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병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자는 육십간지의 13번째이며, '빨간 쥐의 해'를 의미한다. 병자년은 서력 기원 연도를 60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6인 해에 해당하며, 주요 사건으로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 1636년 병자호란, 1876년 조일수호조약, 1996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등이 있다. 또한 병자일은 일진이 병자인 날로, 1981년부터 2058년까지의 병자일이 제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지 - 병오
    병오는 육십간지 중 43번째로, 천간과 지지 모두 화의 기운을 가지며,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46인 해이고, 일본에서는 병오년생 여성에 대한 미신으로 출산율이 급감하는 현상이 있었으며, 육십간지 중 43번째 날이기도 하다.
  • 간지 - 병신
    병신은 육십간지 중 33번째 해로 붉은 원숭이의 해를 의미하며,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36인 해에 해당하고, 일진이 병신인 날과 음력 7월을 병신의 달이라고 한다.
병자
병자
천간병(丙)
지지자(子)
육십간지
순서13번째
이전 간지을해
다음 간지정축
오행화(火)수(水)
음양양(陽)음(陰)
쥐띠
간지
간지간지(干支)
간지 음간지 음(干支音)
간지 해설간지 해설(干支解說)
관련 항목
관련 항목육십간지
간지
간지론
역법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2. 병자년

'''병자년'''(丙子年)은 육십간지의 13번째 해이다. '병'은 이므로, '빨간 쥐의 해'에 속한다.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6인 해가 해당된다.

'''병자년'''
1천년기2천년기3천년기


2. 1. 연도

2. 2. 주요 사건

676년 신라는 삼국통일을 이루었다. 이는 한반도 역사상 최초의 통일 국가 수립으로, 민족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636년 병자호란이 발발하였다. 청나라의 침입으로 조선은 큰 피해를 입었고, 이후 조선의 대외 정책과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은 진보 진영에서 외교적 실패와 민족적 수난으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1876년 조일수호조약(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선이 일본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지만, 불평등 조약으로 평가된다. 이는 진보 진영에서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시작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1996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발생하였다. 북한 무장공비 침투로 인해 남북 관계가 경색되고,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3. 병자일

'''병자일'''(丙子日)은 일진이 병자인 날로, 육십간지의 13번째 날이다.

1981년부터 2058년까지의 병자일은 다음과 같다.

3. 1. 병자일의 예

'''병자일'''(丙子日)은 일진이 병자인 날로, 육십간지의 13번째 날이다.

1981년부터 2058년까지의 병자일은 다음과 같다.
#넘겨주기 병자년

3. 2. 택일

일본에서는 병자일이 대토(大土)의 7일째(마지막 날)로 여겨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