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게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게스트는 잉글랜드 북부 지역의 전설에 등장하는 유령으로, 죽음의 징조로 여겨진다. 검은 개의 모습을 하거나, 쇠사슬 흔드는 소리로 나타나며, 요크셔 데일스의 트롤러스 길과 같은 특정 장소와 연관된다. 바게스트는 다양한 문학 작품, 영화,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 민속 - 스프링힐드 잭
스프링힐드 잭은 1837년 런던에서 처음 나타나 1904년 리버풀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초능력을 가진 영국 전설 속 인물로, 빅토리아 시대 대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 민속 - 로빈 후드
로빈 후드는 잉글랜드 민담 속 영웅적인 의적이며 뛰어난 궁술 실력으로 셔우드 숲에서 탐욕스러운 권력에 맞서 가난한 이들을 돕는 인물로, 그의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신화의 개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신화의 개 - 헤카베
헤카베는 프리아모스의 아내이자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등 많은 자녀를 둔 트로이의 여왕으로, 트로이 전쟁과 관련된 신화와 문학 작품에서 비극적인 운명을 겪는 인물로 묘사된다.
| 바게스트 | |
|---|---|
| 개요 | |
![]() | |
| 유형 | 요정, 악마 |
| 문화적 기원 | 영국 신화 |
| 지역 | 요크셔, 더럼 주, 링컨셔 |
| 관련 개념 | 검은 개 (유령) |
| 특징 | |
| 모습 | 거대한 검은 개 |
| 능력 | 변신 죽음의 징조 |
| 행동 | 사람들을 쫓아다님 불길한 울음소리 죽음을 예고 |
| 지역별 변종 | |
| 요크셔 | 바게스트 (Barghest) 바가이스트 (Barguest) |
| 더럼 주 | 헬하운드 (Hell Hound) |
| 링컨셔 | 처칠 (Churchill) 심 (Shuck) |
| 다른 지역 | 개틀리 부 (Gytrash) 모드디 두 (Mauthe Doog) |
| 대중 문화 | |
| 소설 | "폭풍의 언덕" - 에밀리 브론테 "해리 포터" 시리즈 - 조앤 롤링 |
| 게임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파이널 판타지 XIV |
| 기타 | 다양한 영화, 드라마, 음악 등에서 모티프로 사용 |
2. 어원
잉글랜드 북부에서 "고스트(ghost)"는 "게스트(guest)"로 발음되었으며, 어원은 "마을 유령"을 뜻하는 ''burh-ghest''의 조합으로 여겨진다. 다른 설로는 독일어 ''Berg-geist''(산의 유령) 또는 ''Bär-geist''(곰의 유령)과 어원이 같다는 설명도 있다.[1] 또 다른 추정으로는 독일어로 "장의 영혼"을 뜻하는 ''Bahr-Geist''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6]
바게스트는 주로 불타는 눈을 가진 커다란 검은 개의 모습으로 묘사된다.[2][5] 하지만 때로는 보이지 않는 상태로 쇠사슬을 흔드는 소리를 내며 돌아다니거나,[2][5]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잉글랜드 북부 더럼에서는 1870년대에 형상 변환 능력을 가진 바게스트가 달링턴 근처에 살았다는 전설이 있는데, 머리 없는 남자(불꽃 속에서 사라짐), 머리 없는 여자, 흰 고양이, 토끼, 개 등 여러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전해진다.[6] 바게스트는 개의 악령이 아니라, 개의 모습을 한 사악한 정령으로 여겨진다.
잉글랜드 요크셔에서는 바게스트가 요크셔 데일스의 외딴 협곡인 트롤러스 길에 자주 나타난다고 전해진다. 윌리엄 혼의 ''Everyday Book''(1830)에는 "트롤러스 길의 전설"이라는 발라드가 실려 있는데, 이 발라드는 한 남자가 의례 마법을 통해 바게스트를 소환하고 맞서기 위해 협곡으로 갔다가 얼마 후 가슴에 기이한 흔적이 남은 시체로 발견되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2] 또한 전설에 따르면, 바게스트는 때때로 요크 시내로 들어가 좁은 스니켈웨이에서 혼자 다니는 사람들을 노린다고 한다. 1 더 샴블스에 있는 건물은 바게스트라고 불리기도 한다.[3] 위트비 마을 역시 바게스트와 연관이 있으며,[4] 또 다른 바게스트는 리즈 근처 워건과 헤딩리 힐 사이의 황무지에서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있다.[6][5]
바게스트는 영국 민담에 등장하는 초자연적인 검은 개로, 현대의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소설,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비디오 게임,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 음악 등 여러 매체에서 바게스트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나 존재를 찾아볼 수 있다.
3. 특징 및 묘사
주로 한밤중이나 안개가 짙은 밤에 나타나며, 이때 울부짖는 소리나 쇠사슬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린다고 한다. 뱀파이어와 마찬가지로 흐르는 물을 건너지 못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2][5]
바게스트는 종종 죽음의 징조로 여겨진다. 저명한 인물이 사망할 때 나타나며, 그 뒤를 이어 지역의 다른 모든 개들이 마치 장례 행렬처럼 울부짖고 짖으며 죽음을 알린다고 한다.[6] 1879년 윌리엄 헨더슨이 발표한 『잉글랜드 북부 제 주와 경계 지역의 민속에 관한 노트』에 따르면, 리즈 근처 지방의 명사가 죽음을 맞이하면 리즈 황야에 바게스트가 나타나 근처 개들을 이끌고 짖는 모습이 목격되었다고 한다. 또한, 집의 문지방에 누워 특정 개인의 죽음을 예고하기도 하며,[2][5] 만약 누군가가 바게스트의 길을 가로막으면, 발로 쳐서 결코 낫지 않는 상처를 남긴다고 한다.[6]
잉글랜드 요크셔 지방은 바게스트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은 곳이다. 특히 요크셔 데일스의 외딴 협곡인 트롤러스 길에 자주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윌리엄 혼의 'Everyday Book'(1830)에 실린 "트롤러스 길의 전설"이라는 발라드는 의례 마법으로 바게스트를 소환하려다 목숨을 잃은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의 시체는 가슴에 인간이 아닌 흔적을 남긴 채 발견되었다고 한다.[2] 또한, 바게스트가 요크 시내로 들어와 좁은 스니켈웨이에서 혼자 다니는 사람을 노린다는 전설도 있다. 1 더 샴블스에 있는 건물은 바게스트라고 불리기도 한다.[3] 이 외에도 위트비 마을,[4] 리즈 근처 워건과 헤딩리 힐 사이의 황무지,[6][5] 달링턴과 호턴 사이 스로스틀레스트 근처의 계곡[6] 등에서도 바게스트가 출현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에서 마녀가 언급하는 "헤카테의 사냥개들"이 바게스트 이미지의 근원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헤카테는 중세 이후 유럽에서 횃불을 들고 개를 데리고 다니며 밤의 삼거리 길에 나타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마녀들이 숭배하는 대상으로 생각되었다.
4. 민속에서의 역할
더럼에서는 1870년대에 달링턴 근처에 형상을 바꾸는 바게스트가 살았다고 전해진다. 이 바게스트는 머리 없는 남자(불꽃 속에서 사라짐)나 머리 없는 여자, 흰 고양이, 토끼, 개, 또는 검은 개의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또 다른 바게스트는 달링턴과 호턴 사이, 스로스틀레스트 근처의 기이한 계곡에 살았다고 한다.[6]
바게스트는 종종 죽음의 징조로 여겨진다. 유명한 사람이 죽을 때 바게스트가 나타나고, 그 뒤를 이어 지역의 다른 모든 개들이 마치 장례 행렬처럼 울부짖으며 그 사람의 죽음을 알린다고 한다. 만약 누군가가 바게스트의 길을 가로막으면, 바게스트는 발로 그 사람을 쳐서 결코 낫지 않는 상처를 남긴다고 전해진다.[6]
바게스트는 불타는 눈을 가진 커다란 검은 개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 외에도, 보이지 않는 상태로 쇠사슬을 끄는 소리를 내며 돌아다닐 수도 있다. 또한 집 문지방에 누워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 그 집 사람의 죽음을 예고하기도 한다. 뱀파이어처럼 바게스트는 강과 같은 흐르는 물을 건너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2][5] 바게스트는 개의 악령이 아니라, 사악한 정령이 개의 모습을 취한 것으로 여겨진다.
주로 한밤중이나 안개가 짙은 밤에 나타나며, 이때 울부짖는 소리나 쇠사슬이 긁히는 소리가 들린다고 한다.
1879년 윌리엄 헨더슨이 발표한 『잉글랜드 북부 제 주와 경계 지역의 민속에 관한 노트』에는 리즈 근처 지방의 유명 인사가 죽음을 맞이하면, 리즈 황야에 바게스트가 나타나 근처의 개들을 이끌고 짖어대는 모습이 보였다는 기록이 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에서 마녀들이 언급하는 "헤카테의 사냥개들"이 바게스트 이미지의 기원 중 하나로 추정된다. 헤카테는 중세 이후 유럽에서 횃불을 들고 개를 데리고 다니며 밤의 삼거리 길에 나타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마녀들이 숭배하는 대상으로 생각되었다.
5. 대중문화 속 바게스트
5. 1. 문학
많은 이야기에서 유령 검은 개가 등장한다. 특히 바게스트라는 이름의 개가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5. 2. 영화 및 TV
많은 이야기에서 유령 검은 개가 등장하며, 특히 바게스트가 등장하는 영화 및 TV 작품은 다음과 같다.5. 3. 게임
바게스트는 다양한 게임에서 몬스터, 캐릭터, 또는 특정 요소로 등장한다.5. 4. 음악
5. 5. 기타
많은 이야기에서 유령 검은 개가 등장한다. 특히 바게스트라는 이름의 개가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간행물
Barghest
[2]
서적
The Every-day Book and Table Book
1830
[3]
웹사이트
A Little Shambles Shopping Review
https://york-me-comm[...]
[4]
서적
Whitby Lore and Legend
1923
[5]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Pantheon Books
1976
[6]
서적
Notes on the folk-lore of the northern counties of England and the borders
http://en.wikisource[...]
Folk-Lore Society
[7]
웹사이트
Barghest
http://www.d20srd.or[...]
[8]
웹사이트
Five Thoughts on Hilda's "The Black Hound"
http://www.multivers[...]
2021-02-06
[9]
서적
Late Eclipses
Daw
[10]
웹사이트
Hollowborn Barghest
https://gatherer.wiz[...]
2022-09-21
[11]
간행물
Barghest
[12]
문서
Whitby Lore and Legend
1923
[13]
서적
Notes on the folk-lore of the northern counties of England and the borders
http://en.wikisource[...]
Folk-Lore Society
[14]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Pantheon Books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