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레슬라프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레슬라프 2세는 972년 사망한 볼레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보헤미아 공작이었다. 그는 972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공작이 되었으며, 97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2세를 지원했다. 973년 프라하에 로마 가톨릭교회 대교구를 설치했고, 982년부터 슬라브니크 가문과의 전쟁을 벌였다. 995년에는 리비체 성을 함락시키고 슬라브니크 가문을 학살하여 보헤미아를 통일했으며, 999년 사망 후 볼레슬라프 3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99년 사망 - 후지와라노 사네카타
    후지와라노 사네카타는 헤이안 시대의 공가이자 시인으로, 요직을 거쳤으나 좌천되었고, 고전 36가선에 포함될 정도로 와카에 능했으며, 세이 쇼나곤과의 염문설과 겐지 이야기 주인공의 모델 중 하나로 거론되기도 하고, 사후 망령으로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999년 사망 - 교황 그레고리오 5세
    독일인 최초의 교황으로 여겨지는 교황 그레고리오 5세는 996년부터 999년까지 재임하며 신성 로마 제국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오토 3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고 대립 교황 요한 16세를 진압하는 등 교회 정책을 펼쳤다.
  • 930년 출생 - 미에슈코 1세
    미에슈코 1세는 963년 폴란드 공에 즉위하여 폴란드 국가를 건설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포메라니아 등을 정복하여 폴란드 왕국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 930년 출생 - 다비트 3세
    다비트 3세는 팽창 정책과 외교술로 세력을 확장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키웠으며, 바그라트 3세를 후원하여 조지아 통일 기반을 마련한 타오 공작이다.
  • 보헤미아 공작 - 블라디슬라프 1세
    블라디슬라프 1세는 프르셰미슬 왕조 출신으로 1109년부터 1125년까지 보헤미아 공작으로 재임하면서 폴란드 압력, 공작위 경쟁 속에서 보헤미아를 통치하고 신성 로마 제국과 관계를 유지하며 독일인 정착 장려, 클라드루비 수도원 설립 등 종교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보헤미아 공작 -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
    폴란드의 공작이자 초대 국왕인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는 용감왕으로도 불리며,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으로 폴란드를 강국으로 만들고 기독교를 장려하여 문화 발전에 공헌했다.
볼레슬라프 2세
기본 정보
12세기 즈노이모 로툰다 프레스코
작위보헤미아 공작
통치 기간967년/972년 7월 - 999년 2월 7일
이전볼레슬라프 1세 (보헤미아)
이후볼레슬라프 3세 (보헤미아)
왕조프르셰미슬 왕조
아버지볼레슬라프 1세 (보헤미아)
어머니비아고타
출생일기원전 932년경
사망일999년 2월 7일 (약 67세)
매장지프라하 성 이르지 대성당
배우자
배우자아디바
멜니크의 에마
자녀볼레슬라프 3세 (보헤미아)
야로미르 (보헤미아)
올드르지흐 (보헤미아)
이름
체코어볼레슬라프 2세 포보주니
폴란드어볼레슬라프 2세 포보주니

2. 생애

볼레슬라프 2세는 볼레슬라프 1세 공작과 그의 아내 비아고타(Biagota) 사이에서 태어났다.[2][3] 스트라크크바스, 두브라브카(미에슈코 1세의 아내), 수녀원장 믈라다와 형제였다.[2] 972년 아버지 볼레슬라프 1세가 사망하자 보헤미아 공작위를 계승했다.

볼레슬라프 1세와 볼레슬라프 2세 재위 기간의 보헤미아 지역


즉위 초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2세와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 사이의 내전에서 오토 2세를 지원했다. 973년 프라하로마 가톨릭교회 대교구를 설치했다.[4]

982년부터 보헤미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슬라브니크(Slavnik) 가문과의 전쟁을 벌였다. 995년 9월 28일, 볼레슬라프 2세가 이끄는 군대는 보헤미아 남부 리비체나트치들리노우(Libice nad Cidlinou) 성을 함락시키고 슬라브니크 가문의 구성원들을 학살했다.[4] 이로써 보헤미아는 단일 국가로 통일되었으며, 볼레슬라프 3세가 공작위를 승계받았다.

2. 1. 초기 생애

볼레슬라프 2세는 볼레슬라프 1세 공작과 그의 아내 비아고타(Biagota) 사이에서 태어났다.[2][3] 그의 형제 자매로는 스트라크크바스, 두브라브카(미에슈코 1세의 아내), 그리고 수녀원장 믈라다가 있었다.[2] 972년 아버지 볼레슬라프 1세가 사망하자 보헤미아 공작위를 계승했다.

2. 2. 통치

볼레슬라프 1세의 아들로, 972년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보헤미아 공작으로 즉위했다. '크니제'(kníže)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공작 또는 공으로 번역될 수 있다. 즉위 초기에는 오토 왕조독일 왕국 왕들과 갈등을 겪었다. 97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2세와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 사이에 내전이 벌어지자 오토 2세를 지원했다.[4] 976년 하인리히 2세가 패배하여 프라하 성으로 도망치자, 오토 2세의 군대가 보헤미아를 공격했다. 결국 978년 퀘들린부르크 부활절 축제에서 볼레슬라프 2세는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980년경부터 피아스트 왕조 시대의 폴란드 역사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983년 오토 2세가 사망하고 어린 아들 오토 3세가 즉위하자, 볼레슬라프 2세는 폴란드와의 동맹을 끊고 다시 하인리히 2세와 동맹을 맺었다. 폴란드 공작 미에슈코 1세는 오토 3세 편을 들었다. 볼레슬라프 2세가 작센의 마르크 백작령 마이센을 점령하면서, 미에슈코 1세 아들의 장인이었던 마르크 백작 리크다그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987년 볼레슬라프 2세는 마이센에서 물러났고, 990년경부터 실롱스크와 소폴란드 지역을 놓고 폴란드와 장기간의 전쟁을 벌였다. 992년에는 오토 3세와 협력하여 983년 대 슬라브 봉기 이후 루티치 부족에 대한 원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973년 프라하로마 가톨릭교회 프라하 교구를 설치했다. 이로 인해 중세 연대기 작가인 프라하의 코스마스는 그에게 "경건한 자"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그러나 프라하 교구는 마인츠 대주교의 관할이었고, 오토 2세는 작센 수도승 티트마르를 초대 주교로 임명했다.

981년부터 보헤미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슬라브니크 왕조와의 갈등이 다시 시작되었다. 슬라브니크 왕조의 소베슬라프 공작은 폴란드 및 작센과 동맹을 맺었다. 982년 데트마르 주교가 사망하자 소베슬라프의 형제인 아달베르트(훗날 프라하의 성 아달베르트로 알려짐)가 후임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994년 옛 프러시아로 선교를 떠났다. 995년 9월 28일, 볼레슬라프 2세의 군대와 동맹한 브르쇼우치 씨족은 보헤미아 남부 리비체 성을 함락시키고 슬라브니크 가문의 구성원들을 학살했다.[4] 이 사건으로 보헤미아는 단일 국가로 통일되었다. 그의 공작위는 볼레슬라프 3세가 승계받았다.

2. 3. 프라하 교구 설립

973년 프라하로마 가톨릭교회 대교구가 설치되었다.[4] 그러나 보헤미아 교구는 마인츠 대교구 관할에 속해 있었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2세는 첫 주교로 작센 공국 출신 수도승 티트마르를 임명했다.

2. 4. 슬라브니크 가문과의 전쟁

982년부터 보헤미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슬라브니크(Slavnik) 가문과의 전쟁을 벌였다. 995년 9월 28일, 볼레슬라프 2세가 이끄는 군대는 보헤미아 남부 리비체나트치들리노우(Libice nad Cidlinou) 성을 함락시키고 슬라브니크 가문의 구성원들을 학살했다.[4] 이로써 보헤미아는 단일 국가로 통일되었다.

2. 5. 죽음과 유산

995년 9월 28일 볼레슬라프 2세가 이끄는 군대는 보헤미아 남부 리비체 성을 함락시키고 슬라브니크 가문의 구성원들을 학살했다. 이에 따라 보헤미아는 단일 국가로 통일되었다. 그의 공작위는 볼레슬라프 3세가 승계받았다.

3. 가족 관계

볼레슬라프 2세의 첫 번째 부인은 잉글랜드 왕국에드워드 1세의 딸 아디바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증거는 부족하다. 아디바는 영국 역사가들에게 "Ælfgifu"로 알려져 있으며, "알프스 산맥" 근처의 왕자와 결혼했다고 한다. 두 번째 부인은 멜니크의 엠마였다. 볼레슬라프 2세의 장남은 아디바에게서 태어났지만, 다른 자녀들의 어머니는 확실하지 않다.

이름출생-사망비고
볼레슬라프 3세c. 965 – 1037장남이자 후계자
벤체슬라우스?유아기에 사망
야로미르c. 975 - 10351003년 보헤미아 공작
올드리히c.  975 – 10341012년 보헤미아 공작



아버지 볼레슬라프 2세가 사망한 직후, 볼레슬라프 3세는 형제들과 갈등을 겪었고 1002년에 폐위되었다. 프르셰미슬 왕조의 내부 투쟁은 올드리히 공작의 노력으로 국가가 안정되기 전까지 보헤미아 공국을 뒤흔들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Přemyslids http://www.arekkp.pl[...] www.arekkp.pl 2012-09-15
[2] 서적 Sobiesiak
[3] 서적 Sobiesiak
[4] 웹사이트 Boleslaus II the Pious https://web.archive.[...] www.kralovskacesta.cz 2012-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