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순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정순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원군 출신으로, 1950년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다. 중앙당학교를 졸업하고 당에서 여러 직책을 거쳐 함경남도 당 제2비서, 평양직할시 당 조직비서를 역임했다. 2009년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발탁되었으며, 2010년 당 대표회의에서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에 선임되고,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1년 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원군 출신 - 우동측
우동측은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요직을 두루 거치며 김정은 체제 안착을 위한 숙청을 주도했으며, 뇌졸중 또는 숙청설 이후에도 열병식에 참가하여 건재함을 과시했다. - 평원군 출신 - 박흥주
박흥주는 일제강점기 출생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중위, 중앙정보부 근무, 김재규 전속부관을 거쳐 10·26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 2011년 사망 - 엘리자베스 슬레이든
엘리자베스 슬레이든은 잉글랜드 배우로, BBC SF 드라마 《닥터 후》에서 사라 제인 스미스 역을 맡아 세 번째, 네 번째 닥터의 컴패니언으로 출연했으며, 이후 스핀오프 드라마 《사라 제인 어드벤처》에서 주연을 맡았다. - 2011년 사망 - 한기춘
한기춘은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한국은행 고문,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유신정우회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활동했으나, 유신정권 참여 경력은 비판받는다. - 1928년 출생 - 프란체스코 코시가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의 내무부 장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알도 모로 납치 사건과 비밀 조직 글라디오 등의 논란을 거치며 이탈리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논쟁을 남긴 인물이다. - 1928년 출생 - 데즈카 오사무
일본의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는 700권이 넘는 작품을 남기고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무시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혁신을 가져왔다.
박정순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박정순 |
한자 표기 | 朴正淳 |
로마자 표기 | Bak Jeongsun |
출생일 | 1928년 7월 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원군 |
사망일 | 2011년 1월 22일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직업 | 정치인 |
학력 | 조선로동당 중앙당학교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직책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후보 |
임기 시작 | 2010년 9월 |
임기 종료 | 2011년 1월 22일 |
최고 지도자 | 김정일 (1994년 - 2011년) |
기타 직책 |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
기타 직책 임기 시작 | 2010년 9월 |
기타 직책 임기 종료 | 2011년 1월 22일 |
2. 경력
1950년 7월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으며[4][1], 김일성고급당학교를 졸업한 후[1] 조선로동당의 간부로 활동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시기 | 주요 경력 |
---|---|
1950년 7월 | 조선인민군 입대[4][1] |
(졸업 시기 미상) | 김일성고급당학교 졸업[1] |
(임명 시기 미상) | 군당 부부장, 도당 지도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지도원[4][1] |
1970년 | 함경남도 당위원회 제2비서[1][4] |
1983년 | 평양직할시 당위원회 조직비서[1] |
(임명 시기 미상)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과장, 부부장, 부장[4][1] |
2009년 |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발탁[2] |
2010년 9월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 선출 및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임명[1][4] |
2011년 1월 22일 | 폐암으로 사망[4][2] |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1928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났다.[4][1] 1950년 7월 조선인민군에 입대했으며[4][1], 김일성고급당학교를 졸업했다.[1] 졸업 후 군당 부부장, 도당 지도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지도원 등을 역임했다.[4][1]2. 2. 정치 활동
1950년 7월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였으며[1][4], 김일성고급당학교를 졸업하였다.[1] 이후 군당 부부장, 도당 지도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지도원 등을 역임하였다.[1][4]1970년에는 함경남도 당 제2비서로 임명되었고[1][4], 이후 당 중앙위원회 과장, 부부장을 거쳐 1983년에는 평양직할시 당 조직비서가 되었다.[1] 이후 다시 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부장을 지냈다.[1]
2009년에 당의 핵심 요직인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었던 리용철과 리제강이 사망하면서 공석이 된 제1부부장직에 발탁되었다.[2] 이러한 인사는 원로 간부에 대한 김정일의 배려[2] 또는 김정일의 후계자인 김정은 체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3]
2010년 9월 28일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3차 당 대표자회에서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1], 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공식 임명되었다.[4]
그러나 약 4개월 뒤인 2011년 1월 22일, 말기 암(폐암)으로 사망하였다.[2][4] 앞서 사망한 리제강의 경우 교통사고 사인에 대해 암살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지만[3], 박정순은 정치적 야심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권력 투쟁에 휘말렸을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있다.[3]
2. 3. 사망
2009년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었던 리용철과 리제강이 사망하면서 공석이 된 자리에 임명되었다.[2] 이는 원로 간부에 대한 김정일의 배려[2] 또는 김정은 후계 체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3] 2010년 9월 28일 제3차 당 대표자회에서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1]그러나 제1부부장으로 발탁된 지 약 4개월 만인 2011년 1월 22일, 폐암으로 사망했다.[4][2] 앞서 사망한 리제강의 교통사고는 암살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3], 박정순은 정치적 야심이 크지 않아 권력 투쟁에 휘말렸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3]
참조
[1]
뉴스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0-09-29
[2]
뉴스
北朝鮮、9ヶ月間で労働党幹部3人死亡のミステリー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1-01-26
[3]
뉴스
北朝鮮、9ヶ月間で労働党幹部3人死亡のミステリー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1-01-26
[4]
웹인용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0-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