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시 해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시 해협은 필리핀과 타이완 사이의 해협으로, 군사 작전, 해상 교통, 통신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군사 작전 통로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미국 해군 잠수함의 통상 파괴 작전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중국 인민해방군이 군사 훈련을 실시하는 곳이며, 한국, 일본 유조선을 포함한 다양한 선박의 통항로로 활용된다. 또한, 아시아 국가 간 해저 통신 케이블이 지나가는 주요 통신망 거점이나, 지진으로 인해 통신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필리핀과 타이완은 바시 해협의 배타적 경제 수역에 대한 분쟁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국경 - 루손 해협
루손 해협은 필리핀과 대만 사이에 위치한 폭 250km의 해협으로, 바타네스 제도와 바부얀 제도를 포함하며, 거대한 해양 파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침략 경로, 현대의 지정학적 중요성, 자연 재해 및 환경 문제, 영유권 분쟁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대만의 해협 - 대만 해협
대만 해협은 중국 푸젠성과 타이완 사이에 위치한 해역으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잇는 주요 항로이며 양안의 정치적·군사적 대치가 지속되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대만의 해협 - 루손 해협
루손 해협은 필리핀과 대만 사이에 위치한 폭 250km의 해협으로, 바타네스 제도와 바부얀 제도를 포함하며, 거대한 해양 파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침략 경로, 현대의 지정학적 중요성, 자연 재해 및 환경 문제, 영유권 분쟁 등의 특징을 가진다.
바시 해협 | |
---|---|
위치 정보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바시 해협 |
영어 이름 | Bashi Channel |
중국어 이름 (간체) | 巴士海峡 |
중국어 이름 (정체) | 巴士海峽 |
중국어 병음 | Bā shì hǎi xiá |
일본어 이름 | バーシー海峡 (Bāshī Kaikyō) |
지리 | |
위치 | 필리핀 바탄 제도의 마불리스 섬과 타이완의 난위 섬 (오키드 섬) 사이 |
연결 해역 | 필리핀 해와 남중국해를 연결 |
해협 폭 | 약 100 킬로미터 (62 마일) |
깊이 | 얕음 |
특징 | 강한 조류와 거친 파도 |
중요도 | |
해상 교통 | 중요한 해상 교통로 |
전략적 위치 | 전략적 요충지 |
역사 | |
명칭 유래 | 이바탄족의 바시(vaxi) 술에서 유래 |
2. 역사
필리핀 혁명이 시작된 1890년대부터 바시 해협을 둘러싼 논란이 시작되었다. 미국은 혁명에서 승리했고, 스페인은 미국에 영토를 넘기는 계약을 체결했다. 1898년 파리 조약은 "스페인이 미국에 할양한 필리핀 영토의 최북단은 북위 20도, 즉 발린탕 해협의 남쪽에 위치한다."라고 명시했다. 당시 조약에서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시 해협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2]
2. 1. 필리핀 혁명과 미국의 필리핀 점령
필리핀 혁명이 시작된 1890년대부터 바시 해협을 둘러싼 논란이 시작되었다. 미국은 혁명에서 승리했고, 스페인은 영토를 미국에 넘기는 계약을 체결했다. 1898년 파리 조약은 "스페인이 미국에 할양한 필리핀 영토의 최북단은 북위 20도, 즉 발린탕 해협의 남쪽에 위치한다."라고 명시했다. 당시 조약에서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시 해협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2]2. 2. 제2차 세계 대전
바시 해협은 군사 작전을 위한 중요한 통로이다. 태평양 전쟁 때 남방작전으로 타이완에 주둔한 일본군은 제로센과 Ki-43 하야부사를 대거 투입해서 바시 해협을 건너 필리핀에 주둔 중인 미군 항공 전력을 격파한 전력이 있다. 1944년에 필리핀 해 해전 이후 미 해군이 일본군을 향해 대대적인 반격을 가하면서 바시 해협 건너 타이완 주둔 일본군 항공 기지를 격파했다.3. 지정학적 중요성
바시 해협은 필리핀과 타이완 사이에 위치하며, 양국 모두 자국 해안에서 200해리 이내에 있다고 주장하여 해상 경계에 대한 분쟁이 있는 지역이다.[3][4] 이 해협은 해상 교통과 통신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의 중요 수송 선단이 많이 항행하던 곳으로, 미국 해군은 이곳을 "콘보이 칼리지"(Convoy College영어)라고 부르며 잠수함 작전을 펼쳤다.[5] 전쟁 후반에는 "수송선의 묘지"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일본 수송선이 격침되었다. 현대에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함정과 항공기가 빈번하게 통과하며 군사 훈련을 실시하는 등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중요성이 여전하다.
3. 1. 해상 교통로
필리핀과 대만은 양국 모두 바시 해협이 자국 해안에서 200해리 이내에 있다고 주장하며 해상 경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3][4] 또한, 한국, 일본 유조선 등 각종 선박 통항로로 쓰여 전략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바시 해협은 통신망에도 중요한데, 아시아 국가 간 데이터 및 전화 트래픽을 전송하는 다수의 해저 통신 케이블이 이 해협을 통과한다. 이는 바시 해협을 인터넷의 주요 잠재적 실패 지점으로 만들고 있다. 2006년 12월, 규모 6.7의 해저 지진으로 인해 여러 해저 케이블이 동시에 절단되어 몇 주 동안 상당한 통신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3][4][6]

태평양 (필리핀 해)과 남중국해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국제 통신 해저 케이블이 존재하고, 군사적으로도 중요하다. 중국에게는 남중국해에서 태평양으로 나가는 제2열도선의 입구이며, 일본에게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천연자원의 수송 경로로서 매우 중요하다.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히 선단이나 미 선단 등의 석유 수송 선단, 필리핀으로의 증원 수송 선단 등, 일본의 중요 수송 선단이 많이 항행했다. 미국 해군은 이 해협을 "콘보이 칼리지"(Convoy College영어; 선단 대학)라고 부르며 잠수함 부대의 좋은 작전 장소로 여겼다.[5] 전쟁 후반에는 미국 해군의 잠수함이 다수 배치되어 통상 파괴에 종사하여, 많은 일본 수송선을 격침시켰기 때문에 "수송선의 묘지"라고 불렸다.
현대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공군)의 함정과 항공기가 빈번하게 통과하며, 군사 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다.
3. 2. 군사적 요충지
바시 해협은 군사 작전을 위한 중요한 통로이다. 태평양 전쟁 때 남방작전으로 타이완에 주둔한 일본군은 제로센과 Ki-43 하야부사를 대거 투입해서 바시 해협을 건너 필리핀에 주둔 중인 미군 항공 전력을 격파한 전력이 있다. 1944년에 필리핀 해 해전 이후 미 해군이 일본군을 향해 대대적인 반격을 가하면서 바시 해협 건너 타이완 주둔 일본군 항공 기지를 격파했다.필리핀과 타이완은 양측 모두 이 지역이 자국 해안으로부터 200nmi 이내에 있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수역의 소유권을 놓고 분쟁을 벌이고 있다. 또한 이 해협은 아시아 국가 간 데이터 및 전화 트래픽을 전송하는 다수의 해저 통신 케이블이 통과하며, 인터넷의 주요 잠재적 실패 지점으로 만들고 있어 통신망에도 중요하다. 2006년 12월, 규모 6.7의 해저 지진이 동시에 여러 해저 케이블을 절단하여 몇 주 동안 상당한 통신 병목 현상을 일으켰다.[3][4]
태평양 (필리핀 해)과 남중국해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국제 통신 해저 케이블이 존재하고, 군사적으로도 중요하다. 중국에게는 남중국해에서 태평양으로 나가는 제2열도선의 입구이며, 일본에게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천연자원의 수송 경로로서 매우 중요하며, 바시 해협을 중심으로 한 시 레인 방어가 20세기 중반 이후 계속해서 외쳐지고 있다.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히 선단이나 미 선단 등의 석유 수송 선단, 필리핀으로의 증원 수송 선단 등, 일본의 중요 수송 선단이 많이 항행했기 때문에, 미국 해군에 의해 "콘보이 칼리지"(Convoy College영어; 선단 대학)라는 별명이 붙여졌고, 잠수함 부대의 좋은 작전 장소로 여겨졌다.[5] 그 때문에, 전쟁 후반에는 미국 해군의 잠수함이 다수 배치되어 통상 파괴에 종사하여, 많은 일본 수송선을 격침시켰기 때문에 "수송선의 묘지"라고 불렸다.
현대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공군)의 함정과 항공기가 빈번하게 통과하며, 군사 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다.
4. 경제적 중요성
바시 해협은 대한민국, 일본의 유조선 등 각종 선박이 통과하는 항로로 이용되어 전략적 가치를 지닌다. 필리핀과 대만은 바시 해협이 양국 해안에서 200해리 배타적 경제 수역 이내에 있다고 주장하며 해상 경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4. 1. 해저 케이블 통신망
이 해협은 통신망에도 중요하다. 아시아 국가들 간의 데이터와 전화 트래픽을 전달하는 해저 케이블의 대부분이 바시 해협을 통과하여 인터넷의 주요 장애 지점이 된다. 2006년 12월, 규모 6.7의 해저 지진이 여러 개의 해저 케이블을 동시에 절단하여 몇 주 동안 지속된 상당한 통신 병목 현상을 야기했다.[6]4. 2. 배타적 경제 수역 분쟁
필리핀과 대만은 바시 해협이 양국 해안에서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 이내에 있다고 주장하며 해상 경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이 해협은 한국, 일본 유조선 등 각종 선박 통항로로 이용되어 전략적 가치를 지닌다.또한 바시 해협은 통신망에도 중요하다. 아시아 국가 간 데이터 및 전화 트래픽을 전달하는 해저 통신 케이블 대부분이 이 해협을 통과하여 인터넷의 주요 장애 지점이 된다. 2006년 12월, 규모 6.7의 해저 지진이 여러 해저 케이블을 동시에 절단하여 몇 주 동안 상당한 통신 병목 현상을 야기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Index to the New Map of South China (in English and Chinese)
https://archive.org/[...]
Far Eastern Geographical Establishment
1914
[2]
웹사이트
Bashi Strait: a lesson in geography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24-10-20
[3]
웹사이트
Earthquakes Disrupt Internet Access in Asia; A Series of Powerful Earthquakes Damages Undersea Cables and Interrupts Internet Connections in Asia
http://www.pcworld.c[...]
2006-12-27
[4]
간행물
Taiwan Quake Exposes Internet Vulnerability
http://www.pinr.com/[...]
PINR report
2007-01-15
[5]
서적
サミュエル・E・モリソン
光人社
2003年
[6]
뉴스
"[만파식적] 바시해협"
https://www.sedaily.[...]
2020-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