조기? [유레카]
정부의 ‘낙동강 녹조 독소’ 안일한 인식 [왜냐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