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공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공석은 제주 출신으로, 수나라 말기 농민 반란에 참여하여 두복위의 부관으로 활동했다. 당나라에 투항하여 수공작에 봉해졌으나, 두복위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스스로 송나라 황제를 칭하며 세력을 키웠지만, 당나라 군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4년 사망 - 멜리투스
7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멜리투스는 런던의 첫 번째 주교이자 캔터베리의 세 번째 대주교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파견되어 기독교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화재를 진화시킨 기적으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624년 사망 - 래드왈드
래드왈드는 7세기 초 동앵글리아 왕국의 왕으로, 기독교 세례를 받았음에도 이교 신앙과 기독교 신앙을 모두 숭배했으며, 에드윈을 보호하고 노섬브리아 왕위에 올리는 데 기여하여 "앵글인의 왕"으로 칭송받았고 서턴 후 묘지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 수말당초의 군벌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수말당초의 군벌 - 두건덕
두건덕은 수나라 말기 농민 반란 지도자로서 고사달의 휘하에서 세력을 키워 하왕을 칭하며 하북 지방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으나 당나라 이세민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고, 그의 세력은 유흑달에 의해 계승되었다. - 지난시 출신 - 이청조
이청조는 송나라 시대의 여류 시인으로, 완약파 시풍을 통해 섬세한 감성을 표현했으며, 연애, 자연, 시대적 고난 등을 시에 담아 중국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지난시 출신 - 신기질
신기질은 남송의 장군이자 시인으로, 금나라에 저항하는 의병 활동 후 남송에 귀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북벌 정책으로 인해 주류 세력과 갈등하며 파직과 복직을 반복했고, 만년에는 은거하며 호방하고 비장미 넘치는 가사풍의 시를 썼으며 소식과 함께 "소신"으로 불린다.
보공석 | |
---|---|
기본 정보 | |
본관 | 부 (輔) |
휘 | 공석 (公祏) |
사망일 | 624년 |
통치 정보 | |
통치 기간 | 623년–624년 |
왕조 | |
왕조 | 송 (宋) |
2. 초기 봉기
부공석은 제주(齊州, 대략 오늘날의 지난 시, 산둥 성) 출신이었다. 그는 어릴 적부터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두복위와 절친한 친구 사이였다. 부공석은 종종 삼촌의 양을 훔쳐 두복위에게 주곤 했는데, 이 일로 두 사람 모두 관청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결국 이들은 도망쳐 613년 무렵 수나라의 폭정에 맞서 농민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군 내에서 두복위가 주요 지도자로 부상하자, 부공석은 그의 핵심 부관으로 활동했다. 613년, 부공석은 두복위의 지시에 따라 다른 반란 지도자였던 묘해초(苗海潮)를 설득하여 두복위 휘하로 들어오게 만들었다. 또한, 또 다른 반란 지도자 조파진(趙破陳)을 기습하여 제거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수 양제가 618년에 사망한 후, 두복위는 이자통, 선법흥, 진릉(陳稜) 등 여러 경쟁 세력과 함께 양쯔강 하류 지역의 패권을 다투었다. 그러나 619년 이자통에게 패배하면서 당나라에 투항하기로 결정했다.
622년 이부위가 당 고조에게 충성을 보이기 위해 장안으로 떠나 사실상 억류되자, 단양에 남은 부공석은 좌유선의 부추김을 받아 반란을 계획했다. 그는 군권을 쥐고 있던 왕웅단을 계략으로 제거하고 군대를 완전히 장악하였다.
3. 당나라 귀순
당 고조 이연은 두복위의 투항을 받아들이고 그를 해당 지역의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620년 여름에는 두복위를 오왕(吳王)으로 봉하고 황실의 성씨인 이(李)씨를 하사하며 그 지역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인정했다. 이때 부공석은 수공작(舒公爵)에 봉해지고 두복위의 부관이 되었다.
같은 해 말, 두복위는 부공석에게 군대를 이끌고 경쟁자인 이자통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이 과정에서 두복위가 양아들로 삼은 왕웅탄(王雄誕)과 감릉(闞稜)이 부공석을 보좌하게 되었다. 부공석은 단양(丹陽)을 점령하고 초기 전투에서 이자통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으나, 이자통의 반격 이후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교전을 피했다. 부공석의 명령과는 달리 왕웅탄은 독자적으로 군대를 이끌고 반격에 나서 이자통 군대를 크게 격파했다. 패배한 이자통은 도주하여 선법흥의 영토를 점령했으며, 이자통이 기존에 다스리던 영토는 두복위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
4. 당나라에 대한 반란
623년 가을, 부공석은 이부위가 당 고조에게 억류된 상태에서 자신에게 비밀리에 반란을 명령했다는 명분을 내세워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스스로 송(宋)의 황제를 칭했으며, 이전에 당나라에 항복했던 또 다른 반란 지도자 장산안을 설득하여 자신의 세력으로 끌어들였다. 당시 장산안은 현재의 강서성 북부와 호북성 동부 일대를 장악하고 있었다. 부공석의 반란 소식을 들은 당 고조는 즉시 토벌군을 파견했는데, 황족인 이효공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이정, 황군한, 이세적 등을 휘하 장수로 삼아 부공석 진압에 나섰다. 그러나 623년 겨울, 장산안이 당나라 장수 이대량에게 생포되면서 부공석은 중요한 측면 지원 세력을 잃게 되었다.
4. 1. 배경
한편, 두복위(杜伏威, 당시 이름은 이부위(李伏威))와 부공석 사이에는 점차 갈등이 깊어지고 있었다. 수년간 군대는 두 사람의 끈끈한 우정을 바탕으로 두복위를 아버지로, 부공석을 숙부로 존경해왔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두복위는 군사들이 부공석을 따르는 것에 의심을 품기 시작했고, 점차 왕웅단(王雄誕)과 간릉(闞稜)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며 실질적인 군대 지휘를 맡겼다. 부공석은 두복위가 자신을 의심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불만을 품었지만, 겉으로는 군무에 관심을 잃은 척하며 친구인 좌유선(左遊仙)과 함께 연금술 연구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였다.
622년, 두복위는 당 고조가 자신의 충성심을 의심할 것을 염려하여, 간릉을 데리고 당나라의 수도인 장안으로 가서 직접 황제를 만나 경의를 표하기로 결정했다. 장안으로 떠나기 전, 그는 군대의 지휘권을 부공석에게 맡기고 왕웅단을 부관으로 임명했다. 하지만 그는 왕웅단에게 비밀리에 "내가 만약 아무런 해를 입지 않는다면, 부공석이 경거망동하지 못하도록 잘 감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두복위가 장안에 도착하자 당 고조는 그를 극진히 대우하여 황제와 동석하게 하고, 다른 자리에서는 자신의 아들인 이원길보다도 높은 예우를 표했다. 그러나 고조는 두복위와 간릉이 단양(丹陽, 현재의 난징)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간릉에게는 장군직을 제수했다.
두복위가 단양을 비우자, 좌유선은 부공석에게 반란을 부추겼다. 하지만 실질적인 군권은 왕웅단이 쥐고 있었기 때문에, 부공석은 계략을 꾸몄다. 그는 왕웅단에게 두복위가 그의 충성심을 의심한다는 거짓 정보를 흘렸다. 이에 분개한 왕웅단이 군 지휘권을 내려놓자, 부공석이 즉시 군권을 장악했다. 이후 부공석은 왕웅단에게 자신의 반란 계획에 동참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자신이 속았음을 깨달은 왕웅단이 협력을 거부하자, 부공석은 결국 그를 교살했다.
4. 2. 반란의 전개
이부위와 부공석 사이에는 점차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었다. 오랫동안 군대는 두 사람의 끈끈한 관계를 바탕으로 이부위를 아버지처럼, 부공석을 숙부처럼 존경해왔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부위는 군대 내 부공석의 영향력을 경계하기 시작했고, 왕웅단과 간릉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며 실질적인 군 지휘를 맡겼다. 자신을 향한 의심을 감지한 부공석은 불만을 품었지만, 겉으로는 군무에 대한 관심을 잃은 척하며 친구 좌유선과 함께 연금술 연구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였다.
622년, 이부위는 당 고조의 의심을 불식시키기 위해 간릉과 함께 당나라 수도 장안으로 향하여 충성을 표했다. 떠나기 전, 그는 부공석에게 군 지휘를 맡기면서 왕웅단을 부관으로 임명했다. 이때 이부위는 왕웅단에게 은밀히 "내가 장안에서 무사하다면, 부공석이 경거망동하지 못하게 하라"고 당부했다. 장안에 도착한 이부위는 당 고조로부터 황제와 자리를 함께하는 등 극진한 대우를 받았고, 심지어 고조의 아들인 제왕 이원길보다 높은 예우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당 고조는 이부위와 간릉을 단양으로 돌려보내지 않고 사실상 억류했으며, 간릉에게는 장군직을 제수했다.
이부위가 단양을 비우자 좌유선은 부공석에게 접근하여 반란을 부추겼다. 당시 군대의 실질적인 지휘권은 왕웅단이 쥐고 있었기에, 부공석은 계략을 꾸몄다. 그는 이부위가 왕웅단의 충성심을 의심하고 있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려 왕웅단을 속였다. 이에 분개한 왕웅단이 군 지휘권을 내려놓자 부공석은 즉시 그 자리를 차지했고, 이후 왕웅단에게 반란에 동참할 것을 설득하려 했다. 자신이 속았다는 사실을 깨달은 왕웅단이 협력을 거부하자, 부공석은 그를 교살하여 제거했다.
623년 가을, 부공석은 이부위가 당 고조에게 억류되어 자신에게 비밀리에 반란을 명령했다는 명분을 내세워 마침내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스스로 송(宋)나라 황제를 칭했으며, 이전에 당나라에 항복했던 또 다른 반란 지도자 장산안을 설득하여 자신의 휘하로 끌어들였다. 당시 장산안은 현재의 강서성 북부와 호북성 동부 일대를 장악하고 있었다. 부공석의 반란 소식을 들은 당 고조는 즉시 토벌군을 파견했다. 황실의 종친인 이효공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이정, 황군한, 이세적 등을 휘하 장수로 삼아 부공석 진압에 나섰다. 623년 겨울, 장산안이 당나라 장수 이대량에게 생포되면서 부공석은 중요한 측면 지원 세력을 잃게 되었다.
5. 패배와 죽음
몇 달 동안 당과 부공석의 송나라 군대는 국경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효공과 이정이 이끄는 당의 주력군이 다가오자, 부공석은 장수 풍혜량(馮慧亮)과 진당세(陳當世)에게 안후이성 마안산의 박망산(博望山)에 방어 진지를 구축하게 하여 당군의 공격에 대비했다. 부공석은 풍혜량과 진당세에게 당군과의 직접적인 교전을 피하고 시간을 끌어 당군의 사기를 떨어뜨리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이효공은 송나라 군대의 식량 보급로를 차단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보급이 끊기자 풍혜량과 진당세는 원래의 방어 전략을 포기하고 이효공의 군대에 맞서 싸울 수밖에 없었다. 당시 이효공의 부하 장수들 대부분은 풍혜량과 진당세의 군대가 강하다고 판단하여, 이들을 직접 상대하기보다는 우회하여 송의 수도인 단양을 바로 공격하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정은 박망산의 적을 먼저 격파하지 않으면 견고하게 요새화된 단양을 쉽게 포위 공격할 수 없을 것이라며 반대 의견을 냈다.
이효공은 이정의 의견에 동의하여 풍혜량과 진당세의 군대와 직접 교전했다. 이 전투에서 당군은 승리했고, 송나라 군대는 간행이 당나라 편에 서서 싸우는 것을 보고 사기가 크게 떨어졌다. 결국 풍혜량과 진당세는 패배하여 단양으로 도망쳤다.
이효공과 이정은 즉시 군대를 이끌고 단양으로 추격했다. 패배 소식과 당군의 추격에 두려움을 느낀 부공석은 수도 단양을 버리고 동쪽으로 도주했다. 그는 항저우만 근처의 요새 도시인 회계(현대의 사오싱)로 가서 좌유선에게 의지하려 했다. 그러나 도주하는 과정에서 부공석의 군대는 계속해서 탈영했고, 그가 장쑤성 창저우에 도착했을 때는 약 500명의 병사만이 남아 있었다.
창저우에서 부하 장수 오소(吳騷)는 부공석을 사로잡아 당나라에 항복할 계획을 세웠다. 이를 눈치챈 부공석은 100명도 채 남지 않은 호위병들과 함께 다시 도망쳤다. 저장성 후저우의 우캉 지역에 이르렀을 때, 그는 그곳 주민들의 공격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측근 서문군의(西門君儀)가 전사했고, 부공석 자신도 사로잡히는 신세가 되었다.
부공석은 단양으로 압송되었고, 결국 이효공에 의해 처형되었다. 죽기 직전, 부공석은 간행 역시 자신의 반란 음모에 가담했다고 진술했다. 이전부터 간행의 재산 몰수 문제로 그와 갈등을 겪고 있던 이효공은 이 진술을 빌미로 간행 또한 처형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4-06
[2]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