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고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고니는 고니의 일종으로, 몸길이 140~165cm, 날개 길이 205~275cm로 고니보다 크다.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유럽 남부, 아시아 동부, 한국, 일본 등에서 월동하는 철새이다. 수생 식물, 곤충, 조개류 등을 먹고, 습지에서 번식하며 평생 짝을 이룬다. 핀란드의 국조이며, 다양한 전설과 신화에 등장하지만, 서식지 파괴, 전선 충돌, 수렵 등으로 인해 개체 수 감소의 위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새 - 흰죽지수리
    흰죽지수리는 수리과 수리속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유라시아 대륙에 걸쳐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로 이동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현재는 보존 노력을 통해 일부 회복되고 있다.
  • 아르메니아의 새 - 뿔종다리
    뿔종다리는 *Eremophila alpestris* 학명의 작은 새로, 전 세계에 다양한 아종으로 분포하며, 모래색 깃털과 검은색, 흰색 무늬, 머리 볏을 가지고, 건조하고 탁 트인 지역에 서식하며, 땅에 둥지를 짓고 씨앗, 곡물, 곤충 등을 먹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된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새 - 팔라스바다수리
    현재 제공된 팔라스바다수리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위키백과 페이지 작성이 어렵습니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새 - 검은깃여새사촌
    검은깃여새사촌은 중동 지역에 분포하며 긴 꼬리, 작은 볏, 갈고리 부리를 가진 날씬한 새로, 수컷은 검은색 마스크가 있고 과일과 열매를 주식으로 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평가받는 단일 종 과에 속한다.
  • 우즈베키스탄의 새 - 팔라스바다수리
    현재 제공된 팔라스바다수리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위키백과 페이지 작성이 어렵습니다.
  • 우즈베키스탄의 새 - 갈까마귀
    갈까마귀는 까마귀와 비슷하지만 작은 크기의 까마귓과 조류로, 흰색 깃털과 검은색 홍채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동시베리아 남부, 몽골, 중국 등지에 서식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겨울철새로 관찰되는 사회성이 강한 잡식성 조류이다.
큰고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큰고니
큰고니
Cygnus cygnus 분포도
분포 지역 (노란색: 번식지, 초록색: 1년 내내 서식, 파란색: 월동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기러기목
오리과
고니속 (Cygnus)
큰고니 (Cygnus cygnus)
학명Cygnus cygnus
명명자칼 폰 린네(Linnaeus), 1758
이명Anas cygnus Linnaeus, 1758
Cygnus ferus
영어 이름Whooper swan
보전 상태
IUCN Red ListLC (Least Concern, 최소 관심)
IUCN 평가 기준 버전IUCN3.1
IUCN 참고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2679856/85965262
대한민국 환경부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남한 천연기념물고니류, 순번 201-2, 지정 1968년 5월 31일, 소재 전국 일원

2. 분류

큰고니는 프랜시스 윌러비와 존 레이의 1676년 저서 ''조류학''(Ornithology)에서 "엘크, 후퍼 또는 야생 고니"로 처음 언급되었다. 칼 린네가 1758년 저서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 10판에서 ''Anas cygnus''라는 학명으로 기재했다.[2] 종명 ''cygnus''는 "고니"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3] 과거에는 큰고니를 아종으로 보는 설도 있었다.[7]

3. 형태

큰고니는 고니와 외모가 비슷하지만, 몸길이가 140–165 cm이고 날개 길이는 205–275 cm로 더 크다.[8][9] 몸무게는 일반적으로 7.4–14.0 kg 범위이며, 수컷은 평균 9.8–11.4 kg, 암컷은 평균 8.2–9.2 kg이다.[9] 덴마크에서 겨울을 나는 수컷의 최대 무게는 15.5 kg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가장 무거운 비행 조류 중 하나로 여겨진다.[9] 표준 측정값 중 날개 길이는 56.2-63.5 cm, 발목 길이는 10.4-13.0 cm이며 부리는 9.2-11.6 cm이다.

머리 세부 묘사


전신이 흰색이다.[7][8] 봄부터 여름에 철분이 많은 환경에서는 목의 깃털이 어두운 색으로 변하기도 한다.[9] 홍채는 갈색이며,[7] 부리는 검은색이고,[7] 눈 앞부분에 깃털이 없고 노란색 피부가 드러나 있으며, 이 노란색 부분은 콧구멍 아래 부분까지 이어진다.[7] 뒷다리는 검은색이다.[7][9]

큰고니 세 마리와 혹고니 한 마리


어린 새는 회갈색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7][8] 솜털은 엷은 회백색이다.[7] 개체에 따라서는 철분이 많은 호수나 늪에서 수중 수초 등을 먹을 때 머리나 목이 녹슨색이나 황갈색을 띠는 경우가 있다.[11][12]

4. 생태

큰고니는 넓은 수역, 호수, 얕은 하천, 갯벌, 기수역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9] 성장기에는 다리로 체중을 오래 지탱하기 어려워 주로 물에서 생활하며, 헤엄치거나 물속에서 먹이를 찾는다. 주로 수생 식물의 잎, 줄기, 뿌리를 먹지만, 곤충이나 조개류 등도 섭취한다.[9]

번식기에는 해안가나 중주에 마른 풀, 부들, 사초 뿌리, 물이끼 등을 이용하여 지름 2미터, 높이 50센티미터에 달하는 원추형 둥지를 만든다.[7] 3~5개의 알을 낳으며,[7] 포란 기간은 약 31일이다.[7] 새끼는 부화 후 78~96일이면 비행할 수 있게 되고,[9] 생후 4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9]

큰고니 알, 비스바덴 박물관 컬렉션


큰고니는 무리 지어 비행할 때 머리 흔들기, 날개 펄럭임 등 다양한 신호 동작으로 의사소통하며, 울음소리는 크고 "코오-"하고 운다. 장거리를 비행하는 조류 중 하나로, 몸이 무거워 이륙 시 활주가 필요하다. 육상에서는 빠르게 움직일 수 없어 위험을 느끼면 물속으로 도망간다.[9]

사인은 대부분 비행 중 사고로 여겨지며,[9] 악천후나 기아로 인한 사망 사례도 있다. 1967년 일본 노츠케만(오다이노마)에서는 한파와 만의 결빙으로 인해 약 200마리(어린 새 포함 500마리 이상)가 기아로 대량 폐사한 기록이 있다.[8] 2019년 홋카이도 벳카이정에서는 방조 후 25년 10개월이 경과한 암컷 개체가 확인되어 국내 최고령 기록으로 여겨진다.[13]

큰고니는 타이가 지대보다 남쪽인 아북극 유라시아에서 번식하며, 철새로서 수백, 수천 마일을 이동하여 유럽 남부와 아시아 동부에서 월동한다. 스코틀랜드 북부, 특히 오크니 제도에서는 드물게 번식하며, 아일랜드에서도 소수 쌍이 번식한다. 인도 아대륙과 북아메리카 서부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하는 개체는 영국아일랜드에서 월동하며, 특히 왕립조류보호협회와 야생조류습지 신탁의 야생조류 자연보호구역에서 발견된다.

큰고니는 평생 짝을 이루며, 새끼는 겨울 내내 부모와 함께 지낸다. 이전 해의 새끼들이 합류하는 경우도 있다. 번식 환경은 습지를 선호하지만, 반(半)사육된 새는 물 근처 어디든 둥지를 짓는다. 암컷이 알을 품는 동안 수컷은 둥지를 지킨다. 암컷은 보통 4~7개의 알을 낳는다(드물게 12개). 새끼는 약 36일 후에 부화하며 회색 또는 갈색 깃털을 가지고 있다. 새끼는 생후 120~150일에 날 수 있다.

5. 분포

아이슬란드, 스칸디나비아반도 북부에서 캄차카반도, 사할린에 걸쳐 유라시아 대륙 북부 등에서 번식하며[8], 겨울에는 영국, 이탈리아 북부, 스위스, 흑해 연안, 카스피해, 중화인민공화국의 태평양 연안, 대한민국, 일본 등에서 월동한다[7]스코틀랜드 북부, 특히 오크니 제도에서는 드물게 번식하며, 최근 몇 년 동안 5쌍 미만이 번식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아일랜드에서도 소수의 쌍이 번식했다. 이 새는 인도 아대륙과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가끔 발견된다.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하는 개체는 영국아일랜드에서 월동하며, 특히 왕립조류보호협회(Royal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Birds)와 야생조류습지 신탁(Wildfowl and Wetlands Trust)의 야생조류 자연보호구역에서 발견된다.

5. 1. 한국 내 분포

한국에서는 겨울 철새로, 홋카이도에서 도호쿠 지방에 걸쳐 도래한다.[7] 주요 월동지는 미야기현의 이즈누마, 가부쿠리누마, 니가타현의 후쿠시마가타, 효코, 토야노가타 등이다.[10] 이바라키현의 우시쿠누마, 시마네현신지호 등에도 도래하는 경우가 있다.[7] 중간 기착지로는 홋카이도의 후렌 호수, 우토나이 호수 등이 있다.

2018년 1월 환경성 조사에 따르면, 32개 도도부현 616개소에서 25,873마리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미야기현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다. 2019년 홋카이도 벳카이정에서 방조 후 25년 10개월이 경과한 암컷 개체가 확인되었으며, 국내 최고령 기록으로 여겨진다.

6. 인간과의 관계

큰고니는 유럽에서 널리 찬사를 받는다. 1981년부터 핀란드의 국조였으며,[4][5] 핀란드 1 유로 동전에도 등장한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존 협정(AEWA)이 적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 백조의 노래 전설은 큰고니가 죽을 때 내는 소리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이 있다. 동서양에서 사랑받는 새로, 다양한 전설·신화에 등장한다.

농작물을 갉아먹는 해조로 간주되기도 한다.[9] 아시아에서는 불법적인 습지 간척, 채굴, 도로 건설, 과도한 방목 등으로 인한 번식지 파괴가 우려된다.[6] 전선이나 풍력 발전으로 인한 충돌사, 수렵 및 납 중독, 알 채취 등도 개체 수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된다.[6] 강풍, 눈보라 등의 자연재해나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감염증도 영향을 미친다.[6] H5N1 세계적 유행은 2006년 4월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발견된 죽은 큰고니를 통해 도달했다.

일본에서는 2018년 1월 환경성 조사에서 32개 도도부현 616개소에서 25,873마리가 관찰되었다.[14] 도도부현별로는 미야기현에서 가장 많은 10,848마리가 관찰되었다.[14] 2011년까지는 다소 증가 추세였지만, 이후 증감을 반복하며 25,000마리 이상이 관찰되고 있다.[14]

참조

[1] IUCN Cygnus cygnus 2021-11-12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 https://archive.org/[...] Laurentius Salvius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4] 웹사이트 Whooper Swan https://web.archive.[...] 2016-12-02
[5] 웹사이트 Laulujoutsen tuli erämaista koko Suomen kansallislinnuksi https://suomenluonto[...] Suomen Luonto
[6] IUCN Cygnus cygnus 2020-02-07
[7] 서적 ガンカモ科の分類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8] 서적 ハクチョウ類 平凡社
[9] 웹사이트 Cygnus cygnus https://animaldivers[...] 2020-02-07
[10] 웹사이트 平成28年度、環境省資料 https://www.biodic.g[...] 2021-01-28
[11] 서적 日本の野鳥 山と渓谷社
[12] 서적 日本の野鳥 日本野鳥の会
[13] 웹사이트 最高齢のオオハクチョウ 別海で確認 放鳥から25年10カ月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19-03-15
[14] 웹사이트 第49回ガンカモ類の生息調査報告書(平成29年度) https://www.biodic.g[...] 環境省 2020-02-07
[15] IUCN Cygnus cygnus 2021-11-12
[1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