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석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석기는 돌을 갈아서 만든 석기로,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이다. 간석기 기술은 레반트 지역에서 중석기 시대에 나타났으며, 일본 열도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부분 마제 석기가 사용되는 등 세계적으로 다양한 시기에 등장했다. 간석기는 제작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암석을 사용하며, 제작 방식에 따라 도끼, 식기, 장신구, 절구와 망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고고학에서는 간석기의 사용 흔적과 식물 잔류물 분석을 통해 과거의 활동과 농업, 가축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간석기는 인류의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며, 특히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구석기 시대의 부분 마제 석기는 동아시아 지역의 독자적인 기술 발전을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기 - 르발루아 기법
    르발루아 기법은 구석기 시대에 등장하여 석재의 부피를 활용하여 석기를 제작하는 기술로,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네안데르탈인과 관련이 깊다.
  • 석기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신석기 시대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 신석기 시대 - 한국의 신석기 시대
    한국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한반도에서 빗살무늬토기와 간석기를 사용하며 농경과 어로 활동을 하고 움집을 중심으로 정착 생활을 한 시대로, 당시 자연환경 변화가 생활 방식과 사회 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등의 신앙과 다양한 예술 활동의 흔적이 발견된다.
간석기
개요
종류석기 도구
사용 시기선사 시대
제작 방법돌을 갈아서 제작
특징표면이 매끄럽고 날카로운 칼날을 가짐
역사
사용 시기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 거쳐 철기 시대 초기까지
사용 목적나무를 자르거나 다듬는 데 사용
곡물을 수확하는 데 사용
사냥 도구로 사용
발견 장소전 세계에서 발견
제작 기술
제작 방법갈돌과 갈판을 이용하여 돌을 갈아서 제작
돌을 물에 적셔 가면서 갈아 표면을 매끄럽게 함
자루를 만들어 부착하여 사용
형태 및 기능
일반적인 형태
도끼

자귀

갈돌
갈판
기능벌목
농작물 수확
음식 조리
사냥
한국
발견 장소한반도 전역의 신석기 유적지
대표적인 유물빗살무늬토기와 함께 출토되는 돌도끼, 돌칼, 돌화살촉 등
의미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
기타
중요성선사 시대 사람들의 기술과 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

2. 역사

간석기 기술은 신석기 시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신석기는 크리스티안 위르겐센 톰센이 개발한 삼시대 시스템에서 유래되었다. 마제석기는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도구로, 세계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약 1만 년 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10]

하지만, 일본 열도에서는 약 4만~3만 년 전의 후기 구석기 시대 초기에 날부분만 연마를 가한 부분 마제 석부가 출현했는데, 이는 마제 기법이 사용된 석기로는 세계 최고(最古)급이다. 이는 "구석기 시대에는 타제 석기만 사용되고, 마제 석기는 출현하지 않았다"라는 이 시대의 정의를 재검토하게 하는 유물이다.

빙하기였던 약 4만 년 전부터 1만 6천 년 전까지는 해수면이 지금보다 약 60m 정도 낮아 대한 해협의 폭이 좁아졌으며, 3만 년 전에는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 해수면이 현재보다 최고 120m까지 낮아졌고, 1만 9천 년 전부터 기온이 회복되었다.[12]

2. 1. 세계의 간석기

레반트 지역에서는 중석기 시대 2기(나투피안 문화)에 간석기가 나타난다.[2][3] 일본 열도에서는 약 4만~3만 년 전의 후기 구석기 시대 초기에 날 부분만 연마한 부분 마제 석부가 출현했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마제 기법 사용 사례 중 하나로 여겨진다.

나가노현 가미미노치군 시나노마치의 노지리코 유적군 (누키노키 유적·휴가바야시 B 유적 등)에서 다수 출토되었으며, 홋카이도에서 큐슈, 아마미오시마까지 약 135개 유적에서 약 400점 출토되었다.[11]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약 2만 년 전의 타원형 편평석을 갈아 만든 간석기가 발견되기도 한다. 이 석기는 자루 부분에 홈이 파여 있으며, 자연적인 면과 연마된 흔적이 명확하지 않다.[11] 일본의 구석기 시대 간석기는 3~4만 년 전에 집중되어 있고, 그 후에는 일단 단절되었는지 조몬 조창기까지 나타나지 않는다.[11]

2. 2. 한국의 간석기

한국에서는 일본 열도와 마찬가지로 구석기 시대 후기부터 부분 마제 석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11] 나가노현 노지리코 유적군 등에서 다수 출토되었으며, 한반도 전역의 약 135개 유적에서 400여 점이 발견되었다.[11] 이러한 발견은 "구석기 시대에는 타제 석기만 사용되고, 마제 석기는 출현하지 않았다"라는 기존의 정의를 재검토하게 하는 유물로서 주목받고 있다.[11]

빙하기였던 약 4만 년 전부터 1만 6천 년 전까지 한반도일본 열도 사이의 대한 해협 폭이 좁아지면서, 두 지역 간의 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2] 아오모리현 오다이라야마모토 유적에서 발굴된 조몬 시대 조창기 (16,500-15,500년 전)의 석촉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석촉으로 알려져 있다.[13]

3. 제작

간석기는 다양한 목적에 따라 제작 방식과 과정이 달랐지만, 대부분 기본적인 제작 과정을 거쳤다.

간석기 제작에는 원석 선택, 구멍 뚫기, 연마, 블랭크 제작 등의 과정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일반적으로 석기는 원료 석재를 다른 석재나 짐승 뼈 등으로 두드려 깨거나 떼어내어 제작한다(타제석기). 마제석기는 이렇게 제작한 석기를 모래나 다른 돌로 연마하여 울퉁불퉁한 부분을 최대한 없앤 석기를 말한다. 모재가 되는 돌이 치밀할수록 표면은 매끄럽고 날카로워진다.[4]

3. 1. 원료

간석기 도구에 사용할 돌의 종류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강도이다. 큰 충격에도 쪼개지거나, 부서지거나, 갈라지지 않는 돌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돌에는 석회암, 사암, 화강암, 현무암, 유문암 및 기타 화성암과 미정질암이 있다.

미정질암은 매우 미세한 입자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석기에 사용하기 좋다. 돌의 입자가 작을수록 돌이 더 단단해지기 때문에 유용하다.[4]

3. 2. 제작 과정

간석기 제작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이 적용된다.

  • 원석 선택: 간석기 제작에 사용될 돌의 종류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강도이다. 큰 충격에도 쪼개지거나 부서지지 않는 석회암, 사암, 화강암, 현무암, 유문암, 화성암, 미정질암 등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4] 미정질암은 매우 미세한 입자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간석기 제작에 적합하다. 돌의 입자가 작을수록 더 단단해지기 때문이다.[4]
  • 구멍 뚫기: 날카로운 돌이나 단단한 막대기를 사용하여 돌에 구멍을 낼 수 있다. 손으로 간석기를 돌리고 날카로운 점으로 간석기를 누르는 방식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모래를 사용하여 구멍을 내는 과정을 빠르게 할 수 있는데, 모래는 돌을 더 많이 갈아내는 데 도움을 준다. 한쪽 방향으로 반쯤 구멍을 뚫고 반대쪽에서 마무리하여 구멍을 완성한다.[4]
  • 연마: 마노는 맷돌 및 기타 연석과 함께 사용되는 손으로 잡는 돌이며, 마모를 통해 표면이 갈린다. , 켈트, 도끼 등은 더 단단한 돌이나 모래에 반복적으로 갈아 제작하는데, 이는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방법이다. 종종 물을 윤활제로 사용한다. 이러한 도구는 거친 재료보다는 튼튼하고 세밀한 입자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경우가 많다.[4]
  • 블랭크 제작 (북미 북극 지역): 북미 북극 지역의 노턴, 도셋, 툴레 등에서는 간석기로 만든 도구를 사용했다. 이러한 도구의 일반적인 형태는 투사체 포인트와 울루였다. 블랭크(Blank)를 만들어 목적에 맞게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블랭크는 칩핑하거나 슬레이트를 한쪽 또는 양쪽에서 반쯤 톱질한 다음 블랭크로 부러뜨린 다음 연마제나 숫돌로 갈아서 마무리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었다.[4]


일반적으로 석기는 원료가 되는 석재를 다른 석재나 짐승의 뼈 등으로 두드려 깨거나 떼어내어 제작한다(타제석기). 마제석기는 이와 같이 제작한 석기를 모래나 다른 돌로 연마하여 울퉁불퉁한 부분을 최대한 없앤 석기를 말한다. 모재가 되는 돌이 치밀할수록 표면은 매끄럽고 날카로워진다.

4. 종류 및 용도

간석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제작 방식과 과정이 달랐다. 망치 머리를 만드는 과정은 집을 위한 정교한 장식 조각을 만드는 과정과 달랐다. 간석기 제작에는 돌의 강도가 중요했는데, 석회암, 사암, 화강암, 현무암, 유문암 및 기타 화성암과 미정질암 등이 사용되었다.[4]

미정질암은 매우 미세한 입자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간석기에 사용하기 좋았다. 돌의 입자가 작을수록 더 단단해지기 때문이다. 날카로운 돌이나 단단한 막대기로 돌에 구멍을 낼 수 있었는데, 모래를 사용하여 과정을 빠르게 하기도 했다. 돌 조각에 구멍을 완전히 내려면 먼저 한쪽 방향으로 반쯤 구멍을 뚫고 반대쪽에서 마무리했다.[4]

도끼 머리를 돌로 만들 때는 자루를 끼울 수 있도록 제작했다. 나무나 뼈와 같은 더 큰 조각에 돌을 자루로 끼우기 위해, 간 석재의 한쪽 면에 최소 두 개의 홈을 깎아내어 자루 재료가 안쪽에 놓이도록 했다. 그런 다음 질긴 가죽을 자루 주위에 감고 홈 안쪽에 넣어 간 석재와 자루를 함께 묶었다.[4]

4. 1. 종류

주요 마제석기(및 마제 기법으로 제작되는 석제품)에는 석사라, 마제, 석부(마제석부), 석추, 석도, 석봉, 조몬 시대의 석도·석검, 야요이 시대의 석검 등이 있다.[1]

  • 석사라·마제: 조리 도구로 이용되었다.[1]
  • 석부: 수목 벌채나 흙 파는 도구로 이용되었다.[1]
  • 석추: 목재나 짐승 가죽에 구멍을 뚫는 드릴로 이용되었다.[1]
  • 석도: 조리용이 아닌 농경용으로, 수확에 이용되었다.[1]
  • 석봉 또는 석도·석검: 조몬 시대석봉이나 석도·석검의 용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주술 도구 또는 보물로 이용되었다고 생각된다.[1] 이와는 별개로 야요이 시대에는 한반도에서 전래되어 무기로 실전에서 사용된 석검(마제석검)이 존재한다.

4. 2. 용도

간석기는 수렵, 채집, 농경, 조리, 건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마노는 맷돌 및 기타 연석과 함께 사용되는 손으로 잡는 돌이며, 마모를 통해 표면이 갈리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다른 간석기 도구로는 , 켈트, 도끼 등이 있으며, 이는 더 단단한 돌이나 모래에 반복적으로 갈아 제작하는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종종 물을 윤활제로 사용했다.[4]

석사라·마제조리 도구로, 석부는 수목 벌채나 흙을 파는 도구로, 석추는 목재나 짐승 가죽에 구멍을 뚫는 드릴로 이용되었다. 석도는 조리용이 아닌 농경용으로, 수확에 이용되었다. 조몬 시대석봉이나 석도·석검은 주술 도구 또는 보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야요이 시대에는 한반도에서 전래되어 무기로 사용된 석검(마제석검)이 존재한다.

씨앗과 잎을 가루로 빻을 때 둥글고 매끄러운 간석기를 돌 그릇 안에서 사용했는데, 이 도구 한 쌍을 절구와 망치라고 한다. 재료를 절구에 넣고 망치를 절구 안에서 움직여 눌러 재료를 고운 가루로 가는 방식은 약제와 요리에 사용될 수 있었다. 절구와 망치는 오늘날에도 많은 요리법에 사용되고 있다.

간석기는 식기로 사용되기도 했다. 큰 돌을 사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석기 제작을 통해 음식 용기인 그릇과 냄비를 만들었다. 장신구, 구슬, 귀걸이 및 기타 장식용 간석기는 작고 세밀한 조각을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으로 인해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이었다.

5. 분석 방법

고고학에서 간석기는 과거의 활동, 농업 전략 및 가축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간석기 기술은 곡물 가공과 관련된 일상생활 기술로 알려져 왔지만, 연구 결과는 그 기능이 더 복잡하고 다기능적임을 보여준다. 민족지학적 연구는 연구 질문을 정의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간석기의 기능을 정확하게 결정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유형학, 민족지학적 연구 및 실험적 복제품은 간석기 기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마모 흔적 및 식물 잔류물(녹말 입자 및 식물 규산체) 분석이 있다.

5. 1. 사용 흔적 분석 (Use-wear analysis)

두드리기, 갈기, 자르기 등의 사용 흔적을 분석하여 간석기의 용도를 파악한다.[7] 마모 흔적은 어떤 행위를 했는지 뿐만 아니라 유기물 또는 무기물 등 가공한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난다. 곡물과 가죽을 가공하는 데 사용된 손돌은 이 방법을 사용하여 구별되었다.[8]

5. 2. 식물 잔류물 분석 (Botanical remains)

전분 입자와 식물 규산체는 간석기의 미세한 틈새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식물 유해는 고고학적 맥락에서 잘 보존될 수 있다.[9] 이러한 식물 유해를 분석하여 간석기로 가공한 식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식물 유해를 연구하기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먼저, 칫솔과 초음파 세척기를 사용하여 마제석에서 추출물을 얻는다. 그런 다음, 잔류물을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마지막으로, 전분을 실험적인 현대 전분 입자의 기준 표본과 비교한다.

6. 의의

간석기 제작 기술은 매우 높은 수준으로, 현대 실리콘 웨이퍼나 광학 부품의 연마 기술의 기초가 되었다.[1]

참조

[1] 간행물 Ground stones: a synthesis of the use-wear approach 2022-03-03
[2] 서적 "Prehistoric Japan, New perspectives on insular 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Honolulu
[3] 학술지 世界最古の磨製石斧と栗原遺跡 列島最古の旧石器文化を探る6 https://sitereports.[...] 2017-05-26
[4] 학술지 An Example of Technological Change in Prehistory: The Origin of a Regional Ground Slate Industry in South-Central Coastal Alaska 1982
[5] 간행물 Ground stones: a synthesis of the use-wear approach 2022-03-03
[6] 간행물 Ground stones: a synthesis of the use-wear approach 2022-03-03
[7] 간행물 Ground stone use-wear analysis: a review of terminology and experimental methods 2022-03-10
[8] 학술지 Use-Wear Analyses on Manos and Hide-Processing Stones 1988
[9] 서적 Ancient Starch Research Routledge 2016
[10] 웹사이트 世界最古の磨製石斧と栗原遺跡 https://ac.jpn.org/k[...] 小田静夫 2024-10-15
[11] 웹사이트 旧石器時代の磨製石斧 https://ac.jpn.org/k[...] 小田静夫 2024-10-15
[12] Youtube 立切遺跡・横峯遺跡国指定記念シンポジウム ライブ 〜世界最古、3万5000年前の落とし穴と礫群〜 https://www.youtube.[...] 中種子町 2024-10-15
[13] 웹사이트 寒冷気候が卓越する北日本での最寒期の世界最古級の土器と石鏃の発明 https://www.aori.u-t[...] 東京大学大気海洋研究所 2024-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