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수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수초는 깊은 산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핀다. 일본식 한자명을 그대로 가져온 이름으로, 측금잔화, 원일초, 설연화, 눈색이꽃, 얼음새꽃 등으로도 불린다. 한방에서는 강심제 및 이뇨제로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어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 된다.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재배하며, 문학 작품과 서태지의 뮤직비디오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1년 기재된 식물 - 포아풀아과
    포아풀아과는 벼과에 속하는 아과의 하나로, BOP 분지군에 속하며 다양한 족과 하위 분류를 포함한다.
  • 1861년 기재된 식물 -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는 잎의 색상, 질감, 형태가 다른 다양한 재배 품종('모히토', '그린', '실버', '스타더스트', '파이어볼' 등)을 가진 식물로, 지속적인 교배와 변이를 통해 새로운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 아무르주의 식물상 - 붓꽃
    동아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인 붓꽃은 5~7월에 푸른 보라색 꽃을 피우며, 붓을 닮은 꽃봉오리와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의미를 가진다.
  • 아무르주의 식물상 - 두메부추
    두메부추는 산구 또는 메부추라고도 불리는 외떡잎식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분홍색 꽃을 피우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는 약재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식물상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식물상 - 들깨
    들깨는 꿀풀과의 한해살이 풀과 그 씨앗을 함께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에서 재배되어 요리에 널리 사용되며, 잎과 씨앗 모두 식용으로 활용된다.
복수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복수초
복수초
학명Adonis amurensis
학명 명명자Regel & Radde, 1861
복수초속
미나리아재비과
아과미나리아재비아과
미나리아재비목
미분류 군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식물계

2. 이름

‘복수초’라는 이름은 일본식 한자명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한국식으로 지었다면 수복강녕을 의미하는 ‘수복초’가 되었을 것이다.[3] 꽃이 황금색 잔처럼 생겼다고 하여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도 부르며, 설날 무렵에 핀다고 하여 원일초(元日草)라고도 한다. 또한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하여 설연화(雪蓮花)라고 불리기도 하고, 쌓인 눈을 뚫고 나와 꽃이 피면 그 주위의 눈이 동그랗게 녹아 구멍이 난다고 하여 눈색이꽃 또는 얼음새꽃이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강원도 횡성 지역에서는 눈꽃송이라고 부른다.

3. 특징

깊은 산의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는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다. 줄기는 10cm~25cm 높이로 자라며, 털이 없으나 간혹 윗부분에 털이 조금 나기도 한다. 밑 부분의 잎은 막질로서 줄기를 둘러싼다. 이른 봄에 줄기 끝에 한 송이의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핀다.[4]

한방에서는 복수초를 강심제이뇨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잎이나 줄기, 뿌리는 물론 꽃에도 독성이 있으므로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 된다.

4. 약용

한방에서는 복수초를 강심제이뇨제로 사용한다. 그러나 잎이나 줄기, 뿌리는 물론 꽃에도 독성이 있으니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 된다.

5. 재배 및 관리

물빠짐이 좋은 밝은 그늘이나 양지(볕이 잘 드는 곳)에 심는다. 화분에 심을 때는 뿌리가 길게 자라므로 다소 깊은 화분을 사용한다. 물빠짐이 좋고 통기가 잘 되도록 산모래에 부엽토를 20~30퍼센트 섞은 용토에 심는다. 겨울과 꽃이 피는 동안은 물을 적게 주고, 생육기에는 물을 충분히 주되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5]

6. 사진

7. 문학과 예술 속의 복수초

(내용 없음)

7. 1. 문학

박남준 시인의 시 〈무서운 추억〉에는 복수초가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 노란 꽃 복수초를 보았다 눈 속에서도 피어나는, 처절하다는 생각이 순간 떠오르는 것이지 복이 들어온다는데 그토록 눈부신 빛이 처절했다니 이면, 그래 눈부신 것 속에는 눈물겨움이 있지 그건 팽팽한 긴장이야 마른 풀잎들 사이 몸을 사린 채 어린 쑥들이 삐죽거렸다 …

: — 박남준.〈무서운 추억〉,《다만 흘러가는 것들을 듣는다》(문학동네, 2000)

7. 2. 음악

서태지의 정규 8집 Seotaiji 8th Atomos의 타이틀 곡 '아침의 눈'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노란 꽃이 바로 복수초이다. 또한 서태지는 8집 발매 기념 전국투어 'Moebius'에서 '아침의 눈'을 부른 뒤 복수초 이미지를 대형 스크린에 띄우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01-25
[2] 문서 We Japanese
[3] 뉴스 “광복70년, 우리 꽃에 붙은 일본식 꽃 이름들을 바로 잡자” http://www.newswire.[...] 2015-08-13
[4] 서적 야생화쉽게 찾기
[5] 서적 세밀화로보는한국의야생화 김영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