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개발 보고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간 개발 보고서는 1990년 파키스탄 경제학자 마흐부브 울 하크와 인도 출신 아마르티아 센에 의해 처음 발간되었으며, 유엔 개발 계획(UNDP)에서 위탁하는 독립적인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경제적 논쟁, 정책, 옹호 측면에서 사람들을 국제 개발 과정의 중심에 두는 것을 목표로 하며, 매년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발간된다. 1990년 이후, 140개 이상의 국가에서 약 600개의 국가별 보고서가 발간되었으며, 인간 개발 지수(HDI), 성 불평등 지수(GII), 다차원 빈곤 지수(MPI) 등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여 국가별 인간 개발 수준을 평가한다. 2020년에는 인류세를 반영한 행성 압력 조정 인간 개발 지수(PHDI)를 도입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개발 계획 -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은 1992년 리우 회의에서 채택되어 지속 가능한 개발의 원칙을 담고 있으며, 인류 중심 개발, 국가의 자원 개발 권리, 환경 보호, 국제 협력을 강조하며 27개의 원칙을 제시한다. - 유엔 개발 계획 - 국제 백신 연구소
국제백신연구소는 개발도상국을 위한 백신 개발 및 보급을 목표로 1997년 유엔개발계획 주도하에 설립되어 대한민국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지원을 받아 백신 개발, 질병 감시, 연구 조사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빈곤층 질환 퇴치와 콜레라, 장티푸스, 뎅기열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 및 도입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하는 국제기구이다.
인간 개발 보고서 | |
---|---|
개요 | |
제목 | 인간 개발 보고서 |
원제 | Human Development Report |
발간 기관 | 유엔 개발 계획 인간 개발 보고서 사무소 |
유형 | 연례 보고서 |
내용 | |
주제 | 인간 개발 |
설명 | 국가별 인간 개발 지수(HDI) 순위, 지표, 분석 등을 제공 |
기타 | |
웹사이트 | 인간 개발 보고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90년 첫 발간 이후, 인간 개발 보고서는 매년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전 세계 인간 개발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 제언을 제시해 왔다. 1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120개국 이상에서 발행되고 있으며, 유엔 개발 계획이 발표한다.
보고서는 매년 다른 테마를 정하여 관련된 제언을 한다. 예를 들어 2010년에는 '국가의 진정한 부 - 인간 개발의 길', 2009년에는 '장벽을 넘어 - 사람의 이동과 개발'이라는 주제로 보고서가 발간되었다.
유엔 총회는 이 보고서를 "독립적인 지적 활동"이자 "전 세계의 인간 개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로 공식 인정했다. 이 보고서는 유엔 개발 계획(UNDP)에서 위탁한 독립적인 보고서이며, 선도적인 학자, 개발 실무자 및 UNDP 인간 개발 보고서 사무소 구성원의 선택된 팀의 산물이다.
1990년 이후, 140개 이상의 국가에서 UNDP의 지원을 받아 약 600개의 국가별 인간 개발 보고서가 발간되었다. UNDP는 민주주의, 여성의 권리, 불평등, 빈곤 퇴치 등 주요 문제에 대한 국제적 대화에 기여하는 아랍 인간 개발 보고서 시리즈와 같은 지역별 보고서도 발간하였다.
영어판은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일본어 번역본도 있으며, 유엔 개발 계획 주일 대표 사무소 사이트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지만, 연도별 번역 상황은 상이하다.
2. 1. 보고서의 기원
1990년, 파키스탄 경제학자 마흐부브 울 하크와 인도 출신 노벨상 수상자 아마르티아 센은 기존의 경제 성장 중심 개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인간의 삶의 질과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춘 '인간 개발' 개념을 제시하며 이 보고서를 처음 발간했다.[2]하크는 1990년 첫 번째 보고서 첫 줄에 "사람들은 국가의 진정한 부입니다."라고 썼다.[3] 그는 "개발의 기본적인 목표는 사람들이 길고 건강하며 창의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진실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품과 재정적 부의 축적에 대한 즉각적인 관심 속에 종종 잊혀집니다."라고 강조했다.
유엔 총회는 이 보고서를 "독립적인 지적 활동"이자 "전 세계의 인간 개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로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2. 2. 보고서의 발전
유엔 총회는 인간 개발 보고서를 "독립적인 지적 활동"이자 "전 세계의 인간 개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로 공식 인정했다.[2] 이 보고서는 유엔 개발 계획(UNDP)에서 위탁한 독립적인 보고서이며, 선도적인 학자, 개발 실무자 및 UNDP 인간 개발 보고서 사무소 구성원의 선택된 팀의 결과물이다. 이는 마흐부브 울 하크가 제안한 대로 UNDP 관리자와는 독립적인 보고서이다.[3]인간 개발 보고서는 매년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발간되며,[2] 전 세계적으로 인간 개발 논의를 이끌고 있다. 1990년 이후, 140개 이상의 국가에서 UNDP의 지원을 받아 약 600개의 국가별 인간 개발 보고서가 발간되었다. UNDP는 민주주의, 여성의 권리, 불평등, 빈곤 퇴치 등 주요 문제에 대한 국제적 대화에 기여하는 아랍 인간 개발 보고서 시리즈와 같은 지역별 보고서도 발간하였다.
3. 주요 지표
유엔 개발 계획이 발표하는 인간 개발 보고서는 인간 개발 수준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활용한다. 주요 지표로는 인간개발지수(HDI)가 있으며, 과거에는 성개발지수(GDI), 성권한척도(GEM), 인간빈곤지수(HPI) 등이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2]
2010년 인간 개발 보고서에는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IHDI), 성 불평등 지수(GII), 다차원 빈곤 지수(MPI)의 세 가지 새로운 지표가 도입되었다.
3. 1. 인간 개발 지수 (HDI)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HDI)는 건강, 교육, 소득의 세 가지 측면에서 국가의 평균적인 성취도를 측정하는 복합 지수이다. 1990년 첫 보고서부터 사용된 대표적인 지표로,[2] 국가 간 인간 개발 수준을 비교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는 데 활용된다.1990년 첫 번째 인간 개발 보고서는 HDI를 처음으로 도입하면서, "경제 성장이 인간의 진보와 자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결론지었다.[9][10] 2010년 보고서는 1970년부터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HDI 지표를 검토하여 장기적인 추세를 분석한 결과,[11][12] 국가의 경제 성과와 건강 및 교육과 같은 비소득 HDI 분야의 성취 사이에는 일관된 상관관계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1970년에서 2010년 사이에 기대 수명은 59세에서 70세로 증가했고, 학교 등록률은 55%에서 70%로 증가했으며, 1인당 GDP는 10,000달러 이상으로 두 배 증가했다. 이러한 발전은 모든 지역에서 나타났지만, 그 정도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2010년 인간 개발 보고서는 HDI에 직접 반영되지 않는 중요한 개발 요소를 다루는 새로운 지수를 도입하여 HDI 전통의 측정 혁신을 이어갔다.[13]
3. 2.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 (IHDI)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IHDI)는 2010년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처음 소개된 지수이다.[14] 이 지수는 인간 개발 지수(HDI)를 구성하는 건강, 교육, 소득의 세 가지 차원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을 반영하여 HDI 값을 조정한다.3. 3. 성 불평등 지수 (GII)
성 불평등 지수(GII)는 2010년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새로 도입된 지수이다.[4] 이 지수는 모성 사망률, 여성의 의회 대표성 등 성 불평등을 측정한다.[6] GII는 성 불평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국가의 인간 개발 손실을 계산하며, 네덜란드가 가장 성 평등한 국가로, 예멘이 가장 불평등한 국가로 나타났다.[6]3. 4. 다차원 빈곤 지수 (MPI)
다차원 빈곤 지수(MPI)는 2010년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처음 도입된 빈곤 측정 지수이다. 이 지수는 가구 수준에서 빈곤을 측정하며, 단순히 소득뿐만 아니라 건강, 교육, 생활 수준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빈곤층의 삶의 질을 파악한다.[8]MPI는 다음 세 가지 차원에서 10가지 세부 지표를 활용하여 빈곤을 측정한다.[8]
차원 | 세부 지표 |
---|---|
건강 | 영양 상태, 아동 사망률 |
교육 | 취학 연수, 학령기 아동의 출석률 |
생활 수준 | 요리 연료, 위생 시설, 식수, 전기, 주거, 재산 |
가구가 이 지표들 중 일정 비율 이상에서 박탈을 경험하면 다차원 빈곤층으로 분류된다.
MPI 조사 결과, 104개 개발도상국 인구의 약 3분의 1(약 17억 명)이 다차원 빈곤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루 1.25달러 이하로 생활하는 빈곤층(약 13억 명)보다 많은 수치이다.[8]
MPI는 소득 빈곤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빈곤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줌으로써, 빈곤층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3. 5. 기타 지수
과거에는 성개발지수(GDI), 성권한척도(GEM), 인간빈곤지수(HPI) 등이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2010년 인간 개발 보고서는 HDI에 직접 반영되지 않는 중요한 개발 요소를 다루는 새로운 지수를 도입하였다.-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IHDI):[14] 소득, 건강 및 교육의 격차를 반영하도록 HDI 성과를 조정했다.
- 성 불평등 지수(GII): 모성 사망률 및 여성의 의회 대표성을 포함한 성 불평등의 새로운 척도를 도입했다.
- 다차원 빈곤 지수(MPI): 기본적인 생활 수준에서 학교, 깨끗한 물, 의료 서비스 접근에 이르기까지 가구 수준에서 여러 요소를 살펴본다.
2020년 보고서에서는 인간의 활동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행성 압력 조정 인간 개발 지수(PHDI)가 새롭게 도입되었다. UNDP 사무총장 아킴 슈타이너는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지구에 막강한 힘을 행사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5]
4. 역대 보고서 목록
인간 개발 보고서는 매년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발간되며, 각 보고서는 해당 주제에 대한 심층 분석과 정책 제언을 담고 있다. 1990년 파키스탄 경제학자 마흐부브 울 하크와 인도 출신 아마르티아 센 노벨상 수상자에 의해 처음 발간된 이후,[2] 매년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다양한 언어로 발간되고 있다.[2]
이 보고서는 유엔 개발 계획(UNDP)에서 위탁한 독립적인 보고서이며, 선도적인 학자, 개발 실무자 및 UNDP 인간 개발 보고서 사무소 구성원의 선택된 팀의 결과물이다. 이는 마흐부브 울 하크가 제안한 대로 UNDP 관리자와는 독립적인 보고서이다.[3]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에 발표된 보고서들에 대한 내용은 각각 하위 섹션에 상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2020년 보고서는 지구가 인류세라는 새로운 지질 시대에 들어섰다고 주장하며, 인간이 지구에 가하는 압력을 반영하기 위해 행성 압력 조정 인간 개발 지수(PHDI)를 도입했다.[15] 이 지수는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물질 발자국을 포함한다.
- '''2020년:''' 다음 프론티어: 인간 개발과 인류세
- '''2021–22년:''' 불확실한 시대, 불안정한 삶: 변화하는 세계에서 우리의 미래를 형성하기
2021년 11월 현재, 2021-2022년판은 일본어로 번역되지 않았다.[20][21]
4. 1. 1990년대
Human Development Report영어 1990년판은 "인간 개발의 개념과 측정"을 주제로, 인간개발지수를 처음으로 소개했다.[2] 이 보고서는 파키스탄 경제학자 마흐부브 울 하크와 인도 출신 아마르티아 센 노벨상 수상자에 의해 발간되었다. "사람들은 국가의 진정한 부입니다."라고 하크는 1990년 첫 번째 보고서의 첫 줄에 썼다.1991년판은 "인간 개발 재원 조달"을 주제로 다루었으며, 인간자유지수를 소개했다. 1992년판은 "인간 개발의 세계적 차원"을 주제로 세계 경제 소득 격차를 분석했고, 1993년판은 "국민 참여"를 주제로 고용과 성장, 참여형 개발에 대해 논의했다.
1994년판은 "인간 안보의 새로운 차원", 1995년판은 "성과 인간 개발"을 주제로 삼았다. 1996년판은 "경제 성장과 인간 개발", 1997년판은 "빈곤 퇴치를 위한 인간 개발"을 다루었다. 1998년판은 "인간 개발을 위한 소비", 1999년판은 "인간적인 얼굴을 한 세계화"를 주제로 했다.
연도 | 주제 | 비고 |
---|---|---|
1990년 | 인간 개발의 개념과 측정 | 인간개발지수 소개 |
1991년 | 인간 개발 재원 조달 | 인간자유지수 소개 |
1992년 | 인간 개발의 세계적 차원 | 세계 경제 소득 격차 분석 |
1993년 | 국민 참여 | 고용과 성장, 참여형 개발 논의 |
1994년 | 인간 안보의 새로운 차원 | |
1995년 | 성과 인간 개발 | |
1996년 | 경제 성장과 인간 개발 | |
1997년 | 빈곤 퇴치를 위한 인간 개발 | |
1998년 | 인간 개발을 위한 소비 | |
1999년 | 인간적인 얼굴을 한 세계화 |
4. 2. 2000년대
- '''2000년:''' 인권과 인간 개발[2]
- '''2001년:''' 새로운 기술과 인간 개발[2]
- '''2002년:''' 거버넌스와 인간 개발[2] (분열된 세계에서 민주주의 심화)
- '''2003년:'''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 달성을 위한 국가 간 협약[2]
- '''2004년:''' 다양한 세계에서 문화의 자유[2]
- '''2005년:''' 국제 협력의 기로: 불평등한 세계에서의 원조, 무역, 안전 보장[2]
- '''2006년:''' 물 위기 신화를 넘어: 수자원을 둘러싼 권력 투쟁과 빈곤, 글로벌 과제[2]
- '''2007–08년:''' 기후 변화와의 싸움 - 분단된 세계에서 시험받는 인류의 단결[2]
- '''2009년:''' 장벽을 넘어 - 사람의 이동과 개발[2]
4. 3. 2010년대
2010년 유엔 개발 계획(UNDP)은 '국가의 진정한 부: 인간 개발의 길'이라는 제목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인간 개발 지수(HDI)의 장기적인 추세를 분석하여,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이 지난 수십 년 동안 건강, 교육, 기본적인 생활 수준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가장 가난한 국가들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4] 그러나 성과의 패턴은 매우 다양했으며, 일부 국가들은 1970년 이후 오히려 후퇴했다.[5]이 보고서는 20주년을 기념하여[5] 세 가지 새로운 지수를 도입했다.[4]
지수 | 설명 |
---|---|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IHDI)[14] | 소득, 건강, 교육의 격차를 반영하여 HDI 성과를 조정. |
성 불평등 지수(GII) | 모성 사망률 및 여성의 의회 대표성 등을 포함한 성 불평등 척도. |
다차원 빈곤 지수(MPI) | 기본적인 생활 수준에서 학교, 깨끗한 물, 의료 서비스 접근 등 가구 수준에서 여러 요소를 고려한 빈곤 척도. |
2011년 보고서의 제목은 '지속 가능성과 형평성: 모두를 위한 더 나은 미래'였다. 2013년에는 '남반구의 부상: 다양한 세계에서의 인간 발전', 2014년에는 '인간 발전을 지속하기: 취약성 감소 및 회복력 구축'이라는 제목으로 보고서가 나왔다.
2015년 보고서는 '인간 개발을 위한 노동'을 주제로 다루었으며, 2016년에는 '모두를 위한 인간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다. 2018년에는 '인간 개발 지수 및 지표'에 대한 보고서가 나왔고, 2019년 보고서는 '소득을 넘어, 평균을 넘어, 오늘을 넘어: 21세기 인간 개발의 불평등'이라는 제목으로 21세기 인간 개발의 불평등 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4. 4. 2020년대
2020년 보고서는 지구가 인류세라는 새로운 지질 시대에 들어섰다고 주장하며, 인간이 지구에 가하는 압력을 반영하기 위해 행성 압력 조정 인간 개발 지수(PHDI)를 도입했다.[15] 이 지수는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물질 발자국을 포함한다. UNDP 사무총장 아킴 슈타이너는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지구에 막강한 힘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COVID-19, 기록적인 기온 상승, 그리고 악화되는 불평등에 직면하여, 탄소 및 소비 발자국이 더 이상 숨겨지지 않는 진보의 의미를 재정의하기 위해 그 힘을 사용할 때입니다."라고 말했다.[15]미국과 같이 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순위가 대폭 하락한 고도로 발달한 부유한 국가들이 많았다. 반면, 코스타리카, 몰도바, 파나마와 같이 발자국이 가벼운 국가들은 지수에서 약 30계단 상승했다.[1][16]
- '''2020년:''' 다음 프론티어: 인간 개발과 인류세
- '''2021–22년:''' 불확실한 시대, 불안정한 삶: 변화하는 세계에서 우리의 미래를 형성하기
2021년 11월 현재, 2021-2022년판은 일본어로 번역되지 않았다.[20][21]
5. 한국 사회와 인간 개발
한국은 경제 성장과 더불어 민주주의 발전, 사회 복지 확대 등 인간 개발 측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특히, 교육, 보건, 사회 복지 등 사회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취약 계층 지원을 강화하여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비판 및 논란
인간개발지수(HDI)는 건강, 교육, 소득과 같이 측정 가능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간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정치적 자유, 인권, 문화적 다양성, 환경 지속 가능성 등 중요한 가치들이 HDI에 포함되지 않아, 인간 개발의 총체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1] 또한, HDI는 국가 전체의 평균적인 성취도를 나타내므로, 국가 내 소득 불평등, 지역 격차, 성별 격차 등 다양한 불평등 문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Reports and Publications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09-22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8-05-15
[3]
웹사이트
Transcript of Interview of Richard Jolly
http://www.unhistory[...]
Unhistory.org
2013-09-22
[4]
웹사이트
Indices & Data | Composite Indices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5]
웹사이트
Media | 2011 Report Summary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6]
웹사이트
Media | 2011 Report Summary | Gender inequality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7]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 Development Indicators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2013-11-07
[8]
웹사이트
Media | 2011 Report Summary | Multidimensional poverty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9]
웹사이트
Reports (1990–2013) | Global Reports | HDR 1990 | Human Development Reports (HDR)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2013-11-07
[10]
웹사이트
Indices & Data | Human Development Index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11]
웹사이트
Media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12]
웹사이트
Indices & Data | Getting and Using Data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13]
웹사이트
Media | 2011 Report Summary | New measures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14]
웹사이트
Media | 2011 Report Summary | Adjusting the HDI
http://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11-07
[15]
뉴스
Broken societies put people and planet on a collision course, says UNDP
https://www.undp.org[...]
2020-12-16
[16]
뉴스
U.N. Report: In The Age of Humans, 'The Dominant Risk To Our Survival Is Ourselves'
https://www.npr.org/[...]
NPR
2020-12-16
[17]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s 1990–2020 – Human Development Reports
http://hdr.undp.org/[...]
2020-12-15
[18]
문서
国際連合開発計画>レポートと出版物
https://hdr.undp.org[...]
[19]
문서
「SELECT TYPE」欄で「Global Reports」を選択し、検索ワードに「Human Development Report」と入れて検索
[20]
문서
国際連合開発計画駐日代表事務所
https://www.undp.org[...]
[21]
문서
検索ワードに「人間開発計画」と入れて検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