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병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장은 군대에서 사용되는 부사관 계급 중 하나로, 중세 유럽에서 군인이나 하인을 의미하는 용어에서 유래되었다. 현대에는 군대의 사기 유지, 훈련, 병사 통솔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분대장 또는 소대장 임무를 맡아 부사관 체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병장의 역할과 책임은 국가별, 군대별로 차이가 있으며, 미국 육군과 해병대, 대한민국 국군 등에서도 각기 다른 계급 체계와 역할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병장
계급 정보
군대 계급하사관
역할분대 또는 팀을 지휘한다.
병사를 감독한다.
기원라틴어 "serviens" (봉사하는 사람)
프랑스어serjant
의미봉사하는 자
경찰 계급영국 경찰 계급 체계의 하나
역할
팀 리더화력팀을 지휘한다.
분대장분대를 지휘한다.
다른 명칭
한국군조
일본군조
영어sergeant
프랑스어Sergent
독일어Sergeant
네덜란드어Sergeant

2. 역사

중세 유럽에서 병장은 단순히 보호 임무를 수행하는 수행원이나 장교를 의미했다. 중세 기사나 기사 수도회는 필요시 전투에 참여할 수 있는 하인을 뜻하는 "무장 병장(sergeants-at-arms)"을 두었다. 이 용어는 앙글로-프랑스어 sergentxno, serjeantxno ("하인", "시종", "법정 관리", "군인"을 의미)에서 유래하며, 중세 라틴어 servientemla ("하인", "봉신", "군인"을 의미)에서 나왔다.

이후 "군인 병장(soldier sergeant)"은 현재 중산층으로 여겨지는 계층의 남성으로, 중세 계급 체계에서 기사보다 약간 하급의 역할을 수행했다. 병장은 중장기병, 경기병 또는 훈련된 전문 보병(창병 또는 석궁병)으로서 전투에 참여할 수 있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중세 용병들은 플랑드르 석궁병과 창병과 같이 신뢰할 수 있는 정예 부대로 여겨졌던 "병장" 계급에 속했다. 병장 계급은 군사적 가치에서 '기사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

3. 역할 및 책임

병장은 주로 병사들의 훈련과 부대 내 사기 및 질서 유지를 담당한다. 이들은 때때로 경외심 섞인 풍자로 "귀신" 또는 "귀신 군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신임 장교를 보좌하는 역할 또한 중요하며, 전술적인 면에서는 경험 많은 병장의 의견이 신임 장교의 판단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되는 경우도 있다.[103] [104]

병장은 분대장을 맡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10명에서 20명 정도의 병력을 지휘한다.

중대 군수하사관, 중대 주임상사 등 특정 직책을 수행하기도 한다.

4. 한국군

대한민국 국군의 병장은 병의 최선임 계급으로, 분대장을 맡거나 분대장이 없는 경우 분대장 직무대리를 수행한다.[127] 병장은 병사들의 대표로서, 간부와 병사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며, 부대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계급계급장
육군해군해병대공군
병장


4. 1. 계급

계급계급장
병 (兵)
병장 (兵長)육군해군해병대공군


4. 2. 구 일본 육군

1873년(메이지 6년) 5월 8일 육해군 무관 관등표 개정으로 군조의 관등은 15등 중 13등에서 12등으로 승급되었다.[127] 초장 아래, 오장 위였으며,[127] 이때 하사의 최하급은 오장으로 변경되었다. 1874년(메이지 7년) 11월 30일 개정된 부대 편성에서 군조는 보병 연대 서기·회계 부속·라파장, 보병 대대 서한걸·회계 부속·급양걸, 보병 중대 급양걸·중대부, 기병 대대 급양걸·마구걸·대대부, 산/야포병 대대 회계 부속, 산/야포병 소대(본대) 포차장, 산야포병 소대(예비대) 화공하장·기계걸·급양걸, 공병 소대 기계걸·급양걸·소대부, 수송병 소대 급양걸·마구걸·소대부였다. 보병 연대는 3개 대대로, 대대는 4개 중대로 하여, 연대부의 군조는 서기 1명·회계 부속 1명·라파장 1명, 대대부의 군조는 각 대대에 서한걸 1명·회계 부속 1명·급양걸 1명, 중대부의 군조는 각 중대에 급양걸 1명과 중대부 8명으로, 1개 대대의 군조는 총 39명, 보병 연대의 군조는 총 120명이었다.[151]

1874년(메이지 7년) 홋카이도에 둔전헌병을 설치하기로 정하고,[152] 1875년(메이지 8년) 3월 4일에 개척사 안에서 '''준육군군조'''의 관등을 정하여, 그 관등을 정관과 같다고 하였다.[153] [154]

1875년(메이지 8년) 11월 24일에 개정한 육군 무관복제에서는 군조의 소매장은 금선 1조 내기타 1조였다.[155]

1875년(메이지 8년)에 발행된 관직 일람에 따르면, 군조는 성 안의 서무에 종사하지 않고 그 근무에 일반과 당번이 있었다. 일반 근무는 영내 규칙을 준수하고 각자 정해진 곳의 반대에 부속하며, 해대를 관할하는 중소위의 명을 받아 제반 근무를 오장 이하에 명하고, 제물품 보존에 주의하는 것이다. 당번 근무는 해대 오장 이하의 근태 등을 매주 1주일 교대로 감독하는 것이다.[157]

1875년(메이지 8년) 12월 17일에 정한 육군 급여 개칙에서는 군조의 봉급은 과목으로 포·공, 기·수, 보, 등급으로 일등·이등이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봉급액이 결정되었다. 직무 증봉에 대해서는 군조는 서기·회계 부속·기계걸·급양걸·서한걸·마구걸을 맡는 경우에 증봉이 있었다.[158]

1877년(메이지 10년) 1월에 관등을 17등으로 증가시켰지만,[159] 1879년(메이지 12년) 10월 10일 육군 무관 관등표에서는 군조는 계속 12등이었고, 이때 관명에 헌병·보병·기병·포병·공병·수송병 등 각 병과 명칭을 붙이게 되었다.[160]

1882년(메이지 15년) 2월 8일에 개척사를 폐지했으므로,[161] 둔전병의 준육군군조를 육군성에 관할하게 하였다.[162] [154]

1883년(메이지 16년) 5월 4일 태정관 제21호 달로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하여, 헌병·보병·기병·포병·공병·수송병 각 병과 군조의 관명에서 육군의 두 글자를 제거하였다.[163] [164]

4. 3.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에서 하사부사관 계급 중 하나로, 병장과 중사 사이에 위치한다. 하사는 주로 분대장이나 소대와 같은 지휘 직책을 맡거나, 그에 준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계급계급장
육군해군해병대공군
병장


5. 여러 국가

대부분의 비해군 군대 또는 준군사 조직에서 여러 계급의 상사는 부사관(NCO)으로, 병장 및 상병보다 상위이며 준위 및 장교보다 하위이다. 상사의 책임은 군대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여러 계급의 상사가 있으며, 각 계급은 더 큰 부대의 병사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더 큰 경험과 책임에 해당한다.[22]

중세 유럽에서 병장(sergeant)은 단순히 보호 임무를 수행하는 수행원이나 장교를 의미했다. 중세 기사나 기사 수도회는 필요시 전투에 참여할 수 있는 하인을 뜻하는 "무장 병장(sergeants-at-arms)"을 두었다. "군인 병장(soldier sergeant)"은 현재 중산층으로 여겨지는 계층의 남성으로, 중세 계급 체계에서 기사보다 약간 하급의 역할을 수행했다. 병장은 중장기병, 경기병 또는 훈련된 전문 보병(창병 또는 석궁병)으로서 전투에 참여할 수 있었다. 병장 계급은 군사적 가치에서 '기사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특정한 종류의 군 병장으로는 무장 병장(serjeant-at-arms)이 있는데, 영국 귀족과 군주가 고용한 무장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이 직함은 현재 회의 중 질서를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 방해하는 구성원을 강제로 제거하는 임무를 맡은 현대 입법 기관의 장교에게 주어진다.

"상사"는 일반적으로 상사 계급 중 가장 낮은 계급이며, 각 군 조직에서는 계급이 더 높은 사람들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어떤 용어를 사용하고, 어떤 선임을 나타내는지는 각 군의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상사"라는 용어는 많은 임명 직함에도 사용된다.


  • '''오스트레일리아'''


상사(Sgt)는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 모두에서 사용되는 계급이다. 이 계급은 서로 동등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해군의 하사관 계급과 동등하다.

RAAF의 비행상사(Flt Sgt) 계급과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상사(SSgt) 계급의 계급 휘장은 동일하지만, 계급 동등성 분류에서 비행상사가 실제로 상사 계급보다 상위 계급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상사 계급은 이제 계급 동등성 밖에 있고 다음 진급 계급이 준위 2급이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상사 계급은 모든 오스트레일리아 경찰에서 존재하며, 순경이나 상급 순경보다 상위 계급이지만 경감보다 하위 계급이다. 상사 구조는 주 경찰 간에 다르며, 일반적으로 두 가지 상사 계급이 부사관으로 분류된다.

  • '''남호주 경찰'''은 일시적으로 높은 계급을 허가하는 계급 상사 계급을 추가로 두고 있다. 계급 상사는 상사보다 계급이 낮다.

  • '''뉴사우스웨일즈 경찰'''은 증가 상사 계급을 추가로 두고 있다. 이것은 상사로 임명된 후 7년이 지난 후의 단계적 진급이다. 증가 상사 계급은 상급 상사보다 계급이 낮지만 상사보다 계급이 높다.

  • '''캐나다'''


상사(Sgt)(sergent프랑스어)는 캐나다 육군 또는 캐나다 공군의 부사관 계급이다. 해군 계급으로는 이등상사(maître de 2e classe프랑스어)에 해당한다. 상사는 상등병 및 해군의 상응 계급인 상등수병보다 상위 계급이며, 준위 및 해군의 상응 계급인 일등상사보다 하위 계급이다.

육군 부대에서 상사는 일반적으로 소대 지휘관으로 복무하며, 종종 준위가 담당하는 직책을 맡기도 한다.

상사 계급장은 단풍잎 위에 세 줄의 꺾쇠(점이 아래로 향함)가 있다.

캐나다군의 색상 상사는 상사 계급이 아니라 근위대 연대 중 하나의 준위이다. 마찬가지로 상사(연대 상사 포함)는 상사 계급이 아니라 고급준위 또는 최고준위가 맡는 직책이다.

역사적으로 상사 계급은 1968년 세 군 통합 이후 심각하게 격하되었다.

  • '''핀란드'''


Kersanttifi(약칭 kers.) 또는 ''Sergeant''(약칭 Serg)는 핀란드 방위군에서 두 번째로 낮은 부사관 계급이다. 이 계급은 징집병, 예비군 및 전문 군인이 달 수 있다. 징집병과 상근병의 상사 계급은 계급장으로 구분된다. 징집병과 예비군은 세 줄의 꺾쇠를, 상근병은 세 줄의 꺾쇠와 칼이 포함된 계급장을 착용한다.

상사는 하사관 과정을 수료한 징집병이 예비군으로 편입되기 전에 달 수 있는 가장 높은 부사관 계급이다.

각 징집 중대에서 세 줄의 꺾쇠가 달린 kersanttifi 계급에 오르는 부사관은 소수에 불과하다.

  • '''프랑스'''


프랑스 공군, 공병, 보병, 외인부대, 통신부대, 행정부대 및 기동 헌병대는 프랑스 하사 계급을 사용한다. 다른 군 부대와 헌병대는 하사 계급 대신 maréchal des logis프랑스어("숙소의 원수"라는 뜻)에 해당하는 계급을 사용한다.

프랑스에는 세 가지 하사 계급이 있었지만, 가장 하급인 계약 하사는 징병제가 중단됨에 따라 현재는 학생 부사관으로 대체되었다.

  • '''독일'''


독일어로 된 상사 계급(Sergeant)은 1843년에 도입되어 192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그 후 하사(Unterfeldwebel)로 변경되었다. 현재 독일 연방군(Bundeswehr)에서 미국/영국 상사에 해당하는 계급은 하사(Unteroffizier)이다.[22]

  • '''아일랜드'''


상사(Sgt)(sáirsintga)는 아일랜드 방위군 내에서 두 번째 하사관 계급이다. 아일랜드 해군의 해당 계급은 하사이다.

육군 계급 휘장은 날개가 달린 세 개의 꺾쇠(또는 "줄무늬")로 구성된다. 상사의 주요 보병 임무는 소대의 부소대장 또는 대전차 또는 박격포 소대와 같은 무기 소대의 화력 지원반장이다.

상사는 아일랜드 공군에서도 두 번째 하사관 계급이다. 1994년 이전에는 공군이 육군의 일부였다.

  • '''러시아'''


러시아군에는 명시적으로 상사 계급인 세 가지 계급이 있다. 바로 하사(младший сержантru), 상사(сержантru), 그리고 원사(старший сержантru)이다. "старшинаru"이라는 계급도 있는데, 이는 종종 "상사"로 번역된다. 이러한 계급들은 소련에서 계승된 것이다.

  • '''싱가포르'''


싱가포르군(SAF)에는 하사 계급이 다섯 가지 있다. 삼등하사(3SG), 이등하사(2SG), 일등하사(1SG), 중사(SSG), 그리고 상사(MSG)이다. 하사는 싱가포르군에서 전문병으로 간주되며 다른 군대의 부사관에 해당한다.

삼등하사는 일반적으로 분대장이다. 이등하사는 일반적으로 소대장으로 근무한다. 일등하사, 중사, 상사는 일반적으로 중대 정비하사관 또는 중대급 이상의 행정 전문가로 근무한다.

  • '''스웨덴'''


스웨덴에서 상사(sergeant)는 하사(överfurir)보다 상위이며, 중사(översergeant)보다 하위인 가장 낮은 직책의 전문 장교 계급이다. 스웨덴 계급 체계는 "전문 장교"(다른 국가에서는 부사관으로 분류됨)와 "전술 장교"의 두 가지 유형의 장교로 구성된다.

  • '''영국'''


영국 해병대(Royal Marines)와 영국 육군(British Army)에서 상사(sergeant)는 소매에 아래쪽이 세 갈래로 갈라진 삼각형 부호(chevron)를 세 개 달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분대(platoon) 또는 소대(troop) 상사로 복무하거나, 특수 직책을 맡는다. 근위 기병대(Household Cavalry)는 말 상사(corporal of horse) 계급을 사용하는데, 상사는 없지만 상병(corporal)은 있는 기존의 기병(cavalry) 전통을 유지하는 유일한 연대이다.

영국 왕립 공군에도 같은 세 줄의 삼각형 표시를 단 상사 계급이 있다. 이 계급은 상병과 플라이트 상사(기술병 및 음악병의 경우 수석 기술관) 사이에 위치한다.

영국 왕립 비행대의 상사는 삼각형 표시 위에 네 개의 날개를 가진 프로펠러를 달았다.

영국 경찰에서 순경(Sergeant)은 최초의 감독직 계급이다. 순경은 순경 계급보다 상위이고 경감 계급보다 하위이다.

'''형사 순경'''은 제복을 입은 순경과 계급이 같다.

  • '''미국'''

미 공군 상사 계급 휘장


미국 육군에는 여러 계급의 병장이 있지만, 가장 낮은 계급의 병장은 단순히 "병장"이라는 계급을 가진다. 병장은 미국 육군에서 병장 및 상병보다 상위이며 상사보다 하위인 병 계급이며, 최하위 두 번째의 부사관 계급이다. 이 계급은 다른 상급 병장 계급과 구분하기 위해 종종 "풋내기 병장"(buck sergeant)이라고 불렸다.[17] 병장은 일반적으로 분대 및 소대장이며 부사관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8]

훈련 교관은 계급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훈련 교관"으로 불리지만, 이 용어의 사용은 부대 규정에 따라 달라진다.

미국 해병대에는 "병장"이라는 계급이 여러 개 있으며, 가장 낮은 계급이 병장(E-5)이다. 해병대 병장은 미국 해병대에서 다섯 번째 하사관 계급으로, 상병보다 높고 상사보다 낮으며, 종종 해병대의 중추로 여겨진다.

해병대에서 상사 이상의 하사관 계급은 상사관, 즉 SNCO라고 한다. 상사부터 원사까지의 이러한 계급은 항상 전체 계급을 사용하여 언급되며 단순히 "병장"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1947년 미국 공군이 육군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사 계급은 이 신설 독립군의 하급 부사관(NCO) 계급 중 두 번째로 낮은 계급이 되었다.

미 공군 상사 계급은 1952년 4월 항공병 일등병(A1C)으로 대체되었으며, 이 E-4 계급은 이제 하사관 계급 이하의 병 계급이 되었다.[20]

"상사"라는 직책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비공식적으로 "벅 상사"(buck sergeant)라고 불리며, 1967년 10월 재입대율을 높이기 위해 부사관이라는 명예를 높이고자 다시 사용되었다.

1976년 6월부터 상사 계급과 새로 승인된 상급 항공병(SrA) 계급은 모두 E-4 급여 등급을 공유했으며, 상사는 최하위 부사관 계급이고 SrA는 최고위 병 계급이었습니다. 이러한 구분은 1991년 4월 상사로의 마지막 진급과 함께 종료되었다.

오늘날 공군에서 "상사"라는 용어는 상사에서 선임 상사(E-8)까지의 모든 공군 부사관을 가리킨다.

  • '''우주군'''


2021년 2월 1일, 미국 우주군은 급여 등급 E-5에 상사 계급을 신설하여 공군에서 사용하던 상사 계급을 대체했습니다. 이는 상사 계급을 E-5로, 상사 계급을 E-6으로 두는 육군과 해병대와 우주군의 E-5 등급을 일치시킨 것이다. 상사는 병장보다 상위 계급이지만 상급기술병보다 하위 계급이다.[21]

  • '''일본'''


군대의 계급은 군대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존재하지만, “병사 중 우수한 자를 등용하여 병사들을 통솔하는 역할을 맡기는” 계급이 존재하며, 계급 서열상 위관(尉官) 아래에 위치한다는 점은 대체로 동일하다.

군조(軍曹) 이상을 하사관으로 취급할지, 아니면 그 아래 계급 이상을 하사관으로 취급할지는 국가와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하사관 분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군조는 분대장을 맡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지휘하는 병력은 10명에서 20명 정도인 경우가 많다.

또한 신임 장교의 보좌 역할도 크며, 전술적 측면에서 베테랑 군조의 의견이 신임 장교의 판단보다 중시되는 경우도 있다.

폐번치현 이후, 1871년(메이지 4년 8월) 육군에서도 하급 장교의 최하위 계급이었다.

1872년 1월 13일(메이지 4년 12월 4일)에 병부성의 지령으로 정한 진대분영 사관 지득근사령서식에 따르면, 군조의 가임을 명할 때에는 그 달서(達書)는 대장 명으로 육군 군조의 지득(心得)으로 당분간 근무해야 함을 명하고, 군조의 정원을 보충하는 것은 수(帥)의 결정을 얻어 명하므로 진대본영에 의해 육군 군조를 임명하는 것으로 하여, 소위 이상의 임관과는 다른 취급을 하고 있다.

육군 휘장을 증보 개정하고 있지만 하급 장교의 단추는 황동 벚꽃, 전면 장은 황동 일장인 데 비해, 병졸·고쵸 모두 단추는 황동 대호를 붙이고, 전면 장은 도색 일장으로 하며, 군조는 군모·소매 장 모두 대1조로 변함이 없다.

또한, 병부성 육군·사관병졸·급봉제규칙에서도, 하급 장교에 대해서는 식량으로 매월 금 5을 받는 데 비해, 고쵸 이하는 현화(現賄)를 받는다고 하였다. 참고로, 급봉제규칙에서는 병종에 따라 일급의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당분간은 일단 동일하게 하고, 대신 군조의 급봉을 4등급으로 나누어 1등 군조부터 4등 군조까지로 하고 있지만, 관등표에 게재하는 관명은 군조이며 군복이나 계급장에서도 구별하지 않는다.

하사관의 계급 중 하나. 조장의 하위, 오장의 상위이다. 판임관 3등이며, 초임 계급은 정팔위 훈팔등 공칠급이다. 해군에서는 이등병조(1942년 이후에는 일등병조로 개칭됨)에 상당한다.

문무판임관 등급표에는 등급이 5등이 있으며, 그중 3등 란에 육군 각 병과 군조 및 상당관을 기재하였다.

1943년 당시 봉급은 30엔이었다.[186] 당시 1엔은 현재 5000엔 전후이며 이 봉급은 결코 고액이라고는 할 수 없고, 영내 거주로 피복 량식도 현물 지급이며 직업 군인에게는 12년간 근무하면 지급되는 연금 제도가 있었기 때문에, 그것들을 고려하여 "중하", 고등소학교 졸업 정도의 무학력자의 대우로서는 "중간" 정도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일용직 9시간에 1엔에서 2엔, 한큐 전철의 신입 사원(중학교 졸업)이 일당 1.2엔에서 1.3엔, 제국대학 경제학부 졸업의 초임 연봉이 월 70엔 정도(포상 별도)였으며, 30대의 일할 나이의 30엔 정도의 현금 수입으로는 영외에서 가족을 부양하거나 도시 생활자로서 체면을 유지하기는 어려웠다. 헌병이나 군악부 등의 군조 또는 군조 상당자는 영외 거주였지만, 영외 거주자용 가봉이 있었다.

육군 폐지 시에는
가 존재했다.

일본 해군에서는 '''이등병조'''(1942년부터는 '''일등병조''') 계급이 육군 중사의 계급에 상당했다.

'''군'''조라는 호칭은 사용하지 않고, 「1조」, 「2조」, 「3조」와 같이 등급과 조합한 약칭으로 호칭한다.

구 육군 및 자위대 모두에 조장이라는 계급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위대의 조장은 그대로 구 육군의 조장이나 구 해군의 상등병조에 상당하고, 조장 아래의 1조가 구 육군의 군조나 구 해군의 일등병조에 상당한다고 오해되기 쉽지만, 이것은 잘못이다. 자위대에는 원래 조장이라는 계급은 없었고, 1조가 구 군의 조장이나 상등병조에 상당했기 때문에, 2조가 군조나 일등병조에 상당한다. 참고로 자위대의 조장은 여러 외국 육군, 공군의 상급조장 및 해군의 상급상등병조에 상당한다. 덧붙여, 2등육조의 영어 번역이 Staff Sergeant가 아니라 Sergeant First Class인 것은, 자위대 창설 당시 미국 육군에서 Staff Sergeant가 폐지되었던 시기였던 흔적이다. 또한 2등해조는 구 해군의 일등병조에 상당하지만, 영어 호칭에서는 Petty Officer 2nd class로 1942년 이전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 '''기타 국가'''

다수의 NATO 회원국에서 계급을 사용하지만, 국가에 따라 계급 순위가 다릅니다.

NATO 코드국가[22]영어 명칭
영국미국
OR-6불가리아, 캐나다, 스페인상사 (Sergeant)상사 (Staff sergeant)
OR-5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상사 (Sergeant)
OR-4에스토니아하사 (Corporal)하사 (Corporal)


5. 1. 계급 명칭 (일부 국가)

계급계급장
병 (兵)병장


참조

[1] 웹사이트 UK Police Rank Structure https://web.archive.[...] 2017-11-09
[2] 웹사이트 sergeant http://www.dictionar[...] Dictionary.com 2016-03-12
[3] 웹사이트 Ranks {{!}} The British Army https://www.army.mod[...] 2024-09-16
[4] 웹사이트 Team Leader https://www.ncoworld[...] 2024-05-19
[5] 웹사이트 Squad Leader Development Program https://www.marines.[...] 2024-05-19
[6] 웹사이트 Søværnets Gradstegn https://forsvaret.dk[...] Danish Defence 2021-05-26
[7] 웹사이트 Flyvevåbnets Gradstegn https://forsvaret.dk[...] Danish Defence 2021-05-26
[8] 웹사이트 Badges and Insignia of the Royal Danish Army https://www2.forsvar[...] 2021-09-25
[9] 웹사이트 Badges and Insignia of the Royal Danish Navy https://www2.forsvar[...] 2021-09-25
[10] 서적 Milon le-munkhey tzava, Ha-milon ha-khadash, Otzar ha-lashon ha-ivrit, Leksikon le-bitkhon Yisrael, Milon Sapir, Milon Even-Shoshan be-shisha krakhim, Entziklopedya Karta, Milon Ariel 다양한 출판사 2007
[11] 웹사이트 משטרת ישראל {{!}} מסלולי קידום במשטרת ישראל https://www.gov.il/h[...] 2018-10-11
[12] 웹사이트 NCC Ranks and Badges https://www.acsindep[...] 2018-11-20
[13] 웹사이트 National Police Cadet Corps https://web.archive.[...] 2018-11-20
[14] 웹사이트 National Civil Defence Cadet Corps (NCDCC) / National Civil Defence Cadet Corps (NCDCC) http://www.uniformin[...] 2018-11-20
[15] 웹사이트 Ranks & roles http://www.royalnavy[...] 2018-03-14
[16] 웹사이트 Join PSNI https://web.archive.[...] 2016-09-15
[17] 서적 Reluctant Lieutenant: From Basic to OCS in the Sixties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4-04-13
[18] 간행물 Non-Commissioned Officer Guide FM 7-22.7
[19] 웹사이트 ArmyStudyGuide.com
[20] 웹사이트 A Chronology of the Enlisted Rank Chevron https://www.afsfc.af[...] 2013-07-30
[21] 웹사이트 Space Force to Adopt 'Specialist,' Other New Ranks Feb. 1 https://www.airforce[...] 2021-01-29
[22] 서적 STANAG 2116 NATO NATO Standardization Agency 2021
[23] 웹사이트 Ranks https://www.mdn.dz/s[...]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Algeria) 2021-05-30
[24] 웹사이트 Paratus https://web.archive.[...] Regional Publications Ltd. 2020-03-02
[25] 웹사이트 Grados https://www.argentin[...] Government of Argentina 2018-02-14
[26] 웹사이트 ԶԻՆՎՈՐԱԿԱՆ ԾԱՌԱՅՈՒԹՅԱՆ ԵՎ ԶԻՆԾԱՌԱՅՈՂԻ ԿԱՐԳԱՎԻՃԱԿԻ ՄԱՍԻՆ https://www.arlis.am[...] Legal information system of Armenia 2021-06-03
[27] 웹사이트 Badges of rank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Australia) 2021-05-31
[28] 웹사이트 Ranks & insignia https://joinbanglade[...] 2020-10-11
[29] Youtube Barbados Defence Force Medal Ceremony https://www.youtube.[...] Barbados Defence Force 2019-07-18
[30]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от 21.07.2009 N 388 "О военной форме одежды, знаках различия по воинским званиям и внесении дополнений в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от 9 июня 2006 г. N 383" http://pravo.levonev[...] Government of Belarus 2021-05-30
[31] 웹사이트 IPR Landcomponent http://www.mil.be/de[...] 2021-11-25
[32] 웹사이트 LOI N° 2005-43 DU 26 JUIN 2006 https://www.ilo.org/[...] National Assembly (Benin) 2021-06-13
[33] 웹사이트 Ranks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Botswana 2016-09-22
[34] 웹사이트 Akta angkatan bersenjata diraja Brunei (Penggal 149) http://www.agc.gov.b[...] 2021-07-14
[35] 웹사이트 ЗАКОН ЗА ОТБРАНАТА И ВЪОРЪЖЕНИТЕ СИЛИ НА РЕПУБЛИКА БЪЛГАРИЯ https://www.lex.bg/b[...] 2021-05-25
[36] 웹사이트 LOI N° 037-2016/AN PORTANT CONDITIONS D'AVANCEMENT DES PERSONNELS D'ACTIVE DES FORCES ARMEES NATIONALES https://lavoixdujuri[...] 2015-06-03
[37] 웹사이트 Loi organique N°1/ 04 du 20 février 2017 portant Missions, Organisation, Composition, Instruction, Conditions de service et Fonctionnement de la Force de Défense Nationale du Burundi http://fdnb.bi/sites[...] Government of Burundi 2021-06-27
[38] 웹사이트 Ranks and appointmen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1-05-28
[39] 웹사이트 Patente https://www.fa.gov.c[...] Cape Verdean Armed Forces 2021-05-26
[40] 웹사이트 Grades appellations distinctions https://defense.gouv[...]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ublic of the Congo) 2021-06-07
[41] 웹사이트 Hærens Gradstegn https://www.forsvare[...] Danish Defence 2023-10-13
[42] 서적 Ejército de República Dominicana: Reglamento de uniforme https://www.ejercito[...] Dominican Army 2021-06-18
[43] 웹사이트 Grados Militares https://www.fuerzaa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 El Salvador. 2021-05-29
[44] 웹사이트 Sotilasarvot Puolustusvoimissa https://puolustusvoi[...] Finnish Defence Forces 2021-05-26
[45] 서적 Instruction N° 10300/DEF/EMAT/LOG/ASH https://rescue18.fr/[...] Staff of the French Army 2021-05-30
[46] 웹사이트 სამხედრო წოდებები და ინსიგნიები https://mod.gov.ge/g[...] Ministry of Defense of Georgia 2018-03-12
[47] 서적 Guyana and Belize: country studie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06-03
[48] 웹사이트 Army Rank Markings http://www.military.[...] Defence Forces (Ireland) 2021-05-26
[49] 웹사이트 i gradi dell'Esercito Italiano - distintivi di incarico e funzionali http://www.esercito.[...] Italian Army 2021-05-30
[50] 웹사이트 GRADES / APPELLATIONS / DISTINCTIONS http://www.defense.g[...] Ministère de la Défense 2020-09-23
[51] 웹사이트 BADGES OF RANK https://www.jdfweb.c[...] 2019
[52] 웹사이트 Қаз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ның Қарулы Күштері, басқа да әскерлері мен әскери құралымдары әскери қызметшілерінің әскери киім нысаны және айырым белгілері туралы https://adilet.zan.k[...] Ministry of Justice (Kazakhstan) 2011-08-25
[53] 웹사이트 KDF Ranks https://mod.go.ke/kd[...] Ministry of Defence - Kenya 2022-12-09
[54] 웹사이트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нын жарандарынын жалпыга бирдей аскердик милдети жөнүндө, аскердик жана альтернативдик кызматтар жөнүндө http://cbd.minjust.g[...] Ministry of Justice (Kyrgyzstan) 2009-02-09
[55] 웹사이트 Pakāpju iedalījums https://www.mil.lv/l[...] Latvian National Armed Forces 2021-05-26
[56] 웹사이트 Ranks in the Army http://www.ldf.gov.l[...] Lesotho Defence Force 2021-05-05
[57] 웹사이트 Defense Act of 2008 http://www.vertic.or[...] 2017-11-20
[58] 웹사이트 Kariniai laipsniai https://www.kariuome[...] 2023-06-30
[59] 웹사이트 Grades http://www.armee.lu/[...] Luxembourg Army 2022-10-12
[60] 웹사이트 LOI N° 96-029 portant Statut Général des Militaires http://www.defense.g[...] Ministry of Defence (Madagascar) 1996-11-15
[61] 웹사이트 Kategori Pangkat https://army.mod.gov[...] Malaysian Army 2021-07-10
[62] 웹사이트 ރޭންކް ސްޓްރަކްޗަރ https://mndf.gov.mv/[...] Maldives National Defence Force 2021-06-02
[63] 웹사이트 2011 - Plaquette sur les insignes et blasons des Forces Armées du Mali http://www.memoriama[...] 2020-10-17
[64] 웹사이트 Rank Insignia https://afm.gov.mt/e[...] Armed Forces of Malta 2021-05-26
[65] 웹사이트 Epoleţi https://www.army.md/[...] Ministry of Defense 2021-05-26
[66] 서적 Morocco: a country study 1985
[67] 간행물 Government Notice http://www.lac.org.n[...] 2021-12-20
[68] 웹사이트 De rangonderscheidingstekens van de krijgsmacht https://www.defensie[...] Ministry of Defence (Netherlands) 2016-12-19
[69] 웹사이트 Badges of Rank https://nzdfpop.cwp.[...] New Zealand Defence Force 2022-07-28
[70] 웹사이트 État des Lieux: Formation des forces de défense et de sécurité sur les droit de l'enfant au Niger http://www.ibcr.org/[...] 2012-12
[71] 서적 Nigeri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1
[72] 웹사이트 Militære grader https://www.forsvare[...] Norwegian Armed Forces 2021-02-04
[73] 웹사이트 Ranks and insignia http://www.army.mil.[...] Philippine Army 2021-11-20
[74] 웹사이트 Sposób noszenia odznak stopni wojskowych na umundurowaniu wojsk Lądowych i sił Powietrznych https://www.wojsko-p[...] Armed Forces Support Inspectorate 2021-06-07
[75] 웹사이트 Grade militare (Military ranks) https://www.defense.[...] Romanian Defence Staff 2021-02-01
[76]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1 марта 2010 года № 293 "О военной форме одежды, знаках различия военнослужащих и ведомственных знаках отличия" https://rg.ru/2010/0[...] Российской газеты 2010-03-12
[77] 서적 SAINT CHRISTOPHER AND NEVIS DEFENCE FORCE ACT Government of Saint Kitts and Nevis 2009-12-31
[78] 웹사이트 Rank structure https://www.spdf.sc/[...] Seychelles People's Defence Forces 2021-06-04
[79] 웹사이트 Army Ranks & Insignia https://ejercito.def[...] Ministry of Defence (Spain) 2021-05-30
[80] 웹사이트 Uniform: Rank insignia http://www.army.mil.[...] Department of Defence (South Africa) 2021-05-29
[81] 웹사이트 Dress Regulation PDF - Part I https://www.army.lk/[...] Sri Lanka Army 2021-05-20
[82] 서적 World armies Royal Military Academy Sandhurst 2022-03-09
[83] 웹사이트 Nya gradbeteckningar införs https://www.forsvars[...] Försvarsmakten 2019-10-02
[84] 웹사이트 ҚОНУНИ ҶУМҲУРИИ ТОҶИКИСТОН ДАР БОРАИ ЎҲДАДОРИИ УМУМИИ ҲАРБӢ ВА ХИЗМАТИ ҲАРБӢ https://majmilli.tj/[...]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Tajikistan 2017-04-13
[85] 웹사이트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togolaise http://jo.gouv.tg/si[...] 2021-06-16
[86] 학술지 Tonga Defence Services (Amendment) Regulations 2009 https://ago.gov.to/c[...] 2021-09-26
[87] 웹사이트 Rank Chart (Enlisted) http://69.0.195.188/[...] Trinidad and Tobago Defence Force 2021-05-27
[88] 웹사이트 Décret n° 72-380 du 6 décembre 1972, portant Statut particulier des militaires https://legislation-[...] Geneva Centre for Security Sector Governance 1972-12-06
[89] 웹사이트 TÜRKMENISTANYŇ KANUNY Harby borçlulyk we harby gulluk hakynda (Türkmenistanyň Mejlisiniň Maglumatlary 2010 ý., № 3, 58-nji madda) (Türkmenistanyň 01.10.2011 ý. № 234-IV Kanuny esasynda girizilen üýtgetmeler we goşmaçalar bilen) https://milligosun.g[...] Ministry of Defense (Turkmenistan) 2021-06-02
[90] 학술지 Uganda Peoples' Defence Forces Act https://www.updf.go.[...] Uganda Printing and Publishing Corporation 2021-05-29
[91] 웹사이트 НАКАЗ 20.11.2017 № 606 https://zakon.rada.g[...] Ministry of Justice of Ukraine 2017-12-13
[92] 웹사이트 Rank structure https://www.army.mod[...] British Army 2021-05-27
[93] 웹사이트 U.S. Army Ranks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2021-05-27
[94] 서적 Uruguay: A Country Study https://www.marines.[...]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21-06-13
[95] 웹사이트 Ley N° 19775 Modificacion de la Ley Organica de Las Fuerzas Armadas https://www.impo.com[...] 2022-09-04
[96] 간행물 浮浪勤王ノ士ヲ挙ケ軍曹トナシ俸禄ヲ給ス 国立公文書館
[97] 간행물 軍曹ノ称ヲ廃シ士族ニ編入ス 国立公文書館
[98] 간행물 元軍曹并其他ノ終身禄ヲ賜フモノ更ニ永世士族ニ編入ノ旨ヲ東京府ニ令ス 国立公文書館
[99] 간행물 各藩ノ常備兵編制法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00] 간행물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五巻・官職八・陸軍武官 国立公文書館
[101] 간행물 国立公文書館
[102] 서적 五国対照兵語字書 参謀本部 1881-02
[103] 웹사이트 捕虜の待遇に関する千九百四十九年八月十二日のジュネーヴ条約(第三条約)(昭和28年10月21日条約第25号) https://www.mod.go.j[...] 防衛省 2022-11-25
[104] 웹사이트 Convention (III) relative to the Treatment of Prisoners of War. Geneva, 12 August 1949.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22-11-25
[105] 간행물 各藩ノ常備兵編制法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06] 간행물 刑部省軍曹以下ノ職名并等級等ノ事ヲ兵部省ニ照会ス 国立公文書館
[107] 위키소스 海陸軍大中少佐及尉官及陸軍曹長權曹長ヲ置ク
[108] 간행물 常備兵員海軍ハ英式陸軍ハ仏式ヲ斟酌シ之ヲ編制ス因テ各藩ノ兵モ陸軍ハ仏式ニ基キ漸次改正編制セシム 国立公文書館
[109] 논문 陸軍史の窓から(第1回)「階級呼称のルーツ」 https://kaikosha.or.[...] 偕行社 2022-05
[110] 간행물 官員取調帳 国立公文書館
[111] 간행물 薩長土ノ三藩ニ令シテ御親兵ヲ徴シ兵部省ニ管轄セシム 国立公文書館
[112] 간행물 東山西海両道ニ鎮台ヲ置キ兵部省ノ管轄ニ属ス 国立公文書館
[113] 기록 5月25日 小泉清二郎外31名軍曹申付 防衛省防衛研究所
[114] 기록 5月25日 横山幸次郎会計書記軍曹申付及荻野助六倉庫掛軍曹申付 防衛省防衛研究所
[115] 기록 5月25日 1等小林瀧三郎喇叭軍曹申付及小峯義之助喇叭伍長申付 防衛省防衛研究所
[116] 기록 5月25日 高橋貞二外7名外給養軍曹申付 防衛省防衛研究所
[117] 기록 5月25日 堤繁外7名射的軍曹申付 防衛省防衛研究所
[118] 기록 5月25日 高橋貞二外7名給養軍曹申付他 防衛省防衛研究所
[119] 기록 第2連隊第1大隊 5月29日 1番小隊~8番小隊右の通り軍曹等級申付相達 防衛省防衛研究所
[120] 기록 第2連隊第2大隊 5月29日 1番~8番小隊右の通り軍曹等級申付相達 防衛省防衛研究所
[121] 기록
[122] 기록
[123] 간행물 親兵ノ徽章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24] 간행물 兵部省陸軍下等士官給俸及賑恤扶助定則ヲ制定ス 国立公文書館
[125] 기록
[126] 간행물 兵部省官等改定・二条 国立公文書館
[127] 기록
[128] 간행물 元教導隊及青年舎生徒ヨリ伍長ヲ下士ト改定前伍長拝命ノ者服役期限算定方 国立公文書館
[129] 간행물 豊明節会ニ酒肴ヲ下賜シ諸兵隊夫卒ニ及ブ 国立公文書館
[130] 간행물 陸軍軍曹ヨリ兵卒ニ至ルマテノ等級照会 国立公文書館
[131] 기록 乙3号大日記 陸軍省より回答 天長節酒饌料被下方の件 防衛省防衛研究所
[132] 간행물 新年宴会軍人ニ酒饌被下方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33] 간행물 鎮台分営士官心得勤辞令書式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34] 기록 田村泰履歴書(明3年6月~明治10年3月) 防衛省防衛研究所
[135] 간행물 陸軍徽章増補改定 国立公文書館
[136] 간행물 兵部省陸軍・士官兵卒・給俸諸定則ヲ制定ス 国立公文書館
[137] 기록 会計局より下士心得勤日給表決定に付一般へ達の儀申出 防衛省防衛研究所
[138] 간행물 陸軍武官俸給表 国立公文書館
[139] 간행물 陸軍武官俸給表 国立公文書館
[140] 간행물 陸軍給養同備考 国立公文書館
[141] アーカイブ JACAR:A15112559500
[142] アーカイブ JACAR:A15112559500
[143] アーカイブ JACAR:A15112559500
[144] アーカイブ JACAR:A15112559500
[145] アーカイブ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29100、件名番号:056
[146] アーカイブ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29100、件名番号:056
[147] アーカイブ 「曹長軍曹ハ本省伍長ハ各所管長官ニ於テ進退」
[148] アーカイブ 「陸軍武官表・四条」
[149] アーカイブ 「各鎮台等ヨリ下士官黜陟届出方」
[150] アーカイブ 「列外書簡掛権曹長当分二等曹長ト心得シム」
[151] アーカイブ 「陸軍歩騎砲工輜重兵編制表・其四」
[152] アーカイブ 「屯田憲兵設置ノ条例ヲ定ム」
[153] アーカイブ 「准陸軍大佐以下ノ官等ヲ定ム」
[154] アーカイブ JACAR:A04017112800
[155] アーカイブ 「陸軍武官服制改正・八年十一月二十四日第百七十四号ヲ以テ布告ス布告文並陸軍省伺等ハ同部目ノ第一冊ニ載ス」
[156] 書籍 官職一覧 東京書林 星野松蔵 1875-11-27
[157] 書籍 官職一覧 1875
[158] アーカイブ 「八年十二月十七日陸軍給与概則ヲ定ム」
[159] アーカイブ 「四等官以下等級改定」
[160] アーカイブ 「陸軍職制制定陸軍省職制事務章程及武官官等表改正」
[161] アーカイブ 「開拓使ヲ廃シ函館札幌根室三県ヲ置ク」
[162] アーカイブ 「旧開拓使準陸軍武官ヲ陸軍省ニ管轄ス」
[163] アーカイブ JACAR:A15110464100
[164] アーカイブ JACAR:A04017112800
[165] アーカイブ 「陸軍武官々等表中下士ノ部ヲ改正ス」
[166] アーカイブ 「屯田兵大佐以下ヲ置キ軍楽長ノ官等ヲ改メ且屯田兵条例ヲ定ム」
[167] アーカイブ 「屯田兵大佐以下ノ官名新設ニ付従前准陸軍大佐以下各自ニ同等ノ官名ヲ換称セシム」
[168] アーカイブ 「御署名原本・明治十九年・勅令第四号・陸軍武官官等表改正」
[169] アーカイブ 「判任官官等俸給ヲ定ム」
[170] アーカイブ 「御署名原本・明治十九年・勅令第四号・陸軍武官官等表改正」
[171] アーカイブ 「陸軍海軍武官ノ官等ヲ定ム」
[172] アーカイブ 「判任官官等俸給令中改正追加ス」
[173] アーカイブ 「陸軍武官々等表中ヲ改正ス」
[174] アーカイブ 「陸軍武官々等表ヲ改正ス」
[175] アーカイブ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二百四十九号・文武判任官等級表」
[176] 간행물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七年・勅令第四十三号・文武判任官等級表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7] 웹사이트 JACAR:A15113268700 JACAR-A15113268700
[178] 웹사이트 JACAR:A15113268700 JACAR-A15113268700
[179] 간행물 屯田兵条例、明治二十七年勅令第九十五号・(屯田兵服役志願ノ下士ニ関スル制)・屯田兵移住給与規則及屯田兵給与令ヲ廃止シ○屯田兵下士兵卒タリシ者ノ服役ニ関スル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0] 간행물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1] 간행물 文武判任官等級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2] 간행물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3] 간행물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ヲ改正シ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ノ兵科部、兵種及等級表ニ関スル件中ヲ改正ス・(官名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4] 간행물 高等官官等俸給令中〇文武判任官等級令中ヲ改正ス・(陸軍武官官等表ノ改正ニ伴フモノ)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5] 간행물 昭和十二年勅令第十二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等級表ニ関スル件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6] 서적 帝国陸海軍事典 同成社 1984
[187] 간행물 昭和十二年勅令第十二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等級表ニ関スル件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8] 간행물 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七勅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9] 간행물 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中ヲ改正ス・(陸軍法務官並ニ建築関係ノ技師ヲ武官トスル為及衛生将校等ノ最高官等ヲ少佐マテ進メル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0] 간행물 御署名原本・昭和二十年・勅令第二九五号・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十勅令中改正ニ関スル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1] 간행물 陸軍監獄官制ヲ改正シ〇陸軍監獄長、陸軍録事、陸軍監獄看守長、陸軍警査又ハ陸軍監獄看守タリシ者ヨリスル陸軍法務部現役武官ノ補充特例〇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十勅令中改正等ニ関スル件〇昭和二十年法律第四号陸軍軍法会議法中改正法律ノ一部施行期日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2] 간행물 陸軍武官官等表等を廃止する勅令を定め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3] 간행물 海軍ハ英式ニ依テ興スヘキヲ山尾民部権大丞ニ令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 간행물 海軍官名諸艦船トモ英国海軍官名録ノ通リ唱ヘシム 国立公文書館
[195] 웹사이트 JACAR:A03023322900 JACAR-A03023322900
[196] 간행물 海軍条例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97] 간행물 海軍退隠令 国立公文書館
[198] 웹사이트 JACAR:A15110505000 JACAR-A15110505000
[199] 간행물 明治初年官等表ニ掲ケサル艦長以下ノ服役年計算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0] 간행물 軍艦副長ノ称ヲ廃シ一等二等士官ヲ以テ命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1] 간행물 海軍練習ノ為メ請フテ乗艦スル者ノ月給ヲ廃ス但シ賄料ハ旧ニ依ル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 간행물 兵部省水火夫等月給額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3] 웹사이트 JACAR:A15070878800 JACAR-A15070878800
[20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889-01-26
[205] 간행물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国立公文書館
[206] 간행물 少尉以下軍曹迄ノ黜陟ハ本省ニ於テ伝達シ其以下ハ所轄ノ艦船ニ於テ伝達セシム 国立公文書館
[20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8] 간행물 海軍中等士官曹長以下ノ禄制ヲ定ム 国立公文書館
[209] 간행물 丁2号大日記 天野武三郎海兵軍曹申付件水兵本部届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0] 간행물 丁5号大日記 水勇二木小児郎外数名軍曹及伍長等の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1] 서적 英国尾栓銃練兵新式 平元氏稽古場
[212] 서적 英国尾栓銃練兵新式 平元氏稽古場
[213] 기록보관소
[214] 기록보관소 丁1号大日記 水兵本部申出 各艦裨官並押伍以下改称の件
[215] 기록보관소 測量生大木延建三浦義深外6名達 測量為演習第2丁卯艦乗組廻港申付等件
[216] 기록보관소 香山永隆外6名達 1等月俸下賜及任官等の件
[217] 기록보관소 橋爪惟馨外3名達 昇等の件
[218] 기록보관소 長田中佐外4名達 実測掛兼算術教授書取調掛申付等件
[219] 기록보관소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海軍省)
[220] 기록보관소
[221] 기록보관소 海軍武官官等改正ニ付曹長以下洋名ノ比較ヲ定ム
[222] 기록보관소 海軍武官及文官服制改定・八年十一月十二日第百六十八号ヲ以テ布告ス布告文並海軍省伺等ハ同部目ノ第二冊ニ載ス
[223] 서적
[224] 기록보관소 海兵ヲ解隊シテ水夫ニ採用シ改テ水兵ト称ス
[225] 기록보관소 海軍文武官官等表中海兵部ヲ廃ス
[226] 웹사이트 6歳で死去したレジスタンスの英雄、マルセル君に追悼の意 仏休戦記念日式典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0-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