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케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케오주는 라오스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사파이어 채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1983년 루앙남타 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태국, 미얀마,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보케오 주는 라오스에서 가장 작은 주 중 하나로, 2015년 기준 179,243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34개의 다양한 민족 집단이 공존한다. 경제적으로는 골든 트라이앵글 특별경제구역(GT SEZ)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옥수수 생산과 귀금속 채굴도 이루어진다. 보케오 자연보호구는 흑두루미긴팔원숭이를 보호하며, 메콩 강은 주요 교통로이자 경제적 자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주 - 세콩주
세콩 주는 라오스 남동부에 위치한 주로, 1984년 사라완 주와 아타푸 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낮은 인구 밀도, 다양한 소수 민족, 높은 산림 피복률, 풍부한 수자원, 열악한 교통 인프라, 독특한 직물 공예, 그리고 국제적으로 중요한 조류 지역과 보호 구역을 특징으로 한다. - 라오스의 주 - 캄무안주
캄무안주는 라오스 중부에 위치한 주로, 삼림이 우거진 산악 지형이며, 주도 타케크는 메콩 강에 위치하고, 탐콩롤 동굴 등 다양한 자연 명소와 라오스바위쥐와 같은 희귀 동물의 서식지를 포함하며, 2015년 인구는 39만 명 이상이고 9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담배 생산 지역이다.
보케오주 | |
---|---|
지도 정보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보케오 주 |
로마자 표기 | Bokeo |
라오어 표기 | ບໍ່ແກ້ວ |
라오어 발음 | bɔ̄ː kɛ̂ːw |
국가 | 라오스 |
수도 | 반 후아이싸이 |
지리 | |
면적 | 6,196 제곱킬로미터 |
인구 | |
총 인구 | 203,468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0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
시간대 | ICT |
UTC 시간대 | +7 |
행정 | |
ISO 코드 | LA-BK |
기타 정보 | |
HDI (2017년) | 0.557 |
HDI 순위 | 13위 |
2. 역사
보케오라는 이름은 후아이사이 지구에서 채굴되는 사파이어에서 유래했다.[3] 1458년에 세워진 비석이 왓 좀 카오 마닐랏에 남아있다. 1880년 티크 나무를 사용하여 샨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탑이 있다. 프랑스 식민 제국의 유물인 카르노 요새는 현재 라오스 군 소유이다.[3]
보케오 주는 라오스에서 가장 작은 주[4]이며, 면적은 6196km2이다.[5] 북동쪽으로 루앙남타 주, 동쪽으로 우돔사이 주, 남쪽으로 사이냐불리 주와 접한다. 남서쪽은 태국, 서쪽과 북서쪽은 미얀마와 국경을 접한다. 주요 정착지로는 후아이사이, 몽린, 반 타카테, 반 므엉홍, 반 하 리 타이, 반 카이 산, 반 남 쿠엥, 반 롱, 반 파웅 등이 있다. 남응아 강은 보케오 자연보호구역을 흐르며, 태국과 미얀마와 국경을 이루는 메콩 강 사이에 위치하고 중국과의 무역로에도 있다.[2] 톤푸엉 군에 있는 돈사오 섬은 건기에 본토와 연결된다.
보켕중국어의 2015년 기준 인구는 36개의 군(Township)과 400개가 넘는 마을에 179,243명이었다.[8] 아카족, 몽족, 카무족, 칼롬족, 쿠이족, 라멧족, 라오후아이족, 미엔족, 무소에족, 응고족, 파이족, 푸타이족, 프완족, 프반족, 삼타오족, 샨족, 타호이족, 타이뎅족, 타이담족, 타이카오족, 타이루족, 타이나이족 및 중국계를 포함한 34개의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앙남타주 다음으로 국가 내에서 두 번째로 민족 다양성이 높은 곳이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민족은 란텐족, 몽족, 라후족, 야오족, 아카족, 타이루족이다.[9] 미얀마와 태국의 북부 민족 집단의 일부인 티베트-버마어를 사용하는 라후족도 이 지역에 다수 거주하고 있다.[3]
골든 트라이앵글 특별경제구역(GT SEZ)이 보케오주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10] 주도인 후아이사이는 주 경제 활동의 중심지이며,[2] 주는 라오스의 주요 옥수수 생산 지역 중 하나이다.[13] 귀금속과 금의 상업적 채굴 또한 주요 경제 활동이다. 반 남콕과 반 후이 살라는 각각 보케오 마을에서 약 6km과 1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주목할 만한 광산 지역이다.[5] 후아이사이 지구의 부하이 산업 주식회사는 사파이어를 채굴한다. 많은 라탄족 마을은 전통적인 사 종이와 기타 공예품 생산으로 유명하다.[9]
1983년 루앙남타 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1992년 팍타와 파 우돔 현이 우돔사이 주에서 보케오 주로 편입되었다. 과거 중국 윈난성과 태국 사이의 교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3]
3. 지리
주도인 후아이사이군(후아이사이)은 메콩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태국 및 태국을 경유하는 유럽과 미국 등 서구권 여행객들의 왕래와 태국산 생필품의 라오스 북부로의 집산·유통 도시로 번영하고 있다. 태국 측 도시 이름은 치앙콩이다.
2013년 12월 후아이사이 하류 약 10㎞ 지점에 제4 태국-라오스 친선 다리가 완공되어 개통되었기 때문에, 외국인들은 이 다리만 이용하게 되었다. 현재는 기존의 나룻배를 이용한 태국 치앙콩에서의 국경 횡단은 현지 주민만 가능하다. 태국 측에서 이 국경을 넘으려면 라오스 측 이민국에서 현지 발급 비자를 받을 수 있으므로, 특별히 사전에 비자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라오스에 입국할 수 있다. 많은 여행객들이 태국 측에서 이 국경을 넘어 라오스에 입국하여 메콩강 수로 또는 육로로 라오스의 다른 도시(루앙프라방, 루앙남타, 비엔티안)로 이동할 수 있다.
현재 태국과의 국경에 있는 후아이사이에서 인접한 루앙남타에 있는 중국과의 국경에 이르는 3번 국도 정비 프로젝트(남북 경제 회랑)가 진행 중이며, 이 프로젝트가 2007년 말에 완료되면 태국 국경에서 중국 국경까지 3~4시간 만에 주행 가능한 2차선 아스팔트 도로가 정비될 예정이다.
미얀마와 라오스의 국경은 현재 페리로만 건널 수 있지만, 이민국이 없어 양국 국민 이외의 여행자는 이동할 수 없다.
4. 행정 구역
코드 명칭 라오어 인구 (2015) 5-01 후아이사이 ເມືອງຫ້ວຍຊາຍ 70,170 5-02 톤펭 ເມືອງຕົ້ນເຜິ້ງ 34,476 5-03 므엉 ເມືອງເມິງ 14,506 5-04 파우돔 ເມືອງຜາອຸດົມ 40,909 5-05 팍타 ເມືອງປາກທາ 19,182
5. 인구
6. 경제
메콩 강에 서식하는 파 베욱(Paa beuk) 메기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어 중 하나로, 길이가 3m에 달하고 무게는 최대 300kg에 이른다. 높은 시장 가격으로 인해 경제적 자원으로 여겨지며, 이 멸종 위기 어류의 고기는 진미로 여겨진다.[3]
6. 1. 골든 트라이앵글 특별경제구역 (GT SEZ)
2007년, 중국 부유층 부부인 저우웨이와 수 구이친이 소유한 킹스 로만스 그룹은 메콩 강변 10000ha 부지에 99년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10] 이 회사는 이 중 3000ha를 무관세 구역으로 할당받았고, 현재는 이곳이 특별경제구역이 되었다. 중국에서 도박이 불법이고 이 특별경제구역이 중국에서 자동차로 2시간 거리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카지노와 호텔이 건설되었다.[11] 중국인 관광객 무역을 중심으로 멸종 위기 동물 밀매와 관련된 산업이 성장했다.[12] 2018년 1월, 미국 재무부는 인신매매, 아동 매춘, 마약 밀매, 야생 동물 밀매 등 불법 활동에 연루된 저우웨이의 초국가적 범죄 조직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10]
7. 보호 구역
보케오 자연보호구는 1997년에 발견되어 이전에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흑두루미긴팔원숭이를 보호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코끼리와 들소가 이곳을 통과하며 이동하고,[6] 곰과 호랑이도 서식한다.[6] 이 보호지역은 혼합 활엽수림과 산악 지형(고도 500m~1500m)이 특징이다.[6] 보호구의 면적은 1360km2이며, 보케오 주에 660km2, 루앙남타 주에 700km2가 포함된다. 이곳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한 서부 흑두루미긴팔원숭이가 주요 보호 종이다. 예비 조사에 따르면, 특히 무인도인 남칸 강과 그 지류 주변의 긴팔원숭이 개체 수가 상당하다. 이 프로젝트는 프랑스 기업가 장 프랑수아 뢰모(Jean Francois Reumaux)가 지원하는 긴팔원숭이 체험 프로젝트(Gibbon Experience Project)이다.[6] 긴팔원숭이 체험은 토착 흑두루미긴팔원숭이가 발견된 후 생겨난 보존 프로젝트이다. 이 보존 프로그램은 숲 속의 캐노피 헛(매우 큰 헛이 4개 있다)에서 흑두루미긴팔원숭이를 관찰하고, 캐노피 수준에서 열대우림을 체험하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폭포 긴팔원숭이 체험은 남응아 강을 따라 보호구 깊숙한 곳까지 3시간 동안 하이킹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6]
긴팔원숭이 외에도, 보호구에서 보고된 야생 동물은 큰뿔새, 회색머리잉꼬, 회색잎원숭이, 사향고양이, 호랑이, 소형 고양잇과 동물, 들개, 곰(두 종류), 수달, 사슴, 그리고 야생 소(가우르)이다.[6]
10980ha의 상부 라오 메콩 국제 중요 조류 지역(IBA)은 보케오, 우돔사이, 사이냐불리 주에 걸쳐 펼쳐져 있다. 고도는 300m~400m이다. 지형은 강 수로, 노출된 강바닥, 모래톱, 모래와 자갈톱, 섬, 암석 노두, 관목지, 그리고 꼬인 개울이 특징이다. 확인된 조류상에는 검은배제비갈매기, 큰가마우지, 회색머리물떼새, 저든덤불찌르레기, 갈색목제비, 강물떼새, 작은칼새, 그리고 큰고니가 포함된다.[7]
8. 교통
후아이사이군(후아이사이군)은 메콩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태국 및 태국을 경유하는 유럽과 미국 등 서구권 여행객들의 왕래와 태국산 생필품의 라오스 북부로의 집산·유통 도시로 번영하고 있다. 태국 측 도시 이름은 치앙콩(치앙콩)이다.[1]
2013년 12월 후아이사이 하류 약 10km 지점에 제4 태국-라오스 친선 다리가 완공되어 개통되었다. 따라서 외국인들은 이 다리만 이용하게 되었다. 현재는 기존의 나룻배를 이용한 태국 치앙콩에서의 국경 횡단은 현지 주민만 가능하다. 태국 측에서 이 국경을 넘으려면 라오스 측 이민국에서 현지 발급 비자를 받을 수 있으므로, 특별히 사전에 비자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라오스에 입국할 수 있다. 많은 여행객들이 태국 측에서 이 국경을 넘어 라오스에 입국하여 메콩강 수로 또는 육로로 라오스의 다른 도시(루앙프라방, 루앙남타, 비엔티안)로 이동할 수 있다.[1]
현재 태국과의 국경에 있는 후아이사이에서 인접한 루앙남타(루앙남타)에 있는 중국과의 국경에 이르는 3번 국도 정비 프로젝트(남북 경제 회랑)가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가 2007년 말에 완료되면 태국 국경에서 중국 국경까지 3~4시간 만에 주행 가능한 2차선 아스팔트 도로가 정비될 예정이다.[1]
미얀마와 라오스의 국경은 현재 페리로만 건널 수 있지만, 이민국이 없어 양국 국민 이외의 여행자는 이동할 수 없다.[1]
9. 랜드마크
후아이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랜드마크가 있다.
- 왓 참카오 마닐랏(Wat Chamkao Manilat)
- 왓 죤 카오 마닐랏(Wat Jom Khao Manilat): 1880년에 티크 나무로 샨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14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비석이 있다.
- 왓 타드수반나 프카캄(Wat Thadsuvanna Pkakham): 여덟 개의 금박을 입힌 불상이 있다.
- 왓 코네케오 사이야람(Wat Khonekeo Xaiyaram): 빨강, 금색, 초록색 문과 기둥이 있다.
- 왓 케오폰 사반타나람(Wat Keophone Savanthanaram): 닭장 철망 뒤에 누워있는 불상이 있다.
- 카르노 요새(Fort Carnot): 프랑스 식민 제국의 역사적 유물이나 현재는 파괴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Introducing Bokeo Province
https://web.archive.[...]
2012-11-30
[3]
웹사이트
Bokeo Province: Overview
https://web.archive.[...]
2012-12-06
[4]
웹사이트
Home
https://web.archive.[...]
Official website of Laos Tourism
2013-01-07
[5]
웹사이트
Bokeo Province
https://web.archive.[...]
Lao Tourism
2012-12-01
[6]
웹사이트
A scoping mission to Nam Kan National Protected Area, Lao PDR
https://web.archive.[...]
Arcus Foundation: Flora and Fauna International
2012-12-07
[7]
웹사이트
Important Bird Areas factsheet: Upper Lao Mekong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2-12-07
[8]
웹사이트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s://lao.unfpa.or[...]
Lao Statistics Bureau
2020-05-01
[9]
웹사이트
Bokeo province
https://web.archive.[...]
GMS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in Lao PDR
2012-12-01
[10]
뉴스
A Mr Big of wildlife trafficking: could elusive Laos casino operator be behind rackets that run to drugs, child prostitution?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8-04-14
[11]
뉴스
High-end Laos resort serves up illegal wildlife for Chinese tourist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3-19
[12]
서적
Sin City Illegal Wildlife Trade in Laos' Golden Triangle Special Economic Zone
http://eia-internati[...]
Environmental Investigation Agency (EIA)
2015-03-01
[13]
서적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Second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EPub)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8-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