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누 칼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누 칼브는 4세기경 시리아에 정착한 아랍 부족으로, 비잔틴 제국과 이슬람 이전 시대에 활동했다. 이들은 비잔틴 제국의 동부 변경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으며, 아라비아에서 전투와 습격에 참여했다. 이슬람 시대에는 무함마드와 관계를 맺었지만, 시리아 정복 기간에는 중립을 지켰다.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특히 수피아니드 시대에 권력을 누렸다. 그러나 마르와니드 시대에는 카이스 부족과의 갈등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아바스 왕조 시대에는 반란에 참여했으나 실패했고, 카르마트파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이후 파티마 왕조와 동맹을 맺었지만, 셀주크 제국의 침략으로 쇠퇴했다. 칼브는 쿠다아 부족 연맹의 일부였으며, 루파이다 이븐 타우르 이븐 칼브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비아반도의 역사 - 아라비스탄
바누 칼브 | |
---|---|
기본 정보 | |
유형 | 쿠다아 |
니즈바 | 칼비 |
위치 | 북부 헤자즈, 알자우프 지역, 와디 시르한, 남부 시리아 사막, 팔미라, 다마스쿠스 지역, 홈스, 골란 고원, 북부 요르단 계곡 |
기원 | 칼브 이븐 와바라 |
분파 | 압달라 이븐 키나나 자납 하리타 이븐 자납 울라임 울레이스 히슨 이븐 담담 아스바그 아미르 알-아크바르 키나나 이븐 아우프 아우프 이븐 키나나 압드 와드 아미르 알-아그다르 와흐발라트 타이말라트 |
종교 | 미아피시스주의 기독교 (7세기 후반까지) 이슬람 (630년대 이후) |
통치 기간 | |
우마이야 칼리파조 | 661년–680년 685년–705년 744년–750년 |
2. 이슬람 이전 시대
2. 1. 비잔틴 제국과의 관계
칼브족은 4세기경 시리아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역사가 이르판 샤히드는 시리아 남부 아랍 부족의 전사 여왕인 마위야가 칼브족 출신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 이는 칼브족이 마위야의 주력 부대였던 타누크 부족과 동맹 관계였음을 의미한다. 비잔틴 제국의 Limes Arabicus 변경에 위치한 칼브족의 영토는 제국의 동부 지역을 통칭하는 오리엔스/Oriensla에 걸쳐 있었다. 샤히드는 칼브족이 410년에 비잔틴 제국이 지배하던 시리아, 페니키아, 팔레스타인, 이집트에 대규모 침략을 감행한 이름 없는 부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 침략은 칼브족의 타누크 동맹의 몰락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6세기 초, 살리히드는 비잔틴 영토 내 아랍 부족의 최고 필라르크로서 가산 왕조에 의해 대체되었다. 칼브족은 가산 왕조의 지배를 받으며 단성론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다른 동맹 부족과 마찬가지로 사산 제국과 알-히라에 있던 사산 제국의 아랍 봉신인 라흐미드에 대항하여 비잔틴의 동부 변경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역사가 요한 퓌크에 따르면, 비잔틴 포에데라티/foederatila 시스템에 확고하게 통합된 결과, 칼브족은 "군사 규율과 법과 질서에 익숙해졌다".
2. 2. 아라비아에서의 활동
칼브 부족의 활동은 부족 역사를 다루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시 모음집인 ayyamar 문학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이 문헌에는 칼브족이 참여한 전투와 습격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예외적으로 칼브족 추장 마사드 이븐 히슨 이븐 마사드가 바누 압스족에게 살해된 '우라르의 날'이 언급된다. 9세기 쿠파에서 형성된 칼브족의 역사적 전통에는 칼브족이 참여한 5번의 이슬람 이전 시대의 대립이 기록되어 있는데, 570년경 부족의 압달라 이븐 키나나 분파와 키나나 이븐 아우프 분파 사이에 벌어진 '누하다의 날', '카하틴의 날', 그리고 사산 왕조 동맹인 타글리브족 사이의 '시야이프의 날'이 주요 대립으로, 이는 사산 왕조와 아랍 부족 연합 간의 다르 전투 시기에 벌어졌다. 타글리브족과의 '울라하의 날'과 아사드 부족과의 '라흐바의 날'은 비교적 사소한 충돌이었다.칼브족의 가장 잘 알려진 이슬람 이전 시대 추장은 북부 아라비아의 베두인들 사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주하이르 이븐 자납이었다. 주하이르는 6세기 중반 남아라비아의 악숨 왕국 통치자 아브라하를 대신하여 북부 아라비아의 타글리브족과 바크르족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다. 6세기 중반, 주하이르는 '부스'라는 장소에 하라람 (성지)을 건설한 가타판 부족과 싸웠다. 가타판족의 haramar은 당시 아랍 이교 우상을 담고 있던, 널리 존경받던 건축물인 메카의 카바를 모방했는데, 이는 칼브족을 포함한 이 지역의 강력한 부족들의 반감을 샀다. 주하이르는 가타판족을 결정적으로 물리치고 그들의 haramar을 파괴했다.
3. 이슬람 시대
3. 1. 무함마드와의 상호 작용
620년대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는 가산 왕조와 동맹을 맺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무슬림들은 그 지역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던 칼브를 새로운 동맹으로 찾았다. 메카의 일부 칼브 부족민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했는데, 자이드 이븐 하리타와 무함마드가 비잔틴 황제 헤라클리우스에게 보낸 사신으로 알려진 디히야 알-칼비가 대표적이다. 프레드 도너에 따르면 칼브족 사이에 주목할 만한 개종자들이 있었지만, 무함마드와 칼브 간의 접촉에 대한 세부 사항은 거의 없다.칼브는 비잔틴의 용병(foederatila)으로서 아라비아 북부와 시리아에서 무슬림의 진격에 맞서 싸웠다. 627/628년 두마툴 잔달 원정에서 무함마드의 동료인 압드 알 라흐만 이븐 아우프가 칼브족 기독교 추장 알 아스바그 이븐 암르를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는 데 성공했다. 알 아스바그 아래 칼브의 적어도 일부와 무함마드 간의 조약은 부족과 무슬림 국가 간의 미래 동맹의 첫 번째 주요 단계였다. 이 조약은 압드 알 라흐만과 알 아스바그의 딸 투마디르의 결혼으로 성사되었으며, 이는 칼브와 쿠라이쉬 (무함마드와 압드 알 라흐만의 부족) 간의 첫 번째 결혼 관계를 나타낸다.
알 아스바그와의 조약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칼브는 아마도 기독교를 유지했을 것이다. 이 부족의 일부는 다트 알 살라실에서 친 비잔틴 아랍 부족에 대한 작전 중에 무슬림 대리인 알 아스바그의 아들 임루 알 카이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자이드 이븐 하리타가 629년 무타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과 그 아랍 동맹군에 대한 작전 중에 살해된 후, 무함마드는 자이드의 아들 우사마 이븐 자이드를 시리아로의 우사마 빈 자이드 원정을 이끌도록 임명했는데, 이 원정은 632년 무함마드 사후 곧 시작되었다. 우사마는 그의 칼브 혈통 때문에 이 작전에 선택되었을 수 있다. 칼브의 다수는 무함마드 사망 당시 신생 무슬림 국가의 권위 밖에 남아 있었다. 알 아스바그는 이후 리다 전쟁 동안 메디나를 기반으로 하는 무슬림 국가에 충성을 유지했지만, 대부분의 아랍 부족이 충성을 끊었을 때, 두마트 알 잔달의 칼브의 또 다른 파벌은 추장 와디아 아래에서 반란을 일으켰지만, 진압되었다.
3. 2. 시리아 정복에서의 중립
칼브족은 비잔틴 시리아에 대한 무슬림 정복 기간 동안 대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이는 비잔틴 제국과의 역사적 유대 관계 때문으로 보인다. 정복 초기, 일부 칼브인들은 634년 지자에서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가 이끄는 무슬림 군대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그러나 칼브 출신 알카마 이븐 와일은 야르무크 전투의 전리품 분배 임무를 맡았는데, 이는 무슬림 군대 내 다양한 부족 간 갈등을 조정해야 하는 중요한 역할이었다. 칼브의 대부분은 야르무크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양측과의 연루를 피하려 했거나 전투 지역과의 거리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전투 이후, 시리아에서 비잔틴 군대가 붕괴되자 많은 칼브족이 이슬람으로 개종했을 가능성이 높다.638년경 시리아 정복이 완료된 후, 칼브는 훔스와 팔미라 주변 대초원을 지배하며 쿠다 부족 연맹의 주도 세력이 되었다. 시리아의 군사적 경험이 풍부한 아랍 부족들을 통해 방어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무슬림 국가는 칼브를 비롯한 여러 부족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630년대 중후반, 칼리프 우마르는 시리아 최고 사령관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를 해임하고 그의 군대를 이라크 전선으로 재배치했는데, 이는 칼브족이 외부 부족 병사들에게 반감을 가졌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다.
3. 3. 우마이야 왕조 치하의 권력 절정
3. 3. 1. 수피아니드 시대

639년, 무아위야 이븐 아비 수피안은 다마스쿠스와 요르단 지역의 총독으로 임명된후 시리아의 주요 군사력 원천 중 하나인 칼브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칼브는 우마이야 가문과 결혼 관계를 맺었는데, 무아위야는 칼브 출신 귀부인 마이순과 결혼했다. 마이순은 칼브의 뛰어난 족장인 바달 이븐 우나이프의 딸이었다. 칼브와 우마이야 가문의 결혼 관계는 칼브의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의 주요 원천이 되었다.
알리와의 갈등 기간 동안 칼브는 무아위야에게 결정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바달의 아들들과 손자들은 657년 시핀 전투에서 알리의 지지자들에 맞서 지휘관으로 복무했다. 무아위야는 칼리프가 된 후에도 시리아에서 자신의 입지를 유지하기 위해 칼브에 대한 의존을 계속했다. 바달은 칼브와 그들의 동맹인 쿠다에게 모든 주요 칼리프 결정에 대한 협의, 조치 제안 및 거부 권한, 그리고 칼브와 쿠다의 귀족 2,000명에게 상당한 연간 세습 수당을 포함한 중요한 특권을 무아위야로부터 확보했다. 이로 인해 칼브는 우마이야 칼리파조의 수피아니드 시대 (661–684) 동안 가장 영향력 있는 부족이 되었다.
무아위야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야지드 1세는 마이순에게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로부터 쿠다에게 부여된 특권을 유지했다. 야지드의 아들 무아위야 2세의 즉위는 야지드의 칼브 출신 아내에게서 태어났으며, 바달의 손자 하산 이븐 말리크 이븐 바달의 책략에 크게 기인했다.
3. 3. 2. 마르와니드 시대
무아위야 2세가 통치 몇 주 만에 사망하면서 칼리파국은 혼란에 빠졌다. 이븐 바흐달은 야지드 1세의 다른 어린 아들을 후계자로 선호했지만, 이라크의 영향력 있는 전 총독 우바이드 알라 이븐 지야드는 마르완 이븐 알-하캄을 지지했다. 마르완 1세는 라이라 빈트 자반과 결혼하여 압드 알-아지즈를 낳았다. 이븐 바흐달은 수피아니드 시대에 칼브족이 획득한 정치적, 경제적 특권을 보존하기 위해 마르완에게 충성을 맹세했다.알-다하크 이븐 카이스 알-피흐리와 칼브의 주요 부족 경쟁자인 카이스는 이븐 알-주바이르를 지지했다. 이븐 바흐달은 칼브와 부족 동맹을 동원하여 684년 8월 마르지 라히트 전투에서 알-다하크와 카이스를 격파했다. 전투 후, 카이스-칼브의 불화가 심화되었고, 마르완은 그의 통치를 유지하기 위해 칼브와 그 동맹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었다. 주파르 이븐 알-하리트 알-킬라비 휘하의 카이스와 우마이르 이븐 알-후바브 알-술라미는 자지라 (상부 메소포타미아)를 기반으로 686–689년에 일련의 습격과 반격()에서 후마이드 이븐 후라이스 휘하의 칼브와 교전했다. 칼브는 사마와에 있는 그들의 거주지에서 카이스의 공격을 자주 받았고, 보복 습격을 감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칼비테는 사마와를 떠나 요르단 계곡으로 가야 했다. 후마이드는 690년경 자지라에서 카이스를 공격했지만, 칼비테는 692년에서 694년 사이에 바나트 카인이라는 곳에서 카이스의 큰 타격을 입었고, 칼리프 압드 알-말리크 ()는 복수로 유죄의 카이사이트 지도자들을 칼브에 의해 처형하도록 했다.
칼브는 압드 알-말리크의 통치 초기까지 우마이야 군대의 중추로 남아 있었다. 691년 압드 알-말리크와 주파르의 화해 이후, 카이사이트는 군대에 재통합되어 칼브의 권력 독점을 종식시키고, 칼리프가 카이사이트와 칼비테/야만인의 이익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정책을 시작했다. 더욱이 압드 알-말리크는 칼브와 조상 관계나 결혼 관계가 없었고, 그의 아내는 쿠라이쉬족이거나 카이사이트 부족 족장의 딸이었다. 704년, 압드 알-말리크의 형제에게 계승될 예정이었던 이집트의 강력한 총독 압드 알-아지즈가 사망하자, 칼리파국과의 칼브의 긴밀한 친족 관계가 단절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의 여러 구성원은 압드 알-말리크와 그의 후임자 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3. 4. 압바스 왕조에 대한 반란
칼브족은 이라크에 기반을 둔 아바스 왕조 하에서 시리아에서의 역할이 쇠퇴했다. 칼브족을 포함한 예멘족은 시리아에서 아바스 왕조의 통치에 빠르게 불만을 품고 750~751년에 아부 무함마드 알-수피야니와 아부 알-와르드 장군이 이끄는 우마이야 왕자들의 반란에 참여했다. 아부 무함마드는 칼브족의 전 후원자인 무아위야 1세의 후손이었으며, 그는 훗날 '수피야니'로 알려진 메시아적 인물로 자신을 내세웠는데, 홈스 출신 많은 사람들은 그가 우마이야 칼리파국을 회복할 것이라고 믿었다. 아부 알-와르드는 아바스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고, 아부 무함마드와 칼브족은 팔미라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이후 반란은 와해되었다.칼브족이 이끄는 예멘족은 아바스 왕조 대내전 중 811년 다마스쿠스에서 권력을 잡은 또 다른 우마이야 칼리파 지망자 아부 알-우마이티르 알-수피야니의 주요 지지자였다. 예멘족을 지지하는 편파적인 행위로 인해 카이스 부족은 아부 알-우마이티르를 반대했다. 카이스 지도자 이븐 바이하스 알-킬라비는 또 다른 우마이야 반(反)칼리파 마살라 이븐 야쿠브를 지지했고, 함께 아부 알-우마이티르를 물리쳤다. 813년까지 이븐 바이하스는 아바스 왕조에 충성을 되돌렸고, 두 명의 우마이야 칼리파 지망자들은 자연사할 때까지 메제, 다라야, 베이트 리야의 칼브족 구타 마을에 피신하게 되었다.
860년대에는 시리아를 포함한 지방에서 아바스 왕조의 중앙 통제가 약화되었다. 864년, 우타이프 이븐 니마 휘하의 칼브족은 홈스에서 아바스 왕조 반란을 이끌었고, 이 과정에서 도시의 총독 알-파들 이븐 카린이 살해되었다. 칼브족은 이후 무사 이븐 부가 장군에게 패했지만, 곧 시리아 북부의 반군 탄쿠히드 추장 유수프 이븐 이브라힘 알-푸사이스와 연합했다. 866년, 우타이프는 새로운 아바스 칼리파를 인정하는 것을 거부했고, 장군 아흐마드 이븐 알-무왈라드에 의해 체포되어 처형되었지만, 홈스 시골의 칼브족은 계속 저항했다. 알-푸사이스는 칼브족과의 동맹을 포기하고 부족을 공격했다. 아바스 왕조가 알-푸사이스와 화해했지만, 홈스 시골의 칼브족 부족의 운명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부족은 나중에 –871년에 팔레스타인의 아랍 강자였던 이사 이븐 알-샤이크 알-샤이바니와 동맹을 맺었다.
3. 4. 1. 카르마트파와의 동맹
10세기에 칼브족 유목 부족들은 카르마트파 운동에서 강력한 후원자를 발견했고, 이 종말론적 이스마일 시아파 종파의 선동가가 되었다. 지도자 자카라와이흐 아래의 카르마트파는 쿠파 주변 베두인 부족들 사이에서 세력을 얻는 데 실패했지만, 칼브의 바누 울라이스 및 바누 알-아스바그 지파 중 일부는 902년에 자카라와이흐의 아들 알-후세인을 받아들였다. 그해 말, 알-후세인의 형제인 야흐야 휘하의 칼브파 개종자들은 루사파의 아바스 왕조 수비대 사령관 사부크 알-다일라미를 격파하고 살해한 다음, 도시를 습격하여 약탈하고 모스크를 불태웠다. 야흐야 휘하의 칼브는 다마스쿠스로 진격하여 가는 길에 마을을 약탈한 후, 7개월 동안 도시를 포위했지만 실패했다. 포위자들은 이집트를 통치하던 툴룬 왕조가 아바스 왕조를 대신하여 파견한 군대에 의해 흩어졌고, 야흐야는 죽임을 당했다. 알-후세인이 이끄는 칼브가 지배하는 군대는 와 울라이스의 수장 알-누만의 지휘를 받았으며, 903년 11월 하마 전투에서 아바스 칼리프 알-무크타피 ()의 군대에 의해 궤멸되었다.카르마트 지도자들의 패배한 울라이스 지도자들을 선동하려는 시도는 거부되었고, 그들은 904년 알-라흐바에서 아바스 왕조에 항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은 기간 내에 울라이스는 카르마트의 대의에 복귀했고, 아바스 왕조의 파괴적인 공격을 받았다. 자카라와이흐의 또 다른 부관 아부 가님은 팔미라의 칼브에 호소했다. 대부분의 칼브파는 카르마트의 임무에 반대했지만, 아부 가님은 울라이스의 잔당, 알-아스바그 출신 다수, 그리고 바누 지야드와 같은 다른 칼브 부족의 강도들을 포섭했다. 906년에 그들은 보스라, 아드리아트 및 티베리아스를 약탈하고 요르단 지역의 부지사를 살해했다. 이에 알-무크타피는 칼브에 대한 징벌 원정을 후세인 이븐 함단에게 맡겨 파견했지만, 칼브와 아사드는 이븐 함단을 격파하여 그를 알레포로 도망치게 했다. 그해 말, 이븐 함단은 칼브와 그의 동맹인 타이를 격파했다. 칼브는 이후 사마와 지역을 습격하고 히트를 공격했다. 알-무크타피는 무함마드 이븐 이샤크 이븐 쿤다즈가 이끄는 군대를 투입했고, 칼브는 카르마트를 배신하고 나스르를 죽여 당국의 징벌 조치를 피했다. 역사가 카말 살리비에 따르면, 970년 시리아에서 패배한 후 "카르마트파의 최종 퇴각"은 칼브를 "정치적으로 고립"시켰다.
4. 함다니드 왕조와의 관계
칼브족은 함단 왕조와 협력하거나 갈등하는 등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944년부터 945년까지, 함단 왕조의 에미르 세이프 알다울라는 시리아 북부 대부분을 아우르는 알레포에 토후국을 세웠고, 남부 지역은 이집트에 기반을 둔 이흐시드 왕조가 통치했다. 947년, 그는 이흐시드 왕조의 다마스쿠스 총독으로부터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려 시도하면서 칼브 부족과 다른 베두인 부족들을 소집했지만 패배했다. 칼브 부족은 또한 세이프 알다울라가 비잔틴 제국을 상대로 벌인 전투 중 최소 한 번 이상 참전했다. 세이프 알다울라는 때로는 훔스에 있는 칼브 부족을 보호하기 위해 원정을 벌였고, 또 때로는 자신의 영토에서 권위를 재확립하기 위해 그들과 대립했는데, 이는 다른 아랍 부족들과 마찬가지였다. 이 부족들은 955년에 그에게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고, 그는 이를 결정적으로 진압하여 칼브 부족이 훔스를 포기하게 만들었다. 958년, 칼브 부족과 타이 부족은 훔스의 함단 왕조 총독 아부 와일 타글리브 이븐 다우드를 공격했다.
5. 파티마 왕조와의 관계
칼브족은 부족의 세력 약화에도 불구하고, 10세기에 파티마 칼리파국과 동맹을 맺고 시리아에서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970년, 자파르 이븐 팔라 휘하의 파티마 군이 시리아를 침략했을 때, 칼브족의 아미르 이븐 울라얀은 파티마와 협력 관계를 맺었다. 이후 칼브족은 파티마가 시리아에서 가장 자주 고용한 부족 중 하나가 되었다.
칼브족은 파티마 왕조와 때로는 갈등을 겪기도 했다. 1021년 칼리프 알-하킴 비-암르 알라 실종 이후 시리아에서 파티마의 통제력이 약화되자, 칼브족은 자라히드 및 미르다시드와 동맹을 맺고 시리아를 분할 점령하려 했다. 그러나 이 동맹은 1029년 알-우쿠와나 전투에서 살리흐 이븐 미르다스가 살해되면서 와해되었다. 1031년에는 비잔틴과 동맹을 맺기도 했지만, 1038년 다시 파티마에 충성을 맹세하고 아누슈타킨 알-디즈바리 휘하에서 미르다시드 왕조에 대항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065년, 칼브족은 다마스쿠스의 파티마 총독 바드르 알-자말리와 충돌하기도 했다. 1068년에는 다마스쿠스인들의 반란을 지원했으나, 파티마 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역사가 베르너 카스켈에 따르면, 1068년의 사건은 칼브족의 마지막으로 알려진 군사적 교전이다.
6. 셀주크 제국 시대의 마지막 모습
11세기 중반 이후, 칼브족은 셀주크 제국과 그 제휴 세력의 침략으로 인해 쇠퇴했다. 알 파들의 자라히드 후손 계열과 알 힐라의 바누 마지야드를 제외하고, 11세기 말까지 이 지역의 정치 지도에서 베두인 부족은 사라진다. 그 이후, 다양한 부족들은 때때로 터키 아타베그의 동맹 또는 대상 습격자로 기록에 언급된다. 1084년, 칼브는 바누 울라임 분파를 포함하여, 우카일 왕조의 알레포 통치자 무슬림 이븐 쿠라이쉬가 셀주크 지배자에 대항하기 위해 소집한 베두인 연합에 가담했다. 그는 2년 후 살해되었고 알레포는 터키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다.
칼브는 12세기까지 특히 하우란에서 정착 생활로의 전환을 계속했다. 1131년에 칼브는 마지야드 에미르 두바이스 이븐 사다카를 살카드 가는 길에 생포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그 후 칼브는 두바이스를 다마스쿠스의 터키 아타베그인 타지 알 물크 부리에게 넘겨주었다. 키나나 분파의 칼브 가문인 바누 문키드는 1020년대에 오론테스 계곡에 에미레이트를 설립하여 1157년 멸망할 때까지 시리아의 터키 아타베그의 종주권 하에 계속 운영되었다.
7. 계보
아랍 계보 전통에서 부족의 시조는 '개'를 의미하는 칼브(Kalb)였다. 칼브는 쿠다아 부족 연맹의 일부였으며, 그들의 세력은 북부 헤자즈에서 북부 시리아 스텝에 걸쳐 있었다. 칼브는 쿠다아의 유목 지역 북부 절반에서 가장 큰 구성 요소였다.
칼브의 모든 분파는 루파이다 이븐 타우르 이븐 칼브의 계열에서 나왔다. 칼브의 가장 두드러진 분파는 바누 압달라 이븐 키나나였으며, 특히 그들의 가장 큰 하위 분파인 바누 자납은 칼브에게 지도자를 제공했다. 6세기와 7세기의 칼브 귀족 가문인 바누 하리타 이븐 자납, 뿐만 아니라 바누 울림과 바누 울라이스 등 다른 주요 계열들도 자납에서 나왔다. 칼브의 다른 주요 분파 중 하나는 키나나 이븐 아우프였다. 그 하위 분파인 바누 아우프 이븐 키나나에서 바누 압드 와드와 바누 아미르 알-아그다르가 나왔다. 후자는 원래 다신교 칼브의 우상인 와드의 사제 가문이었을 수 있으며, 와드 숭배가 두마트 알-잔달로 퍼진 후 칼브에 통합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