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카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카부는 콩고민주공화국 남키부주에 위치한 도시로, 1901년 콩고 자유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과거에는 키부 지역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1994년 르완다 대학살 이후 발생한 전쟁으로 인해 지위가 약화되었다. 부카부는 르완다 내전과 콩고 전쟁의 영향을 받았으며, 2004년에는 르완다 지원을 받는 반군에 함락되기도 했다. 현재는 교육, 의료 시설을 갖춘 도시이며, 2015년 지진과 2022년 홍수로 피해를 입었다. 지리적으로는 키부 호에 인접해 있으며, 관광 산업 발전을 기대했으나 정세 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키부주 -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은 콩고 민주 공화국 남키부주에 위치하며 동부 저지대 고릴라를 보호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밀렵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고 트와족 인권 침해 문제도 있다. - 남키부주 - 이쥐섬
이쥐섬은 18세기 말 독립을 시도해 왕국으로 선포되었으며, 농업 기반 자립 경제를 이루었으나 인구 감소와 만성적인 영양실조 문제를 겪고 있는 남키부 주의 섬이다. - 키부호 - 니라공고산
니라공고산은 동아프리카 지구대 비룽가 산맥에 있는 활화산으로, 산정 화구 내 용암호와 빠른 속도의 용암류, 그리고 1977년, 2002년, 2021년의 분화로 인근 지역에 큰 피해를 준 것이 특징이며 현재 고마 화산 관측소에서 감시 중이다. - 키부호 - 고마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북키부 주의 주도인 고마는 키부 호수 북쪽에 위치한 도시로, 열대 사바나 기후와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역사적으로 분쟁과 재난을 겪었지만 Amani 축제와 다양한 예술 활동이 이루어지는 문화 중심지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키상가니
키상가니는 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헨리 모턴 스탠리에 의해 재건축되어 스탠리빌로 불리다 키산가니로 개명되었으며, 콩고 강의 주요 교통 및 상업 중심지이자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6개의 코뮌으로 나뉘어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상업, 금융, 산업, 문화, 예술의 중심지이자 교육 및 스포츠 시설과 풍부한 자연, 문화 유산을 가진 관광 도시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루붐바시
루붐바시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구리 광업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킨샤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1966년 루붐바시로 개명되었고, 광업,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며, 콩고 민주 공화국의 광업 수도로 불린다.
부카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빌 드 부카부 (Ville de Bukavu) |
별칭 | 없음 |
위치 | 콩고 민주 공화국 남키부 주 |
표어 | 없음 |
행정 구역 | 코뮌 (3개): 바기라, 이반다, 카두투 |
시장 | 제농 카룸바 |
설립 | 1901년 |
시 승격 | 1958년 |
면적 | 45km² |
인구 (2016년) | 870,954명 |
인구 밀도 | 19,355명/km² |
도시 인구 | 1,133,000명 |
시간대 | 중앙아프리카 시간 (UTC+2) |
기후 | 열대 사바나 기후 (Aw) |
웹사이트 | 없음 |
지리 | |
좌표 | 2°30′22″S 28°51′39″E |
해발 고도 | 1,498m |
2. 역사
부카부는 고대 부시 왕국의 영토에 속해 있었으며, 19세기 말 유럽인들이 도래하기 전까지 "루소지"라고 불렸다. 1901년 콩고 자유국에 의해 설립되었고, 1908년 벨기에령 콩고에 편입되었다.[4] 1927년 부총독 폴 코스테르만의 이름을 따 "'''코스테르만스빌'''"("'''코스테르만스타트'''")로 불렸다가 1953년 현재의 이름인 부카부로 변경되었다.
르완다 대학살 이후, 후투족 난민들이 부카부 주변에 정착하면서 대호수 난민 위기가 발생했고, 난민 수용소는 후투족 반군의 근거지가 되었다. 1996년 제1차 콩고 전쟁 발발과 함께 르완다 정부군의 공격을 받았으며, 이후 로랑 카빌라가 이끄는 반군과 르완다의 지원으로 킨샤사 정부가 전복되었다. 그러나 르완다와 반군 간의 갈등으로 제2차 콩고 전쟁이 발발했고, 부카부는 콩고 민주주의 연합(RCD)과 정부군 간의 전투 지역이 되었다.
2004년 6월, 룬쿤다 장군이 이끄는 RCD군이 부카부를 점령하면서 많은 여성들이 강간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 이후 룬쿤다 장군은 평화 협정에 따라 정부군에 재통합되었으나, 2007년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2015년 남키부 지진으로 경찰관이 사망하고, 2022년 부카부 홍수로 도시가 피해를 입는 등[8] 자연재해도 발생했다.
2. 1. 식민지 이전
부카부는 남키부의 부족 집단인 고대 부시 왕국의 영토에 속해 있었다. 최초의 아랍인들이 도착했을 때는 "물루지" 냐룩엠바가 통치했는데, 이들은 상인이었고 종종 아프리카 노예들을 밀거래했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많은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19세기 말엽, 유럽인들이 부시에 들어왔고 콩고 자유국은 광대한 영토를 식민지화하려고 시도했다. "물루지"(복수형은 "발루지")는 쉬어족 언어로 "귀족" 또는 "귀족 계급"을 의미한다. 유럽인들이 부시 왕국에 들어오기 전 부카부는 "루소지"라고 불렸다. 부카부라는 이름은 바시족의 언어인 마시어로 "소의 농장"을 의미하는 '부 엔카푸'라는 단어가 변형된 것이다.
2. 2. 벨기에 식민지 시대
부카부는 남키부의 부족 집단인 부시 왕국의 영토에 속해 있었다. 19세기 말, 유럽인들이 부시에 들어왔고 콩고 자유국은 광대한 영토를 식민지화하려고 시도했다. 부카부는 1901년 콩고 자유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08년에는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4]1927년 부총독 폴 코스테르만의 이름을 따서 프랑스어로는 "'''코스테르만스빌'''", 네덜란드어로는 "'''코스테르만스타트'''"로 명명되었다가 1953년에 부카부라는 이름으로 다시 바뀌었다. 식민 통치하에 유럽인 인구가 상당했으며,[5] 이들은 아열대 기후와 아름다운 위치에 매료되었다. 많은 식민지 시대의 빌라에는 호숫가로 내려가는 경사가 있는 정원이 있었다.
반대로 일반 사람들을 위한 주요 주거 지역인 카두투는 내륙의 언덕을 따라 올라갔다. 주변 언덕은 2,000미터에 달했다. 과거에는 전체 키부 지역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고마의 성장과 1994년 르완다 대학살 이후 콩고에서 발생한 20세기 후반의 전쟁으로 인해 일부 지위를 잃었다.
2. 3. 르완다 내전과 콩고 전쟁
르완다 대학살 이후, 후투족 난민과 전 후투족 정부의 많은 구성원들이 르완다에서 도망쳐 대호수 난민 위기를 야기했다. 고마와 부카부 주변의 난민 수용소는 새로운 와투치 르완다 정부에 맞선 수용소 내 후투족 반군의 중심지가 되었다.[6]1996년 11월, 제1차 콩고 전쟁이 시작될 무렵, 르완다 정부군은 반란을 허용했던 자이르 정부의 후투족 수용소와 군대를 공격했다. 르완다 정부는 로랑 카빌라가 이끄는 자이르의 반군을 지원했고, 그들의 도움으로 킨샤사 정부를 전복했다. 나중에 르완다 정부는 반군과 불화하여 제2차 콩고 전쟁으로 이어졌다. 르완다는 카빌라에 대항하는 반군 콩고 민주주의 연합(RCD)을 지원했다. 부카부와 남키부의 나머지 지역은 특히 1998년과 2004년에 반군과 정부군 및 그들의 대리군, 특히 마이마이 간의 산발적인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6]
2004년 6월 3일, 여러 콩고 도시의 시위대는 부카부가 룬쿤다 장군이 이끄는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RCD군에 함락되는 것을 막지 못한 것에 대해 유엔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6] 룬쿤다 장군이 자신의 부대에게 "이 도시는 3일 동안 당신들의 것이다"라고 말한 후, 단 한 주말에 약 1만 6천 명의 여성이 강간을 당했다.[7] 나중에 룬쿤다 장군은 전쟁을 끝내고 그의 부대를 콩고 정부군에 재통합하는 평화 협정에 따라 행동하도록 설득되었다. 2007년 9월 그는 다시 반란을 일으켜 고마 북쪽의 정부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르완다 내전 당시에는 인접한 르완다에서 많은 난민이 유입되어 후투족 난민 캠프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후투족 계열 게릴라가 르완다 침공을 반복했기 때문에 투치족 계열 르완다 정부는 반정부 게릴라인 아프들(AFDL, コンゴ・ザイール解放民主勢力連合)을 지원했고, 부카부도 AFDL의 지배하에 놓였다. 그 후, 정권을 잡은 AFDL이 반르완다적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르완다는 반냐무렌게 계열의 반정부 조직인 RCD(コンゴ民主連合)를 지원했고, 부카부는 RCD의 손에 넘어갔다. 이후 2003년에는 일시적으로 평화가 성립되어 부카부는 정부의 손으로 돌아왔지만, 2004년에는 RCD의 로랑 은쿤다가 다시 정부로부터 이탈하여 2004년 5월 부카부는 다시 RCD의 손에 넘어갔다.
2. 4. 최근 역사
부카부는 남키부의 부족 집단인 고대 부시 왕국의 영토에 속해 있었다. 19세기 말엽 유럽인들이 부시에 들어왔고 콩고 자유국은 광대한 영토를 식민지화하려고 시도했다. 1901년 콩고 자유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08년에는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4] 1927년 부총독 폴 코스테르만의 이름을 따서 프랑스어로 "'''코스테르만스빌'''", 네덜란드어로 "'''코스테르만스타트'''"로 명명되었다가 1953년에 부카부라는 이름으로 다시 바뀌었다.르완다 대학살 이후, 후투족 난민과 전 후투족 정부의 많은 구성원들이 르완다에서 도망쳐 대호수 난민 위기를 야기했다. 고마와 부카부 주변의 난민 수용소는 새로운 와투치 르완다 정부에 맞선 수용소 내 후투족 반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96년 11월, 제1차 콩고 전쟁이 시작될 무렵, 르완다 정부군은 반란을 허용했던 자이르 정부의 후투족 수용소와 군대를 공격했다. 르완다 정부는 로랑 카빌라가 이끄는 자이르의 반군을 지원했고, 그들의 도움으로 킨샤사 정부를 전복했다. 이후 르완다 정부는 반군과 불화하여 제2차 콩고 전쟁으로 이어졌다. 르완다는 카빌라에 대항하는 반군 콩고 민주주의 연합(RCD)을 지원했다. 부카부와 남키부의 나머지 지역은 특히 1998년과 2004년에 반군과 정부군 및 그들의 대리군, 특히 마이마이 간의 산발적인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2004년 6월 3일, 여러 콩고 도시의 시위대는 부카부가 룬쿤다 장군이 이끄는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RCD군에 함락되는 것을 막지 못한 것에 대해 유엔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6] 룬쿤다 장군이 자신의 부대에게 "이 도시는 3일 동안 당신들의 것이다"라고 말한 후, 단 한 주말에 약 1만 6천 명의 여성이 강간을 당했다.[7]
2015년 남키부 지진 당시 경찰관 1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 도시는 2022년 부카부 홍수로 피해를 입었다.[8]
3. 지리
고마처럼 화산의 위협을 받지는 않지만, 부카부는 키부 호의 잠재적인 호수 분출로 인해 동일한 위험에 처해 있다. 키부 호에 용해된 다량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폭발하여 호수 근처에 사는 200만 명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9]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은 세계유산으로, 동부 저지대 고릴라의 서식지 중 한 곳이며, 부카부 시 인근에 위치하여 카부무(Kavumu)로 가는 도로에서 접근할 수 있다. 츠시방가(Tshivanga)에 있는 공원 본부는 부카부에서 31km 떨어져 있다.
3. 1. 기후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부카부는 고도가 높기 때문에 같은 유형의 다른 기후보다 온화하지만, 열대 사바나 기후(''Aw'')로 분류된다.[22] 부카부는 연중 따뜻한 낮과 쾌적한 밤을 경험한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25.4 | 25.3 | 25.3 | 24.9 | 24.9 | 25.4 | 26.1 | 27.1 | 26.5 | 25.4 | 24.8 | 24.7 |
평균 기온 (℃) | 20.4 | 20.4 | 20.4 | 20.2 | 20.3 | 20.1 | 20.0 | 20.9 | 21.0 | 20.5 | 20.1 | 20.4 |
평균 최저 기온 (℃) | 15.4 | 15.4 | 15.4 | 15.6 | 15.7 | 14.8 | 13.8 | 14.7 | 15.4 | 15.6 | 15.4 | 15.4 |
최고 기온 기록 (℃) | 29.0 | 30.1 | 29.1 | 28.5 | 27.7 | 28.6 | 29.2 | 31.4 | 31.8 | 30.2 | 28.7 | 28.4 |
최저 기온 기록 (℃) | 12.4 | 13.2 | 12.7 | 12.7 | 13.2 | 13.2 | 12.4 | 10.7 | 12.2 | 13.3 | 13.2 | 13.1 |
강수량 (mm) | 118mm | 132mm | 183mm | 148mm | 74mm | 20mm | 13mm | 56mm | 103mm | 144mm | 179mm | 147mm |
강수 일수 (≥ 0.1 mm) | 20 | 19 | 24 | 24 | 14 | 5 | 3 | 4 | 14 | 19 | 24 | 23 |
습도 (%) | 83 | 84 | 85 | 86 | 86 | 81 | 75 | 68 | 74 | 80 | 83 | 84 |
월간 일조 시간 | 151.9 | 135.6 | 148.8 | 147.0 | 161.2 | 216.0 | 241.8 | 223.2 | 180.0 | 155.0 | 135.0 | 130.2 |
일조율 (%) | 40 | 40 | 40 | 41 | 44 | 61 | 66 | 60 | 50 | 41 | 37 | 35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25 | 25.1 | 25.1 | 24.6 | 24.7 | 25 | 25.7 | 26.8 | 26.6 | 25.6 | 25 | 24.8 |
평균 기온 (℃) | 19.8 | 19.9 | 19.9 | 19.6 | 19.9 | 19.6 | 19.5 | 20.4 | 20.5 | 20.1 | 19.8 | 19.7 |
평균 최저 기온 (℃) | 14.7 | 14.7 | 14.7 | 14.7 | 15.1 | 14.2 | 13.4 | 14 | 14.5 | 14.7 | 14.6 | 14.6 |
강수량 (mm) | 135mm | 137mm | 170mm | 165mm | 103mm | 34mm | 17mm | 52mm | 110mm | 151mm | 172mm | 145mm |
3. 2. 자연재해
고마처럼 화산의 위협을 받지는 않지만, 부카부는 키부 호의 잠재적인 호수 분출로 인해 동일한 위험에 처해 있다. 키부 호에 용해된 다량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폭발하여 호수 근처에 사는 200만 명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9]4. 경제
콩고와 르완다의 정세 불안으로 인해 관광업 성장이 정체되었으며, 고마와 키산가니로 이어지는 도로는 잇따른 내전으로 거의 붕괴되었다.
4. 1. 관광 산업
온화한 기후와 아름다운 경관을 갖추고 있어 관광지로서 기대를 모았으나, 콩고와 르완다의 정세 불안으로 인해 관광업의 성장은 절망적인 상태이다. 국경 도시이자 콩고 민주 공화국의 관문이기도 하지만, 고마와 키산가니로 이어지는 도로는 잇따른 내전으로 거의 붕괴되었다.5. 사회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서 벌어진 전쟁 이후, 여성들은 여전히 심각한 폭력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2007년 8월, 부카부에 기반을 둔 여성 외상 치유 및 돌봄 프로젝트가 시레지 재단에 의해 시작되었다. 판지 재단은 V-Day라는 폭력 피해 여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7]
전쟁으로 인해 부상을 입고 장애를 안고 사는 사람들의 수도 상당히 증가했다. 2004년에는 부카부에서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 콩고 핸디캡이라는 전국 비영리 협회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전쟁 중 성폭행을 당한 장애인을 포함하여 장애인을 위한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18]
5. 1. 교육
부카부에는 많은 학교와 대학교가 있다. 이 도시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부카부 가톨릭 대학교, 아프리카 복음 대학교, 부카부 공식 대학교가 1993년에 설립되었다.
5. 2. 의료

이 도시에는 판지 병원이 있다. 1921년 스웨덴 오순절 선교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병원장인 데니스 무퀘게는 성폭력에서 살아남은 여성들을 수술하며 동부 콩고에서 재건 수술을 할 수 있는 두 명의 의사 중 한 명이다.[14]
판지 병원은 아프리카 복음 대학교의 교육 병원이다. 부카부에는 부카부 가톨릭 대학교 의과대학과 종합병원도 있다. 독일 이민자와 프랑스 이민자가 소유한 제약 회사 파르마키나는 말라리아 치료제 퀴닌과 에이즈 일반의약품 아프리-비르를 생산한다. 파르마키나는 에이즈 진단 및 치료 센터도 운영한다.[15] 파르마키나는 740명의 직원과 약 1000명의 프리랜서가 근무하며, 콩고 유일의 현대식 차 제조 회사인 그레이트 레이크 플랜테이션 SARL에 이어 도시에서 가장 큰 고용주이다.[16]
5. 3. 사회 문제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서 벌어진 전쟁 이후, 여성들은 여전히 심각한 폭력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2007년 8월, 부카부에 기반을 둔 여성 외상 치유 및 돌봄 프로젝트가 시레지 재단에 의해 시작되었다. 판지 재단은 V-Day라는 폭력 피해 여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7]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서 반복적으로 전쟁이 일어나면서, 전쟁으로 인해 부상을 입고 장애를 안고 사는 사람들의 수가 상당히 증가했다. 2004년에는 부카부에서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 콩고 핸디캡이라는 전국 비영리 협회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전쟁 중 성폭행을 당한 장애인을 포함하여 장애인을 위한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18]
6. 인물
- 캐디 아즈바(Caddy Adzuba)
- 코르 아킴(Cor Akim)
- 알렉시스 브리메이어(Alexis Brimeyer)
- Jean-Marie Bulambo Kilosho|장-마리 불람보 킬로쇼프랑스어
- Marcellin Cishambo|마르셀랭 시샴보프랑스어
- Amini Cishugi|아미니 시슈기프랑스어
- 비탈 카메르(Vital Kamerhe)
- 장네트 카비라 마페라(Jeannette Kavira Mapera)
- 솔랑주 루시쿠 앤시미레(Solange Lusiku Nsimire)
- 솔랑주 르와시가 푸라하(Solange Lwashiga Furaha)
- 욜란드 마비카(Yolande Mabika)
- 사이드 마카시(Saïd Makasi)
- 레옹 맘볼레오(Léon Mamboleo)[19]
- François-Xavier Maroy|프랑수아-자비에 마로이프랑스어
- 포폴 미센가(Popole Misenga)
- Louis Muderhwa|루이 무데르와프랑스어
- 드니 무크웨게(Denis Mukwege) - 산부인과 의사, 2018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
- 프랑신 무융바(Francine Muyumba)
- 두스 남웨지 엠밤바(Douce Namwezi N'Ibamba)
- 므웨제 응강구라(Mwezé Ngangura) - 영화 감독
- 카켄가 피키니니(Kakengwa Pikinini)
- 라울 슝구(Raoul Shungu)
- 탈린의 스테파노스(Stephanos of Tallinn)
7. 교통
부카부는 동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이자 관문이지만, 전쟁으로 인해 도로망이 악화되었고 고마, 키산가니 및 기타 도시로 가는 고속도로가 완전히 복구되지 않았다. 고마와 마찬가지로 동아프리카의 포장 도로망과 몸바사까지의 범아프리카 고속도로의 기능하는 동부 구간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다른 콩고 도시들보다 더 빠른 회복이 가능할 수 있다. 부카부는 탕가니카 호의 부줌부라와 칼룬두-우비라 항구와 가까워 추가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호수를 통해 기고마( 다르에스살람과 연결)와 칼레미( 카탕가와 철도로 연결, 개보수 필요)의 철도 기점에 접근할 수 있다. 주로 열악한 도로 인프라로 인한 고립은 남키부의 부와 개발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밝혀졌다.[12]
부카부에는 호숫가에 수많은 부두가 있으며, 잘 관리되지 않은 도로가 없는 상황에서 호수의 콩고 수역에서 선박 운송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부카부의 국내 공항인 카부무 공항(Kavumu Airport)(ICAO 코드: FZMA, IATA 코드: BKY)은 북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다. 이 공항은 수년 동안 개보수되지 않았다.
참조
[1]
뉴스
Bukavu : la page Bilubi tournée, le nouveau Maire prend ses fonctions
https://laprunellerd[...]
2023-01-11
[2]
웹사이트
Accueil
https://www.caid.cd/[...]
[3]
웹사이트
PopulationStat.com
https://populationst[...]
[4]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 Names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Bukavu
https://www.britanni[...]
2019-07-07
[6]
웹사이트
Global Witness ''Under-Mining Peace – The Explosive Trade in Cassiterite in Eastern DRC''
https://web.archive.[...]
2007-12-24
[7]
뉴스
Kongo: Berserker von Bukavu torpediert die Wahlen
http://www.spiegel.d[...]
2006-05-16
[8]
Youtube
Powerful flood waters swept away cars and dumped them into Lake Kivu Bukavu Congo
https://www.youtube.[...]
2022-04-12
[9]
웹사이트
Killer Lakes.
http://www.bbc.co.uk[...]
2002-04-04
[10]
웹사이트
Klimatafel von Bukavu, Region Kivu / Dem. Rep. Kongo (ehemalig: Zaire)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3-01-29
[11]
뉴스
Bukavu, Africa's forgotten art deco jewel
https://www.independ[...]
2013-03-20
[12]
간행물
Paving the way for development? The impact of transport infrastructure o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poverty reduction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ifpri.org[...]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IFPRI)
[13]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14]
웹사이트
"Not Women Anymore…": The Congo's rape survivors face pain, shame and AIDS
https://web.archive.[...]
Ms.
2005-03-01
[15]
웹사이트
Das Parlament – Publication of the German Bundestag
https://web.archive.[...]
[16]
뉴스
afrika: Kongos kleines Wirtschaftswunder
https://www.zeit.de/[...]
2005-07-14
[17]
웹사이트
Why Congo? - City of Joy
http://drc.vday.org/[...]
2017-09-16
[18]
웹사이트
CONGO HANDICAP — Handiplanet
https://www.handipla[...]
[19]
뉴스
RDC/Portrait: Qui est Léon Mamboleo, président provisoire du sénat congolais ?
https://congoprofond[...]
2019-04-22
[20]
웹사이트
https://www.caid.cd/[...]
[21]
웹사이트
Climate: Bukavu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8-10-05
[22]
웹인용
Climate: Bukavu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11-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