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변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변한은 삼한 중 하나로, 기원전 1세기 경 경상남도 지역에서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성장한 정치 세력이다. 낙동강 하구 지역의 풍부한 철 생산량을 바탕으로 동예, 왜, 한사군 등에 철을 수출하며 경제적 부를 축적했다. 변한은 진한과 유사한 문화와 언어를 공유했지만, 제사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가야 연맹으로 발전하여 신라에 병합되었다. 변한은 12개의 소국으로 구성되었으며, 철 생산 외에도 문신 풍습, 깃털을 사용한 장례 문화 등의 특징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한 - 대가야
    대가야는 경상북도 고령군을 중심으로 발전한 가야연맹의 후기 맹주국으로, 5세기 후반 전성기를 누렸으나 신라의 침공으로 멸망한 고대 국가이다.
  • 변한 - 아라가야
    아라가야는 42년부터 561년까지 존속한 가야의 여러 나라 중 하나로, 후기 가야연맹에서 남부 중심 세력으로 기능했으나 561년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했다.
  • 경상도의 역사 - 국학
    국학은 신라 시대 귀족 자제 교육 기관으로,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교육하여 문치주의 전환과 고려 시대 유교 확립에 기여했다.
  • 경상도의 역사 - 진국
    진국은 기원전 3세기에서 2세기 사이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추정되지만, 실존 여부, 위치, 규모에 대한 학계 논쟁이 있으며, 사서 기록에 따라 위만조선에 복속된 국가로, 또는 삼한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한국의 고대 민족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한국의 고대 민족 - 탐라
    탐라는 고대 제주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탐모라국, 섭라, 탁라 등으로 불리며 섬나라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해석되고 삼성혈 건국 신화가 전해지나, 기원전 3000년 이전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주변국과 교류하다 고려에 복속된 후 조선 시대에 통치 체제 변경으로 왕국으로서의 역사가 끝났다.
변한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토착어 명칭변한 (弁韓)
변진 (弁辰)
로마자 표기Byeonhan
Byeonjin
IPA
1세기 한반도, 붉은색으로 음영 처리된 변한
1세기 한반도, 붉은색으로 음영 처리된 변한
일반 정보
시대고대
존속 기간기원전 194년 - 서기 42년
정치 체제연맹
종교샤머니즘
언어한어
이전 국가
계승 국가가야 연맹
현재 국가대한민국

2. 역사

弁韓중국어은 삼한의 하나로, 마한의 동쪽, 진한의 남쪽에 위치했으며, 훗날 임나, 가야와 겹치는 지역에 있었다. 진한과의 경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삼국지》에 따르면 변진(弁辰중국어)은 진한과 섞여 살았으며,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제사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20] 낙동강 하구 지역에서 생산되는 질 좋은 철을 동예, 왜, 한사군 등에 수출하고, 철을 화폐처럼 사용하기도 했다.[20] 기원전 39년에는 신라(혁거세 거서간 통치 시기)에 항복했다는 기록이 있지만,[21] 신채호는 당시 신라의 국력을 고려할 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보았다.[22]

변한 지역의 소국들은 점차 가야 연맹을 이루는 소국들로 발전했다. 초기 삼국 시대를 원삼국 시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변한은 다른 삼한과 마찬가지로 한반도 남부의 진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3세기경 변한 지역에서는 군사 활동과 무기 생산, 특히 철제 화살촉과 흉갑 생산이 활발해졌다.[2] 이는 중앙 집권적인 가야 연맹이 성장하면서 변한이 쇠퇴하고, 대부분의 변한 국가들이 가야 연맹에 합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후 가야는 삼국 중 하나인 신라에 흡수되었다.

변한의 독특한 문화로는 남녀 모두 문신을 새기는 풍습과,[5] 죽은 사람 곁에 깃털토기를 함께 묻어 영혼이 하늘로 날아가는 것을 돕는다는 믿음[6][5] 등이 있었다.

변한은 변(弁)과 (辰)을 합쳐 변진(弁辰)이라고도 불렸으며, 주민들은 이웃과 마찬가지로 한(韓)이라는 민족명을 사용했다.

변한이 진한과 다른 별개의 민족이었다는 가설도 존재한다.

# 초기 중국 기록에서 묘사된 한반도 남부 해안의 왜인[7]

# 고인돌 문화 분포를 통해 추정되는 고대 남부 무역로를 거쳐 간 민족 (전라남도 고분에서 발견된 유리 구슬의 성분 분석 결과, 원자재 생산지가 태국으로 나타났다)[8]

하지만 《삼국지》에 따르면, 변한과 진한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화를 공유했고 종교적 관습에 차이가 있었을 뿐, 뚜렷한 경계로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에 민족적으로 분리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후 금관국(가락국)이 이 지역의 맹주가 되어 국가 연합을 형성하였다.

2. 1. 삼한 시대 이전

삼국지》에 따르면 변진(변한)진한과 섞여 살았다고 한다. 정치, 사회, 문화적인 면에서 진한과 다를 것이 없었으나 제사 방식은 달랐다. 고고학 발굴 결과에서도 변한과 진한 사이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20] 낙동강 하구 지역에서 양질의 철이 생산되었기 때문에 삼한과 동예, 왜, 한사군 등에 수출하였다. 또한 철을 화폐로 사용하였다. 기원전 39년 봄 정월에 변한이 신라(혁거세 거서간 통치 시)에 나라를 바쳐 항복해 왔다는 기록이 있으나 신채호는 이는 당시 신라의 국력으로 볼 때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보았다.[22]

일반적으로 변한 지역의 소국들은 가야 연맹을 이루는 소국들로 발전하였다고 보고 있다. 이른 시기의 삼국 시대는 때때로 원삼국 시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변한은 다른 삼한 연맹과 마찬가지로 한국 남부의 진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3세기에 변한에서 군사 활동과 무기 생산이 증가했으며, 특히 철제 화살촉과 흉갑이 증가했다.[2] 이는 변한의 쇠퇴와 더 중앙 집권적인 가야 연맹의 부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변한 국가가 가야 연맹에 합류했다. 가야는 이후 신라에 병합되었고, 신라는 삼국 중 하나였다.

변한 고유의 것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문화적 측면은 진한과 중복되지만, 변한에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전통은 문신이었으며, 남녀 모두 문신을 했다.[5] 또 다른 전통은 죽은 사람 곁에 깃털토기무덤에 묻는 것이었는데, 깃털이 사후 영혼이 하늘로 날아가는 것을 돕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6][5]

변한은 정치적 집단으로서 때때로 변(弁)의 음차와 (辰)을 결합하여 변진(弁辰)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주민들은 그 이웃과 동일하게 민족명 한(韓)을 사용했다.

변한이 진한과 구별되는 별도의 민족을 구성한다는 두 가지 가설도 있다.

# 초기 중국 기록에 한반도 남부 해안에 존재한다고 묘사된 왜인[7]

# 고인돌 문화의 분포를 통해 볼 때 고대 남부 무역로를 통과한 민족. 전라남도에서 발굴된 고분에 대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그곳의 유리 구슬 성분 분석 결과 원자재 생산 지역이 태국임을 시사한다.[8]

그러나 두 민족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고 종교적 관습이 다르며, 동시대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에 따르면 뚜렷한 경계로 구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변한과 진한의 민족적 분리를 나타내는 뚜렷한 증거는 없다.

한반도 남부의 낙동강 하류 지역에는 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전 4세기에 걸쳐 무문토기를 사용하는 주민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농경 생활을 하면서 고인돌을 축조하고, 청동기를 사용했다. 기원전 1세기 경에 청동기와 철기 문화를 배경으로 사회 통합이 진행되어, 경상북도대구·경주 지역에 진한 제국이 나타났다. 기원 전후에 이러한 제철 기술이 경상남도 해안 지대에 보급되면서, 이 지역은 풍부한 철 생산지 보유와 해운의 양호한 조건에 의해 상당한 부와 기술을 축적하게 되었다. 그것에 의해 사회 통합이 진행되어, '''변한''' 제국이 등장한다.

2. 2. 삼한 시대

삼국지》에 따르면 변진(변한)진한과 섞여 살았다. 정치, 사회, 문화적인 면에서 진한과 다를 것이 없었으나 제사 방식은 달랐다. 고고학 발굴 결과에서도 변한과 진한 사이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20] 낙동강 하구 지역에서 양질의 철이 생산되었기 때문에 삼한과 동예, 왜, 한사군 등에 수출하였다. 또한 철을 화폐로 사용하였다. 기원전 39년 봄 정월에 변한이 신라(혁거세 거서간 통치 시)에 나라를 바쳐 항복해 왔다는[21] 기록이 있으나 신채호는 이는 당시 신라의 국력으로 볼 때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22] 보았다.

일반적으로 변한 지역의 소국들은 가야 연맹을 이루는 소국들로 발전하였다고 보고 있다.

이른 시기의 삼국 시대는 때때로 원삼국 시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변한은 다른 삼한 연맹과 마찬가지로 한국 남부의 진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3세기에 변한에서 군사 활동과 무기 생산이 증가했으며, 특히 철제 화살촉과 흉갑이 증가했다.[2] 이는 변한의 쇠퇴와 더 중앙 집권적인 가야 연맹의 부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변한 국가가 가야 연맹에 합류했다. 가야는 이후 신라에 병합되었고, 신라는 삼국 중 하나였다.

변한 고유의 것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문화적 측면은 진한과 중복되지만, 변한에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전통은 문신이었으며, 남녀 모두 문신을 했다.[5] 또 다른 전통은 죽은 사람 곁에 깃털토기무덤에 묻는 것이었는데, 깃털이 사후 영혼이 하늘로 날아가는 것을 돕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6][5]

변한은 정치적 집단으로서 때때로 변(弁)의 음차와 (辰)을 결합하여 변진(弁辰)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주민들은 그 이웃과 동일하게 민족명 한(韓)을 사용했다.

변한이 진한과 구별되는 별도의 민족을 구성한다는 두 가지 가설도 있다.

# 초기 중국 기록에 한반도 남부 해안에 존재한다고 묘사된 왜인[7]

# 고인돌 문화의 분포를 통해 볼 때 고대 남부 무역로를 통과한 민족. 전라남도에서 발굴된 고분에 대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그곳의 유리 구슬 성분 분석 결과 원자재 생산 지역이 태국임을 시사한다.[8]

그러나 두 민족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고 종교적 관습이 다르며, 동시대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에 따르면 뚜렷한 경계로 구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변한과 진한의 민족적 분리를 나타내는 뚜렷한 증거는 없다.

마한의 동쪽, 진한의 남쪽, 후의 임나·가야와 겹치는 지역에 있었다. 그 경계는 진한과 접해 복잡했다.

이후 금관국(가락국)이 이 지역의 맹주가 되어 각 국가의 연합을 만들었다.

한반도 남부의 낙동강 하류 지역에는 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전 4세기에 걸쳐 무문토기를 사용하는 주민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농경 생활을 하면서 고인돌을 축조하고, 청동기를 사용했다. 기원전 1세기 경에 청동기와 철기 문화를 배경으로 사회 통합이 진행되어, 경상북도대구·경주 지역에 진한 제국이 나타났다.

기원 전후에 이러한 제철 기술이 경상남도 해안 지대에 보급되면서, 이 지역은 풍부한 철 생산지 보유와 해운의 양호한 조건에 의해 상당한 부와 기술을 축적하게 되었다. 그것에 의해 사회 통합이 진행되어, '''변한''' 제국이 등장한다.

2. 3. 가야 연맹으로의 발전

일반적으로 변한 지역의 소국들은 가야 연맹을 이루는 소국들로 발전하였다고 보고 있다.[2] 이른 시기의 삼국 시대는 때때로 원삼국 시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변한은 다른 삼한 연맹과 마찬가지로 한국 남부의 진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3세기에 변한에서 군사 활동과 무기 생산이 증가했으며, 특히 철제 화살촉과 흉갑이 증가했다.[2] 이는 변한의 쇠퇴와 더 중앙 집권적인 가야 연맹의 부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변한 국가가 가야 연맹에 합류했다. 가야는 이후 신라에 병합되었고, 신라는 삼국 중 하나였다.

마한의 동쪽, 진한의 남쪽, 후의 임나·가야와 겹치는 지역에 있었다. 그 경계는 진한과 접해 복잡했다. 이후 금관국(가락국)이 이 지역의 맹주가 되어 각 국가의 연합을 만들었다.

한반도 남부의 낙동강 하류 지역에는 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전 4세기에 걸쳐 무문토기를 사용하는 주민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농경 생활을 하면서 고인돌을 축조하고, 청동기를 사용했다. 기원전 1세기 경에 청동기와 철기 문화를 배경으로 사회 통합이 진행되어, 경상북도대구·경주 지역에 진한 제국이 나타났다.

기원 전후에 이러한 제철 기술이 경상남도 해안 지대에 보급되면서, 이 지역은 풍부한 철 생산지 보유와 해운의 양호한 조건에 의해 상당한 부와 기술을 축적하게 되었다. 그것에 의해 사회 통합이 진행되어, '''변한''' 제국이 등장한다.

2세기에서 3세기, 변한 지역 중에서 가장 우세한 세력은 김해시 부근의 가락국(금관가야)이었다. 금관가야는 자신을 맹주로 전기 가야 연맹[18]을 형성하여, 대외적으로 주변 지역과 교역을 하였고, 사로국(신라)을 중심으로 하는 진한과 세력을 다투었다.

4세기 초에 이르러 고구려낙랑군·대방군을 멸망시키고 신라에까지 세력을 미치게 되었다.

3. 변한 12개국

삼국지위서에 따르면 변한은 12개의 소국으로 구성되었다.[17] 이병도의 설에 따르면 이 소국들은 대부분 전기 가야 연맹으로 그대로 계승되었다고 한다.

각 소국의 목록 및 위치 비정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소국 목록 및 위치 비정

삼국지 위서 제30권 오환선비동이전에는 변한 소국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17]

有, 已柢國, 不斯國, 弁辰彌離彌凍國, 弁辰接塗國, 勤耆國, 難彌離彌凍國, 弁辰古資彌凍國, 弁辰古淳是國, 冉奚國, 弁辰半路國, 弁樂奴國, 軍彌國, 弁軍彌國, 弁辰彌烏邪馬國, 如湛國, 弁辰甘路國, 戶路國, 州鮮國, 馬延國, 弁辰狗邪國, 弁辰走漕馬國, 弁辰安邪國, 馬延國, 弁辰瀆盧國, 斯盧國, 優由國, 弁辰韓合二十四國중국어

이들 소국의 위치 비정은 이병도설을 중심으로 일부 수정되었으며, 대부분 전기 가야연맹으로 그대로 계승되었다.

이름한자현재의 위치
미리미동국彌離彌凍國밀양시 일대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고성군 일대
고순시국古淳是國미상. 천관우사천시 일대로 비정했다.
반로국半路國고령군 일대. 반파국(伴跛國)의 오기이다.
악노국樂奴國하동군 악양면.
군미국軍彌國사천시 곤양면과 곤명면 일대.
미오야마국彌烏邪馬國창원시 일대. 이후의 골포국. 이병도고령군으로 비정했지만 이 지역은 반파국의 땅이다.
감로국甘路國김천시 개령면. 이 지역은 삼국사기에 진한으로 표기되고, 일찌감치 신라 영역에 편입되었다.
구야국狗邪國나중의 금관가야. 수장을 진지렴(秦支廉)이라고도 하였다.
주조마국走漕馬國김천시 조마면
안야국安邪國함안군 일대. 아라가야가 일어선 곳이며, 수장을 축지분(踧支濆)이라고도 하였다.
독로국瀆盧國현재의 거제도 지역.
접도국接塗國나중의 칠포국. 지금의 함안군 칠원읍


4. 문화 및 사회

변한은 진한과 여러 면에서 유사한 문화를 공유했지만, 몇 가지 독특한 특징도 가지고 있었다.

초기 중국 기록에 따르면 변한과 진한의 문화는 유사했지만, 5세기의 《후한서》에는 언어와 풍습에 차이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촌락과 의복은 같았다고 한다.

변한 사람들은 남녀 모두 문신을 새기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는 의 풍습과 유사하다는 기록이 있다.[5] 또한, 죽은 사람의 영혼이 하늘로 날아가는 것을 돕기 위해 무덤에 깃털토기를 함께 묻는 장례 풍습이 있었다.[6][5]

변한은 정치적으로 변진(弁辰)이라고도 불렸으며, 주민들은 한(韓)이라는 민족명을 사용했다.

변한과 진한이 별개의 민족이라는 가설도 있지만, 두 민족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화를 공유했고 종교적 관습에 차이가 있었으며,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에 따르면 뚜렷한 경계로 구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뚜렷한 증거는 없다.

『삼국지』 위서 변진전에 따르면, 진한과 변진(변한)은 풍속과 언어가 유사했다. 토지는 비옥하고 오곡 재배에 적합했으며, 누에를 쳐서 비단을 만들었다. 큰 새의 깃털을 사용하여 죽은 사람을 보냈는데, 이는 죽은 사람을 하늘로 날려 보낸다는 의미였다. 무기는 마한과 같았다. 예의가 바르고 길에서 마주치면 기꺼이 상대에게 길을 양보했다.

3세기경 변한에서는 군사 활동과 무기 생산, 특히 철제 화살촉과 흉갑 생산이 증가했다.[2] 이는 중앙 집권적인 가야 연맹의 부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변한 국가가 가야 연맹에 합류했다. 가야는 이후 신라에 병합되었다.

4. 1. 언어

위서》 속 중국 《삼국지》의 〈동이전〉에는 변한의 문화가 진한과 유사하며(언어와 풍속이 서로 비슷), 인구가 "섞여 살았다"(변진과 진한이 섞여 거주)고 기록되어 있다.[9]

그러나 5세기의 《후한서》는 "언어와 풍속에 차이가 있다"(言語風俗有異)고 적어 그들의 언어와 풍습에 차이가 있음을 언급했고, 촌락과 의복은 같다고 기록했다.[9]

《위서》는 "진한 남녀는 왜(倭)에 가깝다(男女近倭)"고 기록했는데, 이는 당시 일본 열도 거주민의 민족 명칭이며, 와 마찬가지로 몸에 문신을 했다. 그러나 《후한서》는 이를 변한과 동일시하며 "그 나라는 왜에 가까우므로 자주 문신을 한다"고 기록했다.[9]

언어학자 존 휘트먼은 이 상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사실, 이 텍스트는 언어, 민족, 그리고 원시 정치 집단 간의 더 복잡하고(그리고 타당한) 상호 관계를 나타낸다. [...] 진한 인구는 변한과 섞여 살고 있으며, 중국 기록자들은 그 결과로 나타난 인구 통계적 복잡성을 설명하기 위해 고심한다. 그들의 언어는 비슷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일부는 왜와 비슷하고, 일부는 몸에 문신을 한다. 왜와 유사한 지명이 변한 집단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나지만, 그러한 지명 중 하나는 진한과 동일시된다. 이것은 안(Ahn)이 묘사한 상황과 정확히 일치하는 복잡성이며, 무문 토기 벼농사 문화와 관련된 인구가 한국식 청동 단검 문화의 비교적 최근에 도착한 구성원들과 함께 살고 있다.[9]

4. 2. 풍습

변한의 풍습은 진한과 겹치는 부분이 많았지만, 변한 고유의 것으로 추정되는 몇 가지 특징이 있었다. 남녀 모두 문신을 하는 전통이 있었으며[5], 죽은 사람 곁에 깃털토기를 함께 무덤에 묻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는 깃털이 죽은 사람의 영혼이 하늘로 날아가는 것을 돕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6][5]

변한은 정치적으로 변진(弁辰)이라고도 불렸으며, 주민들은 이웃과 마찬가지로 한(韓)이라는 민족명을 사용했다.

변한과 진한이 별개의 민족이라는 가설도 존재한다.

# 초기 중국 기록에서 한반도 남부 해안에 왜인이 존재한다고 묘사한 점[7]

# 고인돌 문화 분포를 통해 고대 남부 무역로를 거쳐간 민족으로, 전라남도에서 발굴된 고분의 유리 구슬 성분 분석 결과 원자재 생산지가 태국이라는 점[8]

하지만 두 민족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화를 공유했고 종교적 관습에 차이가 있었으며,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에 따르면 뚜렷한 경계로 구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변한과 진한의 민족적 분리를 나타내는 뚜렷한 증거는 없다.

위서》의 〈동이전〉에는 변한의 문화가 진한과 유사하며(언어와 풍속이 서로 비슷), 인구는 "섞여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9] 그러나 5세기의 《후한서》는 언어와 풍습에 차이가 있다고 언급했다.[9]

《위서》는 "진한 남녀는 에 가깝다"고 기록하며, 와 마찬가지로 몸에 문신을 했다고 전한다. 그러나 《후한서》는 이를 변한과 동일시하며 "그 나라는 왜에 가까우므로 자주 문신을 한다"고 기록했다.[9]

언어학자 존 휘트먼은 이러한 기록들이 언어, 민족, 원시 정치 집단 간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나타낸다고 보았다.[9]

『삼국지』 위서 변진전에 따르면, 진한과 변진(변한)은 풍속과 언어가 유사했다. 토지는 비옥하고 오곡 재배에 적합했으며, 누에를 쳐서 비단을 만들었다. 큰 새의 깃털을 사용하여 죽은 사람을 보냈는데, 이는 죽은 사람을 하늘로 날려 보낸다는 의미였다. 무기는 마한과 같았다. 예의가 바르고 길에서 마주치면 기꺼이 상대에게 길을 양보했다.

4. 3. 산업

弁韓중국어 생산으로 국제적으로 알려져 낙랑군으로 수출했다.[11] 일본 열도,[11][12]한반도의 다른 지역으로도 수출했다.[13][14] 석기 제조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삼국지》 위서 변진전에 따르면, 진한과 변진(弁韓중국어)은 풍속과 언어가 유사했다. 토지는 비옥하고 오곡 재배에 적합했으며, 누에를 쳐서 비단을 만들었다. 낙동강 하구 지역에서 양질의 철이 생산되어 삼한, 동예(東濊), 왜(倭), 한사군 등에 수출하고 철을 화폐로 사용하였다.

4. 4. 왜와의 관계

《삼국지》에 따르면 변한은 진한과 섞여 살았으며,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제사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고고학적 발굴에서도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20] 변한은 낙동강 하구 지역에서 생산되는 질 좋은 철을 동예, 왜, 한사군 등에 수출하고 철을 화폐처럼 사용했다.[21]

위서》 〈동이전〉에는 변한의 문화가 진한과 유사하며(언어와 풍속이 서로 비슷), 인구는 "섞여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9] 그러나 5세기의 《후한서》는 언어와 풍습에 차이가 있다고 언급하며, 촌락과 의복은 같다고 기록했다.[9]

《위서》는 "진한 남녀는 에 가깝다"고 기록하며, 와 마찬가지로 몸에 문신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후한서》는 이를 변한과 동일시하며 "그 나라는 왜에 가까우므로 자주 문신을 한다"고 기록했다.[9]

변한이 와 관련이 있다는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초기 중국 기록에 한반도 남부 해안에 왜인이 존재한다고 묘사[7]

# 고인돌 문화 분포를 통해 고대 남부 무역로를 통과한 민족. 전라남도 고분에서 발굴된 유리 구슬 성분 분석 결과 원자재 생산 지역이 태국임을 시사.[8]

하지만, 변한과 진한이 기본적으로 같은 문화를 공유하고 종교적 관습이 다르며,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에 따르면 뚜렷한 경계로 구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둘을 분리하는 뚜렷한 증거는 없다.

5. 명칭

"변한(弁韓)"은 고대 한국어 단어의 조합으로 여겨진다. 한국어 고유어에서 "변(弁)"은 "빛나는/반짝이는"을 의미하며 "한(韓)"은 "큰"을 의미하여, 변한(Byeonhan)의 의미는 "빛나는 큰 나라"를 뜻한다.[3]

삼한(三韓)의 일부로서 진한(辰韓)은 "동쪽의 큰 나라"를, 마한(馬韓)은 "남쪽의 큰 나라"를 의미했다.[4]

참조

[1] 서적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Jimundang 2005
[2] 서적 Pre-Modern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Volume I: To 1800 Cengage Learning 2013-01-01
[3] 학위논문 http://www.mosan.or.[...]
[4] 학위논문 http://www.mosan.or.[...]
[5] 서적 한국사 1 교원 All Story
[6] 학술지 弁韓 西部地域 瓦質土器文化 硏究 http://m.riss.kr/sea[...] 2019
[7]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Cengage Learning 2013
[8] 웹사이트 about Sinduck Kofun article https://www.donga.co[...] The Dong-a Ilbo 2021-08-10
[9] 학술지 Northeast Asian Linguistic Ecology and the Advent of Rice Agriculture in Korea and Japan 2011-12
[10] 서적 Korean studies series Jipmundang 2003
[11]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2] 서적 Money traditional Korean society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6
[13] 서적 최근 의 고고학 자료 로 본 한국 고고학, 고대사 의 신 연구(Recent research on archaeology and ancient deities Juryusung 2006
[14] 학술지 弁韓의 對外交易 http://www.riss.kr/s[...] 2011
[15] 서적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国家 岩波書店 1998-03-25
[16] 서적 東アジア民族史 1-正史東夷伝 平凡社 1974-12-01
[17] 서적 東アジア民族史 1-正史東夷伝 平凡社 1974-12-01
[18] 문서 この呼称は文献史料には出現せず、近年の歴史学における新しい概念である。
[19] 문서 《지도로 보는 한국사》, 김용만,김준수 지음, 수막새,43쪽(삼한의 성장)
[20]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변한 항목 http://100.nate.com/[...] 2009-03-19
[21] 문서 김부식(1145), 《삼국사기》 〈권제1〉 혁거세 거서간 條 “十九年 春正月 卞韓以國來降”(19년(서기전 39) 봄 정월에 변한(卞韓)이 나라를 바쳐 항복해 왔다.)
[22] 문서 신채호저, 《조선상고사》<제4편 제4장 3. 신라의 건국> "초년(初年)에 초창(草創)한 신라는 경주 한 구석에 의거하여 여러 나라 중에서 가장 작은 나라였는데, '변한이 나라로 들어와서 항복하였다.'느니 , `동옥저가 좋은 말 200 마리를 바쳤다.'느니 함이 거의 사세에 맞지 아니할 뿐 아니라, `북명인 (北溟人)이 밭을 갈다가 예왕(濊王)의 도장을 얻어서 바쳤다.' 함은 더욱 황당한 말인 듯하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