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진 (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희진은 1931년 경기도 출생으로, 1956년 문예지 '문학예술'에 시 3편이 추천되면서 시인으로 등단했다.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동성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으며, 1960년대 사화집 동인과 시 낭송 클럽 '공간' 회원으로 활동했다. 평생 독신으로 지내며 시에 헌신했고, '한국 문예 동인지 운동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고 자부했다. 주요 시집으로 『실내악』, 『청동시대』, 『미소하는 침묵』 등이 있으며, 월탄문학상, 한국시협상, 보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천군 출신 - 김상용 (시인)
김상용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망향의 정서와 시대적 고뇌를 표현한 시집 『망향』과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소설집 『무궁화』를 발표한 시인이다. - 연천군 출신 - 정성호 (1962년)
정성호는 서울대 법대 졸업 후 변호사로 활동하다 2004년 17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민주당 계열 정당 소속으로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 더불어민주당 인재위원회 위원장이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송재호
송재호는 1959년 데뷔하여 60년 이상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했고, 특히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에서 아버지 역할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연기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연기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박희진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박희진 |
| 한글 | 박희진 |
| 한자 | 朴喜璡 |
| 로마자 표기 | Bak Hui-jin |
| 출생 | |
| 출생일 | 1931년 12월 4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연천군 |
| 사망 | |
| 사망일 | 2015년 3월 31일 |
| 직업 | |
| 직업 | 시인, 교사 |
| 학력 | |
| 학교 | 고려대학교 |
| 활동 정보 | |
| 등단 시기 | 1955년 |
| 데뷔 작품 | "무제", "허" (문학예술) |
| 장르 | 시 |
| 작품 | |
| 주요 작품 | 《실내악》 《청동시대》 《미소하는 침묵》 《빛과 어둠의 사이》 |
| 수상 | |
| 수상 | 예술원 회원 |
2. 생애
박희진은 1931년 12월 4일 경기도에서 태어났다.[4] 1956년, 25세의 나이에 그의 시 3편이 문예지 ''문학예술''에 추천되면서 시인으로서의 공식적인 경력을 시작했다.[4] 그러나 문학에 대한 그의 사랑은 아주 어릴 때부터 뚜렷했다. 그는 초등학생 시절 장래 희망을 묻는 질문에 "작가"가 되겠다고 망설임 없이 대답했다고 회상했다.[4] 당시의 식민지적 상황 때문에 그는 일본어로 말하고 글을 썼으며, 문학과의 첫 만남도 일본어를 통해 이루어졌기에 일본 소설과 시, 특히 하이쿠에 큰 관심을 가졌다.[4]
박희진은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동성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다. 그는 1960년대 사화집 동인이었고, 시 낭송 클럽 ''공간''의 회원으로도 활동했다.[5]
평생 독신으로 살았던 박희진은 스스로 "나는 시와 결혼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종종 정치적 이념의 함정에 빠지는 작가 단체 활동을 자제하고, 자신의 시적 예술을 완성하는 데 헌신했다. 그는 "한국 문예 동인지 운동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고 자부했으며, "가장 먼저 시 낭송 운동을 진정으로 실험한" 시인으로서 큰 자부심을 가졌다. 시인을 "말에 미친 듯이 사랑하는" 사람들로 정의하면서 그는 시인들이 "모든 노력을 언어에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4]
2. 1. 유년 시절과 등단
박희진은 1931년 12월 4일 경기도에서 태어났다.[4] 1956년, 25세에 시 3편이 문예지 ''문학예술''에 추천되어 등단했다.[4] 문학에 대한 관심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시작되었는데, 장래 희망을 묻는 질문에 "작가"가 되겠다고 답할 정도였다.[4] 당시 식민지 상황으로 인해 일본어로 말하고 글을 썼으며, 일본 소설과 시, 특히 하이쿠에 큰 관심을 가졌다.[4]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동성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다.[5] 1960년대 사화집 동인이자, 시 낭송 클럽 ''공간''의 회원이었다.[5]
평생 독신으로 살며 "나는 시와 결혼했다"라고 말했던 박희진은, 정치적 이념의 함정에 빠지는 작가 단체 활동을 자제하고 자신의 시적 예술을 완성하는 데 헌신했다.[4] "한국 문예 동인지 운동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고 자부했으며, "가장 먼저 시 낭송 운동을 진정으로 실험한" 시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졌다.[4] 시인을 "말에 미친 듯이 사랑하는" 사람들로 정의하며, "모든 노력을 언어에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4]
2. 2. 문학적 교류와 영향
박희진의 시는 하늘과 땅, 빛과 어둠 사이의 모순을 날카롭게 대비시킨다.[5]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박희진은 T. S. 엘리엇, W. B. 예이츠와 같은 낭만주의 시인뿐만 아니라 독일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프랑스 시인 폴 발레리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박희진은 또한 동시대의 저명한 서정주와 유치환, 그리고 전통적인 자연 시를 쓴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과 같은 전통주의 한국 시인들에게서 큰 영감을 받았다.[4] 일제강점기에서 해방된 후 박희진은 모국어로 시를 쓰는 데 몰두했다. 처음에는 그의 한국어가 세련되지 못했지만, 한국 안팎의 예술적 경향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시적 세계를 만들려고 노력했다.[4] 현대 한국 시인으로서는 드물게 박희진은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의 광범위한 여행의 결과로 여행시도 썼다.[5]2. 3. 교육 활동 및 사회 참여
박희진은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T. S. 엘리엇, W. B. 예이츠와 같은 낭만주의 시인뿐만 아니라 독일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프랑스 시인 폴 발레리에게서도 영향을 받았다.[4] 또한 서정주, 유치환,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등 전통주의 한국 시인들에게서도 영감을 받았다.[4]3. 작품 세계
박희진의 시는 하늘과 땅, 빛과 어둠 사이의 모순을 날카롭게 대비시킨다.[5]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된 후 박희진은 모국어로 시를 쓰는 데 몰두했다. 처음에는 그의 한국어가 세련되지 못했지만, 한국 안팎의 예술적 경향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시적 세계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박희진은 T. S. 엘리엇, W. B. 예이츠와 같은 낭만주의 시인뿐만 아니라 독일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프랑스 시인 폴 발레리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박희진은 또한 동시대의 저명한 서정주와 유치환, 그리고 전통적인 자연 시를 쓴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과 같은 전통주의 한국 시인들에게서 큰 영감을 받았다.[4] 현대 한국 시인으로서는 드물게 박희진은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의 광범위한 여행의 결과로 여행시도 썼다.[5]
주요 시집으로는 『실내악』(1960년),[7] 『청동시대』(1965년), 『미소하는 침묵』(1970년), 『빛과 어둠의 사이』(1976년), 『4행시 134편』(1982년), 『가슴속의 시냇물』(1982년), 『아이오와에서 꿈에』(1985년), 『라일락 속의 연인들』(1985년), 『시인아 너는 선지자 되어라』(1985년), 『꿈꾸는 빛 바다』(1986년), 『바다 만세, 바다』(1987년), 『북한산 진달래』(1990년), 『한 방울의 만남』(1991년), 『화랑연가』(1999년), 『소나무 만다라』(2005년), 『섬들은 외롭지 않다』(2006년) 등이 있다.
3. 1. 초기 시 세계
3. 2. 여행시와 연작시
3. 3. 실험 정신과 형식 탐구
4. 주요 작품
- 1960년, 『실내악』(室内楽)[7]
- 1965년, 『청동시대』(青銅時代)
- 1970년, 『미소하는 침묵』(微笑む沈黙)
- 1976년, 『빛과 어둠의 사이』(光と暗闇の間)
- 1982년, 『4행시 134편』(4行詩134編)
- 1982년, 『가슴속의 시냇물』(胸の中の小川)
- 1985년, 『아이오와에서 꿈에』(アイオワでの夢に)
- 1985년, 『라일락 속의 연인들』(ライラックの恋人たち)
- 1985년, 『시인아 너는 선지자 되어라』(詩人よ、預言者になれ)
- 1986년, 『꿈꾸는 빛 바다』(夢見る光の海)
- 1987년, 『바다 만세, 바다』(海万歳、海)
- 1990년, 『북한산 진달래』(北漢山の山ツツジ)
- 1991년, 『한 방울의 만남』(一滴の出会い)
- 1999년, 『화랑연가』(花郎演歌)
- 2005년, 『소나무 만다라』(松ノ木の曼陀羅)
- 2006년, 『섬들은 외롭지 않다』(島は寂しくない)
4. 1. 시집
박희진은 여러 권의 시집을 출간했다.[7] 1960년 《실내악》을 시작으로,[7] 1965년 《청동시대》, 1970년 《미소하는 침묵》, 1979년 《서울의 하늘 아래》, 1982년 《사행 시 삼백 십사 편》 및 《가슴속의 시냇물》, 1985년 《아이오와에서 꿈에》, 《라일락 속의 연인들》, 《시인아, 너는 선지자 되라》를 출간했다. 1988년에는 《산화가》, 1990년 《북한산의 진달래》, 1991년 《사행시 삼백수》, 1993년 《연꽃 속의 부처님》, 1995년 《몰운대의 소나무》, 1997년 《일행시칠백수》, 1999년 《백사백경》, 《화랑영가》, 《동강이십경》, 2000년 《하늘 땅 사람》, 2001년 《박희진의 세계기행 시집》, 2002년 《사행시 사백수》, 2003년 《1행시 960수와 17자시 730수 기타》, 2004년 《꿈꾸는 탐라섬》 등을 발표했다.4. 2. 번역 시집
박희진의 시선으로는 ''하늘 그물''과 ''동해의 일출''이 있다.5. 수상 내역
참조
[1]
웹사이트
원로시인 박희진 노환으로 별세
http://www.newsis.co[...]
Newsis
2015-04-01
[2]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3]
웹사이트
박희진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5-06-10
[4]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5]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6]
NAVER
NAVER(韓国語) 2014年閲覧
http://people.search[...]
[7]
문서
韓国現代文学大辞典 2014年閲覧
http://terms.naver.c[...]
[8]
웹인용
원로시인 박희진 노환으로 별세
http://www.newsis.co[...]
Newsis
2015-04-01
[9]
웹인용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10]
웹인용
박희진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5-06-10
[11]
뉴스
예술원 회원 박희진 시인 별세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15-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