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천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의 군으로, 동쪽으로 예성강을 사이에 두고 개성특별시와 접하고 남쪽은 황해와 면한다. 연백평야에 속하는 평야 지대이며, 역사적으로는 고려 시대 송나라와의 교류가 있었던 례성항이 위치했던 곳으로, 1413년 배천군으로 설치된 후 일제강점기 연안군과 합병되어 연백군이 되었다가, 1952년 분할되어 현재의 배천군이 되었다. 현재 행정 구역은 1읍, 1노동자구, 26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덕선과 백천선 철도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천군 - 은빛역
    은빛역은 197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배천선의 종착역으로, 배천선은 동해주역에서 시작하여 여러 역을 거쳐 은빛역에 이른다.
  • 황해남도의 군 - 과일군
    과일군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군으로, 1967년 송화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북한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과일 산지이자 은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황해남도의 군 - 송화군
    송화군은 황해남도 북서부 내륙에 위치하며 고구려 시대에는 마경이와 판마곶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송화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952년 군면리 통폐합으로 설치되어 현재 1읍 10리로 구성, 과일 재배가 활발하고 송화온천 등의 명승지가 있는 지역이다.
배천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배천군
한자 표기白川郡
로마자 표기Baecheon-gun
McCune-Reischauer 표기Paech'ŏn-gun
위치황해남도
황해남도 배천군 위치
황해남도 배천군 위치
행정 구역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행정 구역 단위
1개 (배천읍)
1개
26개
지리
면적512.4 km²
인구 통계
총 인구 (2008년)159,82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2. 지리

동쪽으로 예성강을 사이에 두고 개성시와 인접해 있으며, 남쪽은 황해이다. 서쪽은 연안군, 북쪽은 봉천군과 맞닿아 있다.

2. 1. 지형

동쪽으로 예성강을 사이에 두고 개성시와 인접해 있으며 남쪽은 황해이다. 서쪽은 연안군, 북쪽은 봉천군과 맞닿아 있다.

중부와 남부는 례성강이 흐르는 연백평야에 속한 평야지대이며, 남부의 황해 바닷가에는 간석지가 발달해 있다. 간석지 개간으로 논이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3. 역사

1914년 일제강점기에 서쪽으로 이웃한 연안군과 합해져 연백군이 되었다가, 해방 후 연안군과 배천군으로 분리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배천온천이 개발되어 경성부(서울)에서 가까운 온천으로 번성하였다.[2]

3. 1. 고대 ~ 조선 시대

례성강 남쪽 하구 배천군 일대에는 례성항(禮成港)이 있었는데, 고려에서 중국송나라와 교섭할 때 이곳에서 모든 배를 띄워 예절 있게 맞아들이고 다시 바래다 주었던 강이라 례성(禮成)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고려 시대 송나라 상인들의 왕래가 많았을 때의 사실을 노래한 례성강곡(禮成江曲)[4]이라든가 례성강가에 와서 살던 중국 창녀들을 소재로 한 들놀이 '당녀소매무(唐女小梅舞)' 등의 지역 민중예술이 전해진다.[5]

3. 2. 일제강점기 ~ 현재

1914년 일제강점기연안군과 합해져 연백군이 되었다.[2] 1952년 12월에 연백군이 분할되어 배천군으로 재편성되었다.[2] 일제 강점기에는 배천온천이 개발되어 경성부(서울)에서 가까운 온천으로 번성하였다.[2]

1954년 10월 황해도가 분할되면서 황해남도 배천군이 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연도내용
1956년 9월수복리, 창포리, 행정리의 일부를 합쳐 용동리를, 행정리, 금산리의 일부를 합쳐 봉화리를 신설하였다. (1읍 26리)
1967년 10월행정리, 추정리의 일부를 합쳐 역구도리를 신설하고, 금산리의 일부를 봉화리에, 신월리의 일부를 홍현리에 편입하였다. (1읍 27리)
1981년 6월봉량리가 봉량노동자구로 승격하였다. (1읍 1노동자구 26리)
1991년 11월도대리가 물길리로 개칭되었다. (1읍 1노동자구 26리)
1992년 4월대야리가 봉천군으로 편입되고, 봉천군 원산리가 배천군으로 편입되었다. (1읍 1노동자구 26리)


4. 행정 구역

로동자구
배천읍봉량로동자구강호리, 금곡리, 금산리, 금성리, 룡동리, 류천리, 문산리, 물길리, 방현리, 봉화리, 석산리, 수복리, 수원리, 신월리, 역구도리, 오봉리, 운산리, 원산리, 일곡리, 정촌리, 창포리, 추정리, 향정리, 홍현리, 화산리, 화양리


5. 교통

백천선이 지나간다.


  • 백천선
  • * 온정역 - 홍현역 - 백천역 - 은비역

6. 문화

배천군 주민들은 고수를 먹는 문화를 가지고 있고, 명절에는 만두를 올린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황해남도 배천군 역사 http://www.cybernk.n[...]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4] 백과사전 예성강 (禮成江) https://encykorea.ak[...]
[5] 뉴스 역사 속 다문화 19 예성강곡, 당녀(唐女) 그리고 쌍화점 https://www.newswat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