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텍스 튜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텍스 튜브는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냉각 또는 가열 효과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1933년 조르주 장크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헬리콘 보텍스 분리 과정 개발에도 기여했다. 보텍스 튜브는 터보팽창기의 일종으로, 냉각 효율은 일반적인 에어컨보다 낮지만, 가동부나 냉매 없이 압축 공기만으로 작동하여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절삭 공구 냉각, 고온 작업장의 냉방복, 치과용 드라이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대한민국에서도 관련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열역학 - 열기관
    열기관은 고온 열원에서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나머지를 저온 열원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며, 증기 동력, 가스 동력, 내연기관 등으로 분류되어 화력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보텍스 튜브
개요
란케-힐슈 볼텍스 튜브 작동 애니메이션
란케-힐슈 볼텍스 튜브 작동 애니메이션
유형열교환 장치
작동 방식압축 가스를 고온 및 저온 스트림으로 분리
발명가조르주 란케
발명 연도1930년대 초
다른 이름란케-힐슈 볼텍스 튜브
작동 원리
설명압축된 기체가 튜브 안으로 주입되어 선회 흐름을 생성하고, 이 흐름이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온과 저온의 두 스트림으로 분리됨.
에너지 분리유입된 기체를 고온 기체와 저온 기체로 분리
온도 변화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약 의 고온 기체 또는 의 저온 기체를 생성 가능
역사
발명1930년대 초 조르주 란케가 발명
추가 개발1940년대 후반 루돌프 힐슈에 의해 개선
응용 분야
산업스폿 냉각
가스 샘플 냉각
전자 회로 냉각
온도 조절
기타에어컨
냉동기
장점 및 단점
장점간단한 설계
움직이는 부품 없음
소형
저렴한 비용
단점상대적으로 낮은 효율
높은 압축 공기 요구량
작동 변수
주요 변수튜브 유형
압력
질량 분율
최적화다구치 방법을 사용하여 성능 최적화 가능

2. 역사

보텍스 튜브는 1931년 프랑스 물리학자 조르주 랑크가 사이클론 내부의 선회류를 공업에 응용하는 연구를 하던 중 발견했다. 그는 내부 중심부 온도가 주변보다 낮다는 것을 발견하고 1932년 미국에서 특허를 취득, 1933년에는 프랑스 물리학회에 관련 논문을 제출했다.[9] 랑크의 연구가 중단된 후, 1934년 폴 디랙이 동위원소 분리 장치를 찾다가 이를 재발견하면서 헬리콘 보텍스 분리 과정 개발로 이어졌다.[10]

1945년에는 독일 에를랑겐 대학교의 R. 힐쉬(R. Hilsch) 실험실에서 영국과 미국의 연구자들에 의해 재발견되었고, 1947년 독일 물리학자 루돌프 힐쉬|루돌프 힐쉬de는 설계를 개선하여 이 장치에 대한 널리 읽히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는 이 장치를 ''Wirbelrohr''(소용돌이 파이프)라고 불렀다.[11]

1954년 웨슬리는 "보텍스 튜브의 참고 문헌 및 조사"라는 제목의 포괄적인 조사를 발표했다.(100개 이상의 참고 문헌 포함)[12] 1951년 커리와 맥그리,[13] 1956년 칼빈스카스,[14] 1964년 도브라츠,[15] 1972년 내쉬,[16] 1979년 헬리아르[17]는 보텍스 튜브 및 그 응용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검토를 통해 RHVT 문헌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952년부터 1963년까지 C. 다비 풀턴 주니어는 보텍스 튜브 개발과 관련된 4개의 미국 특허를 받았다.[18] 1961년 풀턴은 풀턴 크라이오제닉스라는 회사명으로 보텍스 튜브 제조를 시작했다.[19] 풀턴은 해당 회사를 볼텍, Inc.[19]에 매각했다.

1967년 린더스트롬-랑은 보텍스 튜브를 사용하여 기체 혼합물(산소와 질소, 이산화탄소와 헬륨, 이산화탄소와 공기)을 분리했다.[20][21]

1988년 R. T. 발머는 액체 물을 작동 매체로 사용했다. 유입 압력이 높은 경우(예: 20bar~50bar)에도 열 에너지 분리 과정이 비압축성 (액체) 보텍스 흐름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3. 작동 원리

보텍스 튜브 내의 온도 분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설명된다. 첫 번째는 기초 물리학적 접근으로, 엔탈피 보존 법칙과 오일러의 터빈 방정식을 이용하여 온도 분리 현상을 설명한다. 두 번째는 현상학적 접근으로, 실제 관측 데이터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온도 분리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1947년 헬쉬(Hlsch)는 첫 번째 논문에서 내부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에 의한 바깥쪽 흐름을 가정하여 보텍스 튜브 내의 흐름을 정량적으로 설명했다.[3] 1948년에는 카스너(Kassner)와 쾨른쉴트(Knoernschild)가 유입되는 공기의 자유 와류가 점성의 작용으로 강제 와류로 변화하고, 더 나아가 난류 혼합에 의한 단열적 온도 분포를 가정한 해석적인 근사 이론을 제시했다.

3. 1. 기초 물리학적 접근

움직이는 가스에서의 온도 분리는 움직이는 좌표계 내에서의 엔탈피 보존에 의해서만 발생한다.[3]

보텍스 튜브의 주요 물리적 현상은 차가운 보텍스 코어와 따뜻한 보텍스 주변부 사이의 온도 분리이다. "보텍스 튜브 효과"는 오일러의 터빈 방정식으로 완전히 설명된다.[4]

: T - \frac{ \vec v \cdot \vec \omega \times \vec r}{c_p}=\mbox{const}

여기서 T 는 회전하는 가스의 전체 정체 온도를 나타내며, \vec v는 정지 좌표계에서 관찰된 절대 가스 속도, \vec \omega 는 시스템의 각속도, c_p 는 가스의 정압 비열이다.

위 방정식은 단열 터빈 통로에 유효하며, 가스가 중심을 향해 이동하면서 더 차가워지는 반면, 통로의 주변 가스는 "더 빨라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보텍스 냉각은 각운동량 추진에 기인한다. 가스가 중심에 도달하면서 더 많이 냉각될수록 보텍스에 더 많은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고, 따라서 보텍스는 더욱 빠르게 회전한다. 이 설명은 에너지 보존 법칙에서 직접적으로 파생된다. 보텍스 튜브에서, 원통형 주변 벽은 주변부의 흐름을 제한하여 운동 에너지를 내부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강요하며, 이는 뜨거운 출구에서 뜨거운 공기를 생성한다.

따라서 보텍스 튜브는 회전자가 없는 터보팽창기이다.[6] 이는 회전자가 없는 방사형 유입 터빈(차가운 끝, 중심)과 회전자가 없는 원심 압축기(뜨거운 끝, 주변부)로 구성된다. 터빈의 일 출력은 뜨거운 끝에서 압축기에 의해 열로 변환된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과 에너지 방정식을 풀면, 전체 엔탈피 변화는 유체 요소의 압축에 의한 증가와 점성력에 의한 열전도로 이루어진다. 유입된 공기 흐름은 원심력의 작용으로 관벽 근처로 밀려나고, 일부는 원뿔 밸브의 외주에서 빠져나가고, 나머지는 유입 공기가 차지하지 않은 중심부로 밀려 돌아가 역류한다. 안쪽의 역류는 바깥쪽의 환상 흐름에 의해 일정한 각속도로 강제적으로 회전하여 강제 와류로 변화하고, 운동 에너지는 바깥쪽의 자유 와류보다 낮아지며, 그 차이가 열이 되어 안쪽의 공기 흐름에서 바깥쪽으로 운반된다.

3. 2. 현상학적 접근

보텍스 튜브 내의 온도 분리를 설명하기 위해, 주로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사용된다.

이 접근 방식은 관찰 및 실험 데이터에 기반한다. 이는 보텍스 튜브의 기하학적 형상과 유동의 세부 사항에 맞춰 특별히 제작되었으며, 복잡한 보텍스 튜브 유동의 특정 관측 가능 요소(난류, 음향 현상, 압력장, 공기 속도 등)와 일치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전에 발표된 보텍스 튜브 모델은 현상학적이며, 다음과 같다.

# 반경 방향 압력 차이: 원심 압축 및 공기 팽창

# 각운동량의 반경 방향 이동

# 에너지의 반경 방향 음향 스트리밍

# 반경 방향 열 펌핑

이러한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보텍스 튜브에 대한 최근 검토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7][8]

현상학적 모델은 오일러의 터빈 방정식이 철저히 분석되지 않았던 시기에 개발되었다. 공학 문헌에서 이 방정식은 주로 터빈의 일률 출력을 보여주기 위해 연구된다. 터빈 냉각은 발전과 달리 적용 분야가 제한적이므로 온도 분석은 수행되지 않았다. 과거 보텍스 튜브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는 경험적 데이터를 제시하는 데 유용했다. 그러나 복잡한 보텍스 유동 때문에 이 경험적 접근 방식은 효과의 측면만을 보여줄 수 있었고,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는 없었다. 오랫동안 경험적 세부 사항에 전념한 경험적 연구는 보텍스 튜브 효과를 수수께끼처럼 보이게 했고, 그 설명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3. 3. 이론 해석 (일본어판)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과 에너지 방정식을 2차원으로 근사하여 해석하면, 유입된 공기 흐름은 원심력의 작용으로 관벽 근처로 밀려난다. 이 공기 흐름의 일부는 원뿔 밸브의 외주에서 빠져나가고, 나머지는 유입 공기가 차지하지 않은 중심부로 밀려 돌아가 역류한다. 안쪽의 역류는 바깥쪽의 환상 흐름에 의해 일정한 각속도로 강제 회전하여 강제 와류로 변화한다. 이때 운동 에너지는 바깥쪽의 자유 와류보다 낮아지며, 그 차이가 열이 되어 안쪽의 공기 흐름에서 바깥쪽으로 운반된다.[3] 환상 흐름과 역류의 평균 운동 에너지, 평균 전체 엔탈피 및 평균 정지 엔탈피의 축 방향 변화량을 계산하면, 유량비에 관계없이 어느 유역에서도 유동 방향의 정지 엔탈피 변화 비율은 운동 에너지의 변화 비율보다 크다. 즉, 유동 방향으로 전체 엔탈피가 역류에서는 감소하고 환상 흐름에서는 증가하여 에너지 분리가 발생한다.[4]

3. 4. 수치 계산 결과 (일본어판)

수치 해석 결과, 벽면 경계층에서의 열 소산 효과로 온도가 높아지고, 축 중심 부근의 압력 감소에 의한 단열 팽창으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온도 분리의 주요 요인으로 생각된다.[1]

4. 효율

보텍스 튜브는 현존하는 에어컨보다 효율이 떨어진다.[23] 따라서 압축 공기를 쓸 수 있을 때, 특정 장소 냉각에만 쓰인다.

보텍스 튜브의 냉각 효율은 기존의 냉동기에 비해 낮기 때문에, 힐쉬(Hilsch)는 항내의 냉방이나 기체의 액화 등 특수한 영역으로의 응용을 시사했다. 보텍스 튜브 작동용 압축 공기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소에서 몇 가지 응용 사례가 있다. 유출되는 저온 및 고온 기체 중 어느 한쪽만 사용되는 것에 따른 효율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 메테닌(Metenin)과 메르쿨로르(Melkulor)는 대상을 냉각시킨 후의 저온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송입 공기를 냉각시키고 에젝터에 의해 장치 밖으로 배출되며, 고온 공기는 이 에젝터 작동용 기체로 사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 소용돌이 실내 표면의 매끄러움을 거칠게 하면 선회 속도의 감쇠가 빨라져 주관 길이를 단축할 수 있지만, 장치 전체의 효율은 저하된다. 중공 나선형 핀을 관 내에 삽입함으로써, 난류 운동 에너지가 큰 영역이 생성되어 작은 순환 와류 구조를 가진 강한 반전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핀이 에너지 분리를 촉진하고 관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5. 응용

온도 조절이 쉽고 칼날이나 가공물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장점 때문에 고온 작업장에서 냉방복으로 사용되거나, 절삭 가공 시 칼날 및 피가공물 냉각에 사용되며, 이러한 장치는 시판되고 있다.[9] 치과용 드라이어처럼 온풍을 이용하는 예도 있다.[26]

5. 1. 현재 응용 분야

상업용 보텍스 튜브는 주로 산업 현장에서 쓰인다. 가동부, 전기, 염화불화탄소 없이 압축 공기만으로 냉각 기능을 제공한다.

상업용 보텍스 튜브는 최대 71°C의 온도 강하를 일으키도록 설계되어 산업 분야에 사용된다. 움직이는 부품, 전기, 냉매가 없는 보텍스 튜브는 100psi로 필터링된 압축 공기 2.832m3/min을 사용하여 최대 6000BTU/h의 냉각을 생성할 수 있다. 뜨거운 공기 배출구의 제어 밸브는 광범위한 온도, 유량 및 냉각을 조절한다.[24][25]

보텍스 튜브는 가공 중 절삭 공구(수동 및 CNC 머신 모두의 선반밀링 머신) 냉각에 사용된다. 보텍스 튜브는 이 용도에 적합하다. 공작 기계 공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미 압축 공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차가운 공기의 빠른 제트는 냉각과 공구에서 생성된 칩 제거를 모두 제공한다. 이는 지저분하고, 비싸고, 환경적으로 유해한 액체 냉각제의 필요성을 없애거나 크게 줄여준다.

온도 조절이 쉽고, 칼날이나 가공물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장점 때문에 고온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냉방복이나, 절삭 가공 시 칼날 및 피가공물의 냉각에 사용된다. 온풍 쪽을 이용하는 예로는 치과용 드라이어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Flying Circus of Physics John Wiley & Sons, Inc.
[2] 논문 Parameters Optimization of Tube Type, Pressure, and Mass Fraction on Vortex Tube Performance Using the Taguchi Method
[3] 웹사이트 Z.S. Spakovszky. Unified: thermodynamics and propulsion (Lecture note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Mass. 2007. ch. 12.3. http://web.mit.edu/1[...]
[4] 논문 Thermodynamics of angular propulsion in fluids
[5] Youtube 【Fun科學】惡魔急凍管(只要把空氣灌進去就瞬間變冷!!) https://www.youtube.[...] 2021-09-18
[6] 논문 Vortex tube effect without walls
[7] 논문 A critical review of temperature separation in a vortex tube
[8] 논문 Review of Ranque–Hilsch effects in vortex tubes
[9] 간행물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from a fluid under pressure two currents of fluids at different temperatures http://pdfpiw.uspto.[...] Georges Joseph Ranque 1934-03-27
[10] 서적 The Strangest Man: The Hidden Life of Paul Dirac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1] 논문 The use of the expansion of gases in a centrifugal field as cooling process
[12] 간행물 A bibliography and survey of the vortex tube College of Aeronautics, Cranfield note, UK 1954
[13] 간행물 Bibliography of vortex tubes Refrig Eng 59(2):191–193 1951
[14] 간행물 Vortex tubes (an extension of Wesley’s bibliography)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 of Technology Literature Search, 56, Part 2 1956
[15] 간행물 Vortex tubes: a bibliography Lawrence Radiation Laboratory UCRL-7829 1964
[16] 간행물 The Ranque–Hilsch vortex tube and its application to spacecraft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Dev Theor Appl Mech, Vol 6 1972
[17] 간행물 Gas liquefaction using a Ranque–Hilsch vortex tube: design criteria and bibliography Report for the degree of Chemical Engineer,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79
[18] 웹사이트 Free Patents Online http://www.freepaten[...] 2017-08-27
[19] 논문 Vortex Tubes Blow Hot and Cold https://books.google[...] 1976-10
[20] 문서 Experimental Study on the Ranque-Hilsch Vortex Tube 2005
[21] 문서
[22] 논문 Pressure-driven Ranque-Hilsch temperature separation in liquids Trans. ASME 1988-06
[23] 논문 The maximum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of vortex tubes
[24] 웹사이트 Newman Tools Inc. http://www.newmantoo[...]
[25] 웹사이트 Streamtek Corp https://stream-tek.c[...] 2021-08-20
[26] 서적 The Flying Circus of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Inc.
[27] 논문 The Use of the Expansion of Gases in A Centrifugal Field as Cooling Process 1947
[28] 문서 Experimental Study on the Ranque-Hilsch Vortex Tube 2005
[29] 문서
[30] 논문 Pressure-driven Ranque-Hilsch temperature separation in liquids Trans. ASME 198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