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터 셸은 독일의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에서 복무했으며, 1946년 자유민주당(FDP)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연방의회 의원, 외무장관, 부총리를 거쳐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서독 대통령을 역임했다. 대통령 퇴임 후에는 유럽 운동 기구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연방공화국의 외무장관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연방공화국의 외무장관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총리실장, 외무장관, 부총리를 거쳐 2017년부터 독일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동방 정책 추진과 민스크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바뀌었다. - 서독의 외교관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서독의 외교관 - 헬무트 콜
헬무트 콜은 1982년부터 1998년까지 서독과 통일 독일의 연방총리를 역임하며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을 이끌고 유럽 연합 통합에 기여했으나, 정치자금 스캔들, 건강 악화, 가족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던 독일의 정치인이다. - 자유민주당 (독일, 1948년) 당원 - 랄프 다렌도르프
랄프 다렌도르프는 사회 갈등 이론과 계급 이론을 발전시키고 정치 경력을 거쳐 영국에서 귀족 작위를 받은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작가이다. - 자유민주당 (독일, 1948년) 당원 - 클라우스 킹켈
클라우스 킹켈은 독일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자유민주당 당수, 법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 부총리, BND 국장 등을 역임하며 유럽 통합과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에 기여했다.
발터 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발터 셸 |
출생일 | 1919년 7월 8일 |
출생지 | 독일국 프로이센 자유주 졸링겐 |
사망일 | 2016년 8월 24일 |
사망지 | 독일 연방 공화국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바트크로칭겐 |
국적 | 독일 |
직업 | 정치인 사업가 컨설턴트 |
배우자 | 에파 샤를로테 크로넨베르크 (1942년~1966년) 밀드레트 비르츠 (1969년~1985년) 바바라 비제 (1988년~) |
자녀 | 4명 |
![]() | |
정당 | |
소속 정당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1942년–1945년) 자유민주당 (1946년–2016년) |
군사 경력 | |
복무 기간 | 1939년 - 1945년 |
최종 계급 | 독일 공군 중위 |
주요 직책 | |
독일 연방대통령 | 임기: 1974년 7월 1일 ~ 1979년 6월 30일 수상: 헬무트 슈미트 전임: 구스타프 하이네만 후임: 카를 카르스텐스 |
독일 연방수상 대행 | 임기: 1974년 5월 7일 ~ 1974년 5월 16일 대통령: 구스타프 하이네만 전임: 빌리 브란트 후임: 헬무트 슈미트 |
독일 연방부수상 | 임기: 1969년 10월 22일 ~ 1974년 5월 16일 수상: 빌리 브란트 (및 본인(대행)) 전임: 빌리 브란트 후임: 한스디트리히 겐셔 |
독일 연방외무장관 | 임기: 1969년 10월 21일 ~ 1974년 5월 16일 수상: 빌리 브란트 (및 본인(대행)) 전임: 빌리 브란트 후임: 한스디트리히 겐셔 |
연방의회 부의장 | 임기: 1967년 9월 8일 ~ 1969년 10월 19일 연방의회 의장: 오이겐 게르스텐마이어, 카이우베 폰 하셀 전임: 토마스 데흘러 후임: 리젤로테 풍케 |
연방경제협력부 장관 | 임기: 1961년 11월 14일 ~ 1966년 10월 28일 수상: 콘라트 아데나워,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전임: 신설 후임: 베르너 돌링거 |
의회 활동 | |
연방의회 의원 | 임기: 1953년 10월 6일 ~ 1974년 6월 27일 지역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자유민주당 비례대표 전임: 다수 선거구 후임: 칼한스 라어만 |
유럽 의회 의원 | 임기: 1956년 7월 1일 ~ 1961년 11월 20일 전임: 다수 선거구 후임: 다수 선거구 |
주 의회 의원 | 임기: 1950년 7월 5일 ~ 1954년 7월 13일 지역구: 렘샤이트 전임: 휴고 파울 후임: 발터 프라이 |
기타 경력 | |
자유민주당 대표 | 1968년 ~ 1974년 |
졸링겐 시의회 의원 | 1948년 ~ 1950년 |
2. 어린 시절과 교육
졸링겐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바퀴 제작 장인이었다. 가정은 프로테스탄트였다. 슈베르트슈트라세 김나지움에서 아비투어를 취득했다.[3] 1938년 아비투어 합격 후 은행에서 수습을 시작했지만, 이듬해 징집되어 독일 공군에 입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루프트바페에서 복무하였으며, 전쟁이 끝나갈 무렵 Bf 110 야전대의 레이다 기수로 활약하였다.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최종 계급은 중위였다. 1942년에 결혼하여 1명의 자녀를 두었다.
1946년 자유민주당(FDP)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48년 졸링겐 시의원, 1950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원을 거쳐 1953년 연방의회 의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셸이 나치당에 가입했는지 여부는 논란이 있다.[4] 전쟁 말기에 입당했다는 주장과 입당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증거가 되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셸 본인은 입당을 계속 부인하면서도 대통령 임기 만료 직전에 "입당 신청서가 도착했었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결국 입당했는지 여부에 대해 명확한 언급을 피했다.
3. 정치 경력
1961년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의 기독교민주연합(CDU)과 자유민주당 연립 정부에서 연방 경제 협력 개발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데어 슈피겔 사건"에 항의하여 사임했다가 국방장관 경질 후 복귀했다.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내각에서도 장관직을 유지했으나, 1966년 예산안 문제로 기독교민주연합과 대립하여 사퇴, 에르하르트 정권 붕괴의 원인이 되었다. 이후 기독교민주연합과 사회민주당(SPD)의 대연정으로 자유민주당은 야당이 되었고, 1967년부터 1969년까지 연방의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1974년 5월 7일 빌리 브란트 총리가 귄터 기욤 간첩 혐의 사건으로 사임하자, 5월 16일 헬무트 슈미트 총리 선출 전까지 총리 권한 대행을 맡았다.[6]
3. 1. 자유민주당 당수
1968년 셸은 에리히 멘데의 뒤를 이어 자유민주당 당수로 선출되었다.[5] 이는 당내 좌파 세력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사회민주당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실제로 자유민주당은 1969년 대통령 선거에서 사회민주당 후보인 구스타프 하이네만을 지지하기도 하였다.[5]
3. 2. 외무장관 겸 부총리
1969년 셸은 자유민주당을 이끌고 사회민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였다. 빌리 브란트 총리 내각에서 외무장관 겸 부총리가 되었다. 서독은 브란트와 셸의 지도 아래 소비에트 연방과의 화해를 추진하고 동독의 존재를 정식으로 인정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정책은 자유민주당과 사회민주당 양당에서 의원들이 야당으로 이탈하는 등 대규모의 공개 토론을 야기했다. 브란트를 축출하려는 시도는 실패했지만, 연립 정부는 근소한 다수 의석을 잃게 되었다. 1972년 의회 해산 및 조기 총선으로 의회 교착 상태가 해소되었다.[5]
1970년 셸은 서독 외무장관으로서 1965년에 외교 관계를 수립한 이스라엘을 처음으로 방문했다. 또한 셸은 브란트 정권의 "동방 외교" 책임자로서 노력하여 브란트와 함께 "데탕트의 아버지"라고 불렸다. 1972년 12월 21일 브란트 정권은 동서독 기본조약에 서명했고, 서독과 동독은 상호 주권 국가로서 서로를 인정하게 되었다.[11]
3. 3. 서독 대통령
1974년 5월 7일 빌리 브란트 수상이 자신의 측근 귄터 기욤의 간첩 혐의 사건으로 사임하자, 셸은 5월 16일까지 수상 직무 대행을 맡았다. 때마침 셸은 서독의 제4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6] 이틀 동안 총리 대행과 차기 연방 대통령을 겸임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통령으로서 9회에 걸쳐 13개국을 방문했고, 1978년 4월에는 일본을 방문했다. 1976년에는 병역 기피자에 대한 사상 심사를 폐지하는 법안에 대해 독일 연방 상원의 가결이 필요하다며 서명을 거부하기도 했다.
1979년 연방 대통령 선거에서는 기독교민주연합이 의회 제1당이 되어 재선 가능성이 없었기에 출마하지 않았고, 1979년 6월까지 1기 임기만 수행하고 퇴임하였다.
4. 대통령 퇴임 이후
1979년 6월 30일 대통령 직에서 물러난 후, 유럽 운동 기구의 회장 겸 하원의원 회의의 의장(1980~1985), 유럽 연방주의 연합의 독일부 회장(1980~1989)을 역임하였다. 1991년부터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의 명예 회장을 지냈다.
2016년 8월 24일 바트크로칭겐의 자택에서 오랫동안 앓아 온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5. 사생활
발터 셸은 세 번 결혼하여 슬하에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첫 번째 부인 에파와는 1966년 사별하였고, 사이에 아들 하나를 두었다. 1969년 재혼한 밀트라이트 여사와는 딸 하나를 낳았으며, 부인이 데려온 딸과 볼리비아에서 입양한 아들이 있었다. 밀트라이트 여사는 독일 암 환자 지원 협회를 설립한 의사였으나 1985년 사망하였다. 1988년 스위스에서 재활의학과 정신과 병원을 운영하던 의사 바르바라 여사와 결혼하여 2001년부터 베를린에서 함께 거주하였다.
셸은 독일 민요를 즐겨 불러 "노래하는 대통령"으로도 알려져 있다. 1973년 Hoch auf dem gelben Wagen (황금 마차를 타고)라는 음반을 발매하였는데,[14] 이 음반은 1974년 봄까지 30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같은 해 독일 히트 차트 5위까지 올랐다. 2006년에도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노래 실력을 선보였다.
2016년 8월 24일, 오랜 투병 끝에 바트크로칭겐의 자택에서 향년 97세로 사망하였다.[8][9][10] 그는 독일의 황제 또는 선출된 국가 원수 중 최장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6. 평가 및 유산
발터 셸은 동서독 관계 개선과 유럽 통합에 기여한 중도 자유주의 정치인으로서 독일 정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한민국과의 외교 관계 강화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셸은 1969년 사회민주당과의 연립 정부를 이끌며 빌리 브란트 수상 아래에서 외무장관 겸 부수상을 역임했다. 이들의 지도 아래 서독은 소비에트 연방과의 화해를 추진하고 동독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러한 정책은 자유민주당과 사회민주당 양당원들이 야당으로 편을 바꾸는 등 대규모의 공개 토론을 야기했다. 브란트 수상을 축출하려는 시도는 실패했지만, 연립 정부는 의회에서 다수 의석을 잃었다. 1972년 의회 해산과 조기 총선으로 의회 교착 상태가 해소되었다.
1974년 5월 7일 브란트 수상이 측근 귄터 기욤의 간첩 혐의 사건으로 사임하자, 셸은 5월 16일까지 수상 직무 대행을 맡았다. 이후 셸은 제4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7. 저서
- Die Freiburger Thesen der Liberalen|자유주의자들의 프라이부르크 테제de, 카를-헤르만 플라흐 및 베르너 마이호퍼와 공저, 로볼트, 1972년
- Die Zukunft der Freiheit – Vom Denken und Handeln in unserer Demokratie|자유의 미래 – 우리 민주주의에서의 사고와 행동de, 에콘, 1979년
- Wen schmerzt noch Deutschlands Teilung? 2 Reden zum 17. Juni|누구에게 독일의 분단이 아직 고통스러운가? 6월 17일 연설 두 편de, 로볼트, 1986년
- Freiheit in Verantwortung, Deutscher Liberalismus seit 1945|책임 있는 자유, 1945년 이후 독일 자유주의de, 오토 그라프 람스도르프와 공저, 블라이허, 1988년
- Erinnerungen und Einsichten|회상과 통찰de, 위르겐 엔거트와 공저, 호헨하임 출판사, 2004년
- Gemeinsam sind wir stärker – Zwölf erfreuliche Geschichten über Jung und Alt|함께하면 우리는 더 강하다 – 젊은이와 노인에 관한 12가지 즐거운 이야기de, 토비아스 탈하머와 공저, 올파트 미디어, 2010년
8. 참고 문헌
- 한스-디트리히 겐셔 (편): 《유쾌함과 엄격함: 발터 셸의 연설과 당대인들의 평가》. 도이치 페어라크스안슈탈트, 슈투트가르트 1984, ISBN 3-421-06218-8.
- 한스-로데리히 슈나이더: 《타협의 대통령. 연방대통령 발터 셸. 한 자유주의 정치가》. 페어라크 본 아크투엘, 슈투트가르트 1975, ISBN 3-87959-045-1.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of Walter Scheel
https://m.geboren.am[...]
[2]
웹사이트
Walter Scheel (1974–1979)
http://www.bundespra[...]
German Federal Presidency
2013-07-13
[3]
웹사이트
Aus Höhscheid in die Geschichtsbücher
http://www.rp-online[...]
2016-02-21
[4]
서적
Geschichte und Politik in den Reden der deutschen Bundespräsidenten 1949-1984
https://books.google[...]
[5]
서적
West Germany, politics and society
St. Martin's Press
1981
[6]
뉴스
16. Mai 2004 - Vor 30 Jahren: Helmut Schmidt wird zum Bundeskanzler gewählt
https://www1.wdr.de/[...]
2016-08-24
[7]
Podcast
Walter Scheel - Der 10-Tage-Kanzler
https://www.br.de/me[...]
2021-10-26
[8]
뉴스
Früherer Bundespräsident (1974-1979): Walter Scheel ist tot
http://www.spiegel.d[...]
2016-08-24
[9]
뉴스
Ehemaliger Bundespräsident Walter Scheel ist tot
http://www.zeit.de/p[...]
2016-08-24
[10]
뉴스
Walter Scheel, Leading Figure in West German Thaw With the East, Dies at 97
https://mobile.nytim[...]
2016-08-25
[11]
일반
[12]
뉴스
Walter Scheel, Germany's singing president, is dead
http://www.dw.com/en[...]
2016-08-24
[13]
뉴스
シェール元西独大統領死去
http://www.jiji.com/[...]
2016-08-25
[14]
뉴스
シェール元西ドイツ大統領が死去 97歳 ソ連との「東方外交」促進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6-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