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는 아프리카의 빈곤 퇴치를 목표로 하는 국제 개발 프로젝트이다. 2012년 영국 국제개발부의 지원을 받아 가나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개발 은행 등 다양한 기관의 자금 지원을 통해 우간다, 르완다, 나이지리아 등으로 확대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농업, 건강, 교육,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새천년 개발 목표 달성을 촉진하고자 했다. 그러나, 과도한 비용, 비료 및 유전자 변형 종자 사용, 서구 학자들의 아프리카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의 비판을 받았다. 초기 평가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했지만, 독립적인 평가에서는 그 영향이 미미하거나 가구 소득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프로젝트의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작물 수확량 증가와 말라리아 발병률 감소 등이 보고되었으며, 지속 가능한 실행을 위해서는 정부와 시행 기관의 협력, 증거 기반의 개입, 최전선 인력 훈련 등의 과제가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개발 계획 -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은 1992년 리우 회의에서 채택되어 지속 가능한 개발의 원칙을 담고 있으며, 인류 중심 개발, 국가의 자원 개발 권리, 환경 보호, 국제 협력을 강조하며 27개의 원칙을 제시한다. - 유엔 개발 계획 - 인간 개발 보고서
인간 개발 보고서는 유엔 개발 계획이 1990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인간 개발 정도를 측정, 분석하여 제시하며, 마흐부브 울 하크와 아마르티아 센에 의해 처음 발간되어 인간 개발 지수를 포함한 다양한 지표를 통해 국가별 인간 개발 수준을 비교하고 특정 주제에 대한 분석과 정책 제언을 제공한다. - 아프리카의 경제 -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는 아부자 조약에 따라 아프리카 경제 통합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지역 경제 공동체를 기반으로 여러 통합 단계를 거쳐 2028년까지 경제 통화 동맹 및 의회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회원국 중복 가입 및 지역별 진행 상황 차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아프리카 자유 무역 지대와도 관련되어 있다. - 아프리카의 경제 - 중앙아프리카 은행
중앙아프리카 은행(BEAC)은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회원국의 중앙 은행으로, 1972년 프랑스와의 금융 협약에 따라 설립되어 1973년 운영을 시작했으며, 6개국을 회원국으로 두고 카메룬 야운데에 본사를 둔다.
|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 | |
|---|---|
| 개요 | |
| 이름 |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 |
| 유형 | 빈곤 퇴치 생산성 향상 시범 프로그램 |
| 위치 | 아프리카 |
| 목표 | MDG 달성 |
| 주창자 | 제프리 삭스 |
| 후원 | 유엔 UNDP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 |
| 기간 | 2006년 ~ 2015년 |
| 상세 내용 | |
| 설명 |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농촌 지역에서 MDG를 달성하기 위한 시범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농업, 보건, 교육 및 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를 통해 지역 사회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전략 | 농업 생산성 향상 보건 시스템 강화 교육 접근성 확대 기반 시설 개선 |
| 개입 | 개선된 씨앗과 비료 제공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모기장 배포 학교 및 진료소 건설 깨끗한 물 공급 시설 설치 |
| 평가 | |
| 긍정적 평가 | 일부 지역에서 농업 생산량 및 보건 지표 개선이 관찰되었다. |
| 비판적 평가 |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 제기 지역 사회 참여 부족 높은 비용 대비 효과 미흡 획일적인 접근 방식의 한계 |
| 관련 정보 | |
| 관련 인물 | 안젤리나 졸리 |
| 외부 링크 | 유엔 Millennium Villages Project 빌 게이츠의 Millennium Villages Project 관련 글 Millennium Villages Project 최종 평가 보고서 스탠포드 Freeman Spogli Institute의 Millennium Villages Project 평가 EconTalk의 Nina Munk 인터뷰 |
2. 역사적 배경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만연한 극심한 빈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많은 농촌 지역 사회가 기본적인 의료, 교육, 청결한 물 접근성 부족 등으로 인해 빈곤의 덫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과학적이고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빈곤 지역 주민들에게 자립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프로젝트가 구상되었다. 이는 2000년대 초 국제 사회의 빈곤 퇴치 노력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었다.
2. 1. 프로젝트 배경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는 청결한 물 접근성 개선, 초등 교육 제공,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 및 위생 환경 구축, 그리고 개량된 씨앗과 비료 보급과 같은 과학 기반의 개입을 통해 극심한 빈곤 속에 사는 지역 사회가 빈곤의 덫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이 프로젝트는 원래 세계 은행의 대출과 조지 소로스의 5000만달러 기부를 포함한 개인 기부금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처음에는 5년 기간으로 설계되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10년으로 연장되었다. 저널리스트 니나 멍크는 2013년 저서 "이상주의자: 제프리 삭스와 빈곤 종식을 위한 탐구"에서 프로젝트를 주도한 제프리 삭스가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 수준을 상당히 높이기 위해 시간을 더 확보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프로젝트는 총 2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2단계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이어졌다.
- 1단계 (2004-2010): 농업(씨앗 및 비료 지원, 농민 교육, 저장 시설 확대, 작물 다양화), 건강(모기장 설치, 백신 공급, 해충 방제), 교육(학교 건설, 급수 시설 설치), 기반 시설(위생 시설, 도로 건설), 사업 개발(소액 신용 대출, 협동조합 교육) 등 5가지 주요 분야에 집중했다.
- 2단계 (2011-2015): 1단계에서 시작된 프로그램들을 성공적으로 강화하고 개선하며 완성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밀레니엄 빌리지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10개국 14개 지역의 다양한 농업생태 구역에 위치한 핵심 마을이다. 이 마을들은 컬럼비아 대학교 지구 연구소를 통해 직접적인 지원을 받았다.
| 국가 | 핵심 마을 |
|---|---|
| 케냐 | 사우리(Sauri), 데르투(Dertu) |
| 에티오피아 | 코라로(Koraro) |
| 탄자니아 | 음볼라(Mbola) |
| 우간다 | 루히이라(Ruhiira) |
| 르완다 | 마양게(Mayange) |
| 말라위 | 므완다마(Mwandama), 구물리라(Gumulira) |
| 나이지리아 | 팜파이다(Pampaida), 이카람(Ikaram) |
| 세네갈 | 포투(Potou) |
| 말리 | 티비(Tiby), 토야(Toya) |
| 가나 | 본사소(Bonsaaso) |
둘째는 지구 연구소의 직접적인 지원은 받지 않지만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그램을 따르는 추가적인 마을들이다. 이 마을들은 라이베리아, 캄보디아, 요르단, 모잠비크, 아이티, 카메룬, 베냉 등에 위치해 있다.
2. 2. 프로젝트 진행
이 프로젝트는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단계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2단계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이어졌다. 1단계에서는 농업(씨앗 및 비료 지원, 농민 교육, 저장 시설 확대, 작물 다양화 등), 건강(모기장 설치, 백신 공급, 해충 방제 등), 교육(학교 건설, 급수 시설 설치 등), 기반 시설(위생 시설, 도로 등), 사업 개발(소액 신용 대출, 협동조합 교육 등)의 5가지 주요 분야에 집중했다. 2단계의 주요 목표는 1단계에서 시작된 프로그램들을 성공적으로 강화하고 개선하며 완성하는 것이었다.청결한 물 접근성 개선, 초등 교육 제공,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 확충, 위생 환경 개선, 그리고 개량된 씨앗과 비료 보급과 같은 과학 기반의 개입을 통해, 밀레니엄 빌리지는 극심한 빈곤 상태에 놓인 지역 사회가 빈곤의 덫에서 벗어나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밀레니엄 빌리지는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핵심 마을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10개국 14개 지역의 다양한 농생태 구역에 걸쳐 있으며, 주요 마을은 다음과 같다.
| 국가 | 지역 |
|---|---|
| 케냐 | 사우리(Sauri) |
| 케냐 | 데르투(Dertu) |
| 에티오피아 | 코라로(Koraro) |
| 탄자니아 | 음볼라(Mbola) |
| 우간다 | 루히이라(Ruhiira) |
| 르완다 | 마양게(Mayange) |
| 말라위 | 므완다마(Mwandama) |
| 말라위 | 구물리라(Gumulira) |
| 나이지리아 | 팜파이다(Pampaida) |
| 나이지리아 | 이카람(Ikaram) |
| 세네갈 | 포투(Potou) |
| 말리 | 티비(Tiby) |
| 말리 | 토야(Toya) |
| 가나 | 본사소(Bonsaaso) |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지구 연구소가 주도하여 극심한 빈곤 퇴치를 목표로 진행한 국제 개발 프로젝트이다. 새천년 개발 목표(MDGs)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약 10년간 진행되었다.
또한, 컬럼비아 대학교의 지구 연구소로부터 직접적인 지원을 받지는 않지만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그램을 따르는 추가적인 마을들이 라이베리아, 캄보디아, 요르단, 모잠비크, 아이티, 카메룬, 베냉에 위치해 있다.
프로젝트 초기 자금은 세계 은행 대출과 조지 소로스의 5000만달러 기부를 포함한 개인 기부금으로 마련되었다. 원래 5년 기간으로 설계되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해 10년으로 연장되었다. 저널리스트 니나 멍크는 2013년 저서 "이상주의자: 제프리 삭스와 빈곤 종식을 위한 탐구"에서 제프리 삭스가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 수준을 상당히 높이기 위해 시간을 더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을 인용했다.
2012년에는 영국 국제개발부(DfID)가 가나에 새로운 밀레니엄 마을 건설을 위해 5년간 1810.0000000000002만달러 (1,150만 파운드) 지원을 약속했다.[13]
2013년 8월 13일, 이슬람 개발 은행(IsDB)과 컬럼비아 대학교 지구 연구소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극심한 빈곤 종식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기존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IsDB는 8개국에 극심한 빈곤 종식, 공중 보건 개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1.04억달러의 무이자 대출을 제공했다. 이 중 2900만달러는 말리, 세네갈, 우간다에서 밀레니엄 마을 프로젝트를 확대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었다.[14]
2013년 7월, 우간다 정부는 IsDB로부터 975만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아 루히이라 밀레니엄 마을 주변 지역에서 프로젝트를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15] 약속된 확장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3년 9월, 르완다 정부와 밀레니엄 마을 프로젝트는 르완다의 국가 빈곤 퇴치 프로그램인 '비전 2020 우무렌게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밀레니엄 마을 접근 방식의 특정 측면을 확대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16]
밀레니엄 마을 프로젝트는 밀레니엄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해 설계된 나이지리아의 개발 프로그램에 교훈과 기술을 제공하기도 했다.[17]
3. 주요 내용 및 특징
이 프로젝트의 핵심 특징은 통합적 접근 방식이다. 농업 생산성 향상, 기본적인 건강 관리 제공, 교육 기회 확대, 청결한 물 및 위생 시설 개선, 도로 등 필수 기반 시설 확충, 소규모 사업 개발 지원 등 빈곤의 여러 측면에 동시에 개입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자 했다. 이러한 개입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이루어졌으며, 지역 사회가 빈곤의 덫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프로젝트는 지역 사회 주도 원칙을 강조했다. 아프리카 정부, 지역 NGO, 마을 공동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현지 상황에 맞는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했으며, 지역 주민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훈련을 지원했다.
프로젝트는 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10개국 14개 마을을 핵심 대상으로 삼아 다양한 농업생태 환경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세계 은행 대출과 조지 소로스와 같은 개인 기부자들의 기부금 등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원래 5년 계획이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해 10년으로 연장되었다.
3. 1. 통합적 접근 방식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는 극심한 빈곤 퇴치를 위해 다각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프로젝트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1단계(2004년~2010년)와 2단계(2011년~2015년)이다.
1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요 분야에 집중하여 통합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2단계의 주요 목표는 1단계에서 시작된 프로그램들을 성공적으로 강화하고 개선하며 완성하는 것이었다.
MVP는 청결한 물 접근성 개선, 초등 교육 기회 확대,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 위생 환경 개선, 그리고 개량된 씨앗과 비료 보급과 같은 과학에 기반한 개입을 통해, 극심한 빈곤 속에 사는 지역 사회가 빈곤의 덫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프로젝트는 다양한 지역과 유형으로 운영되었다. 핵심 마을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10개국 14개 지역의 다양한 농업생태 구역에 걸쳐 있으며, 다음과 같다.
| 국가 | 지역 |
|---|---|
| 케냐 | 사우리(Sauri), 데르투(Dertu) |
| 에티오피아 | 코라로(Koraro) |
| 탄자니아 | 음볼라(Mbola) |
| 우간다 | 루히이라(Ruhiira) |
| 르완다 | 마양게(Mayange) |
| 말라위 | 므완다마(Mwandama), 구물리라(Gumulira) |
| 나이지리아 | 팜파이다(Pampaida), 이카람(Ikaram) |
| 세네갈 | 포투(Potou) |
| 말리 | 티비(Tiby), 토야(Toya) |
| 가나 | 본사소(Bonsaaso) |
또한, 컬럼비아 대학교의 지구 연구소로부터 직접적인 지원을 받지는 않지만 MVP 프로그램을 따르는 추가적인 밀레니엄 빌리지들이 라이베리아, 캄보디아, 요르단, 모잠비크, 아이티, 카메룬, 베냉 등지에 있다.
프로젝트 자금은 주로 세계 은행 대출과 개인 기부금으로 충당되었으며, 조지 소로스가 5000만달러를 기부하기도 했다. 원래 5년 계획이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해 10년으로 연장되었다. 저널리스트 니나 멍크는 2013년 저서 "이상주의자: 제프리 삭스와 빈곤 종식을 위한 탐구"에서 제프리 삭스가 프로젝트 기간 연장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 수준을 상당히 높이기 위해 시간을 더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MVP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목표를 통해 통합적 접근 방식을 구체화했다.
- 과학적으로 검증된 방법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확장 가능하며 지역 사회가 주도하는 새천년 개발 목표(MDGs) 달성을 촉진한다.
- 아프리카 정부 및 지역 단체와 협력하여 MDGs 달성에 대한 아프리카의 주인의식을 확보한다.
- 지역 아프리카 정부, NGO, 마을 공동체와의 훈련 및 지식 공유를 통해 아프리카의 역량과 지역 사회의 역량을 강화한다.
- 아프리카 및 전 세계의 공공 및 민간 부문, 혁신적인 NGO, 대학교, 주요 전문가, 국제 기부자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개발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조정한다.
- 농촌의 생계형 경제를 소규모 기업 개발 경제로 전환하고 다양한 기업가를 육성한다.
3. 2. 과학적 근거 기반 개입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는 극심한 빈곤 속에 사는 지역 사회가 빈곤의 덫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청결한 물 접근성 개선, 초등 교육 제공,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 지원, 위생 환경 개선, 그리고 개량된 씨앗과 비료 보급과 같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개입을 실행했다.프로젝트는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2004년~2010년)에서는 다음 5가지 주요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졌다.
- 농업: 씨앗 및 비료 지원, 농민 교육, 저장 시설 확대, 작물 다양화
- 건강: 모기장 설치, 백신 공급, 해충 방제
- 교육: 학교 건설, 급수 시설 설치
- 기반 시설: 위생 시설 확충, 도로 정비
- 사업 개발: 소액 신용 대출 제공, 협동조합 교육
2단계(2011년~2015년)는 1단계에서 시작된 프로그램들을 성공적으로 강화하고 개선하며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프로젝트의 핵심 대상 지역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10개국의 다양한 농업생태 구역에 위치한 14개 마을이다.
| 국가 | 마을 이름 |
|---|---|
| 케냐 | 사우리(Sauri), 데르투(Dertu) |
| 에티오피아 | 코라로(Koraro) |
| 탄자니아 | 음볼라(Mbola) |
| 우간다 | 루히이라(Ruhiira) |
| 르완다 | 마양게(Mayange) |
| 말라위 | 므완다마(Mwandama), 구물리라(Gumulira) |
| 나이지리아 | 팜파이다(Pampaida), 이카람(Ikaram) |
| 세네갈 | 포투(Potou) |
| 말리 | 티비(Tiby), 토야(Toya) |
| 가나 | 본사소(Bonsaaso) |
이 외에도 컬럼비아 대학교 지구 연구소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지는 않지만 MVP 프로그램을 따르는 추가적인 마을들이 라이베리아, 캄보디아, 요르단, 모잠비크, 아이티, 카메룬, 베냉 등지에 존재한다.
프로젝트 자금은 주로 세계 은행 대출과 개인 기부금으로 마련되었고, 특히 조지 소로스는 5000만달러를 기부했다. 프로젝트는 원래 5년 기간으로 설계되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해 10년으로 연장되었다. 프로젝트를 이끈 삭스는 소득 수준을 의미 있게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3. 3. 지역 사회 주도 개발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는 지역 사회가 주도하는 발전을 목표로 삼았다. 이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방법을 활용하여 새천년 개발 목표(MDGs) 달성을 촉진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1] 프로젝트는 아프리카 정부 및 지역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MDGs 달성에 대한 아프리카의 주체적인 역할을 확보하고자 했다.[1]또한, 지역 아프리카 정부, NGO, 마을 공동체와의 훈련 및 지식 공유를 통해 아프리카의 자체적인 역량과 지역 사회의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 프로젝트는 개발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조정하기 위해 아프리카 및 전 세계의 공공 및 민간 부문, 혁신적인 NGO, 대학, 전문가, 국제 기부자 커뮤니티와 폭넓게 협력했다.[1]
궁극적으로 농촌의 자급자족 경제를 소규모 기업 중심의 경제로 전환하고, 다양한 기업가를 육성하여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 이를 통해 극심한 빈곤 속에 사는 지역 사회가 빈곤의 덫에서 벗어나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했다.[2]
3. 4. 자금 조달
이 프로젝트는 초기에 세계 은행 대출과 조지 소로스의 5000만달러를 포함한 개인 기부금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원래 5년 기간으로 설계되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해 10년으로 연장되었다. 저널리스트 니나 멍크는 2013년 저서 "이상주의자: 제프리 삭스와 빈곤 종식을 위한 탐구"에서 제프리 삭스가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 수준을 상당히 높이기 위해 시간을 더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인용했다.여러 국가와 기관들이 프로젝트 자금 지원에 참여했다.
- 2012년: 영국 국제개발부 (DfID)는 가나에 새로운 밀레니엄 마을 건설을 위해 5년간 1810.0000000000002만달러 (1,150만 파운드)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13]
- 2013년 8월: 이슬람 개발 은행 (IDB)과 컬럼비아 대학교의 지구 연구소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극심한 빈곤 종식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확대했다. IDB는 8개국에 1.04억달러의 무이자 대출을 제공했으며, 이 중 2900만달러는 말리, 세네갈, 우간다의 밀레니엄 마을 프로젝트 확대에 사용될 예정이었다.[14]
- 2013년 7월: 우간다 정부는 IDB로부터 975만달러를 지원받아 루히이라 밀레니엄 마을 주변 지역으로 프로젝트를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15], 실제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2013년 9월: 르완다 정부는 국가 빈곤 퇴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밀레니엄 마을 접근 방식을 확대하기 위해 프로젝트와 파트너십을 맺었다.[16]
- 일본 정부(인간 안보 신탁 기금을 통해)와 민간 자선 기부자(컬럼비아 대학교의 지구 연구소를 통해)도 초기 밀레니엄 빌리지 자금을 제공하여 약 6만 명에게 혜택을 주었다.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의 핵심 아이디어 중 하나는 농업, 건강, 교육, 인프라에 대한 빈곤 종식 투자를 기부자들이 연간 1인당 60USD, 즉 마을당 연간 25만달러의 증분 비용으로 조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각 마을의 프로젝트 관리 간접비는 연간 5만달러이다.
1인당 총 마을 비용 120USD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자금 출처 | 1인당 연간 비용 (USD) | 비고 |
|---|---|---|
| 기부자 (MVP 프로그램 통해) | 60 | |
| 지방 및 국가 정부 | 30 | 중재 자금 지원, 마을 공무원 제공 등 포함 가능성 |
| 파트너 기관 및 기업 현물 기부 | 20 | 예: 공식 양자간 기부자 지원 프로그램, 스미토모 화학의 살충제 처리 모기장 기증 등 |
| 마을 구성원 (현물 기부) | 10 | 주로 시간과 전문 지식 기부 |
중요한 점은 1인당 외부 자금 조달 요구액 70USD가 2005년 글레니글스 G8 정상 회담에서 산업 국가 지도자들이 약속한 재정적 공약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G8 국가들은 2010년까지 아프리카에 대한 개발 원조를 1인당 70USD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늘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4. 비판 및 평가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는 빈곤 퇴치를 위한 야심 찬 시도였으나, 그 효과와 접근 방식에 대해 여러 비판과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특히 투입된 비용 대비 성과, 지속가능성, 현지 상황 고려 여부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으며,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통계적 평가를 둘러싼 논란도 있었다. 자세한 비판 내용과 평가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비판
토양, 식량 및 건강 공동체(SFHC)의 에크웬데니 마을과 비교했을 때, 밀레니엄 빌리지는 훨씬 더 많은 비용을 투입하여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거두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는 밀레니엄 빌리지가 인공 비료와 혼종 종자(종종 해당 지역에 토착적이지 않은 옥수수와 같은 작물) 사용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반면, SFHC는 다양한 콩과 작물을 활용하여 토양 건강을 개선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SFHC 연구 프로젝트는 가정 내 식량의 질과 양을 향상시키고, 토양 비옥도를 높이기 위한 유기적 투입물을 제공하는 다양한 콩과 작물 옵션을 통해 아동 영양 상태, 가구 식량 안보 및 토양 비옥도 개선을 추구한다.[20] 레이첼 베즈너 커에 따르면, 비료와 유전자 변형 종자의 사용은 농민들이 대형 산업 기업에서 판매하는 고가의 제품에 의존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21] 이와 대조적으로, 작물 다양성을 통해 토양 건강을 개선하는 방법은 비용이 적게 들고 훨씬 더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는 농업, 교육, 건강, 인프라, 사업 개발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의 다양한 활동 중 농업 분야에 국한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저널리스트 니나 뭉크는 수년간 밀레니엄 빌리지 그룹의 활동을 추적했으며, 2013년에 출간한 저서 ''이상주의자: 제프리 삭스와 빈곤 종식을 위한 탐구''에서 프로그램의 근본적인 결함을 지적했다. 그는 서구 학자들이 아프리카 농촌의 현실과 동떨어져 현지 관행과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개발을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뭉크는 역사적으로 옥수수를 주식으로 삼지 않았던 지역 주민들에게 옥수수 재배를 장려하거나, 실제 현지 수요가 없는 상황에서 단기간 운영되다 만 가축 시장을 건설한 사례 등을 비판의 근거로 들었다.[22]
4. 2. 평가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에 대한 엄격한 평가는 프로젝트 평가 설계의 단점 때문에 이루어지기 어렵다. 평가 설계에는 "개입 지역의 주관적인 선택, 비교 지역의 주관적인 선택, 비교 지역에 대한 기준 데이터의 부족, 작은 표본 크기, 짧은 시간 범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된다.[24] 프로젝트 시작 3년 후 마을 상황을 초기 추정치와 비교한 자체 발간 평가에서는 건강, 농업 생산량 및 기타 다양한 지표에서 상당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했다.[23] 그러나 이러한 결과 중 일부는 MVP와 직접 관련 없는 지역 전반의 개선 때문일 수 있다는 지적이 있으며, 실제로 MVP 지역과 주변 지역을 비교한 독립적인 평가는 그 영향이 훨씬 미미하다는 결론을 내렸다.[24] 또 다른 독립적인 평가는 농업 생산성은 증가했지만, MVP가 최종적인 가구 소득 증가로 이어지지는 못했다고 분석했다.[25]2012년, MVP는 의학 저널 란셋에 "빈곤, 식량 불안, 발육부진 및 말라리아 기생충 감염의 감소"를 보여주는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26] 하지만 이 평가의 일부 결론에 대해 이의가 제기되었고,[27] 연구 저자들은 이후 결과를 수정해야만 했다. 특히 5세 미만 아동 사망률 계산에 오류가 있었으며, MVP 지역에서의 사망률 개선 정도가 주변 지역보다 오히려 낮았던 것으로 밝혀져 해당 내용은 철회되었다.[28][29]
개별 밀레니엄 빌리지 지역의 구체적인 성과 지표와는 별개로, 이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MVP 마을에서의 개입 방식이 다른 마을들이 따라 할 수 있는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제프리 삭스(Jeffrey Sachs)와 안젤리나 다이어리(Angelina Diary)는 케냐 사우리(Sauri) 방문 후 이곳이 백만 개 마을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했을 때, 다른 마을들이 MVP 모델을 실제로 따라 하지 않았다는 점이 명확한 결과로 나타났다.
4. 3. 란셋 논문 논란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MVP)는 평가 설계의 단점 때문에 엄격한 평가가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입 지역과 비교 지역 선정의 주관성, 비교 지역 기초 데이터 부족, 작은 표본 크기, 짧은 평가 기간 등이 문제로 꼽힌다.[24] 프로젝트 측이 자체적으로 발표한 평가에서는 사업 시작 3년 후 건강, 농업 생산량 등 여러 지표에서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고 보고했다.[23] 하지만 이는 MVP와 무관한 지역 자체의 발전 때문일 수 있으며, 실제로 MVP 지역과 주변 지역을 비교한 독립적인 평가는 그 영향이 훨씬 미미하다고 결론 내렸다.[24] 다른 독립 평가에서도 농업 생산성은 증가했지만, 이것이 최종적인 가구 소득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분석했다.[25]2012년, MVP는 의학 학술지 란셋에 빈곤, 식량 불안, 아동 발육 부진, 말라리아 감염률 등이 감소했다는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26] 그러나 이 평가의 일부 결론에 대해 반론이 제기되었고,[27] 논문 저자들은 이후 내용을 수정해야 했다. 특히 5세 미만 아동 사망률 계산에 오류가 있었음이 밝혀졌는데, 수정된 결과 MVP 지역의 사망률 개선 정도가 주변 지역보다 오히려 낮게 나타나 해당 부분은 결국 철회되었다.[28][29]
개별 마을의 성과 지표와는 별개로, MVP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다른 마을들이 따라 할 수 있는 성공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의 성공 여부는 다른 마을들이 실제로 MVP 모델을 따랐는지 보면 알 수 있다. 제프리 삭스는 케냐의 사우리(Sauri) 마을을 방문한 후 이곳이 '백만 개 마을'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결과적으로 다른 마을들이 MVP 모델을 널리 채택하지는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Millennium Villages Project
https://www.un.org/e[...]
2024-11-03
[2]
웹사이트
A cautionary tale from Africa
https://www.gatesnot[...]
2024-11-03
[3]
웹사이트
The Diary of Angelina Jolie and Dr. Jeffrey Sachs in Africa
https://www.youtube.[...]
MTV
2005
[4]
웹사이트
Millennium Villages {{!}} MVP End-line Evaluation
http://millenniumvil[...]
2018-03-10
[5]
웹사이트
Lessons from the Millennium Villages Project: a personal perspective
https://www.thelance[...]
2024-11-03
[6]
웹사이트
The fog of development: Evaluating the Millennium Villages Project
https://fsi.stanford[...]
2024-11-03
[7]
웹사이트
Nina Munk on Poverty, Development, and the Idealist
https://www.econtalk[...]
2024-11-03
[8]
웹사이트
Harvests of Development in Rural Africa: The Millennium Villages After Three Years
http://millenniumvil[...]
2018-03-09
[9]
저널
Jeffrey Sachs, PhD: Ending Extreme Poverty, Improving the Human Condition
[10]
웹사이트
Village Descriptions
http://www.millenniu[...]
Millennium Villages Project
2008-06-30
[11]
웹사이트
Philanthropist Gives $50 Million to Help Aid the Poor in Africa
http://travel2.nytim[...]
[12]
서적
The Idealist: Jeffrey Sachs and the Quest to End Poverty
Doubleday
[13]
웹사이트
Jeffrey Sachs fast-tracks new Millennium Village Project in Ghana
https://www.theguard[...]
[14]
웹사이트
Islamic Development Bank And Earth Institute Partner To Meet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 Rural Africa
http://globalcenters[...]
[15]
웹사이트
Ugandan Government Launches Scale-up of Millennium Villages Project
http://millenniumvil[...]
[16]
웹사이트
Rwanda to Scale Up Millennium Villages Approach Nationwide
http://millenniumvil[...]
[17]
웹사이트
Nigeria Working With Earth Institute to Expand Anti-Poverty Program
http://millenniumvil[...]
[18]
웹사이트
Millennium Villages: Executive Summary
https://web.archive.[...]
Millennium Promise
2007-11-08
[19]
웹사이트
Can project-funded investments in rural development be scaled-up? Lessons from the Millennium Villages Project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08-11
[20]
문서
Soils, Food, and Healthy Communities. Research Results (main page).
http://soilandfood.o[...]
[21]
웹사이트
Critics to millennium villages
https://web.archive.[...]
[22]
뉴스
"The Quest to End Poverty: Nina Munk"
http://www.cbc.ca/th[...]
CBC Radio
2013-09-10
[23]
웹사이트
Harvests of Development in Rural Africa: The Millennium Villages After Three Years
http://ciesin.columb[...]
Millennium Villages
2014-02-03
[24]
저널
When does rigorous impact evaluation make a difference? The case of the Millennium Villages
http://www-wds.world[...]
[25]
저널
Can Big Push Interventions Take Small-Scale Farmers out of Poverty? Insights from the Sauri Millennium Village in Kenya
2013-05
[26]
저널
The effect of an integrated multisector model for achiev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improving child survival in rural sub-Saharan Africa: a non-randomised controlled assessment
[27]
저널
Concerns about the Millennium Villages project report
2012-05
[28]
저널
Errors in a paper on the Millennium Villages project
2012-05
[29]
웹사이트
The New Transparency in Development Economics: Lessons from the Millennium Villages Controversy
http://www.cgdev.org[...]
CGD
2013-09-09
[30]
뉴스
제주대 우간다에서 새천년마을 개발 과제 주관
http://www.jejunews.[...]
2015-06-26
[31]
뉴스
개도국 빈곤문제, 한국이 성공사례를 만들자
http://www.korea.kr/[...]
2010-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