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퐁트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은 1657년 프랑스 루앙에서 태어나 1757년 파리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과학 저술가이다. 그는 극작가 피에르 코르네유의 조카로, 예수회 학교에서 교육받고 법학을 공부했으나 철학, 과학 분야로 전향하여 르네 데카르트의 사상을 옹호했다. 퐁트넬은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과학 아카데미 종신서기를 역임하며 과학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로는 『새로운 죽은 자와의 대화』, 『세계의 다원성에 관한 대화』 등이 있으며, 17세기 고전주의와 18세기 계몽주의를 잇는 가교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7년 출생 - 아라이 하쿠세키
에도 시대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아라이 하쿠세키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측근으로 쇼토쿠의 치 개혁을 주도하고 외교 및 경제 정책을 펼쳤으며, 실각 후에도 저술 활동으로 일본 역사,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57년 출생 - 윌리엄 웨이크
윌리엄 웨이크는 잉글랜드의 성직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로, 프랑스 성직 관련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프랑스 가톨릭 교회와의 통합을 모색했고 비국교도에 대해 관대한 입장을 취했으며, 성공회 서품을 옹호하고 에라스투스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힌 《영국 교회와 성직자의 상태... 역사적으로 고찰》 등의 저서를 남겼다. - 루앙 출신 -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수아 올랑드는 1954년 루앙에서 태어나 사회당 제1서기를 거쳐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프랑스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퇴임 후 저술 활동을 하다가 2024년 총선에서 당선되었다. - 루앙 출신 - 테오도르 제리코
테오도르 제리코는 프랑스 낭만주의 화가로, '메두사의 뗏목'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말과 군인의 역동적인 묘사, 사회 비판, 인간 고통에 대한 통찰을 통해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세기 시인 - 정약용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실학 사상 집대성, 과학 기술 분야 업적, 500여 권의 저술을 통한 사회 개혁 주장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에 선정되었다. - 18세기 시인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베르나르 퐁트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 |
출생일 | 1657년 2월 11일 |
출생지 | 루앙, 프랑스 |
사망일 | 1757년 1월 9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수필가 |
친척 | 토마 코르네유 및 피에르 코르네유 |
작품 | |
주요 작품 | 세계의 다수성에 대한 대화 |
참고 | |
관련 문서 | ベルナール・フォントネル |
2. 생애
퐁트넬은 프랑스 루앙(당시 노르망디의 수도)에서 태어나 99세의 나이로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의 어머니는 프랑스 극작가 피에르 코르네유와 토마 코르네유의 누이였다.[2] 아버지는 루앙 지방 법원에서 일한 변호사 프랑수아 르 보비에 드 퐁트넬이었다.[2]
법률을 공부했지만 한 건의 사건 이후 포기하고 철학자와 과학자들에 대한 글쓰기에 평생을 바쳤으며, 특히 르네 데카르트의 전통을 옹호했다.[3] 그는 해설자이자 설명자였으며, 때로는 열정적이면서도 유쾌한 논쟁가였다.[4]
예수회 대학인 리세 피에르 코르네유에서 교육을 받았고[5], 문학에 대한 선호도를 보이며 두각을 나타냈다. 1649년까지 프랑스 수도의 아카데미아 파리시엔시스에서 마랭 메르센 신부의 제자였으며, 피에르 가센디, 데카르트, 토마스 홉스, 질 드 로베르발, 에티엔 파스칼과 블레즈 파스칼 부자를 만났다.[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은 1657년 프랑스 루앙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프랑스의 저명한 극작가 피에르 코르네유와 토마 코르네유 형제의 누이였다.[2] 그의 아버지 프랑수아 르 보비에 드 퐁트넬은 루앙 지방 법원에서 일한 변호사였다.퐁트넬은 예수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인 리세 피에르 코르네유에서 교육받았으며,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5] 그는 법학을 공부했지만, 한 건의 사건 이후 포기하고 철학자와 과학자들에 대한 글쓰기에 평생을 바쳤다.[3] 특히 르네 데카르트의 전통을 옹호했다.[3]
퐁트넬은 13세에 라틴어로 시를 쓰는 등 시인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여러 차례 프랑스 아카데미의 상을 받기 위해 경쟁했지만, 수상하지는 못했다. 그는 때때로 파리를 방문하여 생피에르 수도원장, 베르토 수도원장, 그리고 수학자 피에르 바리뇽과 친분을 맺었다. 1680년 그의 비극 ''아스파르''가 실패하자, 퐁트넬은 이후 자신의 희곡을 불태워 버렸다.
2. 2. 초기 작품 활동
퐁트넬은 13세에 라틴어로 시를 쓰는 등 시인으로 시작했으며, 여러 차례 프랑스 아카데미의 상을 받기 위해 경쟁했지만, 결코 수상하지 못했다.[7] 생피에르 수도원장, 베르토 수도원장, 수학자 피에르 바리뇽과 친분을 맺기 위해 파리를 방문하기도 했다. 1680년 그의 비극 ''아스파르(Aspar)''가 실패하자, 퐁트넬은 자신의 불운한 희곡을 불태우며 대중의 평가를 인정했다. 1689년 1월 파리 오페라에서 초연된 파스칼 콜라스의 ''테티스와 펠레우스(Thétis et Pélée)''(테티스와 펠레우스)의 대본은 큰 찬사를 받았으나, 흥행에는 실패했다.퐁트넬이 문학적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은 1683년 출판한 《사자(死者)의 대화》였다.[7] 1685년 익명으로 출판된 《에르 기사의 우아한 편지(Lettres galantes du chevalier d'Her ...)》는 당시 세속 사회를 묘사하는 편지 모음으로, 곧바로 주목받았다. 1686년에는 《보르네오 섬 이야기(Relation de l'île de Bornéo)》에서 로마와 제네바의 종교 문제에 대한 대담한 견해를 드러냈다.
2. 3. 과학 아카데미 활동과 계몽사상
1686년에 출간된 《세계의 다양성에 관한 대화》는 퐁트넬의 대표작으로, 우주의 본질과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대중에게 쉽게 설명하여 큰 영향을 미쳤다.[4] 그는 이 책에서 가상의 후작 부인과 "나"의 대화 형식을 빌려, 당시 사람들이 지동설에 대해 느꼈던 불안감을 "정말 엄청나게 큰 우주라서, 저는 그 안에서 제 자신을 잃어버립니다.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고, 저는 더 이상 아무것도 아닙니다."라고 표현하며, 그것이 기우임을 주장했다. 그는 "저는 오히려 편안한 기분이 됩니다. 이 천개에 무한한 넓이와 깊이가 주어지고, 그것이 무수한 소용돌이로 나뉘어진 지금, 저는 제가 더 자유롭게 숨을 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하며, 과학 지식을 소설 형식을 통해 전달하여 자연과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당시 과학 발전을 이해하도록 도왔다.[4]1687년 퐁트넬은 《신탁사(神託史)》를 출판하여 교회와 갈등을 빚었다.[4] 이 책은 신탁이 초자연적인 영혼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니며, 예수 탄생 후에도 신탁이 계속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예수회 신부 장-프랑수아 발튀가 반박했지만, 퐁트넬은 논쟁을 피하는 성격으로 인해 대응하지 않았다.[9]
1688년 《고대인과 근대인의 우열 논쟁》에서 퐁트넬은 근대인의 편을 들며 계몽주의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4] 그는 고대-근대 논쟁에서 근대파의 입장을 선언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나타난 저작에서 마르브랑슈를 비판했다.
1691년 퐁트넬은 라신과 부알로 등 고전주의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697년에는 과학 아카데미 종신서기로 임명되어 42년간 활동하며, 과학 연구 성과를 대중에게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4] 그는 과학 아카데미 종신 서기로서 회의록을 편찬하고 검토하는 한편, 사망한 회원들을 위한 추도 연설을 작성했다. 이 연설들은 총 69편에 달하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피에르 코르네유에 대한 것이다.
퐁트넬은 데카르트의 과학적 방법론을 지지했으며, 당시 뉴턴의 학설이 확산되기 전까지 데카르트의 "소용돌이설"을 옹호했다.[4] 그는 비록 독창적인 과학적, 수학적 업적은 없었지만, 데카르트의 소용돌이설을 지지했다.
2. 4. 후기 생애와 유산
퐁트넬은 1757년 파리에서 99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2] 그는 장수하며 17세기 고전주의 시대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를 잇는 가교 역할을 했다. 그의 작품은 과학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방식을 장려하여 계몽주의 사상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4]특히 소설적인 스타일로 인해 작품의 접근성이 뛰어났는데, 이는 비과학자들도 과학 발전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교양 있는 사회가 "자연 철학"에 더 많이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17세기 철학|계몽 초기]] 과학자들의 업적을 풍부하게 했다.[4]
퐁트넬은 프랑스 문학의 매우 다른 두 시대, 피에르 코르네유, 장 라신, 니콜라 부알로의 시대와 볼테르, 장르롱 달랑베르, 드니 디드로의 시대를 잇는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 그는 17세기의 '명석한 재사들'(beaux esprits)과 18세기의 '철학자들'(philosophes)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후자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4]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는 퐁트넬이 '매우 뛰어난 정신의 계급'에 속할 만하지만, 지성보다는 지능, 그리고 많은 것을 말하는 능력보다는 적은 것을 잘 말하는 능력으로 구별된다고 평가했다.
3. 주요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
《혜성》 | 1681년 |
《사자(死者)의 대화》 | 1683년 |
《새로운 죽은 자들의 대화》 | 1683년 |
《우화의 기원에 관하여》 | 1684년 |
《드 에르*** 기사의 우아한 편지들》 | 1685년 |
《보르네오 섬에 관한 이야기》 | 1686년 |
《세계의 다양성에 관한 대화》 | 1686년 (1724년 개정) |
《신탁사(神託史)》 | 1687년 |
《고대인과 근대인의 우열 논쟁》 | 1688년 |
《가발리스 백작, 1막짜리 희극》 | 1689년 |
《아이네이아스와 라비니아》 | 1690년 |
《이다리아》 | 약 1710년 |
4. 평가
퐁트넬은 과학과 철학을 일반 대중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인 작가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문체는 명료하고 우아하며, 복잡한 과학적 개념을 비유와 대화를 통해 쉽게 설명하는 것이 특징이다.[4] 퐁트넬은 과학 지식의 대중화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와 합리주의 정신을 고취하여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4]
특히 그의 소설적인 스타일은 비과학자들도 과학 발전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과학자들이 더 넓은 사회의 생각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4] 그의 글은 데카르트의 천문학 이론을 대중화하려는 시도로 여겨지기도 하며, 그는 데카르트의 가장 뛰어난 해설자로 평가받기도 한다.[4]
퐁트넬은 프랑스 문학의 두 시대, 즉 코르네유, 라신, 부알로 등의 시대와 볼테르, 달랑베르, 디드로 등의 시대를 잇는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 그는 17세기의 '명석한 재사들'과 18세기의 '철학자들' 모두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후자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생트뵈브는 퐁트넬이 '매우 뛰어난 정신의 계급'에 속하지만, 지성보다는 지능, 그리고 많은 것을 말하는 능력보다는 적은 것을 잘 말하는 능력으로 구별된다고 평가했다.
참조
[1]
서적
Fontenelle, Bernard Le Bouyer (or Bovier) De
[2]
웹사이트
Fontenelle biography
http://www-groups.dc[...]
2016-02-08
[3]
서적
Madame Geoffrin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2012-08-16
[4]
간행물
Le dernier défenseur des tourbillons : Fontenelle
http://www.persee.fr[...]
[5]
웹사이트
Lycée Pierre Corneille de Rouen – History
http://lgcorneille-l[...]
Lgcorneille-lyc.spip.ac-rouen.fr
1944-04-19
[6]
웹사이트
Resolution des quatre principaux problemes d'architecture
http://architectura.[...]
2021-05-02
[7]
논문
Adam, pre-Adamites, and extra-terrestrial beings in early modern Europe
2006-06-01
[8]
논문
Adam, pre-Adamites, and extra-terrestrial beings in early modern Europe
2006-06-01
[9]
서적
Jean-Jacques Roussea: Restless Genius
Mariner Books
[10]
서적
Franklin of Philadelph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Bernard Le Bovier, sieur de Fontenelle French author and scientist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