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심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심제는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약물 또는 생리적 작용을 의미한다. 다양한 종류의 강심제가 있으며, 작용 기전에 따라 베타1-아드레날린 수용체 효능제, 아드레날린성 제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제, 알파-1 및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 항무스카린제,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 PDE3 억제제, 강심 배당체 등으로 분류된다. 운동 또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치를 증가시켜 강심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강심제 | |
---|---|
기본 정보 | |
약물 분류 | 강심제 |
화학 구조 | 복잡한 유기 화합물 |
작용 메커니즘 | |
주요 작용 | 심장 수축력 증가 |
작용 방식 | 심근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 나트륨-칼륨 펌프 억제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 |
약리학적 효과 | |
심혈관계 | 심박수 증가 (빈맥) 심근 수축력 증가 혈압 상승 |
전기생리학적 효과 | 심근 세포의 자동성 증가 방실 전도 속도 감소 |
치료적 사용 | |
주요 적응증 | 울혈성 심부전 심방세동 / 심방조동 (심박수 조절) 상심실성 빈맥 |
기타 적응증 | 특정 유형의 쇼크 |
부작용 | |
일반적 부작용 | 구역질 구토 설사 두통 현기증 |
심각한 부작용 | 부정맥 (심실성 빈맥, 심실세동) 저혈압 전해질 불균형 (저칼륨혈증, 고칼슘혈증) |
신경계 부작용 | 환각 섬망 발작 |
금기 사항 | |
절대 금기 | 폐쇄성 비대 심근병증 심실세동 디지털리스 중독 |
상대 금기 | 저칼륨혈증 고칼슘혈증 신부전 |
약물 상호작용 | |
상호작용 약물 | 칼슘 채널 차단제 베타 차단제 이뇨제 아미오다론 |
투여 및 용량 | |
투여 경로 | 경구 투여 정맥 주사 |
용량 |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름 |
약물 동태학 | |
흡수 | 경구 투여 시 흡수율 다양 |
분포 | 광범위하게 분포 |
대사 | 간에서 대사 |
배설 | 신장을 통해 배설 |
관련 약물 | |
종류 | 디기탈리스 도부타민 에피네프린 놀에피네프린 |
2. 강심제의 종류 및 작용 기전
강심제는 심장의 수축력을 높여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약물이다. 작용하는 방식(기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주요 작용 기전 중 하나는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이다. 일부 약물은 β1-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심장 박동수와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다른 약물들은 간접적으로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높이거나 재흡수를 억제하여 비슷한 효과를 내기도 하며, α-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기전으로 강심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들이 있다. 예를 들어, PDE3 억제제는 심근 세포 내 cAMP 농도를 높여 심장 수축력을 강화하고 혈관을 확장시킨다. 강심 배당체는 심근 세포의 나트륨-칼륨 펌프를 억제하여 칼슘 농도를 높임으로써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항콜린제,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 등도 특정 상황에서 강심 효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 약물은 고유한 작용 기전과 특징을 가지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이 선택된다.
2. 1.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효능제로는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도부타민, 데노파민, 이소프로테레놀, 자모테롤 등이 있다.[1][2]
- 아드레날린성 제제는 간접적으로 β1-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3]
- * 노르에피네프린 프로드러그인 드록시도파
- *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로는 아토목세틴, 레복세틴, 데시프라민, 노르트립틸린, 부프로피온, 밀나시프란, 메틸페니데이트, 코카인 등이 있다.[3]
- *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제로는 암페타민, 메스암페타민, 에페드린, 슈도에페드린, 페닐프로판올아민, 메펜테르민 등이 있다.[3]
- α1-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로는 펜톨라민, 프라조신, 테라조신, 독사조신 등이 있다.[3]
-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로는 펜톨라민, 요힘빈, 아티파메졸 등이 있다.[3]
2. 2. 기타 작용 기전
- 항무스카린성 항콜린성 제제로는 아트로핀이 있다.[3]
-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로는 카페인, 테오필린, 아미노필린 등이 있다.[3]
- PDE3 억제제로는 암리논, 밀리논, 피모벤단 등이 있다.[1][2][3]
- 강심 배당체로는 디곡신이 있다.[2]
- 기타 제제로는 히드랄라진, 레보시멘단, 카나비노이드 등이 있다.[3]
3. 생리적 강심 작용
운동 또한 교감신경성 카테콜아민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치를 증가시켜 강심제로 작용한다.[4][5]
참조
[1]
논문
Inotropes and vasopressors: review of physiology and clinical use in cardiovascular disease
2008-09
[2]
논문
Pharmacotherapeutics of positive inotropes
2000-01
[3]
논문
Comprehensive review of cardiovascular toxicity of drugs and related agents
2018-07
[4]
논문
Stress and the neuroendocrine system: the role of exercise as a stressor and modifier of stress
2006-11
[5]
논문
Relationships among norepinephrine levels, exercise capacity, and chronotropic responses in heart failure patients
2023-01
[6]
저널
Intracellular calcium chelator, BAPTA-AM, prevents cocaine-induced ventricular fibrillation
http://ajpheart.phys[...]
199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