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군은 공중 공간을 매개로 하여 항공무기 체계를 운용하는 군대로, 속도, 거리, 고도, 융통성을 특징으로 한다. 감시, 신속대응, 이동, 침투, 파괴, 생존 능력을 통해 공중전투력을 발휘하며, 항공 우세 확보, 전략 폭격, 근접 항공 지원, 정찰 및 감시, 수송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세계 최초의 항공군은 1910년 프랑스 육군 항공대였으며, 영국 왕립 공군은 최초의 독립 공군이다. 제1,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공군의 역할이 커졌으며, 냉전 시대에는 핵무기 탑재 전략폭격기 운용이 중요해졌다. 현대 공군은 국지 분쟁과 테러에 대응하며, 한국 공군은 1949년 육군에서 독립하여 창설되었고 6.25 전쟁을 거치며 성장했다. 공군 조직은 사령부, 비행단, 비행대대, 비행대, 지원 부대로 구성되며, 미래에는 자주적 억제 전력과 전략적 타격 전력을 확보하여 미래 항공우주군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군 - 제공권
    제공권은 특정 지역 상공에 대한 군사적 통제 능력을 의미하며, 항공 패권, 항공 우위 등의 수준으로 나뉘고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핵심 요소로, 줄리오 두에의 저서 《제공권》을 통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 공군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군사에 관한 - 국가 헌병
    국가 헌병은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군사 조직 기반의 민간 치안 담당 제도로, 평시에는 치안 유지 및 테러 진압, 전시에는 전투 임무를 수행하며, 국방부 또는 내무부의 통제를 받는다.
  • 군사에 관한 - 순찰
    순찰은 넓은 지역을 돌아다니며 감시하거나 경계하는 행위로, 군사, 법 집행 기관, 민간 분야에서 각기 다른 목적과 방법으로 수행된다.
공군
지도
기본 정보
유형군사 부대
역할공중전 수행
역사
주요 작전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구성 및 조직
주요 구성전투기
폭격기
수송기
헬리콥터
정찰기
공중 급유기
조기경보기
무인 항공기
지휘 및 통제공군 본부 및 관련 사령부
예하 부대비행단
비행전대
비행대
인력
군인장교 및 부사관
민간인군무원
훈련조종사, 정비사, 관제사 등
장비
주요 장비전투기
폭격기
수송기
헬리콥터
정찰기
공중 급유기
조기경보기
무인 항공기
미사일
폭탄
레이더
통신 장비
무장공대공 미사일
공대지 미사일
폭탄
기관포
작전
주요 작전 유형공중 우세 확보
지상 공격
공중 수송
정찰
탐색 구조
공중 급유
전자전
특수 작전특수 작전 지원
인도주의적 지원
관련 분야
관련 기술항공 기술
레이더 기술
통신 기술
미사일 기술
전자전 기술
관련 학문항공 우주 공학
전자 공학
컴퓨터 과학
관련 산업항공 산업
방위 산업
기타
기념일각 공군별 기념일
공군 훈장공훈에 따른 훈장 수여

2. 공군의 특성 및 역할

공군은 항공 작전 수행을 임무로 하는 군대이다. 라이트 형제의 비행 실험 성공 이후, 인간은 항공기를 이용해 지표면을 떠나 공중 기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항공은 육지나 해상의 지리적 제약을 거의 받지 않고 지구상 모든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미국의 군인 윌리엄 미첼은 항공기가 전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20] 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후방의 공격 목표(정치·경제 중추인 수도, 항만, 공항, 간선 도로 등)도 상공에서 확인되면 항공 공격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1893년 세계 콜럼버스 박람회 군사 회의에서 영국의 군인 플러튼은 해전 수행에도 공중 지배가 필요하며, 전쟁 승리는 항공대가 적 수도 상공에 도착함으로써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이탈리아의 군인 줄리오 두에에 의해 체계화되었다.[21]

이후 미국 공군에서는 핵무기 운용을 위한 전략 폭격 능력을 확대하고, 장거리 항공 지원을 위한 공중 급유기가 도입되어 더 넓은 지역에 항공 전력을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2. 1. 공군력의 특성

공군은 항공무기 체계를 수직 및 수평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공군력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26]

  • 속도: 공중에서 빠르게 이동하여 짧은 시간 안에 임무를 완수한다.
  • 거리: 지리적 장애물 없이 장거리 작전을 수행한다.
  • 고도: 다른 군대가 도달하기 어려운 높은 고도에서 작전을 수행한다.
  • 융통성: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대처한다.

2. 2. 공군의 능력

공군은 공중 공간을 통해 항공무기 체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군력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주요 능력은 다음과 같다.[26]

  • 감시: 평시와 전시를 가리지 않고 공중에서 적의 활동을 감시하는 능력이다. 레이다 및 유·무인 감시장치를 활용하여 적의 활동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획득하며, 이는 전력 운용에 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한다.
  • 신속대응: 적의 도발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분쟁을 억제하고 통제하는 능력이다. 비상대기 태세 강화, 전력 이동 배치, 무력시위 등을 통해 적에게 대응 의지를 보여줄 수 있다.
  • 이동: 변화하는 전황에 따라 전투력을 필요한 곳으로 이동, 재배치하는 능력이다. 공군은 자연적 경계를 넘어 항공무기체계를 이동할 수 있으며, 고성능 기동무기와 지원체제를 운용하여 이동 능력을 강화한다.
  • 침투: 적 방어망을 뚫고 적지에 기습적으로 침투하여 다양한 작전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파괴: 단시간 내에 화력을 집중시켜 적의 군사력을 선택적이고 광범위하게 파괴하는 능력이다.
  • 생존: 속도, 고도, 거리, 기동성, 융통성 등 공군력 고유의 특성을 활용하여 적의 공격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며 작전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2. 3. 공군의 역할

줄리오 두에는 제공권(항공 우세) 개념을 제시했다. 제공권은 특정 공역에서 항공을 독점적으로 통제하는 상태를 의미한다.[21] 제공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중전으로 적 항공기를 제거하고, 적 항공 기지를 공격해야 한다. 두에는 이러한 제공권 확립 작전을 위해 전투 부대와 폭격 부대 등으로 구성된 독립 공군 편성을 주장했다.[21]

공군의 전략적 역할은 항공 정찰, 육군 및 해군 부대 지원에서 시작하여, 제공권 확립과 전략 폭격으로 변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은 전격전을 통해 항공 부대가 근접 항공 지원으로 적 전선에 전차가 돌격하는 돌파구를 형성하도록 했다. 걸프 전쟁에서는 다국적군이 정밀 유도 무기를 활용한 전략 폭격으로 이라크군의 전투 능력을 약화시켰다.

3. 공군 역사

세계 최초의 항공군은 1910년에 결성된 프랑스 육군의 항공군(Aviation Militaire)이다.[3] 1911년 이탈리아-튀르키예 전쟁에서 이탈리아는 리비아 영토에 있는 터키군 진지에 대한 정찰 및 폭격 임무를 세계 역사상 처음으로 진행했다.[3] 이는 비행기와 비행선의 공습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상 최초의 전쟁이었다.

영국의 왕립 공군(Royal Air Force)은 세계 최초의 독립 공군이었다.[4][5] RAF는 1918년 4월 1일, 영국 육군의 왕립 비행대(Royal Flying Corps)와 왕립 해군 항공대(Royal Naval Air Service)가 합쳐져 설립되었다.

핀란드 공군(Finnish Air Force)이 세계 최초의 독립 공군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1918년 3월 6일, 에릭 폰 로젠 백작이 핀란드에 모란-솔니에르 타입 L Typ D 항공기를 제공하면서 핀란드 공군이 창설되었다.[6]

이후 여러 국가에서 독립 공군을 창설했다. 주요 국가별 독립 공군 창설일은 다음과 같다.


  • 남아프리카 공군(South African Air Force): 1920년 2월 1일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Royal Australian Air Force): 1921년 3월 31일
  • 캐나다 왕립 공군(Royal Canadian Air Force): 1924년 4월 1일
  • 뉴질랜드 왕립 공군(Royal New Zealand Air Force): 1937년 (뉴질랜드 육군에서 독립)
  • 인도 왕립 공군: 1932년 10월 8일
  • 이탈리아 왕립 공군(Italian Royal Air Force): 1923년[8]
  • 루마니아 공군(Romanian Air Force): 1924년 1월 1일[9]
  • 칠레 공군(Chilean Air Force): 1930년[10]
  • 브라질 공군(Brazilian Air Force): 1941년[11]
  • 미국 공군: 1947년[12]
  • 필리핀 공군(Philippine Air Force): 1947년
  • 아르헨티나 공군(Argentine Air Force): 1945년[13]
  • 이스라엘 공군(Israeli Air Force): 1948년 5월 18일
  • 일본 항공자위대(Japan Air Self-Defense Force): 1954년[14]


1949년 10월 1일 육군에서 독립한 한국 공군은 6.25 전쟁 발발 당시 전투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 그러나 전쟁을 거치며 전투력과 조직 규모를 꾸준히 신장시켜 1951년 9월 유엔군으로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공군으로 인정받았으며, 1952년 8월에는 미 국무·국방대학교로부터 주한미공군고문단의 정식 설치를 인가받아 조직과 전력 확장의 계기를 마련하였다.[27]

3.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대영제국, 오스만 제국은 모두 상당한 규모의 폭격기와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었다.[3] 초기에는 항공기가 주로 정찰 임무를 수행했지만, 전쟁 중반부터 전투기와 폭격기가 등장하면서 공중전이 발생했다. 이 시기에는 공중전을 지휘하는 고위 지휘관과 수많은 에이스 파일럿들이 등장했다.[3]

당시 고정익 항공기는 매우 원시적이어서 현대 자동차와 비슷한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무장과 장비도 최소한이었다. 항공 서비스는 아직 초기 단계였으며, 비교적 신뢰성이 낮은 기체와 제한적인 훈련으로 인해 초기 군용 조종사의 생존율은 극도로 낮았다.

독일은 적의 기반 시설에 대한 정규 공습을 최초로 조직한 국가였으며, 독일 공군(Luftstreitkräfte)을 통해 이를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은 비행선체펠린을 이용하여 영국 도시에 폭탄을 투하했다. 당시 영국에도 항공기가 있었지만, 영국의 비행선은 체펠린보다 성능이 떨어져 공격에 사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고, 대부분 독일 잠수함(U-boat)을 정찰하는 데 사용되었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공군은 전쟁의 주력으로 부상했으며, 제공권 확보는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3]

전쟁 초기 독일 공군은 전격전을 통해 폴란드 침공과 프랑스 전투에서 제공권을 장악하며 성공을 거두었지만,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영국 왕립 공군에게 패배하면서 아돌프 히틀러는 영국 침략 계획을 포기해야 했다.[3] 독소전쟁의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에는 독일 공군이 전격전으로 소련군을 압도했지만, 모스크바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전황이 침체되었다.

영국 본토 항공전 당시 독일의 하인켈 He 111 폭격기


계속 전쟁 당시 핀란드 공군의 메서슈미트 Bf 109 G-2 항공기


태평양 전쟁 초기, 일본의 육군 및 해군 항공 부대는 뛰어난 조종사 기량과 집중 투입을 통해 말레이 작전, 진주만 공격, 버마 전역, 필리핀 전투 (1941-1942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작전 등 남방 작전에서 영국, 미국, 네덜란드를 압도했다. 특히 진주만 공격말레이 해전을 통해 오랫동안 해군의 주력이었던 전함은 항공모함에게 그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은 미드웨이 해전에서 패배하면서 주도권을 상실했고, 이후 항복 결정까지 가미카제 특공대의 자살 공격에 의존하는 소모전을 벌였다.

전쟁 중기, 연합군은 대반격으로 전환하여 추축국을 압도하고 항공 전력으로 제공권을 확보해 나갔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후방 도시에 대한 융단 폭격이 성행하여 민간인 피해가 크게 증가했다. 결국 독일은 연합군의 전략 폭격과 지상전에 의해 무조건 항복했고, 일본은 미군의 전략 폭격과 히로시마·나가사키에 대한 원자폭탄 투하로 항복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었다.

미 공군(USAF) B-29 비행 중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미국은 약 30만 대, 소련은 약 15만 대, 다른 국가들도 수만~10만 대의 항공기를 생산하여 전장에 투입했다.

3. 3. 전간기 및 냉전 시대

전간기에는 공군력이 축소되기도 했으나, 기술 발전과 함께 다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1947년 9월 18일, 미 육군항공대가 미 공군으로 독립하였다. 주요 국가에서도 공군이라는 조직이 일반화되었다. 예외적으로 스위스오스트리아 등은 현재도 육군 소속이며, 명목상으로는 공군으로 독립하였더라도 지휘 체계상 육군의 하위에 위치한다. 또한 소련 등 동구권에서는 방공 임무를 수행하는 방공군이 공군과는 별개의 조직으로 설립되었다.[3]

일본에서는 재군비 과정에 있던 보안대(육상자위대의 전신)·경비대(해상자위대의 전신) 시대에는 전전과 마찬가지로 항공 부대는 보안대·경비대에 분속되어 있었지만, 1954년에 자위대로 개편될 때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항공자위대로 분리 독립하게 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공군의 임무로 적대국에 대한 핵무기 공격이 중시되어 각국에서 다수의 폭격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폭격기들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정비되었고, 언제든지 핵폭탄을 탑재하여 비행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었다. 전투기·폭격기 모두 1950년대에는 제트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독일에서 개발된 V2 로켓은 전후 핵폭탄을 탑재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진화했다. 이러한 공격을 탐지하고 방어하는 것도 공군의 중요한 임무가 되었다. 또한 가상 적국의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전용 정찰기가 다양하게 제작되어 운용되었다.

한편, 개발도상국에서는 전투기·폭격기를 전략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고, 가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구입하지 않고, COIN기와 같이 저렴하고 조종이 용이한 항공기가 선택되게 되었다. 이는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각지에서 좌익 게릴라 활동이 행해지게 되면서 기존의 전투기·폭격기로는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알제리 전쟁에서 프랑스가 이러한 임무의 항공기 필요성을 절감한 것도 한 원인이 되었다.

3. 4. 현대

미국 공군은 1947년 독립된 군종이 되었다.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 공군과 소련 공군 모두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전략 폭격기 부대를 증강했다. 이 기간 동안 제트 엔진, 미사일, 헬리콥터, 공중급유 등 여러 가지 기술적 발전이 널리 도입되었다.[3]

1954년 일본 항공자위대가 독립된 군종으로 창설되었다. 이전에는 일본이 육군과 해군 내에서 항공 부대를 운영했다.

1960년대에 캐나다는 왕립 캐나다 공군을 육군과 해군과 합쳐 통합된 캐나다군을 구성했으며, 항공 자산은 여러 사령부에 분산되었고 모두 녹색 제복을 착용했다. 이는 매우 인기가 없었으며, 1975년 캐나다 항공 부대는 공군 사령부라는 단일 조직 하에 단일 사령관 지휘 아래 재편되었다. 2011년 캐나다군 공군 사령부는 1960년대 이전의 이름인 왕립 캐나다 공군으로 환원되었다.

1947년 9월 18일, 미 육군항공대가 미 공군으로 독립하였다. 주요 국가에서도 공군이라는 조직이 일반화되었다. 예외적으로 스위스오스트리아 등은 현재도 육군 소속이며, 명목상으로는 공군으로 독립하였더라도 지휘 체계상 육군의 하위에 위치한다. 또한 소련 등 동구권에서는 방공 임무를 수행하는 방공군이 공군과는 별개의 조직으로 설립되었다.

일본에서는 재군비 과정에 있던 보안대(육상자위대의 전신)·경비대(해상자위대의 전신) 시대에는 전전과 마찬가지로 항공 부대는 보안대·경비대에 분속되어 있었지만, 1954년에 자위대로 개편될 때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항공자위대로 분리 독립하게 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공군의 임무로 적대국에 대한 핵무기 공격이 중시되어 각국에서 다수의 폭격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폭격기들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정비되었고, 언제든지 핵폭탄을 탑재하여 비행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었다. 전투기·폭격기 모두 1950년대에는 제트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독일에서 개발된 V2 로켓은 전후 핵폭탄을 탑재한 대륙간탄도미사일로 진화했다. 이러한 공격을 탐지하고 방어하는 것도 공군의 중요한 임무가 되었다. 또한 가상 적국의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전용 정찰기가 다양하게 제작되어 운용되었다.

한편, 개발도상국에서는 전투기·폭격기를 전략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고, 가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구입하지 않고, COIN기와 같이 저렴하고 조종이 용이한 항공기가 선택되게 되었다. 이는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각지에서 좌익 게릴라 활동이 행해지게 되면서 기존의 전투기·폭격기로는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알제리 전쟁/알제리 분쟁에서 프랑스가 이러한 임무의 항공기 필요성을 절감한 것도 한 원인이 되었다.

3. 5. 한국 공군

1949년 10월 1일 육군에서 독립한 한국 공군은 6.25 전쟁 발발 당시 전투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 그러나 전쟁을 거치며 전투력과 조직 규모를 꾸준히 신장시켜 1951년 9월 유엔군으로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공군으로 인정받았으며, 1952년 8월에는 미 국무·국방대학교로부터 주한미공군고문단의 정식 설치를 인가받아 조직과 전력 확장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한국 공군은 전쟁을 통해 개별 군종으로 거듭났으며 미 공군과 공고한 군사 관계를 맺어 전후 현대적인 공군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27]

6.25 전쟁 발발 당시, 창설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던 대한민국 공군은 전투기를 한 대도 보유하지 못했다. 미국에서 제공받은 소수의 연락기와 국민 모금으로 구매한 10대의 훈련기(T-6 건국기)가 전부였다. 일본 주둔 미 공군에서 전투기를 인수받기 위해 선발된 10명의 공군 조종사들은 제대로 된 교육도 받지 못한 채, 목숨을 걸고 비행기를 몰아 귀국해야 했다. 이들은 빠르게 진격해오는 적을 막기 위해 조종석 뒷좌석에서 직접 폭탄을 투하하기도 했다. 부족한 조종사와 전투기에도 불구하고 한국 공군은 비행장을 옮겨 다니며 전투에 참가했다. 초반에는 독자적인 작전 수행을 인정받지 못했지만, 1950년 9월 조종사들과 공군 장병들의 노력으로 미 공군 주관 전투준비 검열(ORI)을 통과하며 단독 작전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한국 공군은 다양한 작전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UN과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지원을 받기 위해 한국 공군은 승호리 철교 폭파 작전을 성공시켜 능력을 증명하였다.

전쟁이 끝날 무렵 한국 공군은 UN의 지원을 받아 성장하였다.

일부 공군은 특수부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투 수색 구조, 특수 정찰, 직접 행동, 대테러 작전, 정보 작전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지상 및 특수 작전 부대에 배속된 공중 근접 지원 통제관으로서 활동한다.

4. 공군 조직 및 편제

공군 조직 및 편제는 국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일부 공군(예: 미국 공군, 영국 공군)은 사령부, 그룹 및 비행대로 나뉘지만, 다른 공군(예: 소련 공군)은 육군식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대 캐나다 왕립 공군은 비행단과 전체 공군 사령부 사이에 공군 사단을 사용하며, 영국 공군(RAF)과 마찬가지로 캐나다 비행단은 비행대로 구성된다. 중국의 경우 공군 본부는 사령부, 정치부, 물류부, 장비부의 네 부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인민해방군의 네 가지 일반 부서를 반영한다. 본부 아래에는 군구 공군(MRAF)이 사단(전투기, 공격기, 폭격기)을 지휘하고, 사단은 다시 연대와 비행대를 지휘한다.[15]

부대의 편제는 국가와 시대, 장비 기종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최소 단위인 2기 편대를 분대(Section, Element), 2개 분대가 모인 것을 소대(Flight, Platoon), 여러 개의 소대가 모인 것을 비행대대/비행중대(Squadron)라고 한다. 이들 분대, 소대, 비행대대/비행중대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종으로 편제된다. 이러한 비행대대는 항공군/비행군/비행전대/항공대(Group)로 구성되며, 정비대, 보급대, 방공대, 시설대, 경비대, 항공관제단 등으로 이루어진 지원 임무 부대와 전속 사령부를 포함하여 독자적인 작전 행동이 가능한 항공단/비행단(Wing)이 된다. 전투기를 주력 전력으로 하는 항공단/비행단은 전투항공단/전투비행단(Combat wing, Fighter wing)이라고 부른다. 2개 이상의 항공단/비행단으로 편제된 부대가 항공사단/비행사단(Air division)이며, 이것은 임무에 따라 다양하게 개편될 수 있다.

공군에는 항공기의 정비·보급에 종사하는 부대, 비행장을 운영하는 부대도 포함된다. 비행장 방위에 종사하는 부대는 공군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바그다드 국제공항에서 호주 공군 기지 방어 경비대원 2명(왼쪽과 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미국 공군 보안경찰대원 2명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에서는 공군의 지휘하에 방공부대와 공수부대(낙하산병), 보병부대(공군 야전 사단)도 존재했다. 현재에도 미국 공군(공군 경비대)이나 영국 공군(공군 연대) 등에서는 기지·비행장 경비를 주임무로 하는 대규모 지상부대를 편성하고 있다.

4. 1. 일반적인 공군 조직

일반적으로 공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5]

NATO 기호
(육군 비교)
부대 명칭
(USAF/RAF/기타 공군)
인원 수항공기 수하급 부대 수
(USAF/RAF)
지휘관
(USAF/RAF)

전투 사령부[16] 또는 국가 공군전체 공군전체 공군모든 주요 사령부 / 사령부GAF / MRAF 또는 Air Chf Mshl

--
주요 사령부/사령부 또는 전술 공군
/ 러시아 공군[17]
다양함다양함지역 또는 임무에 따라 다양함Gen/Air Chf Mshl 또는 Air Mshl

--
번호가 매겨진 공군/RAF에 해당하는 부대 없음지역 또는 임무에 따라 다양함다양함2개 이상의 비행단/그룹Maj-Gen 또는 Lt-Gen / 해당 없음

--
USAF에 해당하는 부대 없음/RAF에 해당하는 부대 없음
/항공 사단 /공군 사단
지역 또는 임무에 따라 다양함다양함2개 이상의 비행단/그룹Maj-Gen 또는 Div-Gen

--
비행단/그룹 (EAGs 포함)
/러시아 항공 여단/공군 여단
1,000–5,00048–1002개 이상의 그룹/비행단Brig-Gen/AVM 또는 Air Cdre

--
그룹/비행단 (EAWs 포함) 또는 기지
/러시아 항공 연대
300–1,00017–483–4 비행대대/3–10 비행대Col/Gp Capt 또는 Wg Cdr

--
비행대대100–3007–163–4 비행대Lt Col 또는 Maj/Wg Cdr 또는 Sqn Ldr

--
USAF에 해당하는 부대 없음/RAF에 해당하는 부대 없음
/독일 슈타펠[18] 또는 에셀롱[19]
40–1606-121-2 비행대 + 정비 및 지원 인원Capt 또는 참모 대위

--
비행대20–1004–62 소대 + 정비 및 지원 인원Capt/Sqn Ldr 또는 Flt Lt

--
요소 또는 소대5–20해당 없음–2해당 없음소위 또는 상사

--
파견대2–4해당 없음해당 없음하사관



부대의 편제는 국가와 시대, 장비 기종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최소 단위인 2기 편대를 분대(Section, Element), 2개 분대가 모인 것을 소대(Flight, Platoon), 여러 개의 소대가 모인 것을 비행대대/비행중대(Squadron)라고 한다. 이들 분대, 소대, 비행대대/비행중대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종으로 편제된다. 이러한 비행대대는 항공군/비행군/비행전대/항공대(Group)로 구성되며, 정비대, 보급대, 방공대, 시설대, 경비대, 항공관제단 등으로 이루어진 지원 임무 부대와 전속 사령부를 포함하여 독자적인 작전 행동이 가능한 항공단/비행단(Wing)이 된다. 전투기를 주력 전력으로 하는 항공단/비행단은 전투항공단/전투비행단(Combat wing, Fighter wing)이라고 부른다. 2개 이상의 항공단/비행단으로 편제된 부대가 항공사단/비행사단(Air division)이며, 이것은 임무에 따라 다양하게 개편될 수도 있다.

공군에는 항공기의 정비·보급에 종사하는 부대, 비행장을 운영하는 부대도 포함된다. 비행장 방위에 종사하는 부대는 공군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에서는 공군의 지휘하에 방공부대와 공수부대(낙하산병), 보병부대(공군 야전 사단)도 존재했다. 현재에도 미국 공군(공군 경비대)이나 영국 공군(공군 연대) 등에서는 기지·비행장 경비를 주임무로 하는 대규모 지상부대를 편성하고 있다.

4. 2. 대한민국 공군 편제

대한민국 공군은 참모총장을 정점으로 하여, 공군작전사령부, 공군군수사령부, 공군교육사령부 등 다양한 부서와 직할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4. 2. 1. 부서

공군 참모총장 예하에는 감찰실, 정훈공보실, 시설실, 비서실, 법무실, 군종실, 의무실이 있다. 공군 참모차장 예하에는 기획관리참모, 인사참모, 정보작전지원참모, 군수참모, 정보화기획실이 있다.

4. 2. 2. 직할부대


  • 항공안전단
  • 전력지원체계사업단
  • 항공우주전투발전단
  • 역사기록관리단
  • 정보체계관리단
  • 공군기상단
  • 공군경찰단
  • 공군검찰단
  • 항공우주의료원
  • 공군사관학교
  • 제53특수비행전대
  • 제91항공공병전대

4. 2. 3. 주요 사령부

주어진 소스에는 ``과 ``라는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 사용되었고, 요약에 제시된 내용 외에는 구체적인 정보가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와 요약만을 사용하여 내용을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군작전사령부, 공군군수사령부, 공군교육사령부가 주요 사령부이다.

5. 미래 공군 발전 방향

미래의 전장 운영 개념을 바탕으로 한 공군의 발전 목표는 자주적 억제 전력과 전략적 타격 전력을 확보하고, 불특정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전력을 확보하여 전략형 공군력을 건설함으로써 미래 항공우주군으로 도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래 공군의 전력 체계는 정보, 감시, 정찰 체계와 첨단 C4I 체계 및 정밀 타격 체계를 서로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전투력 상승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메타 체계 개념에 의해 구축될 것이다.[28]

참조

[1] 웹사이트 Air Warfare https://www.rand.org[...] 2020-12-31
[2] 웹사이트 Air Force Reserve https://afreserve.co[...] 2020-12-31
[3] 서적 Rhetoric and Reality in Air Warfare
[4] 서적 The Politics of Air Power, From Confrontation to Cooperation in Army Aviation Civil-military Relations https://www.google.c[...]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4
[5] 웹사이트 Royal Air Force 90th Anniversary http://www.royal-air[...] 2010-01-16
[6] 서적 1969
[7] 서적 2005
[8] 웹사이트 UNA NUOVA FORZA ARMATA AUTONOMA http://www.aeronauti[...]
[9] 웹사이트 Anul 1920 http://www.roaf.ro/?[...]
[10] 웹사이트 Hitos Históricos de la Fuerza Aérea de Chile https://www.fach.mil[...]
[11] 법률 Decreto-lei nº 3.302, de 22 de maio de 1941.Dá nova denominação às Forças Aéreas Nacionais e aos seus estabelecimentos http://www2.camara.l[...] 1941-05-22
[12] 웹사이트 Factsheets: The U.S. Air Force https://web.archive.[...] 2008-12
[13] 웹사이트 Nuestra Historia – Fuerza Aérea Argentina https://www.argentin[...]
[14] 웹사이트 Orbats – Scramble https://web.archive.[...] 2016-03-25
[15] 서적 IISS Military Balance 2012
[16] 서적 FM 1-02 Operational Terms and Graphics US DoD 2004-09-21
[17] 웹사이트 Red Army VVS Organisation http://www.airpages.[...]
[18] 서적 APP-6C NATO Joint Military Symbology NATO 2011-05
[19] 서적 APP-6 Military Symbols for Land Based Systems NATO 1986-07
[20] 서적 Winged defense the development and possibilities of modern air power-- economic and military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009
[21] 서적 制空 1921
[22] 서적 Gunjigaku nyūmon. https://www.worldcat[...] かや書房 1999
[23] 웹사이트 Royal Air Force https://www.raf.mod.[...] 2022-03-01
[24] 웹사이트 フランス革命「場面・事件」の解説- 専修大学 www.senshu-u.ac.jp/l[...]
[25] 백과사전 다음 글로벌 세계 대백과 공군
[26]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7] 논문 6.25 전쟁기 한국공군의 성장과 미공군 제 6416부대의 지원 2023-10-30
[28] 논문 공군의 발전방향과 항공산업 육성 2023-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