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교는 '내적인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표현에서 유래한 용어로, 서구 철학 및 신비주의 전통에서 '비밀스러운', '내밀한' 지식을 의미한다. 1828년 자크 마테르가 '에조테리스무'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엘리파스 레비가 1850년대에 이를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밀교 사상에는 상응, 살아있는 자연, 상상력과 매개, 개인적인 변성 등의 특징이 있으며, 조화와 전수도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앙투안 파브르, 르네 게농, 율리우스 에볼라 등이 밀교와 관련된 사상가 및 연구자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밀교 | |
---|---|
어원 | |
그리스어 | ἔσω (esô, "내적") ἐσωτερικός (esôterikos, "내적인") |
개요 | |
정의 | 밀교(密敎)는 동양과 서양의 밀교(密敎)적 또는 비교(秘敎)적 가르침 전반을 의미한다. |
참고 | 불교의 종파로서의 밀교 또는 금강승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언어별 명칭 | |
영어 | esotericism |
프랑스어 | ésotérisme |
2. 용어의 기원
플라톤은 대화편 《알키비아데스》(기원전 390년경)에서 "내적인 것"을 의미하는 ta esô|타 에소grc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며, 대화편 《테아이테토스》(기원전 360년경)에서는 "외적인 것"을 의미하는 ta eksô|타 엑소grc를 사용했다. 그리스어 형용사 esôterikos|에소테리코스grc의 첫 번째 용례로 여겨지는 것은 기원 166년경에 쓰여진 루키아노스의 "생명의 경매" 26장 ("철학 제파의 매각"이라고도 불림)에 있다.[1]
종교학, 사상사 등 학술적 맥락에서 에소테리시즘은 그노시스주의, 헤르메스주의, 마술, 점성술, 연금술, 장미십자 사상, 야코프 뵈메와 그의 추종자들의 기독교 신지학, Illuminisme프랑스어 (일루미니즘), 메스메리즘, 스베덴보리 설, 심령주의, 블라바츠키 부인과 그 추종자들에게 연결되는 신지학의 여러 사조 등을 포함하는, 역사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종교적 조류를 나타낸다. 이러한 여러 조류를 연결하는 공통적 특징에 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어떤 의견도 '내오성'(영성), 신비성, 비밀성과 같은 것을 결정적인 특징으로 꼽지 않는다. '''신비학'''(은비학)은 에소테리시즘과 구분되어야 하는 개념이지만, 실제로는 에소테리시즘과 같은 의미의 단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
"에소테릭"(esoteric영어)이라는 단어의 영어에서의 첫 등장은 1701년 토머스 스탠리의 《철학사》에서 피타고라스의 신비주의 학파에 대한 기술이다. 그 기술에 따르면 피타고라스 학파는 교육 중인 exoteric|엑소테릭영어(외인)와 "내부" 서클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받은 esoteric|에소테릭영어(내인)으로 나뉘어 있었다. 프랑스어 형용사 ésotérique|에조테리크프랑스어에 대응하는 명사 ésotérisme|에조테리스므프랑스어는 자크 마테르(Jacques Matter)가 1828년에 조어한 것으로[2], 엘리파스 레비가 1850년대에 이를 사용하면서 보급되었다.[3]
3. 사상사적 특징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에소테리시즘의 단어에 '''비교'''(秘敎)라는 번역어가 사용되지만, '''밀교'''로 번역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어 유대교의 신지론인 카발라를 유대 밀교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밀교라는 단어는 '비밀 불교'를 가리키며, 그 영어 번역이 ''Esoteric'' Buddhism이다.
3. 1. 핵심 특징
학문적 의미에서 "비교"(에소테리시즘)라는 단어가 가리키는 여러 조류를 일원화하는 것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으며, 다양한 견해가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견해는 앙투안 파브르(Antoine Faivre)가 제안한 것이다. 파브르는 이러한 여러 조류 안에 4가지 본질적인 특징이 존재한다고 보았다.[4]
여기에 2가지 부차적인 특징이 더해진다.
그러나 파브르의 정의도, 단어의 최적 사용법에 대한 몇 가지 다양한 견해 중 하나라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3. 1. 1. 상응(Correspondance)
앙투안 파브르|앙투안 파브르영어(Antoine Faivre)가 제안한 정의에 따르면, 밀교의 여러 조류에는 4가지 본질적인 특징이 존재한다.[4] 그중 첫 번째는 상응(대응, Correspondance)의 이론이다. 이는 우주 만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징과 은유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믿음에 해당한다.
3. 1. 2. 살아있는 자연(Living Nature)
자연은 살아있는 유기체이며, 영적인 힘과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는 믿음이다.[4]
3. 1. 3. 상상력과 매개(Imagination and Mediations)
앙투안 파브르|앙투안 파브르영어(Antoine Faivre)는 밀교의 특징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했다.[4]
여기에 다음 두 가지 부차적인 특징이 추가된다.
그러나 파브르의 정의는 여러 견해 중 하나일 뿐이다.
3. 1. 4. 변성(Transmutation)
에소테리시즘(비교)의 여러 조류를 하나로 묶는 것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그중에서도 앙투안 파브르가 제안한 정의가 가장 영향력 있다. 파브르는 에소테리시즘의 본질적인 특징으로 다음 4가지를 제시한다.[4]
여기에 덜 결정적인 두 가지 특징이 추가된다.
하지만 파브르의 정의 역시 에소테리시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여러 견해 중 하나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3. 2. 부차적 특징
앙투안 파브르(Antoine Faivre)는 밀교의 여러 조류에 존재하는 4가지 본질적인 특징으로 상응(대응) 이론, 자연이 살아있는 전체라는 신념, 상상력과 매개체, 개인적인 변성 감각을 제시했다.[4] 여기에 덜 결정적인 두 가지 특징으로 조화와 전수가 추가된다.
3. 2. 1. 조화(Concordance)
여러 전통 사이에 일치하는 공통 요소가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지식을 획득하려는 움직임이다.[4]
3. 2. 2. 전수(Transmission)
비교(秘敎)의 지식은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 비밀리에 전수되며, 입문 의례를 통해 전승된다.[4]
4. 주요 사상가 및 연구자
밀교의 주요 사상가 및 연구자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인물 |
---|---|
사상가 | |
연구자 |
4. 1. 사상가
- Martinès de Pasqually|마르티네 드 파스칼리프랑스어
- Louis-Claude de Saint-Martin|루이 클로드 드 생 마르탱프랑스어
- 르네 게농
- Frithjof Schuon|프리티오프 슈온프랑스어
- 율리우스 에볼라: 이탈리아의 철학자이자 전통주의 사상가이다. 극우 파시즘과의 연관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4. 2. 연구자
- Antoine Faivre|앙투안 파브르프랑스어
- Nicholas Goodrick-Clarke|니컬러스 굿릭-클라크영어
- Wouter Hanegraaff|라우터 하네그라프nl
참조
[1]
서적
オカルティズムとは何か
エリアーデ・オカルト事典
[2]
서적
無神論 - 二千年の混沌と相克を超えて
中央公論新社
2010
[3]
서적
エリアーデ・オカルト事典
[4]
서적
エゾテリスム思想
[5]
사전
Chambers 20thC dictionary
1972
[6]
웹사이트
도마복음과 동양 철학
http://junggaksa.com[...]
2011-02-09
[7]
웹인용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esoteric
http://www.webster.c[...]
Webster.com
2007-04-25
[8]
웹인용
esotericism
http://www.thefreedi[...]
2010-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