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 가능한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과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 위성 항법 시스템(RNSS)으로 나뉜다. 현재 GPS, GLONASS, 갈릴레오, 베이더우의 4개 글로벌 시스템이 운영 중이며, 인도의 NavIC, 일본의 QZSS 등의 지역 시스템도 존재한다. GNSS는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군사, 과학, 운송,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시스템은 사용자, 우주, 지상 관제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위성 신호의 도달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측위 정확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멀티패스, 위성 시계 오차, 천체력 오차, 대기 지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성항법시스템 - 웨이즈
웨이즈는 사용자 참여형 실시간 교통 정보 기반 내비게이션 앱으로, 정확한 길 안내와 다양한 기능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정보 공유 논란, 개인 정보 문제, 보안 취약성 및 국가 안보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위성항법시스템 - 베이더우
베이더우는 중국이 개발한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3단계에 걸쳐 개발되어 35기의 위성을 통해 전 세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구축되었으며, GPS, GLONASS, 갈릴레오와 함께 대표적인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중 하나이다. - 항공계기 - 글래스 콕핏
글래스 콕핏은 아날로그 계기판을 대체하는 디지털 조종석 시스템으로, 정보 집약 및 시인성 향상, 조작 편의성 증대, 안전성 강화, 사용자 정의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 항공계기 - 고도계
고도계는 음파, 전파, 레이저, GPS, 기압 등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로, 항공, 우주, 지형 측정, 레저 스포츠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우주 개발 - 창백한 푸른 점
창백한 푸른 점은 보이저 1호가 60억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0.12픽셀 크기의 푸른 지구 사진으로, 칼 세이건은 이를 인류의 겸손함과 책임감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으며, 지구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 우주 개발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 | |
---|---|
개요 | |
유형 | 위성 항법 시스템 |
약칭 | GNSS, SATNAV |
설명 | 위성 신호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 |
작동 원리 | |
설명 |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 속도, 시간을 계산함 |
작동 원리 설명 | 위성은 정확한 시간 정보를 담은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기는 이 신호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위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의 거리를 알면, 수신기는 사용자의 3차원 위치와 시간 오차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
주요 GNSS | |
GPS | 미국 |
글로나스 | 러시아 |
갈릴레오 | 유럽 연합 |
베이더우 | 중국 |
나빅 | 인도 |
QZSS | 일본 |
활용 분야 | |
군사 | 정밀 유도 무기 항법 감시 수색 및 구조 |
민간 | 내비게이션 측량 지도 제작 농업 해운 항공 재난 구호 개인 위치 확인 |
관련 기술 | |
A-GPS | 보조 GPS |
DGPS | 차동 GPS |
RTK | 실시간 운동측정 |
GNSS 보정 시스템 | GNSS Augmentation |
기타 | |
참고 | GNSS는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GNSS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더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2. 종류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 가능한 시스템과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 시스템으로 나뉜다.
GNSS는 기존 위성 항법 시스템의 정확도, 신뢰성,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6]
- '''GNSS-1''': 1세대 시스템으로, 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SBAS) 또는 지상 기반 보강 시스템(GBAS)을 결합하여 GPS 및 글로나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미국의 광역 보강 시스템(WAAS), 유럽의 유럽 정지 궤도 항법 오버레이 서비스(EGNOS), 일본의 다기능 수송 위성(MSAS), 인도의 GPS 보조 GEO 보강 항법(GAGAN) 등이 이에 해당한다. 지상 기반 보강 시스템으로는 지역 보강 시스템(LAAS) 등이 있다.[6]
- '''GNSS-2''': 2세대 시스템으로, 유럽의 갈릴레오 (위성 항법)처럼 완전한 민간 위성 항법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높은 정확도와 무결성 모니터링을 제공하며, 초기에는 상위 L 밴드 주파수만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하위 L 밴드 주파수도 활용하여 정확도를 높이고 신호 반사 문제를 줄이고 있다.[7][8]
항공기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위성 항법 보강 시스템(SBAS)이 운용되고 있다.
국가 | 시스템 |
---|---|
미국 | WAAS |
일본 | MSAS(2020년 3월 말 운용 종료, 미치비키로 계승) |
유럽 연합 | EGNOS |
인도 | GAGAN |
러시아 | SDCM |
대한민국 | KASS |
중국 | BDSBAS |
이 외에도 중미, 남미의 SACCSA, 아프리카의 AFI,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의 MALAYSIA, 캐나다의 CWAAS 등에서 SBAS가 계획되어 있다.[93]
민간 기업의 전 지구 측위 보강 서비스로는 StarFire, OmniSTAR 등이 있다.
공공 디퍼렌셜 측위 보강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시스템 |
---|---|
미국 | Coast Guard NDGPS |
일본 | 해상보안청 DGPS(2019년 3월 1일 12:00 폐지) |
유럽 연합 | EUPOS DGNSS |
대한민국 | NDGPS |
차분 측위 또는 차분 GNSS (DGNSS)는 위성 항법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기준국에서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통 오차를 상쇄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육상에서 1cm 이하의 오차를 가지는 고정밀 보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GPS 신호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착륙을 지원하는 시스템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시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정밀한 접근 및 착륙을 가능하게 하며, 재해 등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2. 1.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GNSS)
현재 GPS(미국), 글로나스(러시아 연방), 베이더우(중국), 갈릴레오 (위성 항법)(유럽 연합)의 4개의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이 운영 중이다.[6]시스템 | 베이더우 | 갈릴레오 | 글로나스 | GPS | ||
---|---|---|---|---|---|---|
소유 | 중국 | 유럽 연합 | 러시아 | 미국 | ||
서비스 지역 | 전 지구 | 전 지구 | 전 지구 | 전 지구 | ||
코딩 | CDMA | CDMA | FDMA & CDMA | CDMA | ||
고도 km (mi) | 21150km | 23222km | 19130km | 20180km | ||
주기 | 12.88 시간 (12 시간 53 분) | 14.08 시간 (14 시간 5 분) | 11.26 시간 (11 시간 16 분) | 11.97 시간 (11 시간 58 분) | ||
회전수/항성일 | 13/7 | 17/10 | 17/8 | 2 | ||
위성 수 | 베이더우-3: 28개 운용 중 (24 MEO, 3 IGSO, 1 GSO) 5개 궤도 검증 중 2개 GSO 20H1 계획 베이더우-2: 15개 운용 중 1개 시운전 중 | 설계상: 27개 운용 중 + 3개 예비 현재: 26개 궤도상 24개 운용 중 2개 비활성 6개 발사 예정[40] | 설계상 24개 24개 운용 중 1개 시운전 중 1개 비행 테스트 중[36] | 설계상 24개 30개 운용 중[37] | ||
주파수 GHz | 1.561098 (B1) 1.589742 (B1-2) 1.20714 (B2) 1.26852 (B3) | 1.559–1.592 (E1) 1.164–1.215 (E5a/b) 1.260–1.300 (E6) | 1.593–1.610 (G1) 1.237–1.254 (G2) 1.189–1.214 (G3) | 1.563–1.587 (L1) 1.215–1.2396 (L2) 1.164–1.189 (L5) | ||
상태 | 운용 중[39] | 2016년 이후 운용 2020년 완성[40] | 운용 중 | 운용 중 | ||
정확도 m (ft) | (공개) (암호화) | (공개) (암호화) | (DGPS 또는 WAAS 없음) | |||
출처:[8][41][42] |
2. 2. 지역 위성 항법 시스템 (RNSS)
인도의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에서 개발한 자율 지역 위성 항법 시스템인 '''NavIC''' (Navigation with Indian Constellation, 인도 항법 위성 시스템)은 2006년 5월 인도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26] 2018년 현재 위성군은 궤도에 있으며, 2018년 초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30] NavIC은 민간 사용자를 위한 "표준 위치 서비스"와 인가된 사용자(군 포함)를 위한 "제한 서비스"(암호화)의 두 가지 서비스 수준을 제공한다. NavIC 시스템은 7기에서 11기로 위성군 크기를 늘려 확장할 계획이다.[31] 7개의 항법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26] 위성 3기는 정지 궤도에, 나머지 4기는 정지 천이 궤도에 배치되어 더 넓은 신호 범위를 확보하고 해당 지역을 매핑하는 데 필요한 위성 수를 줄였다. 이 시스템은 인도 전역과 그 주변 약 1500km 이내의 지역에서 7.6m보다 나은 전천후 절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7] 위성 우주 부문, 지상 부문, 사용자 수신기 모두 인도에서 제작하여 완전한 인도의 통제하에 두는 것을 목표로 한다.[29] 인도는 중간 지구 궤도 위성 24기를 더 추가하여 NavIC을 전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전 세계 NavIC은 전 세계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될 예정이다.[32]일본의 준천정 위성 시스템(QZSS)은 일본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포괄하는 4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지역 시간 전송 시스템이자 GPS의 보강 시스템이다. QZSS 서비스는 2018년 1월 12일부터 시험적으로 제공되었으며, 2018년 11월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첫 번째 위성은 2010년 9월에 발사되었다.[33] 7개의 위성을 갖춘 독립적인 위성 항법 시스템(GPS와는 별개)이 2023년에 구축될 예정이다.[34]
시스템 | 베이더우 | 갈릴레오 | 글로나스 | GPS | NavIC | QZSS |
---|---|---|---|---|---|---|
소유 | 중국 | 유럽 연합 | 러시아 | 미국 | 인도 | 일본 |
서비스 지역 | 전 지구 | 전 지구 | 전 지구 | 전 지구 | 지역 | 지역 |
코딩 | CDMA | CDMA | FDMA & CDMA | CDMA | CDMA | CDMA |
고도 km (mi) | 21150km | 23222km | 19130km | 20180km | 36000km | 32600km[35] |
주기 | 12.88 시간 (12 시간 53 분) | 14.08 시간 (14 시간 5 분) | 11.26 시간 (11 시간 16 분) | 11.97 시간 (11 시간 58 분) | 23.93 시간 (23 시간 56 분) | 23.93 시간 (23 시간 56 분) |
회전수/항성일 | 13/7 | 17/10 | 17/8 | 2 | 1 | 1 |
위성 수 | 베이더우-3: 28개 운용 중 (24 MEO, 3 IGSO, 1 GSO) 5개 궤도 검증 중 2개 GSO 20H1 계획 베이더우-2: 15개 운용 중 1개 시운전 중 | 설계상: | 설계상 24개 24개 운용 중 1개 시운전 중 1개 비행 테스트 중[36] | 설계상 24개 30개 운용 중[37] | 8개 운용 중 (3 GEO, 5 GSO MEO) | 4개 운용 중 (3 GSO, 1 GEO) 향후 7개 |
주파수 GHz | 1.561098 (B1) 1.589742 (B1-2) 1.20714 (B2) 1.26852 (B3) | 1.559–1.592 (E1) 1.164–1.215 (E5a/b) 1.260–1.300 (E6) | 1.593–1.610 (G1) 1.237–1.254 (G2) 1.189–1.214 (G3) | 1.563–1.587 (L1) 1.215–1.2396 (L2) 1.164–1.189 (L5) | 1.57542 (L1) 1.17645 (L5) 2.49202 (S) | 1.57542 (L1C/A, L1C, L1S) 1.22760 (L2C) 1.17645 (L5, L5S) 1.27875 (L6)[38] |
상태 | 운용 중[39] | 2016년 이후 운용 2020년 완성[40] | 운용 중 | 운용 중 | 운용 중 | 운용 중 |
정확도 m (ft) | (공개) (암호화) | (공개) (암호화) | 2m 에서 4m | 0.3m 에서 5m (DGPS 또는 WAAS 없음) | (공개) (암호화) | (공개) (암호화) |
시스템 | 베이더우 | 갈릴레오 | 글로나스 | GPS | NavIC | QZSS |
출처:[8][41][42] |
2. 3. GNSS 보강 시스템
GNSS 보강 시스템은 기존 위성 항법 시스템의 정확도, 신뢰성,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GNSS 보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6]
- '''GNSS-1''': 1세대 시스템으로, 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SBAS) 또는 지상 기반 보강 시스템(GBAS)을 결합하여 GPS 및 GLONASS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미국의 광역 보강 시스템(WAAS), 유럽의 유럽 정지 궤도 항법 오버레이 서비스(EGNOS), 일본의 다기능 수송 위성(MSAS), 인도의 GPS 보조 GEO 보강 항법(GAGAN) 등이 이에 해당한다. 지상 기반 보강 시스템으로는 지역 보강 시스템(LAAS) 등이 있다.[6]
- '''GNSS-2''': 2세대 시스템으로, 유럽의 갈릴레오 (위성 항법)처럼 완전한 민간 위성 항법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높은 정확도와 무결성 모니터링을 제공하며, 초기에는 상위 L 밴드 주파수만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하위 L 밴드 주파수도 활용하여 정확도를 높이고 신호 반사 문제를 줄이고 있다.[7][8]
역할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GPS(미국), 글로나스(러시아 연방), 베이더우(중국), 갈릴레오 (위성 항법)(유럽 연합)
- 글로벌 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SBAS): OmniSTAR, 스타파이어 (항법 시스템)
- 지역 SBAS: WAAS(미국), EGNOS(EU), MSAS(일본), GPS 보조 지리 보강 항법(GAGAN)(인도), SDCM(러시아)
- 지역 위성 항법 시스템: 인도의 인도 지역 항법 위성 시스템(NAVIC), 일본의 QZSS
- 대륙 규모 지상 기반 보강 시스템(GBAS): 호주의 GRAS, 미국의 차등 GPS(DGPS) 등
- 지역 규모 GBAS: CORS 네트워크 등
- 로컬 GBAS: 실시간 이동 측위(RTK) 보정을 이용하는 단일 GPS 기준국
항공기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위성 항법 보강 시스템(SBAS)이 운용되고 있다.
국가 | 시스템 |
---|---|
미국 | WAAS |
일본 | MSAS(2020년 3월 말 운용 종료, 미치비키로 계승) |
유럽 연합 | EGNOS |
인도 | GAGAN |
러시아 | SDCM |
대한민국 | KASS |
중국 | BDSBAS |
이 외에도 중미, 남미의 SACCSA, 아프리카의 AFI,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의 MALAYSIA, 캐나다의 CWAAS 등에서 SBAS가 계획되어 있다.[93]
민간 기업의 전 지구 측위 보강 서비스로는 StarFire, OmniSTAR 등이 있다.
공공 디퍼렌셜 측위 보강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시스템 |
---|---|
미국 | Coast Guard NDGPS |
일본 | 해상보안청 DGPS(2019년 3월 1일 12:00 폐지) |
유럽 연합 | EUPOS DGNSS |
대한민국 | NDGPS |
최초의 위성 항법 시스템은 1960년대 미국 군대가 배치한 트랜짓 (위성)이었다. 트랜짓은 도플러 효과를 기반으로 작동했다. 위성은 잘 알려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정해진 무선 주파수로 신호를 보냈고, 수신기에서 이 주파수를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했다.[10]
차분 측위 또는 차분 GNSS (DGNSS)는 위성 항법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기준국에서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통 오차를 상쇄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육상에서 1cm 이하의 오차를 가지는 고정밀 보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GPS 신호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착륙을 지원하는 시스템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시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정밀한 접근 및 착륙을 가능하게 하며, 재해 등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 역사
1970년대에는 플로리다주 팬 아메리칸 항공우주 부서의 해롤드 L. 주리 팀이 위성 궤도 위치 오차의 원인이 되는 전파 굴절, 중력장 변화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발견하여 항법 정확도를 향상시켰다.[10]
2010년대 이후, 여러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용성과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특히, 2020년경부터는 L1 주파수뿐만 아니라 L5 주파수 등도 사용하는 멀티 밴드 GNSS가 보급되어 측정 정밀도가 향상되었다.[109][112]
시스템 | 국가 | 신호 방식 | 궤도 고도, 궤도 주기 | 운용 중인 위성 수 | 주파수 |
---|---|---|---|---|---|
GPS | 미국 | CDMA | 20,200 km[94], 11시간 56분 | 31기[94] | 1575.42 MHz (L1 신호), 1227.6 MHz (L2 신호), 1176.45 MHz (L5 신호)[95] |
갈릴레오 | 유럽 연합 | CDMA | 23,222 km, 14.1시간 | 25기[96] | E1: 1575.420 MHz, E6: 1278.750 MHz, E5a: 1176.450 MHz, E5b: 1207.140 MHz |
GLONASS | 러시아 연방 | FDMA/CDMA | 19,100 km, 11시간 15분 44초[99] | 24기[98] | 1602 MHz (G1), 1246 MHz (G2), 1202 MHz (G3)[99] |
베이더우 시스템 (BDS) | 중국 | CDMA | 21,150 km, 12.6시간 (그 외 GEO 궤도, IGSO 궤도 있음) | 44기[100] | B1: 1561.098 MHz, B2: 1207.140 MHz, B3: 1268.520 MHz, B1C: 1575.420 MHz, B2a: 1176.450 MHz, B2b: 1207.14 MHz[101] |
NavIC | 인도 | CDMA | 35,700km (3기는 GEO 궤도) | 8기[102] | 1176.45 MHz (L5 신호), 2498.028 MHz (S 신호)[103] |
미치비키 | 일본 | CDMA | 42,165 km, 23시간 56분 (1기는 GEO 궤도) | 4기 (3기 추가 예정) | 1575.42 MHz (L1 신호), 1227.6 MHz (L2 신호), 1176.45 MHz (L5 신호), 1278.75 MHz (L6 신호), 2 GHz (S 대역 신호)[104][105] |
4. 원리
여러 위성이 보내는 신호의 도달 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한다. 각 위성은 정확한 궤도 정보와 시간 정보를 담은 신호를 방송한다. 수신기는 최소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삼변측량을 통해 위치를 계산한다. 상대성 이론에 따른 시간 보정이 필요하다.[11]
현대 시스템에서 위성은 궤도 데이터(위치 계산 가능)와 신호 전송의 정확한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를 방송한다. 궤도 데이터에는 위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모든 위성에 대한 대략적인 알마낙과 이 위성에 대한 정확한 천체력이 포함된다. 궤도 천체력은 타이밍 참조 역할을 하는 코드에 중첩된 데이터 메시지로 전송된다. 위성은 원자 시계를 사용하여 별자리 내 모든 위성의 동기화를 유지한다. 수신기는 3개(해수면) 또는 4개(고도 계산도 가능)의 다른 위성 전송에 인코딩된 방송 시간을 비교하여 각 위성까지의 비행 시간을 측정한다. 여러 위성에 대해 동시에 여러 측정을 수행하여 삼변측량을 응용,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 중인 시스템에 관계없이 각 거리 측정은 수신기를 방송국을 중심으로 하는 구형 쉘에 배치하며, 측정된 거리는 방송국에서 측정된다. 이러한 측정을 여러 번 수행한 다음 쉘이 만나는 지점을 찾아 위치를 생성한다. 그러나 빠르게 움직이는 수신기의 경우 여러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기의 위치가 이동한다. 또한 라디오 신호는 전리층을 통과하면서 약간 느려지며, 이러한 감속은 수신기의 위성에 대한 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따라서 기본 계산은 4개의 위성을 중심으로 하는 4개의 편평한 구형 쉘에 접하는 가장 짧은 방향선을 찾는 시도를 한다. 위성 항법 수신기는 여러 위성의 신호와 여러 상관기의 조합을 사용한 다음 칼만 필터링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시끄럽고 부분적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데이터를 위치, 시간 및 속도에 대한 단일 추정치로 결합하여 오류를 줄인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은 GPS 시간 보정에 적용되며, 그 결과 GPS 위성 시계의 시간이 지상의 시계보다 하루에 약 38마이크로초 더 빠르게 진행된다.[11]
위성 측위 시스템은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란 지구상의 위치이며, 위성만 사용한 단독 측위에서는 위성을 기준점으로 하여 지구 중심에 대한 위치를 측정한다.[53] 복수의 관측 지점 혹은 기지의 지상 기준점을 사용하는 상대 측위/실시간 이동 측위에서는 단독 측위보다 측위 정밀도가 대폭 향상된다.[56][57]
위성 항법 시스템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는 항법 위성 시스템(Navigation Satellite System, NSS)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영어권에서는 해당 위성을 항법 위성(navigation satellite)이라고 부른다.
위성 시스템은 인공위성(우주 세그먼트) 및 지상계(관제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사용자 세그먼트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위성 측위 시스템에는 사용자 세그먼트가 포함되어 있다.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에서는 지구 상공의 중궤도 즉, 지상 고도 2만 km 전후의 적도면에 대해 55도에서 6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가진 거의 원형의 3개 또는 6개 등의 궤도상에 등간격으로 위성이 배치되어 있다. 지역별 위성 시스템에서는 적도를 중심으로 하는 8자 모양의 궤도나 정지 궤도가 활용되고 있다.[73]
위성 항법 시스템의 대표적인 기능은 전파를 수신하여 지표면상이나 공중에서 자신의 위치를 아는 것이지만,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73]
- 위치 결정
- * 실시간 위치 결정(항법)
- * 고정밀 위치 결정(측량)
- 속도 결정(항법)
- 자세 결정(항법)
- 시각 동기화
이용자 수신기는 여러 항법 위성으로부터 전파로 전송된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송 시간을 측정한다. 이 측정은 유사 랜덤 잡음(Pseudo Random Noise; PRN) 변조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또한 항법 위성의 천체력 (궤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전송 시간에서의 항법 위성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 수신기 내에서의 측위 계산
: 이용자 수신기의 좌표 및 수신 시간(총 4개의 미지수: )의 해는 관성 좌표계를 가정하고, 각 항법 위성의 시공간 좌표를 꼭짓점으로 하는 광원뿔 (4개 이상이 필요)의 교점이 된다.[74] 즉 다음 연립 방정식의 해가 된다. 여기서는 사용할 항법 위성의 수를 4기로 하고, 항법 위성 의 신호 전송 시간 , 그 좌표 , 광속 가 주어진 값이다.
: 또한 수신기 내 측정에서는 신호 송수신 시간에 송신기(항법 위성)·수신기의 시계 오차가 바이어스로 더해진다.
;; 오차
: 전송 시간 측정 값의 측정 오차는 일반적으로 10 ns 이하이다. 구해진 항법 위성의 좌표 오차는 시선 방향 성분이 거의 1.5m 이하이다. 지상에서 측위를 가능하게 하려면 가시 위성(하늘에서 볼 수 있는 범위 내의 항법 위성)을 4기 이상 필요로 한다. 또한, 양호한 측위 정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정밀도를 저해하는 요인이 적은 가시 위성을 4기 이상 필요로 한다. 게다가 측위 정밀도는 여러 가시 위성의 시야 방향에도 의존하며, 정지 궤도처럼 적도상에 일직선으로 늘어서 있어서는 양호한 측위가 불가능하며, 가능한 한 서로 멀리 떨어진 위치 관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 지구 규모의 측위를 수행하는 시스템에서는 총 20기 이상의 항법 위성이 3개 또는 4개의 지상 2만 킬로미터 정도의 궤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 항법 위성은 원자 시계를 탑재하여 단기적 및 중기적 시간 변동이 적은 항법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원자 시계의 중장기적 어긋남(바이어스 오차)에 대해서는 예측 정보(약 2시간마다 갱신)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사용자 측에서 오차를 제거한다.
위성에서 사용자 측으로의 정보 흐름은 일반적으로 일방향 전파에 의한 다운링크로 실현된다. 항법 신호는 위성 메시지와 코드의 두 가지를 중첩하여 다중화한 디지털 데이터로 반송파를 변조하여 생성된다. 이 디지털 데이터는 위성 시각 및 고도와 동기화되어 있다.
; 위성 메시지 (데이터 계층)
: 전송 시각 및 위성 궤도 정보 등이 포함된다.
; 코드 (코드 계층)
: 주기적으로 변조된 코드를 수신 측에서 항법 신호로부터 분별함으로써 전파 시간 측정이 이루어진다.
; 반송파 (물리 계층)
: 반송파는 C, S, L 밴드가 사용된다.
위성 메시지는 코드를 배타적 논리합(Exclusive-Or)에 의해 변조함으로써 두 가지는 다중화된다. 이 다중화된 코드를 바탕으로 반송파가 스펙트럼 확산에 의한 변조를 받아 전송해야 할 항법 신호가 생성된다.
; PRN에 의한 코드 생성
일반적으로 코드는 의사 랜덤 잡음(Pseudo Random Noise; '''PRN''')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의사 랜덤 계열 신호는 시작 위치의 시각을 정해두면 복조 시에 그 생성 시각을 알 수 있다.
항법 위성은 항법 신호 생성의 기준으로 원자 시계를 탑재하고 있다. 항법 위성 탑재 원자 시계에는 시계 바이어스의 단·중기적 변동 예측이 규정 오차 내에 들어오는 품질이 요구되며, 우주 공간에서 장기간에 걸쳐 작동을 계속하는 신뢰도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항법 위성에는 복수 개의 원자 시계를 탑재하여 그중 하나를 작동시키지만, 수명 등으로 인한 신뢰도 저하가 지상국에서의 감시를 통해 한계를 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지시키고, 남은 원자 시계 중 하나로 작동 전환을 한다. 탑재된 모든 원자 시계가 열화된 경우에는 해당 항법 위성은 퇴역한다.
5. 구성
위성 측위 시스템은 사용자 세그먼트, 우주 세그먼트, 지상 관제 세그먼트로 구성된다.[54] 항법 위성 시스템이나 측위 위성 시스템은 우주 세그먼트와 지상 관제 세그먼트로 구성된 시스템을 가리킨다.
- 사용자 세그먼트: 주로 사용자 수신기이다. 사용자 수신기는 여러 항법 위성으로부터 전파로 전송된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송 시간을 측정한다. 이 측정은 유사 랜덤 잡음 (Pseudo Random Noise; PRN) 변조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또한 항법 위성의 천체력 (궤도)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 시간에서의 항법 위성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 우주 세그먼트: 주로 항법 위성이다. 항법 위성은 원자 시계를 탑재하여 단기적 및 중기적 시간 변동이 적은 항법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원자 시계의 중장기적 어긋남(바이어스 오차)은 예측 정보(약 2시간마다 갱신)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사용자는 이 오차를 제거한다.
- 지상 관제 세그먼트: 주로 지상국/지상 시설이다. 항법 위성을 관제하는 지상국이 하나 이상 필요하며, 전 지구 규모 시스템에서는 관련 지상 시설 등을 합쳐 10곳 전후의 지상국을 갖는다. 항법 위성의 궤도를 관리하는 시설 외에 위성 궤도를 정확하게 측거하는 시설, 기준이 되는 시계를 유지하는 시설, 전리층 감시 시설, 항법 위성의 천체력 및 탑재하는 원자 시계의 중장기적 바이어스 예측 값을 결정하는 시설, 위성으로의 메시지 통신 시설, 그리고 시스템 전체를 운용 관리하는 시설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설 중 일부는 통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54]

6. 오차 요인
이용자 수신기는 여러 항법 위성으로부터 전파로 전송된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송 시간을 측정한다. 이 측정은 유사 랜덤 잡음 (Pseudo Random Noise; PRN) 변조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수행한다.[74] 또한 항법 위성의 천체력 (궤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전송 시간에서의 항법 위성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측위 정밀도를 저해하는 정도는 각 저해 요인으로부터의 오차 총합으로 결정된다. 오차의 통계적 성질은 계통 오차와 랜덤 오차로 분류된다. 단독 측위 경우 각 오차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멀티패스(Multipath): 항법 신호가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기 안테나까지 직접 도달해야 하지만, 전파가 지면이나 건물 등에 반사되어 수신기 안테나에 도달하는 멀티패스 현상이 발생하면 측정 정밀도가 크게 저하된다.
- 위성 시계 오차: 위성 시계의 시간 오차(바이어스)는 항법 위성에서 전송되는 중장기적 변동값 정보를 통해 보정 계산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 보정값에는 약간의 오차가 포함되어 있으며, 단기적 변동은 보정되지 않는다.
- 천체력(궤도) 오차: 항법 위성에서 송신되는 천체력 (궤도 좌표) 정보에는 약간의 오차가 있다.
- 대기 지연: 대기의 굴절률은 위성 전파 신호의 전파 지연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대기 지연'''이라고 한다.
- 전리층 지연: 대기 굴절률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대기 중 전리 전자의 양인 '''총 전자 수''' (total electron content, TEC)이며, 이는 주로 전리층 및 플라즈마권에 존재한다. 전리 전자에 의한 전파 지연을 전리층 지연이라 한다.
- 대류권 지연: 중성 대기는 대기 중 전리 전자를 제외한 성분으로, 주로 대류권과 성층권에 존재한다. 중성 대기 성분도 굴절률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한 지연을 대류권 지연이라 한다.
- 수신기 안테나 위상 중심 오차: 수신기 안테나 형태에 따라 안테나 평균 위상 중심이 달라지므로, 정밀 측량을 할 때는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다.
7. 응용
위성 항법 시스템은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위성 항법은 무기를 표적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치명률을 높이고, 아군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쟁의 안개를 줄여준다.
하지만, 현재는 갈릴레오와 같은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을 통해 사용자와 다른 사람 또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 시점에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과학, 운송, 농업, 보험,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2][13]
위성 항법 신호는 제공과 거부가 모두 가능하다. 즉, 위성 항법 시스템 운영자는 특정 지역에서 위성 항법 서비스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위성 측위 시스템은 측위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는 지구상의 위치이며, 위성만 사용한 단독 측위에서는 위성을 기준점으로 하여 지구 중심에 대한 위치를 측정한다.[53] 복수의 관측 지점 혹은 기지의 지상 기준점을 사용하는 상대 측위/실시간 이동 측위에서는 단독 측위보다 측위 정밀도가 대폭 향상된다.[56][57]
일본에서는 국토지리원이 GNSS 연속 관측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 전자 기준점을 전국에 약 1,300개 설치하고 있으며,[58] 얻어진 데이터는 전자 기준점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이동 측위 등에 사용된다.[59] 민간 기업도 독자적인 기준점을 설치하여 고정밀도의 위성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60]
해상 및 항공 교통 분야에서는 위성 항법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위성 항법은 복수의 항법 위성이 항법 신호를 지상으로 전파 송신(방송)하고,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사용하는 방식의 항법을 말한다. 시스템은 항법 위성군과 그들을 관제하는 몇 개의 지상국으로 구성된다. 위성 항법 시스템의 시초는 군사용 트랜짓 (인공위성)이다.
위성 항법 시스템의 대표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73]
- 위치 결정
- 실시간 위치 결정(항법)
- 고정밀 위치 결정(측량)
- 속도 결정(항법)
- 자세 결정(항법)
- 시각 동기화
모든 위성 항법 시스템에 갖춰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가진 시스템도 있다.
위성 측위 시스템은 사용자 세그먼트, 우주 세그먼트, 지상 관제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사용자 세그먼트는 주로 사용자 수신기, 우주 세그먼트는 주로 항법 위성, 지상 관제 세그먼트는 주로 지상국/지상 시설이다.
현재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는 미국의 GPS, 러시아의 글로나스, 유럽의 갈릴레오, 중국의 베이더우 4개와 지역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인도의 NavIC, 일본의 미치비키를 합쳐 총 6개 시스템, 100여 기의 항법 위성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워치 등[109]도 대응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미국의 GPS Block III 위성 및 유럽의 갈릴레오 위성은 L1C 신호의 사양에 대해 상호 운용성이 확보되어 공용 수신기 설계가 용이하다. 일본의 미치비키는 미국의 GPS와 통합 운용을 전제로 설계되어 공통화된 L1C 신호를 송신한다.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착륙을 지원하는 시스템도 있다. 착륙 지원 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공항에서 시야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종전보다 더 높은 정밀도로 접근 및 착륙을 할 수 있다.
8. 대한민국 현황 및 전망
대한민국은 미국의 GPS를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KPS) 개발을 통해 한반도 및 주변 지역의 정밀한 위치 정보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위성 측위 시스템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드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9. 국제 규제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은 전파 항행 위성 서비스(RNSS)를 "전파 측정 위성 서비스로, 전파 항법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서비스는 또한 작동에 필요한 피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라고 정의한다.[48]
RNSS는 생명 안전 서비스로 간주되며 항법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간섭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RNSS영어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 GNSS 보강 시스템
- 자동 종속 감시 방송
- 베이더우 항법 위성 시스템(BDS)
- 갈릴레오(GALILEO), 유럽 GNSS
- GPS(GPS), 차분 GPS(DGPS) 포함
- 글로나스(GLONASS)
- 인도 지역 항법 위성 시스템(NAVIC)
- 준천정 위성 시스템(QZSS)
무선 주파수의 할당은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무선 규정(2012년판)의 ''제5조''에 따라 제공된다.[51]
스펙트럼 활용의 조화를 개선하기 위해, 대부분의 서비스 할당은 적절한 국가 행정부의 책임 내에서 국가 주파수 할당 및 사용 표에 통합된다. 할당은 다음과 같다.
- 1차: 대문자로 표기
- 2차: 소문자로 표기
- 독점 또는 공유 사용: 행정부의 책임 내.
서비스에 대한 할당 | ||
지역 1 | 지역 2 | 지역 3 |
5 000–5 010MHz | ||
바세나르 협정 등, 구 코콤(대공산권 수출통제위원회) 규제를 계승하는 안전보장 수출 관리 규제가 있다.
고도 18000m 이상, 속도 1900km/h 이상에서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같은 용도로의 탑재를 막기 위해 수출할 수 없다.[106][107][108]
또한, 관성 항법 장치를 복합한 GNSS 측위 단말은 규제되고 있다. 미국산 무기 관련 품목 및 기술의 거래를 규제하는 미국의 행정 규칙 중 하나로, 국무부의 무기 거래 관리국이 관할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hina's GPS rival Beidou is now fully operational after final satellite launched
https://www.cnn.com/[...]
cnn.com
2020-06-24
[2]
웹사이트
Galileo is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https://www.euspa.eu[...]
2024-01-26
[3]
웹사이트
Japan Prepares for GPS Failure with Quasi-Zenith Satellites
https://spacewatch.g[...]
2019-01-23
[4]
웹사이트
Japan Prepares for GPS Failure with Quasi-Zenith Satellites
https://spacewatch.g[...]
2019-01-23
[5]
서적
Indian Satellite Navigation Policy - 2021 (Draft)
https://www.isro.gov[...]
Department of Space
2022-07-27
[6]
웹사이트
A Beginner's Guide to GNSS in Europe
http://www.ifatca.or[...]
IFATCA
2015-05-20
[7]
웹사이트
Galileo General Introduction - Navipedia
https://gssc.esa.int[...]
2018-11-17
[8]
웹사이트
GNSS signal - Navipedia
https://gssc.esa.int[...]
2018-11-17
[9]
간행물
Investigation on Reference Frames and Time Systems in Multi-GNSS
2018-01-09
[10]
문서
Jury, H, 1973, Application of the Kalman Filter to Real-time Navigation using Synchronous Satellites,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ace Technology and Science, Tokyo, 945-952.
[11]
웹사이트
Relativistic Effects on the Satellite Clock
https://www.e-educa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2]
웹사이트
Applications
https://www.gsa.euro[...]
2019-10-08
[13]
간행물
What is value in the New Space Economy? The end-users' perspective on satellite data and solutions
2023-09-01
[14]
문서
Orbital periods and speeds are calculated using the relations 4π2''R''3 = ''T''2''GM'' and ''V''2''R'' = ''GM'', where ''R'' is the radius of orbit in metres; ''T'' is the orbital period in seconds; ''V'' is the orbital speed in m/s; ''G'' is the gravitational constant, approximately {{val|6.673|e=-11|u=Nm2/kg2}}; ''M'' is the mass of Earth, approximately {{cvt|5.98e24|kg}}.
[15]
문서
Approximately 8.6 times when the Moon is nearest {{nowrap|(that is, {{sfrac|{{cvt|363104|km|km|disp=out}}|{{cvt|42164|km|km|disp=out}}}})}}, to 9.6 times when the Moon is farthest {{nowrap|(that is, {{sfrac|{{cvt|405696|km|km|disp=out}}|{{cvt|42164|km|km|disp=out}}}})}}
[16]
뉴스
China's GPS rival is switched on
https://www.bbc.com/[...]
2012-03-08
[17]
웹사이트
The BDS-3 Preliminary System Is Completed to Provide Global Services
http://en.beidou.gov[...]
2018-12-27
[18]
웹사이트
APPLICATIONS-Transport
http://en.beidou.gov[...]
2020-06-23
[19]
뉴스
Galileo goes live!
http://europa.eu/rap[...]
europa.eu
2016-12-14
[20]
뉴스
Boost to Galileo sat-nav system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10
[21]
웹사이트
Commission awards major contracts to make Galileo operational early 2014
http://europa.eu/rap[...]
2010-04-19
[22]
웹사이트
GIOVE-A launch News
http://www.esa.int/O[...]
2015-01-16
[23]
뉴스
Galileo begins serving the globe
https://www.internat[...]
2016-12-23
[24]
뉴스
Soyuz launch from Kourou postponed until 2021, 2 others to proceed
https://www.spacedai[...]
2020-05-19
[25]
웹사이트
Galileo Initial Services
https://www.gsa.euro[...]
2020-09-25
[26]
웹사이트
India to develop its own version of GPS
http://www.rediff.co[...]
2011-12-30
[27]
웹사이트
Launch of first satellite for 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next year
http://www.thehindu.[...]
Beta.thehindu.com
2011-12-30
[28]
웹사이트
IRNSS Programme - ISRO
https://www.isro.gov[...]
2018-07-14
[29]
웹사이트
India to build a constellation of 7 navigation satellites by 2012
http://www.livemint.[...]
Livemint.com
2011-12-30
[30]
웹사이트
India's own GPS IRNSS NavIC made by ISRO to go live in early 2018
https://www.ibtimes.[...]
2021-04-29
[31]
뉴스
Navigation satellite clocks ticking; system to be expanded: ISRO
https://economictime[...]
2018-01-24
[32]
뉴스
ISRO to boost NavIC, widen user base of location system
https://www.thehindu[...]
2022-10-26
[33]
웹사이트
About QZSS
http://qzss.jaxa.jp/[...]
JAXA
2009-02-22
[34]
웹사이트
Japan mulls seven-satellite QZSS system as a GPS backup
https://spacenews.co[...]
2017-05-15
[35]
웹사이트
Japan's H-2A conducts QZSS-4 launch
https://www.nasaspac[...]
2017-10-09
[36]
웹사이트
Information and Analysis Center for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https://web.archive.[...]
2018-07-21
[37]
웹사이트
GPS Space Segment
http://www.gps.gov/s[...]
2015-07-24
[38]
웹사이트
送信信号一覧
https://qzss.go.jp/o[...]
2019-10-25
[39]
웹사이트
China launches final satellite in GPS-like Beidou system
https://phys.org/new[...]
phys.org
2020-06-24
[40]
뉴스
The Rise Of New Navigation Satellites
http://aviationweek.[...]
2018-09-12
[41]
서적
Handbook of Metrology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3-08-23
[42]
웹사이트
NAVIC SIGNAL IN SPACE ICD FOR STANDARD POSITIONING SERVICE IN L1 FREQUENCY
https://www.isro.gov[...]
2023-08-01
[43]
간행물
Assessing the latest performance of Galileo-only PPP and the contribution of Galileo to Multi-GNSS PPP
https://www.scienced[...]
[44]
간행물
Evolution of orbit and clock quality for real-time multi-GNSS solutions
[45]
웹사이트
DORIS information page
http://www.aviso.alt[...]
Jason.oceanobs.com
2011-12-30
[46]
웹사이트
Globalstar GSP-1700 manual
https://web.archive.[...]
2011-12-30
[47]
웹사이트
Iridium SMS and SBD
https://web.archive.[...]
Personal Satellite Network, Inc.
2005-01-01
[48]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Section IV. Radio Stations and Systems – Article 1.43, definition: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49]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Section IV. Radio Stations and Systems – Article 1.47, definition: aeronautical radionavigation service
[50]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Section IV. Radio Stations and Systems – Article 1.45, definition: maritime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51]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CHAPTER II – Frequencies, ARTICLE 5 Frequency allocations, Section IV – Table of Frequency Allocations
[52]
웹사이트
地理空間情報活用推進基本法第2条第4項
https://laws.e-gov.g[...]
デジタル庁
2024-12-27
[53]
웹사이트
GNSS測位とは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24-12-27
[54]
웹사이트
GNSSとは?衛星測位システムの種類やGPSとの違いを解説! {{!}} ドコモビジネス {{!}} NTT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法人のお客さま
https://www.ntt.com/[...]
2024-11-07
[55]
웹사이트
GNSSとは?GPSとの違いや仕組みを解説します {{!}} Smart Work (スマートワーク) {{!}} 法人・ビジネス向け {{!}} KDDI株式会社
https://biz.kddi.com[...]
2024-11-07
[56]
웹사이트
進化する衛星測位技術と電子基準点の役割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7-06-07
[57]
웹사이트
地球計測
https://geod.jpn.org[...]
日本測地学会
[58]
웹사이트
電子基準点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59]
웹사이트
電子基準点データ提供サービス
https://geolib.gsi.g[...]
国土地理院
[60]
웹사이트
誤差数センチの衛星測位サービス、ドコモやソフトバンクが基地局活用し今秋から
https://www.itmedia.[...]
ITmedia
2019-06-03
[61]
웹사이트
公共測量における新技術の導入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62]
URL
https://www.gps.gov/[...]
[63]
URL
2011年度施行改正公共測量作業規程の準則(基準点測量)解説、アイサンテクノロジー
http://www.aisantec.[...]
[64]
URL
平成 22 年度 -公共測量- 作業規程の準則の一部改正 第2編 基準点測量 新旧対照表、国土地理院、赤字で示されている箇所。
http://psgsv2.gsi.go[...]
[65]
문서
U.S. Department of State, Civil GPS Service Interface Conference 2015-2018
[66]
문서
NASA, 9th Multi-MGA Asia conference presentation, https://www.multignss.asia/, October 2017
[67]
URL
https://www.gps.gov/[...]
[68]
URL
http://202.127.29.4/[...]
[69]
URL
https://gssc.esa.int[...]
[70]
URL
http://qzss.go.jp/ne[...]
[71]
웹사이트
https://www.isro.gov[...]
[72]
웹사이트
https://www.wassenaa[...]
[73]
서적
GNSSのすべて
古今書院
2010-02-10
[74]
문서
en:GNSS positioning calculation#The solution illustrated
[75]
간행물
New method of GPS orbit determination from GCPS network for the purpose of DOP calculations
https://www.scienced[...]
2012-06-01
[76]
웹사이트
GPS衛星の高精度軌道・時計決定
http://gpspp.sakura.[...]
2021-10-03
[77]
웹사이트
New Civil Signals
https://www.gps.gov/[...]
2024-11-23
[78]
뉴스
Boost to Galileo sat-nav system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10
[79]
뉴스
ついに運用が始まった欧州版GPS「ガリレオ」
https://news.mynavi.[...]
TECH+
2016-12-20
[80]
웹사이트
Constellation Information
https://www.gsc-euro[...]
European GNSS Service Centre
2024-11-23
[81]
웹사이트
Galileo High Accuracy Service (HAS)
https://www.gsc-euro[...]
European GNSS Service Centre
2024-11-23
[82]
웹사이트
Russia launches newly redesigned navigation satellite
https://russianspace[...]
2024-11-23
[83]
뉴스
Beidou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o cover whole world in 2020
http://eng.chinamil.[...]
[84]
웹사이트
Constellation Status
https://www.csno-tar[...]
Test and Assessment Research Center of China Satellite Navigation Office
2024-11-23
[85]
웹사이트
政権公約2005
http://www.jimin.jp/[...]
[86]
PDF
準天頂衛星システム計画の推進に係る基本方針
https://www.cas.go.j[...]
[87]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令和5年6月13日閣議決定)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2024-12-27
[88]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工程表(令和6年度改訂)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2024-12-27
[89]
뉴스
April 15 launch to give India its own GPS
https://economictime[...]
The Economic Times
2010-04-12
[90]
뉴스
India to develop its own version of GPS
http://www.rediff.co[...]
rediff news
2007-09-27
[91]
뉴스
Launch of first satellite for 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next year
http://beta.thehindu[...]
THE HINDU
2016-11-12
[92]
뉴스
India to build a constellation of 7 navigation satellites by 2012
http://www.livemint.[...]
livemint.com
2007-09-05
[93]
웹사이트
http://www.navipedia[...]
[94]
웹사이트
"https://www.gps.gov[...]
2024-12-21
[95]
웹사이트
"https://www.nist.go[...]
2024-12-21
[96]
웹사이트
"https://www.gsc-eur[...]
2024-12-21
[97]
문서
GALILEO OPEN SERVICE SIGNAL-IN-SPACE INTERFACE CONTROL DOCUMENT (OS SIS ICD) Issue 2.1 | November 2023
[98]
웹사이트
"https://glonass-iac[...]
2024-12-21
[99]
웹사이트
"https://glonass-iac[...]
2024-12-21
[100]
웹사이트
"https://www.csno-ta[...]
2024-12-21
[101]
웹사이트
"https://www.csno-ta[...]
2024-12-21
[102]
웹사이트
"https://www.isro.go[...]
2024-12-21
[103]
웹사이트
"https://www.isro.go[...]
2024-12-21
[104]
문서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Interface Specification Satellite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Service (IS-QZSS-PNT-006) (July 11, 2024) Cabinet Office
[105]
문서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Interface Specification Centimeter Level Augmentation Service (IS-QZSS-L6-005) (September 21, 2022) Cabinet Office
[106]
웹사이트
GPS without limits
http://copenhagensub[...]
[107]
웹사이트
Why are there altitude and velocity limits for GPS equipment?
http://support.spect[...]
[108]
웹사이트
COCOM Limits
http://www.eugenewei[...]
[109]
웹사이트
Garminデバイス:GNSSマルチバンド機能を利用するメリット
https://support.garm[...]
2024-10-19
[110]
웹사이트
GNSS View
https://app.qzss.go.[...]
2024-10-20
[111]
웹사이트
Google Pixel のハードウェア仕様 - Google Pixel ヘルプ
https://support.goog[...]
2024-11-05
[112]
웹사이트
Modern GNSS/GPS signals: moving from single-band to dual-band - ublox
https://content.u-bl[...]
[113]
웹사이트
BCM47511
http://ja.broadcom.c[...]
[114]
웹사이트
DORISその1:昭和基地へのDORISビーコンの設置
https://polaris.nipr[...]
国立極地研究所
2024-05-12
[115]
웹사이트
DORISその2:DORIS ビーコンの取り付け測量
https://polaris.nipr[...]
国立極地研究所
2024-05-12
[116]
웹사이트
DORISその3:DORISによる成果
https://polaris.nipr[...]
国立極地研究所
2024-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