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용은 후한 시대의 장군으로, 서역 지역의 정복과 외교에 기여했다. 반용은 아버지 반초의 건의로 서역에 진출하여 여러 국가를 복속시켰다. 107년 서역의 반란 이후 군사 활동을 시작하여 123년 '서역 시랑' 칭호를 받고 투르판과 지마사를 정복했다. 124년에는 루란을 복속시키고 흉노를 격퇴했으며, 125년에는 지마사 왕을 격파하는 등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서역의 국가들에 대한 보고서를 황제에게 제출하여 '후한서'의 '서역전'의 기초를 마련하기도 했다. 127년에는 장랑과 함께 카라샤르 등 17개 왕국을 정복했으나, 장랑과의 불화로 뤄양으로 소환되어 투옥된 후 사면받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풍 반씨 - 반초
    반초는 후한 시대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서역 경영에 크게 기여하고 실크로드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 한나라의 외교관 - 반초
    반초는 후한 시대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서역 경영에 크게 기여하고 실크로드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 한나라의 외교관 - 장건
    장건은 한나라의 외교관이자 탐험가로, 한무제의 명을 받아 흉노 견제를 위한 대월지 동맹을 추진하며 서역에 파견되어 실크로드 개척의 계기를 마련하고 중국과 서역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 중국의 탐험가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 중국의 탐험가 - 마환
    마환은 명나라 시대 회족 출신 통역관이자 작가로, 정화의 남해 원정에 참여하여 각 지역의 풍습, 산물, 지리 등을 기록한 《영애승람》을 저술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반용
인물 정보
반용의 초상
반용의 초상 (《무쌍열사전》)
이름반용
로마자 표기Ban Yong
한자班勇
생몰년도서기 90년대 ~ 서기 128년경
주요 활동
직업군인, 외교관
시대후한
소속후한
주요 업적서역 경영, 북흉노 격파
가문
아버지반초
형제자매반웅
친척반표, 반고, 반소

2. 가계

반용은 반표를 할아버지로, 반초를 아버지로 두었다. 형제로는 반웅과 반시가 있는데, 반웅은 반초의 장남이고 반용은 반초의 막내 아들이다.[1]

관계이름
할아버지반표
아버지반초
첫째 형반웅
둘째 형반시


2. 1. 가족 관계


  • 아버지: 반초
  • 첫째 형: 반웅
  • 둘째 형: 반시

3. 생애와 업적

반용은 아버지 반초의 서역 경영을 이어받아 후한의 서역 지배를 확립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123년, 황제는 반용에게 '서역 시랑' 칭호를 주고 500명의 죄수들을 이끌고 서쪽으로 가 투르판 분지 남부 루쿠춘에 주둔하게 했다. 이후 반용은 투르판과 지마사(오늘날의 지무사현)를 정복하고 평정했다.[4][5]

124년 음력 1월(2월 3일-3월 3일), 루란에 도착하여 산산 왕에게 복종의 의미로 세 개의 새로운 리본을 하사했다. 이후 아크수, 우치 투르판 (오늘날의 우시현) 왕들이 항복했다. 반용은 이 왕국 병사들(보병과 기병 10,000명)을 전투에 보냈다. 투르판 근처에서 흉노의 '이리 왕'을 이허 계곡에서 쫓아냈다. 그는 투르판의 5,000명 이상을 자기편으로 만들어 투르판과 중국 간 통신을 재개하고, 루쿠춘에 군사 식민지를 건설했다. 125년에는 산산, 카슈가르, 투르판 병사들과 함께 지마사 왕을 격파하고 왕과 흉노 사절의 머리를 베어 수도로 보냈다. 또한 8,000명 이상의 포로와 50,000마리의 말과 소를 포획했다.[6]

안제 (107-125) 통치 말, 반용은 중국 서쪽의 국가들에 대한 보고서를 황제에게 제출했는데, 이 보고서는 인도와 로마 제국까지 모든 영토를 다루었다. 이 보고서는 ''후한서'' '서역전'의 기초가 되었다.[7]

126년, "거사 육국" (투르판 북쪽과 동쪽 산 너머)이 반용에게 복종했다. 127년, 카라샤르를 정복했고 쿠차도 항복하여 카슈가르로 가는 길을 열었고, 이는 다시 페르가나, 강거, 월지 등 서쪽 국가들과 통신을 열었다. 오직 위엔멍, 웨일리 (코를라), 웨이슈 (호슈드)만이 복종을 거부했다.[8]

같은 해, 반용은 둔황 태수 장랑과 함께 카라샤르, 쿠차, 카슈가르, 호탄, 야르칸드를 포함한 17개 왕국을 공격, 정복하여 모두 중국에 복종시켰다. 위엔멍 왕은 아들을 공물과 함께 궁으로 보냈다. 이후 오손과 파미르 고원 국가들이 서쪽으로 가는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멈추었다.[9]

카라샤르 공격 중 장랑은 북쪽 통로, 반용은 남쪽 통로를 맡았다. 장랑은 범죄를 저질렀다는 고발 때문에 죄를 씻고자 약속보다 일찍 반용을 떠나 쉽게 카라샤르를 정복했다. 그 결과 반용은 장랑과 만남이 늦어진 것으로 정부에 보고되었다. 반용은 뤄양으로 소환되어 투옥되었다가 나중에 사면받고 가족과 함께 죽었다.[10]

3. 1. 초기 활동

100년, 반용의 아버지 반초는 황제에게 편지를 써서 아들 반용을 데리고 변경으로 들어가 중원(중국)을 직접 볼 수 있게 하겠다고 하였다.[1]

107년, 오늘날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해당하는 서역이 중국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다. 반용은 소교위(Jun Sima 軍司馬)로 임명되어, 형 반웅과 함께 둔황을 거쳐 102년에 반초의 후임으로 서역도호가 된 임상을 만났다.[2] 중국군은 후퇴해야 했고, 그 후 10년 이상 서역에는 중국 관리가 없었다.[3]

123년, 황제는 반용에게 '서역 시랑' 칭호를 주어 500명의 해방된 죄수들을 이끌고 서쪽으로 가서 유중(투르판 분지 남부의 루쿠춘)에 주둔하게 했다. 그 후 반용은 투르판과 지마사(오늘날의 지무사현)를 정복하고 평정했다.[4][5]

124년 음력 1월(2월 3일-3월 3일), 반용은 루란에 도착하여 산산 왕에게 복종의 의미로 세 개의 새로운 리본을 하사했다. 그 후 아크수, 우치 투르판 (오늘날의 우시현) 왕들이 손을 뒤로 묶고 복종을 표했다. 반용은 이 왕국의 병사들(보병과 기병 10,000명)을 전투에 보냈다. 투르판 근처에서 그는 흉노의 '이리 왕'을 이허 계곡에서 도망치게 했다. 그는 투르판의 5,000명 이상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고, 투르판과 중국 간의 통신이 재개되었다. 그는 루쿠춘에 군사 식민지를 건설했다.

125년, 반용은 과주(오늘날의 둔황), 감주(오늘날의 장예), 숙주(오늘날의 주취안)의 군에서 6,000명 이상의 기병과 산산, 카슈가르, 투르판의 병사들과 함께 지마사의 왕을 격파하고 왕과 흉노 사절의 머리를 베었다. 그는 그들의 머리를 수도로 보냈다. 또한 8,000명 이상의 포로와 50,000마리의 말과 소를 포획했다.[6]

안제 (107-125년) 통치 말, 반용은 중국 서쪽의 국가들에 대한 보고서를 황제에게 제출했는데, 이 보고서는 인도와 로마 제국까지 모든 영토를 다루었다. 이 보고서는 약간의 추가 사항과 함께 ''후한서''의 '서역전'의 기초가 되었다.[7]

126년, 모든 "거사 육국"(투르판 북쪽과 동쪽의 산들을 넘어)이 반용에게 복종했다.

127년, 그는 카라샤르를 정복했고 쿠차도 항복하여 카슈가르로 가는 길을 열었고, 이는 다시 페르가나, 강거, 월지와 같은 더 서쪽 국가들과의 통신을 열었다. 오직 위엔멍, 웨일리(오늘날의 코를라) 그리고 웨이슈(오늘날의 호슈드)만이 복종을 거부했다.[8]

127년 반용은 둔황 태수 장랑과 함께 카라샤르, 쿠차, 카슈가르, 호탄, 야르칸드를 포함한 17개의 왕국을 공격하고 정복했고, 그들은 모두 중국에 복종하러 왔다. 위엔멍의 왕은 그의 아들을 공물과 함께 궁으로 보냈다. 그 후 오손과 파미르 고원의 국가들이 서쪽으로 가는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멈추었다.[9] 카라샤르 공격 중에 장랑은 북쪽 통로를, 반용은 남쪽 통로를 가기로 되어 있었다. 장랑은 범죄를 저질렀다고 고발당했기 때문에, 스스로의 죄를 씻고 싶어 약속보다 일찍 반용을 떠났다. 장랑은 쉽게 카라샤르를 정복했고, 그 결과 반용은 정부로부터 장랑과의 만남이 늦어진 것으로 여겨졌다. 반용은 나중에 수도 뤄양으로 소환되어 투옥되었다. 그는 나중에 사면을 받고 가족과 함께 죽었다.[10]

3. 2. 서역 경영

100년 CE에 반용의 아버지 반초는 황제에게 편지를 써서 아들 반용을 변경으로 데려가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를 통해 반용은 반초가 살아있는 동안 중원(중국)을 직접 볼 수 있게 되었다.[1]

107년 CE, 오늘날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인 서역이 중국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다. 반용은 소교위(軍司馬)로 임명되었고, 형 반웅(班雄)과 함께 둔황으로 가서 102년 CE에 반초의 후임 서역도호가 된 임상(?-119 CE)을 만났다.[2] 중국군은 후퇴해야 했고, 이후 10년 이상 서역에는 중국 관리가 없었다.[3]

123년 CE, 황제는 반용에게 '서역 시랑' 칭호를 주고 해방된 죄수 500명을 이끌고 서쪽으로 가서 유중(= 투르판 분지 남부 루쿠춘)에 주둔하게 했다. 이후 반용은 투르판과 지마사(오늘날의 지무사현)를 정복하고 평정했다.[4][5]

124년 CE 음력 1월(2월 3일-3월 3일), 루란에 도착한 반용은 산산 왕에게 복종의 의미로 세 개의 새로운 리본을 하사했다. 이후 아크수, 우치 투르판(오늘날의 우시현) 왕들이 손을 뒤로 묶고 복종했다. 반용은 이 왕국들의 병사(보병과 기병 10,000명)를 전투에 투입했다. 투르판 근처에서 흉노의 '이리 왕'을 이허 계곡으로 쫓아냈다. 투르판 사람 5,000명 이상을 자기편으로 만들어 투르판과 중국 간 통신을 재개하고 루쿠춘에 군사 식민지를 건설했다. 125년 CE, 반용은 과주(오늘날의 둔황), 감주(오늘날의 장예), 숙주(오늘날의 주취안) 군에서 6,000명 이상의 기병과 산산, 카슈가르, 투르판 병사를 이끌고 지마사 왕을 격파, 왕과 흉노 사절의 머리를 베어 수도로 보냈다. 또한 포로 8,000명 이상, 말과 소 50,000마리를 포획했다.[6]

안제 (107-125 CE) 통치 말, 반용은 중국 서쪽 국가들에 대한 보고서를 황제에게 제출했는데, 이 보고서는 인도와 로마 제국까지 모든 영토를 다루었다. 이 보고서는 약간의 추가와 함께 ''후한서'' '서역전'의 기초가 되었다.[7]

126년 CE, "거사 육국" (투르판 북쪽과 동쪽 산 너머) 모두 반용에게 복종했다. 127년 CE, 카라샤르를 정복하고 쿠차도 항복하여 카슈가르로 가는 길을 열었다. 이는 다시 페르가나, 강거, 월지 등 서쪽 국가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위엔멍, 웨일리 (코를라), 웨이슈 (호슈드)만이 복종하지 않았다.[8]

127년, 반용은 둔황 태수 장랑과 함께 카라샤르, 쿠차, 카슈가르, 호탄, 야르칸드를 포함한 17개 왕국을 공격하여 정복했고, 이들은 모두 중국에 복종했다. 위엔멍 왕은 아들을 공물과 함께 궁으로 보냈다. 이후 오손과 파미르 고원 국가들은 서쪽으로 가는 통신을 방해하지 않았다.[9] 카라샤르 공격 중 장랑은 북쪽, 반용은 남쪽 통로를 맡았다. 장랑은 범죄를 저질렀다는 고발 때문에 죄를 씻고자 약속보다 일찍 반용을 떠나 쉽게 카라샤르를 정복했다. 그 결과 반용은 장랑과의 만남이 늦어진 것으로 정부에 보고되었다. 반용은 뤄양으로 소환되어 투옥되었다가 나중에 사면받고 가족과 함께 죽었다.[10]

3. 3. 외교적 성과와 보고서

100년 CE, 반용의 아버지 반초는 황제에게 편지를 써서 아들 반용을 데려가 예물을 가지고 변경으로 들어가, 반용이 살아있는 동안 중원(중국)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1]

123년 CE, 황제는 반용에게 '서역 시랑' 칭호를 주고 500명의 죄수들을 이끌고 서쪽으로 가 투르판 분지 남부의 루쿠춘에 주둔하게 했다. 이후 반용은 투르판과 지마사(오늘날의 지무사현)를 정복하고 평정했다.[4][5]

124년 CE 음력 1월(2월 3일-3월 3일), 루란에 도착하여 산산의 왕에게 복종의 의미로 세 개의 새로운 리본을 하사했다. 이후 아크수, 우치 투르판 (오늘날의 우시현)의 왕들이 항복했다. 반용은 이 왕국의 병사들(보병과 기병 10,000명)을 전투에 보냈다. 투르판 근처에서 흉노의 '이리 왕'을 이허 계곡에서 쫓아냈다. 그는 투르판의 5,000명 이상을 자기편으로 만들어 투르판과 중국 간의 통신을 재개하고, 루쿠춘에 군사 식민지를 건설했다. 125년 CE, 반용은 과주(오늘날의 둔황), 감주(오늘날의 장예), 숙주(오늘날의 주취안)의 군에서 6,000명 이상의 기병과 산산, 카슈가르, 투르판의 병사들과 함께 지마사의 왕을 격파하고 왕과 흉노 사절의 머리를 베어 수도로 보냈다. 또한 8,000명 이상의 포로와 50,000마리의 말과 소를 포획했다.[6]

안제(107-125 CE) 통치 말, 반용은 중국 서쪽의 국가들에 대한 보고서를 황제에게 제출했는데, 이 보고서는 인도와 로마 제국까지 모든 영토를 다루었다. 이 보고서는 ''후한서''의 '서역전'의 기초가 되었다.[7]

127년, 반용은 둔황 태수 장랑과 함께 카라샤르, 쿠차, 카슈가르, 호탄, 야르칸드를 포함한 17개 왕국을 공격하고 정복하여 모두 중국에 복종하게 했다. 위엔멍의 왕은 아들을 공물과 함께 궁으로 보냈다. 이후 오손과 파미르 고원의 국가들이 서쪽으로 가는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멈추었다.[9]

3. 4. 카라샤르 정복과 죽음

100년 CE에 그의 아버지 반초는 황제에게 편지를 써서 아들 반용을 데려가 예물을 가지고 변경으로 들어가, 반용이 살아있는 동안 중원(중국)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1]

107년, 오늘날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인 서역은 중국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다. 반용은 소교위(軍司馬)로 임명되었고, 그의 형 반웅(班雄)과 함께 둔황을 거쳐 102년에 반초의 후임으로 서역도호가 된 임상(?-119)을 만났다.[2] 중국군은 후퇴해야 했고, 그 후 10년 이상 서역에는 중국 관리가 없었다.[3]

123년, 황제는 반용에게 '서역 시랑' 칭호를 주어 해방된 죄수 500명을 이끌고 서쪽으로 가서 유중(투르판 분지 남부 루쿠춘)에 주둔하게 했다. 그 후 반용은 투르판과 지마사(오늘날의 지무사현)를 정복하고 평정했다.[4][5]

124년(2월 3일-3월 3일) 음력 1월, 그는 루란에 도착하여 산산 왕에게 복종에 대한 세 개의 새로운 리본을 하사했다. 그 후 아크수, 우치 투르판(오늘날의 우시현) 왕들이 손을 뒤로 묶고 복종을 표했다. 반용은 이 왕국 병사들(보병과 기병 10,000명)을 전투에 보냈다. 투르판 근처에서 그는 흉노의 '이리 왕'을 이허 계곡에서 도망치게 했다. 그는 투르판 사람 5,000명 이상을 자기편으로 만들었고, 투르판과 중국 간 통신이 재개되었다. 그는 루쿠춘에 군사 식민지를 건설했다. 125년, 반용은 과주(오늘날의 둔황), 감주(오늘날의 장예), 숙주(오늘날의 주취안) 군에서 6,000명 이상 기병과 산산, 카슈가르, 투르판 병사들과 함께 지마사 왕을 격파하고 왕과 흉노 사절의 머리를 베었다. 그는 그들의 머리를 수도로 보냈다. 그는 또한 포로 8,000명 이상과 말과 소 50,000마리를 포획했다.[6]

안제(107-125) 통치 말, 반용은 중국 서쪽 국가들에 대한 보고서를 황제에게 제출했는데, 이 보고서는 인도와 로마 제국까지 모든 영토를 다루었다. 이 보고서는 약간의 추가 사항과 함께 ''후한서'' '서역전'의 기초가 되었다.[7]

126년, "거사 육국"(투르판 북쪽과 동쪽 산 너머)이 반용에게 복종했다. 127년, 그는 카라샤르를 정복했고 쿠차도 항복하여 카슈가르로 가는 길을 열었고, 이는 다시 페르가나, 강거, 월지 등 서쪽 국가들과 통신을 열었다. 오직 위엔멍, 웨일리([코를라]) 그리고 웨이슈([호슈드])만이 복종을 거부했다.[8]

127년, 반용은 둔황 태수 장랑과 함께 카라샤르, 쿠차, 카슈가르, 호탄, 야르칸드를 포함한 17개 왕국을 공격하고 정복했고, 그들은 모두 중국에 복종했다. 위엔멍 왕은 아들을 공물과 함께 궁으로 보냈다. 그 후 오손과 파미르 고원 국가들이 서쪽으로 가는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멈추었다.[9] 카라샤르 공격 중 장랑은 북쪽 통로를, 반용은 남쪽 통로를 가기로 되어 있었다. 장랑은 범죄를 저질렀다고 고발당했기 때문에, 죄를 씻고 싶어 약속보다 일찍 반용을 떠났다. 장랑은 쉽게 카라샤르를 정복했고, 그 결과 반용은 정부로부터 장랑과 만남이 늦어진 것으로 여겨졌다. 반용은 나중에 수도 뤄양으로 소환되어 투옥되었다. 그는 나중에 사면을 받고 가족과 함께 죽었다.[10]

참조

[1] 서적 Chavannes 1906
[2] 서적 Hill 2009
[3] 서적 Chavannes 1906
[4] 서적 Hill 2009
[5]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970
[6] 서적 Hill 2009
[7] 서적 Hill 2009
[8] 서적 Chavannes 1906
[9] 서적 Hill 2009
[10] 서적 Chavannes 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