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건은 서역 탐험을 통해 한나라와 서역 국가 간의 교류를 연 개척자이다. 그는 흉노를 견제하고 월지와의 동맹을 위해 두 차례 서역으로 파견되었다. 1차 원정에서는 흉노에게 억류되었으나 탈출하여 대완, 대월지 등을 거쳐 서역의 정보를 수집했다. 2차 원정에서는 우손과의 동맹을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장건의 노력으로 서역 여러 나라와 한나라의 교류가 시작되었고, 실크로드 개척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외교와 국방력 강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장건은 섬서성 한중 동쪽의 성구(城固) 지역에서 태어났다.[8] 기원전 140년에서 기원전 134년 사이 랑(郎, 궁중 관리)의 신분으로 한무제를 섬겼다.[8] 당시 유목민족인 흉노는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를 지배하고 서역(西域, 한나라 영토에 인접한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기원전 114년, 장건은 사망하였다.[34] 『사기(史記)』는 장건이 기원전 115년 우손(烏孫)으로의 마지막 탐험에서 돌아왔다고 전한다. 귀환 후 그는 "대사의 직책을 받아 정부의 9대 고위 관료 중 한 명이 되었다. 1년 남짓 후에 그는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34]
장건의 여행 보고서는 기원전 1세기 중국 역사 편찬인 사마천의 《사기》 〈대완열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23] 장건은 대완(페르가나) 왕국, 월지 영토, 대하 그리고 강거를 직접 방문하였다. 그는 또한 안식 (파르티아), 조지 (메소포타미아의 셀레우코스 제국) , 신독 그리고 오손과 같이 직접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인근 국가들에 대한 보고도 작성하였다.[23]
2. 생애
이전에 대월지는 월지라고 불리었는데, 흉노의 묵돌 선우와 그 아들 노상 선우에게 패한 후, 서쪽으로 옮겨 이름을 대월지로 바꾸었다. 특히 노상 선우는 월지 왕의 두개골로 술잔을 만들었으므로, 월지는 흉노를 원망하고 있었다. 당시 한나라는 북방의 유목 민족인 흉노의 잦은 침입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한무제는 흉노를 견제하고 서역과의 교역로를 개척하기 위해 장건을 파견했다.
기원전 139년(건원 4년), 한나라 조정은 흉노에 정통한 장군 장건을 99명의 부하와 함께 서역으로 파견하여 월지와 연합하여 흉노에 대항하려 했다. 그는 전쟁 중 포로로 잡혔던 흉노인 간부(甘父)라는 안내자를 동행했다.[9]


장건은 기원전 140년에서 기원전 134년 사이에 랑(郎, 궁중 관리)의 신분으로 한무제를 섬겼다.[8] 당시 흉노는 내몽골 자치구를 지배하고 서역(西域)을 장악하고 있었다. 이에 한무제는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월지와 동맹을 맺고자 기원전 139년 장건을 서역으로 파견했다.[9] 그는 99명의 부하와 흉노 출신 안내인 간부(甘父)를 동행했다.[10]
그러나 서역 지방은 흉노의 세력권이었으므로, 장건 일행은 감숙성을 벗어나자마자 흉노에게 붙잡혔다.[11] 흉노의 군신선우는 장건의 목적을 알아채고 "월씨는 우리들의 북쪽에 있다. 어떻게 한이 그곳에 사자를 보낼 수 있는가? 만약 내가 한의 남쪽 월나라에 사자를 보낸다면 한은 그것을 허용할까?"라고 말하며 장건을 10여 년간 억류했다.[12][13][14]
장건은 흉노 땅에서 10여 년간 억류되었지만, 탈출하여 서쪽으로 이동, 대완(페르가나)에 도착했다.[15] 대완 왕은 장건을 환대하고 대월지로 가는 길을 안내해 주었으며, 강거를 거쳐 대월지에 도착했다. 장건은 대월지 왕에게 한나라와의 동맹을 제안했지만, 월지는 이미 새로운 땅에 정착하여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었기 때문에 동맹을 거절했다.[16][17]
귀향길에 장건은 쿤룬산맥을 넘어 강족의 지배지를 통과하려 했으나, 다시 흉노에게 붙잡혔다. 1년 남짓 지나 군신선우가 사망하고 흉노에 내분이 일어나자, 그 틈을 타 탈출하여 기원전 126년에 한나라로 귀환했다.[18] 100여 명의 수행원 중 장건과 간부, 단 두 명만이 살아남았다.[19]
비록 군사 동맹은 성립되지 않았지만, 장건이 가져온 서역에 대한 정보는 매우 귀중했다. 사기에는 "황제는 대완(大宛), 대하(大夏), 안식(安息) 등 여러 나라가 특이한 상품이 풍부한 강대국이며, 백성들이 농사를 짓고 중국인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생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모든 나라는 군사적으로 약하고 한나라의 상품과 부를 소중히 여긴다고 전해졌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8] 귀국 후 장건은 궁중 고문 직책을 받았다.[19]
장건의 1차 원정은 군사 동맹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그가 서역에서 가져온 정보는 매우 귀중했다.[18] 한나라는 장건의 보고를 통해 서역의 정세와 문화를 파악하고, 흉노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18] 특히 대완(大宛), 대하(大夏), 안식(安息) 등 여러 나라가 특이한 상품이 풍부한 강대국이며, 백성들이 농사를 짓고 중국인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생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8]
비록 장건은 대월지(大月氏)와의 군사 동맹에는 실패했지만, 그의 원정은 서역과의 교역로 개척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20] 장건은 100여 명의 사절단의 단장이 되어 대월지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서역으로 출발했지만, 흉노에게 10여 년 동안 구금되었다.[9][11] 탈출 후 대완(大宛)(페르가나(Fergana))을 거쳐 강거(康居)에 들른 후 마침내 대월지에 도착했지만, 이미 흉노에 대한 복수심을 잃은 대월지는 동맹을 거절했다.[15]
귀환길에 다시 흉노에게 붙잡혔으나, 흉노의 내분 틈타 탈출하여 13년 만에 한나라로 돌아왔다.[16][17] 출발 당시 100여 명이었던 수행원은 귀환 시에는 종자 1명만 남았다고 한다.[17] 장건은 이 공로로 태중대부(太中大夫)에 임명되었다.[19]
한나라는 흉노에 대항하기 위해 오손(烏孫)과의 동맹을 추진했다.[21][22] 기원전 119년, 무제는 장건을 다시 서역으로 파견하여 우손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했다.[21][22] 이번 사절단은 300명으로 구성되어 이전보다 규모가 커졌다.
장건은 흉노의 방해 없이 순조롭게 우손에 도착했으나, 당시 우손은 정정이 불안정하여 전쟁을 할 수 없었고, 한나라에 대해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동맹을 거절했다. 장건은 우손의 군주 곤미에게 혼인 동맹과 동방 이주를 제안했지만, 오손 내부 사정으로 인해 즉각적인 동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원전 115년, 장건은 귀국했다. 이때 우손의 사신 수십 명이 답례로 한나라를 방문했고, 이들은 귀국 후 한나라에 대해 서역 사람들에게 알렸다. 비록 대월지(大月氏)·우손과의 동맹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장건이 가져온 서역에 대한 정보는 매우 귀중했으며, 서역 여러 나라들은 동쪽에 한이라는 강대한 나라가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장건의 노력으로 서역 여러 나라는 한나라에 사신을 보내게 되었고, 이는 새로운 교역로, 즉 실크로드(シルクロード)가 열리는 계기가 되었다. 장건은 오손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서역 여러 나라와의 교류를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장건의 2차 원정은 우손(烏孫)과의 동맹을 목표로 하였으나, 당시 우손의 정정 불안정과 한(漢)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즉각적인 동맹은 성사되지 않았다.[21][22] 기원전 119년, 한무제는 장건을 다시 우손에 파견하였고, 300명의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고 순조롭게 우손에 도착했다. 하지만 우손은 흉노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한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기 때문에 동맹을 거절했다.
기원전 115년, 장건은 귀국하면서 우손의 사신 수십 명을 동반했다. 이들은 귀국 후 한에 대해 서역 사람들에게 전했고, 이를 통해 서역 여러 나라는 한에 사신을 보내게 되었다. 비록 대월지(大月氏)·우손과의 동맹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장건이 가져온 서역에 대한 정보는 매우 귀중했으며, 서역 여러 나라 역시 동쪽에 강대한 한나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서역 국가들과 한나라 간의 교류가 확대되었고, 이는 실크로드(シルクロード) 개척의 기반이 되었다.
장건은 귀국 후 대행(大行)에 임명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했으며, 기원전 114년에 사망했다. 장건 사후, 서역을 방문하는 한의 사신들은 모두 박망후(博望侯)를 자칭하여 현지 사람들의 신임을 얻었다고 한다.
기원전 123년, 한무제는 대장군 위청으로 하여금 흉노를 공격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장건은 서역에서의 경험과 지리 지식을 활용하여 크게 공헌하였고, 위위(衛尉) 박망후(博望侯)로 봉해졌다. 그러나 기원전 121년의 전쟁에서 기일을 맞추지 못하여 문책을 받고 평민으로 강등되었다.
장건은 서역 여행 중 촉(사천) 명산의 대나무와 옷감이 현지에서 발견된 것을 보고, 인도와의 교역로 존재 가능성을 제기했다. 인도 상인으로부터 샀다는 말을 듣고, 촉에서 윈난 → 미얀마를 거쳐 인도로 이어지는 경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장건은 무제에게 윈난을 한나라에 복속시킬 것을 건의했으나, 실행되지는 못했다. 이는 훗날 남방 실크로드 개척의 단초를 제공했다.
2. 1. 배경
장건은 섬서성 한중 동쪽의 성구(城固) 지역에서 태어났다.[8] 기원전 140년에서 기원전 134년 사이 랑(郎, 궁중 관리)의 신분으로 한무제를 섬겼다.[8] 당시 유목민족인 흉노는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를 지배하고 서역(西域, 한나라 영토에 인접한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이전에 대월지는 월지라고 불리었는데, 흉노의 묵돌 선우와 그 아들 노상 선우에게 패한 후, 서쪽으로 옮겨 이름을 대월지로 바꾸었다. 특히 노상 선우는 월지 왕의 두개골로 술잔을 만들었으므로, 월지는 흉노를 원망하고 있었다. 당시 한나라는 북방의 유목 민족인 흉노의 잦은 침입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한무제는 흉노를 견제하고 서역과의 교역로를 개척하기 위해 장건을 파견했다.
기원전 139년(건원 4년), 한나라 조정은 흉노에 정통한 장군 장건을 99명의 부하와 함께 서역으로 파견하여 월지와 연합하여 흉노에 대항하려 했다. 그는 전쟁 중 포로로 잡혔던 흉노인 간부(甘父)라는 안내자를 동행했다.[9]
2. 2. 1차 서역 원정 (기원전 139년 ~ 기원전 126년)
장건은 기원전 140년에서 기원전 134년 사이에 랑(郎, 궁중 관리)의 신분으로 한무제를 섬겼다.[8] 당시 흉노는 내몽골 자치구를 지배하고 서역(西域)을 장악하고 있었다. 이에 한무제는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월지와 동맹을 맺고자 기원전 139년 장건을 서역으로 파견했다.[9] 그는 99명의 부하와 흉노 출신 안내인 간부(甘父)를 동행했다.[10]
그러나 서역 지방은 흉노의 세력권이었으므로, 장건 일행은 감숙성을 벗어나자마자 흉노에게 붙잡혔다.[11] 흉노의 군신선우는 장건의 목적을 알아채고 "월씨는 우리들의 북쪽에 있다. 어떻게 한이 그곳에 사자를 보낼 수 있는가? 만약 내가 한의 남쪽 월나라에 사자를 보낸다면 한은 그것을 허용할까?"라고 말하며 장건을 10여 년간 억류했다.[12][13][14]
장건은 흉노 땅에서 10여 년간 억류되었지만, 탈출하여 서쪽으로 이동, 대완(페르가나)에 도착했다.[15] 대완 왕은 장건을 환대하고 대월지로 가는 길을 안내해 주었으며, 강거를 거쳐 대월지에 도착했다. 장건은 대월지 왕에게 한나라와의 동맹을 제안했지만, 월지는 이미 새로운 땅에 정착하여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었기 때문에 동맹을 거절했다.[16][17]
귀향길에 장건은 쿤룬산맥을 넘어 강족의 지배지를 통과하려 했으나, 다시 흉노에게 붙잡혔다. 1년 남짓 지나 군신선우가 사망하고 흉노에 내분이 일어나자, 그 틈을 타 탈출하여 기원전 126년에 한나라로 귀환했다.[18] 100여 명의 수행원 중 장건과 간부, 단 두 명만이 살아남았다.[19]
비록 군사 동맹은 성립되지 않았지만, 장건이 가져온 서역에 대한 정보는 매우 귀중했다. 사기에는 "황제는 대완(大宛), 대하(大夏), 안식(安息) 등 여러 나라가 특이한 상품이 풍부한 강대국이며, 백성들이 농사를 짓고 중국인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생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모든 나라는 군사적으로 약하고 한나라의 상품과 부를 소중히 여긴다고 전해졌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8] 귀국 후 장건은 궁중 고문 직책을 받았다.[19]
2. 3. 1차 원정의 결과와 의의
장건의 1차 원정은 군사 동맹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그가 서역에서 가져온 정보는 매우 귀중했다.[18] 한나라는 장건의 보고를 통해 서역의 정세와 문화를 파악하고, 흉노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18] 특히 대완(大宛), 대하(大夏), 안식(安息) 등 여러 나라가 특이한 상품이 풍부한 강대국이며, 백성들이 농사를 짓고 중국인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생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8]
비록 장건은 대월지(大月氏)와의 군사 동맹에는 실패했지만, 그의 원정은 서역과의 교역로 개척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20] 장건은 100여 명의 사절단의 단장이 되어 대월지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서역으로 출발했지만, 흉노에게 10여 년 동안 구금되었다.[9][11] 탈출 후 대완(大宛)(페르가나(Fergana))을 거쳐 강거(康居)에 들른 후 마침내 대월지에 도착했지만, 이미 흉노에 대한 복수심을 잃은 대월지는 동맹을 거절했다.[15]
귀환길에 다시 흉노에게 붙잡혔으나, 흉노의 내분 틈타 탈출하여 13년 만에 한나라로 돌아왔다.[16][17] 출발 당시 100여 명이었던 수행원은 귀환 시에는 종자 1명만 남았다고 한다.[17] 장건은 이 공로로 태중대부(太中大夫)에 임명되었다.[19]
2. 4. 2차 서역 원정 (기원전 119년 ~ 기원전 115년)
한나라는 흉노에 대항하기 위해 오손(烏孫)과의 동맹을 추진했다.[21][22] 기원전 119년, 무제는 장건을 다시 서역으로 파견하여 우손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했다.[21][22] 이번 사절단은 300명으로 구성되어 이전보다 규모가 커졌다.
장건은 흉노의 방해 없이 순조롭게 우손에 도착했으나, 당시 우손은 정정이 불안정하여 전쟁을 할 수 없었고, 한나라에 대해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동맹을 거절했다. 장건은 우손의 군주 곤미에게 혼인 동맹과 동방 이주를 제안했지만, 오손 내부 사정으로 인해 즉각적인 동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원전 115년, 장건은 귀국했다. 이때 우손의 사신 수십 명이 답례로 한나라를 방문했고, 이들은 귀국 후 한나라에 대해 서역 사람들에게 알렸다. 비록 대월지(大月氏)·우손과의 동맹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장건이 가져온 서역에 대한 정보는 매우 귀중했으며, 서역 여러 나라들은 동쪽에 한이라는 강대한 나라가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장건의 노력으로 서역 여러 나라는 한나라에 사신을 보내게 되었고, 이는 새로운 교역로, 즉 실크로드(シルクロード)가 열리는 계기가 되었다. 장건은 오손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서역 여러 나라와의 교류를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5. 2차 원정의 결과와 의의
장건의 2차 원정은 우손(烏孫)과의 동맹을 목표로 하였으나, 당시 우손의 정정 불안정과 한(漢)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즉각적인 동맹은 성사되지 않았다.[21][22] 기원전 119년, 한무제는 장건을 다시 우손에 파견하였고, 300명의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고 순조롭게 우손에 도착했다. 하지만 우손은 흉노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한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기 때문에 동맹을 거절했다.
기원전 115년, 장건은 귀국하면서 우손의 사신 수십 명을 동반했다. 이들은 귀국 후 한에 대해 서역 사람들에게 전했고, 이를 통해 서역 여러 나라는 한에 사신을 보내게 되었다. 비록 대월지(大月氏)·우손과의 동맹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장건이 가져온 서역에 대한 정보는 매우 귀중했으며, 서역 여러 나라 역시 동쪽에 강대한 한나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서역 국가들과 한나라 간의 교류가 확대되었고, 이는 실크로드(シルクロード) 개척의 기반이 되었다.
장건은 귀국 후 대행(大行)에 임명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했으며, 기원전 114년에 사망했다. 장건 사후, 서역을 방문하는 한의 사신들은 모두 박망후(博望侯)를 자칭하여 현지 사람들의 신임을 얻었다고 한다.
2. 6. 흉노와의 전쟁
기원전 123년, 한무제는 대장군 위청으로 하여금 흉노를 공격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장건은 서역에서의 경험과 지리 지식을 활용하여 크게 공헌하였고, 위위(衛尉) 박망후(博望侯)로 봉해졌다. 그러나 기원전 121년의 전쟁에서 기일을 맞추지 못하여 문책을 받고 평민으로 강등되었다.
2. 7. 천산남로와 인도 경로 개척 시도
장건은 서역 여행 중 촉(사천) 명산의 대나무와 옷감이 현지에서 발견된 것을 보고, 인도와의 교역로 존재 가능성을 제기했다. 인도 상인으로부터 샀다는 말을 듣고, 촉에서 윈난 → 미얀마를 거쳐 인도로 이어지는 경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장건은 무제에게 윈난을 한나라에 복속시킬 것을 건의했으나, 실행되지는 못했다. 이는 훗날 남방 실크로드 개척의 단초를 제공했다.
3. 사망
그의 무덤은 성고현 근처 장가촌(張家村)에 위치해 있으며, 1945년 수리 작업 중에 博望家造(박망가조)라는 비문이 새겨진 점토 주형이 발견되었다.[34]
4. 장건의 보고서와 서역 정보

4. 1. 대완 (大宛, Ferghana)
장건은 흉노에서 풀려난 후 타림 분지 서쪽 페르가나 지역에 위치한 대완을 방문했다.[24] 대완은 흉노의 영토 남서쪽, 중국에서 서쪽으로 약 1만 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25] 대완 사람들은 파르티아인과 박트리아인과 유사한 세련된 도시 거주자로 묘사되었다.[24] 대완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4세기부터 2세기까지 이 지역을 점령했던 그리스계 후손인 "이오나"라는 단어의 음역으로 여겨진다.[24]
장건의 기록에 따르면, 대완 사람들은 땅에 정착하여 밭을 갈고 쌀과 밀을 재배했으며, 포도로 와인을 만들었다. 사람들은 요새화된 도시에 살았고, 이 지역에는 크고 작은 70개 이상의 도시가 있었으며, 인구는 수십만 명에 달했다.[25] 장건은 이곳에서 유명한 "땀을 흘리는" 페르가나 말(한혈마)을 보고했다.[24] 대완이 한나라 한 무제에게 이 말들을 제공하기를 거부하자, 한나라는 이 말들을 무력으로 획득하기 위해 두 차례의 응징 작전을 시작했다.[24] 훗날 한나라는 천마전쟁에서 이 지역을 정복했다.[26]
4. 2. 월지 (月氏)
대원(大宛) 왕의 도움을 받은 장건은 서남쪽으로 이동하여 월지(月氏)의 영토에 도착했고, 그들과 함께 흉노에 대항하는 군사 동맹을 맺으려 했다.[27]
사기 제123편에 따르면, "대월지는 대원(大宛)의 서쪽 2,000리 또는 3,000리, 귀수(아무다리야 강)의 북쪽에 살고 있다. 남쪽으로는 대하(Bactria)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안시(安息)와, 북쪽으로는 강거(康居)와 접한다. 그들은 유목민족으로 가축과 함께 이동하며, 흉노와 비슷한 풍습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10만 명 또는 20만 명의 궁수 병사를 거느리고 있다."라고 장건이 말했다.[27]
장건은 월지가 원래 칠련산(祁連山) 또는 천산(天山)과 돈황 사이의 지역에 살았지만, 흉노에게 패배한 후 대원(大宛, 페르가나) 너머 서쪽으로 멀리 이동하여 대하(Bactria, 박트리아) 사람들을 공격하고 귀수(Oxus, 아무다리야 강) 북쪽 강둑에 왕궁을 세웠다고 설명했다.[28] 이는 일부 역사가들이 그들을 타림 미라(타림분지의 코카소이드 미라)와 연결 짓도록 했다.[28] (월지와 타림 분지의 토하라인(吐火羅人, 토카리아인)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28] 소규모의 월지인 "소월지"는 대이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강(羌)족" 야만인들 사이에 피난처를 찾았다고 한다.
장건은 이 지역에서 한 혹 낙타를 처음으로 본 중국인이었다.[29]
4. 3. 대하 (大夏, Bactria)
장건은 유목민 월지에 정복당하던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의 마지막 시기를 목격했을 가능성이 크다.[30] 소규모의 무력한 수장들만 남아 있었는데, 그들은 명백히 월지 무리의 속국이었다. 그들의 문명은 도시 문명이었고, 안시(Anxi)와 대완(Dayuan)의 문명과 거의 동일했으며, 인구가 많았다.[30]
대하는 대완에서 남서쪽으로 2,000리 이상 떨어져 있으며, 귀수 남쪽에 위치한다. 그곳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도시와 집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풍습은 대완과 비슷하다. 큰 통치자는 없고 여러 도시를 다스리는 많은 작은 수장들만 있다. 그들은 무기에 익숙하지 않고 전투를 두려워하지만, 상업에는 능숙하다. 큰 월지가 서쪽으로 이동하여 대하를 공격하고 정복한 후, 그 나라는 완전히 그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 나라의 인구는 많아서 100만 명 이상이다. 수도는 란시(박트라)이며, 온갖 물건이 사고팔린다.[30]
4. 4. 신독 (身毒, India)
신독(身毒)이라는 명칭은 인더스 강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Sindhu"에서 유래했다. 당시 신드 지방은 인도-그리스 왕국들의 지배를 받았는데, 이는 박트리아와 인도 사이의 문화적 유사성에 대한 보고를 설명해 준다.
장건은 박트리아 남동쪽에 인도(India)가 존재한다고 보고했다. 신독은 탁자(박트리아)에서 남동쪽으로 수천 리 떨어져 있으며, 백성들은 농사를 짓고 탁자 사람들과 거의 비슷하게 생활한다고 한다. 그 지역은 덥고 습하며, 주민들은 전투에 나갈 때 코끼리를 탄다. 그 나라는 큰 강(인더스 강)가에 위치해 있다.
4. 5. 안식 (安息, Parthia)
안식(안식/安息중국어)은 대월지 지역에서 서쪽으로 수천 리나 떨어져 있다. 백성들은 땅에 정착하여 밭을 갈고 벼와 밀을 재배하며, 포도로 술을 만든다. 대완(페르가나) 사람들처럼 성곽 도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지역에는 크고 작은 수백 개의 도시가 있다. 안식 제국은 동쪽의 테젠 강에서 서쪽의 티그리스 강까지, 그리고 아리아, 파르티아 본토, 그리고 메디아 본토를 거치는 실크로드를 따라 지배하였다.[31] 나라의 화폐는 은으로 만들어졌으며 왕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왕이 죽으면 화폐는 즉시 바뀌고 그의 후계자의 얼굴이 새겨진 새로운 화폐가 발행된다. 사람들은 가죽의 수평 스트립에 글을 써서 기록을 남긴다.[31] "안식"이라는 이름은 파르티아 제국의 건국자 아르샤크(아르사케스)의 이름을 음차한 것이다.[31] 서쪽에는 조지(메소포타미아)가 있고 북쪽에는 연채와 릭선(히르카니아)이 있다.[31]
4. 6. 조지 (条支, Seleucid Empire in Mesopotamia)
장건은 조지(条支, 메소포타미아의 셀레우코스 제국) 지역을 직접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사람들로부터 들은 내용을 보고했다. 조지(条支)는 안시(아르사케스 영토) 서쪽 수천 리에 위치하며 '서해'(페르시아만 또는 지중해를 가리킬 수 있음)와 접해 있다. 기후는 덥고 습하며,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벼를 재배하며 생계를 유지한다. 인구가 매우 많으며 여러 소부족장들이 다스리고 있고, 안시(아르사케스 왕조)의 지배자가 이들에게 명령을 내려 속국으로 여긴다고 한다.
4. 7. 강거 (康居)
장건은 소그디아나 지역(강거)을 직접 방문하였다.
강거는 대완(박트리아)의 북서쪽으로 약 2,000 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그곳 사람들은 유목민이며 풍습은 흉노와 비슷하다. 숙련된 궁수 전사가 8만 명 또는 9만 명이나 되었다. 나라는 작고 대완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남쪽의 흉노와 동쪽의 월지에게 종속되어 있었다.
4. 8. 엄채 (奄蔡, Vast Steppe)
엄채는 강거(현재 베이톈의 하즈라트-에 투르키스탄)에서 북서쪽으로 약 2,000리 떨어져 있다. 주민들은 유목민이며, 그들의 풍습은 대체로 강거 사람들과 비슷하다. 10만 명이 넘는 궁수 전사가 있으며, 거대한 호수(아마도 현재 아랄해로 알려진 곳일 것이다)와 접해 있다.
5. 동서 교류의 발전
장건의 사절단 파견과 보고 이후, 중국과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 간의 상업 관계가 번성하였다. 기원전 2세기 말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많은 중국 사절단이 파견되었고, 이는 실크로드의 발전을 시작하였다.[32] 많은 물품들이 교환되었고, 기원전 122년 남월왕 조무의 무덤에서 발견된 페르시아 상자와 중앙아시아 유물들이 동쪽의 광저우까지 전해졌음을 시사한다.[33]
돈황의 막고굴 벽화에는 한무제(기원전 156~87)가 불상을 숭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 불상들을 "기원전 120년 유목민과의 전투에서 한나라 장군이 가져온 금인"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한무제가 불교를 숭배했다는 다른 기록은 중국 역사 문헌에는 없다.
중국은 또한 안시에 사절단을 파견하였고, 기원전 100년경 파르티아 사절단의 상호 사절단 파견이 이어졌다.[32] 로마 역사가 플로루스는 기원전 27년부터 14년까지 통치한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에게 수많은 사절단, 그 중에는 ''세레스''(중국인 또는 중앙아시아인)도 방문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97년, 중국 장군 반초는 간영을 로마에 사절로 파견하였다. 166년 이후 여러 차례의 로마의 중국 사절단이 있었으며, 중국 역사 기록에 공식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6. 평가 및 유산
장건의 서역 개척은 단순한 외교적 탐험을 넘어, 동서양 문명 교류의 물꼬를 튼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노력으로 실크로드가 개척되어 동서양 간의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해졌다.[38] 장건은 흉노에게 패배하여 불명예를 안기도 했지만, 여러 차례의 사절 활동을 통해 알팔파 씨앗, 건장한 말 등 외부 세계의 새로운 상품, 민족, 기술들을 중국에 들여왔다.[35][36][37] 그는 이러한 사절 활동에 25년을 보낸 후 기원전 114년경 사망했지만, 황제로부터 큰 영예를 받았다.[35][36][37]
장건은 불굴의 의지와 개척 정신으로 동서 문명 교류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로, 오늘날까지도 그의 업적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의 외교적 노력은 오늘날 대한민국이 처한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자주적인 외교와 국방력 강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특히, 강대국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치고,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실리 외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장건의 서역 개척은 단순한 영토 확장이 아닌, 문화 교류와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추구해야 할 국제 협력의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그의 불굴의 의지와 도전 정신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귀감이 되며,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정신을 상징한다.
참조
[1]
웹사이트
ZHANG QIAN, EXPLORER CENTRAL ASIA
https://www.timeline[...]
[2]
웹사이트
Zhang Qian — Pioneer of the Silk Road in History of China
https://www.chinafet[...]
[3]
웹사이트
The Chinese Explorer Zhang Qian on a Raft
https://www.metmuseu[...]
[4]
웹사이트
Legend of Silk Road pioneer lives on
https://www.nationth[...]
2015-01-01
[5]
웹사이트
Zhang Qian
https://www.britanni[...]
2018-03-15
[6]
서적
Silk Road: Monks, Warriors & Merchants
https://archive.org/[...]
Odyssey Books
[7]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Legacy of the Silk Road route
https://www.odysseyt[...]
[8]
서적
Silk Road: Monks, Warriors & Merchants on the Silk Road
Odyssey Books & Guides
[9]
서적
[10]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11]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04-17
[13]
서적
The Great Wall: China Against the World, 1000 BC – AD 2000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1-04-17
[14]
서적
Story of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11-04-17
[15]
서적
[16]
웹사이트
Zhang Qian
https://www.factmons[...]
[17]
서적
The Human Record: To 1700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11-04-17
[18]
서적
[19]
서적
Dangerous Tastes: The Story of Spic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웹사이트
Twenty Centuries of Friendly Cooperation: The Sino-Iranian Relationship
https://www.thegloba[...]
2006-12-11
[21]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The Essential Reference to China, Its History and Culture
Roundtable Press Book
[22]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1-04-17
[23]
웹사이트
The Expedition of Zhang Qian
http://www.thenagain[...]
[24]
서적
Man and environment, Volume 23, Issue 1
https://books.google[...]
Indian Society for Prehistoric and Quaternary Studies.
2011-04-17
[25]
웹사이트
Famous Travelers On The Silk Road
https://www.nouahsar[...]
[26]
웹사이트
The Heavenly Horses of the Han Dynasty
https://medium.com/@[...]
2018-01-04
[27]
웹사이트
Zhang Qian's Western Expedition
http://schools.misd.[...]
[28]
웹사이트
Section 13 – The Kingdom of the Da Yuezhi 大月氏 (the Kushans)
https://depts.washin[...]
[29]
서적
Chinese Recorder
https://books.google[...]
Presbyterian Mission Press
[30]
서적
Stairway to Heaven: A Journey to the Summit of Mount Emei
https://books.google[...]
SUNY Press
[31]
웹사이트
The Kingdom of Anxi
http://depts.washing[...]
[32]
웹사이트
Heavenly horses of Ferghana
https://www.advantou[...]
[33]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9-22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The Essential Reference to China, Its History and Culture
Roundtable Press Book
[37]
서적
Sources on the Alans: A Critical Compil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08-05-24
[38]
서적
Chinese History: Ancient China to 1911 – Google Book Search
https://books.google[...]
Asiapace Books
2008-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