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류큐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류큐어군은 아마미어군오키나와어군으로 분류되는 언어들의 집합이다. 이 언어들은 일본 류큐 열도에서 사용되며, 북부 류큐어군의 세부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크게 2분법, 3분법으로 나뉘며, 음운 및 문법적 특징에서 일본어와 유사한 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큐어파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류큐어파 - 오키나와어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며 오키나와 제도에서 주로 사용되던 언어로, 류큐 왕국 시대에 발전했으나 일본의 류큐 병합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북류큐어군
개요
이름북류큐어군
다른 이름아미미-오키나와어군
사용 지역가고시마현 아마미 제도, 오키나와현 오키나와 제도
어족일본어족
하위 어족류큐어파
조어원시 북류큐어
하위 언어아마미어
구니가미어
오키나와어
언어 코드
글롯토로그nort3255
글롯토로그 참조북류큐어
지도
북류큐어군 지도
북류큐어군 분포 지역

2. 하위 분류

북류큐어군은 크게 아마미 제어오키나와 제어로 나뉜다. 아마미 제도와 오키나와 제도를 포함하는 북류큐어군의 세분화는 학계에서 논쟁의 대상이다.[3]

북류큐어군의 하위 분류에 대한 여러 학설들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북류큐어군 하위 분류 학설
학자분류
우에무라 유키오
나카모토
카리마타



이러한 분류 논쟁의 바탕에는 음운론적, 어휘적 특징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e/는 북부 아마미에서는 /ɨ/에 해당하지만, 남부 아마미와 오키나와어에서는 /i/로 병합된다.

머리카락
이츠부, 나제 (아마미 오시마)[5]
쇼돈, 세토우치
나카자토, 키카이 (남부 키카이)
쿠니가미, 와도마리 (동부 오키노에라부)
야나, 나키진 (북부 오키나와)
슈리토노쿠라, 나하 (남부 오키나와)


2. 1. 아마미어군

북류큐 제어


아마미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로,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아마미오시마어
  • 기카이어
  • 도쿠노시마어

2. 1. 1. 아마미오시마어



아마미오시마 섬에서 사용되며, 북부 아마미오시마어와 남부 아마미오시마어로 나뉜다.

2. 1. 2. 기카이어



기카이어는 아마미 제어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로, 기카이 섬에서 사용된다.

2. 1. 3. 도쿠노시마어



도쿠노시마 섬에서 사용된다.

2. 2. 오키나와어군

오키나와 제도 북부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은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북부 류큐어군(아마미·오키나와 방언)의 하위 구분은 전통적으로 아마미 방언과 오키나와 방언으로 이분되어 왔다[12]。나아가 각각을 남북으로 이분하는 구분도 있다[13]。한편, 우에무라 유키오[14], 카리마타 시게히사[11] 등은 오키노에라부 섬에서 오키나와 북부까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보는 삼분 설을 주장했다. 카리마타는 도쿠노시마와 오키노에라부 섬 사이의 방언 경계는 오키나와 북부와 오키나와 남부 사이보다 크다고 하여, 에스놀로그에서는 이 토쿠노시마·오키노에라부 사이를 경계로 남북으로 이분하고 있다. 한편, 토마 페라르나 웨인 로렌스에 의한, 각 언어에 일어난 개신에 주목한 계통 분류에서는 아마미 방언과 오키나와 방언으로 이분하는 설이 지지되었다[15][16]

나카모토 마사토시, 카리마타 시게히사, 에스놀로그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나카모토 마사토시카리마타 시게히사 등에스놀로그


2. 2. 1. 구니가미어



구니가미어오키나와섬 북부(구니가미 지역)와 주변 섬에서 사용되며,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를 포함하기도 한다.

  • 북오키나와어
  • 요론어
  • 오키노에라부어

2. 2. 2. 중앙 오키나와어

중앙 오키나와어오키나와섬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2. 3. 분류 논쟁

북류큐어군의 세부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크게 2분법, 3분법, 그리고 기타 분류로 나눌 수 있다.

  • 2분법: 아마미 제어오키나와 제어로 나누는 전통적인 분류 방식이다.
  • 3분법: 아마미, 오키노에라부-요론-북부 오키나와어, 남부-중부 오키나와 방언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 기타 분류: 에스놀로그는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구니가미어, 오키나와어를 남부 아마미-오키나와어군으로 묶는 분류를 제시한다.


이러한 분류 논쟁은 각 언어 간의 음운론적, 어휘적 특징 차이와 유사성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는 북부 아마미에서는 에 해당하지만, 남부 아마미와 오키나와어에서는 로 병합되는 차이를 보인다. 또한, 단어 시작 의 변화 양상도 지역별로 다르다.

언어학자들은 대체로 북-남 분할에는 동의하지만, 북부 류큐어군의 세분화는 학계에서 논쟁의 대상이다.[3]

2. 3. 1. 2분법

북류큐어군은 아마미 제어오키나와 제어로 나누는 것이 전통적인 분류이다.[12] 나카모토 마사치에는 북류큐 방언을 아마미 방언과 오키나와 방언으로 나누고, 각각을 다시 남북으로 세분하였다.[13]

나카모토 마사토시의 분류[13]

북부 류큐 방언



카리마타 시게히사(2000) 등은 오키노에라부 섬에서 오키나와 북부까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보는 삼분설을 주장했다.[11]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도 이 분류를 따른다.

카리마타 시게히사 등에 의한 계통 분류

북부 류큐 방언 (북부 류큐어군/아마미오키나와 방언군)



에스놀로그는 토쿠노시마·오키노에라부 사이를 경계로 남북으로 이분하는 분류를 제시한다.[15]

에스놀로그의 분류

아마미·오키나와어군 (Amami-Okinawan)



한편, 토마 페라르나 웨인 로렌스에 의한, 각 언어에 일어난 개신에 주목한 계통 분류에서는 아마미 방언과 오키나와 방언으로 이분하는 설이 지지되었다.[16]

2. 3. 2. 3분법

우에무라 유키오, 가리마타 시게히사 등은 북류큐어군을 아마미, 오키노에라부-북오키나와, 중앙 오키나와 방언으로 나누는 3분법을 주장했다.[3]

카리마타 (2000)는 3분 분할 가설을 선호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3]

  • 아마미-오키나와 방언군
  • 아마미–토쿠노시마 방언
  • 오키노에라부–요론–북부 오키나와어 방언
  • 남부-중부 오키나와 방언[3]


우에무라 유키오는 《오키나와어 사전》(1963)에서 하위 그룹을 다음과 같이 평면적으로 제시했다.

  • 아마미-오키나와 방언군
  • 키카이 방언
  • 아마미 오시마 방언
  • 북부 방언
  • 남부 방언
  • 토쿠노시마 방언
  • 오키노에라부 방언
  • 동부 방언
  • 서부 방언
  • 요론 방언
  • 북부 오키나와어 (구니가미 방언)
  • 남부 오키나와어


우에무라(1972)는 가능한 그룹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3분법을 제시했다.

  • 아마미-오키나와 방언군
  • 오시마-토쿠노시마 그룹
  • 오시마
  • 토쿠노시마
  • 오키노에라부-북부 오키나와 그룹
  • 오키노에라부
  • 북부 오키나와어
  • 남부-중부 오키나와 방언


토프(1983)는 우에무라와 유사한 "잠정적" 분류를 제시했다.[4]

  • 아마미-오키나와
  • 북부 아마미
  • 키카이
  • 북부 오시마
  • 남부 오시마 (카케로마, 요로, 우케 포함)
  • 토쿠노시마
  • 남부 아마미-북부 오키나와
  • 오키에라부
  • 요론
  • 북부 오키나와
  • 모토부 반도
  • 이에지마
  • 이즈나, 이헤야
  • 쿠다카
  • 중부 및 남부 오키나와
  • 중부 오키나와
  • 쿠메, 아구니, 케라마
  • 남부 오키나와


카리마타(2000)의 제안은 주로 음성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다. 일본어의 는 북부 아마미에서는 에 해당하지만 남부 아마미와 오키나와어에서는 로 병합되었다.

머리카락
이츠부, 나제 (아마미 오시마)[5]
쇼돈, 세토우치
이노카와, 토쿠노시마
이누타부, 이센 (토쿠노시마)
나카자토, 키카이 (남부 키카이)
쿠니가미, 와도마리 (동부 오키노에라부)
구시키, 지나 (서부 오키노에라부)
야나, 나키진 (북부 오키나와)
슈리토노쿠라, 나하 (남부 오키나와)



단어 시작 는 남부 아마미와 여러 북부 오키나와 방언에서 특정 모음 앞에서 로 바뀌는 반면, 북부 아마미는 를 가지고 있다. 북부 아마미와 남부 아마미 사이의 경계는 명확한 반면, 남부 아마미와 북부 오키나와어는 명확한 동위선이 없다.

일본어
이츠부, 나제 (아마미 오시마)colspan="3" |colspan="2" |
쇼돈, 세토우치colspan="3" |colspan="2" |
이노카와, 토쿠노시마colspan="3" |colspan="2" |
이누타부, 이센 (토쿠노시마)colspan="3" |colspan="2" |
시토오케, 키카이 (북부 키카이)colspan="3" |colspan="2" |
나카자토, 키카이 (남부 키카이)colspan="3" |
쿠니가미, 와도마리 (동부 오키노에라부)colspan="3" |
와도마리, 와도마리 (동부 오키노에라부)colspan="3" |
구시키, 지나 (오키노에라부)colspan="3" |colspan="2" |
구스쿠, 요론colspan="3" |colspan="2" |
베노키, 구니가미 (북부 오키나와)colspan="3" |colspan="2" |
오기미, 오기미 (북부 오키나와)colspan="3" |colspan="2" |
요나미네, 나키진 (북부 오키나와)colspan="2" |
쿠시, 나고 (북부 오키나와)colspan="3" |colspan="2" |
온나, 온나 (북부 오키나와)colspan="3" |colspan="2" |
이하, 이시카와 (남부 오키나와)colspan="4" |
슈리, 나하 (남부 오키나와)colspan="4" |



범일본어의 이동은 아마미-오키나와어에서 다양한 단계로 관찰될 수 있다. 북부 아마미와 남부 오키나와어와 달리 남부 아마미와 북부 오키나와어는 순음성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지만 보존 정도는 상당히 다양하다.

일본어
이츠부, 나제 (아마미 오시마)colspan="5" |
쇼돈, 세토우치colspan="5" |
이노카와, 토쿠노시마colspan="5" |
이누타부, 이센 (토쿠노시마)colspan="5" |
시토오케, 키카이 (북부 키카이)colspan="2" |colspan="2" |
나카자토, 키카이 (남부 키카이)colspan="3" |
쿠니가미, 와도마리 (동부 오키노에라부)colspan="5" |
구시키, 지나 (서부 오키노에라부)colspan="2" |
구스쿠, 요론colspan="5" |
베노키, 구니가미 (북부 오키나와)colspan="5" |
오기미, 오기미 (북부 오키나와)colspan="2" |
요나미네, 나키진 (북부 오키나와)colspan="3" |
쿠시, 나고 (북부 오키나와)colspan="3" |colspan="2" |
온나, 온나 (북부 오키나와)colspan="3" |colspan="2" |
이하, 이시카와 (남부 오키나와)colspan="5" |
슈리, 나하 (남부 오키나와)colspan="2" |



카리마타는 북부와 남부 아마미를 함께 묶는 몇 가지 특징도 지적했다. 아마미에서 단어 중간 는 , 또는 로 둘러싸였을 때 로 바뀌거나 완전히 생략되었다. 이것은 오키나와 방언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일본어 는 아마미에서는 에 해당하고 오키나와어에서는 에 해당한다.

2. 3. 3. 기타 분류

에스놀로그는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구니가미어, 오키나와어를 남부 아마미-오키나와어군으로 묶는 분류를 제시한다.[9] 펠라드(2009)는 계산적 접근 방식을 통해 새로운 분류를 제안했는데,[6] 이 분류는 하인리히 외(2015)에서 채택되었다.[7]

에스놀로그의 북류큐어군 분류[9]
북부 아마미·오키나와어군북부 아마미오섬어, 남부 아마미오섬어, 토쿠노시마어, 키카이어
남부 아마미·오키나와어군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구니가미어, 오키나와어


3. 음운 및 문법 특징

북류큐어군은 다양한 방언에서 나타나는 음운 및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하위 섹션 "동사 활용"에서는 동사 활용의 예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한다. 북류큐어군의 동사 활용은 방언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일본어(본토 방언)의 활용과 대응되는 형태를 보인다.[17][18] 지향형, 미연형, 조건형1(이연형), 명령형, 연용형, 연체형1, 금지형은 일본어(본토 방언)의 활용에 대응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종지형1, 종지형2, 연체형2, du계 결합형, ga계 결합형, 조건형2, 준체형은 연용형에 "을(을/를)"이 붙은 형태에서 파생되었다. 접속형은 "て(테)"가 붙은 형태에 해당한다.

3. 1. 동사 활용

북류큐어군의 동사 활용은 방언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일본어(본토 방언)의 활용과 대응되는 형태를 보인다. "날다"와 "입다" 동사의 활용 예시는 아래 표와 같다.[17][18]

"날다" 동사 활용은 다음과 같다.

"날다"
 지향형미연형조건형1명령형연용형연체형1금지형종지형1종지형2연체형2du계 결합형ga계 결합형조건형2준체형접속형
아마미대도우켄 촌 유완tuboːtubatubï(ba)tubïtubitubutubu(na)bubjuitubjuntubjuntubjurutubjutudi
세토우치정 코니야tuboːtubatub(ba)tubïtubitubïtubï(na)tubjurtubjumtubjuntubjurtubjutudï
키카이섬 시토게tuboːtubatubï(ba)tubïtubitubu(na)tubjuitubjuntubjuntubjutudi
토쿠노시마 이노카와tubatubatudikatubï
tubë
tubitubi(na)tubjuritubjuntubjuntubjurutubjutudi
오키노에라부섬 타나tubatubatubi(ja)tubitubitubutubu(na)tubimutubinutubirutubiratubitudi
오키나와 북부이세나섬 세리tubaːtubatuboːtubiː
tubeː
tuboː
tunitubin(na)tununtununutunurutunuratunutuneː
모토부정 세소코tubatubatubi(ba)
tubeː
tubi
tubeː
tubitubutubu(na)tubuntubuntuburutuburatubura(ba)tubuturi
오키나와 남부나하tubatubatubeːtubi
tubeː
tubitubutubu(na)tubuntuburutuburutuburatuburaːtubuturi
토미구스쿠시 나하tubatubatubeːtubi
tubeː
tubitubutubu(na)tubuntubunutuburutuburatuburaːtubuturi
구메지마 니시메tubatubatubi(ba)
tubeː
tubi(wa)
tubeː
tubitubu(na)tubintubirutubirutubiratubiraːtubituri
구메지마 토리섬(이오토리시마)[19]tubatubatubi(ba)tubi(ba)tubi-tubu(na)-tumbuntumbuitumbui--tumbuturi
 지향형미연형조건형1명령형연용형연체형1금지형종지형1종지형2연체형2du계 결합형ga계 결합형조건형2준체형접속형



"입다" 동사 활용은 다음과 같다.

"입다"
 지향형미연형조건형1명령형연용형연체형1금지형종지형1종지형2연체형2du계 결합형ga계 결합형조건형2준체형접속형
아마미대도우켄 촌 유완kʔijoːkʔijakʔib(ba)kʔirïkʔkʔiQkʔin(na)kʔijuikʔijunkʔijunkʔijurukʔijukʔitʃi
세토우치정 코니야kʔirjoːkʔirjakʔir(ba)kʔiriːkʔirikʔirkʔir(na)kʔirjurkʔirjumkʔirjunkʔirjurkʔirjukʔitʃi
키카이섬 시토게kʔiroːkʔirakʔiri(ba)kʔirikʔkʔin(na)kʔijuikʔijunkʔijunkʔijukʔitʃi
토쿠노시마 이노카와kʔirakʔirakʔitsïkakʔirï
kʔirë
kʔirikʔiri(na)kʔirurikʔirunkʔirunkʔirurukʔirukʔitsï
오키노에라부섬 타나kʔjaːkʔjaːkʔiː(ja)kʔkʔkʔjukʔjuː(na)kʔiːmukʔiːnukʔiːrukʔiːrakʔkʔittʃi
오키나와 북부이세나섬 세리tʃiraːtʃiratʃiroːtʃiriː
tʃireː
tʃiroː
tʃiːtʃiːn(na)tʃiːntʃiːnutʃiːrutʃiːratʃiːtʃieː
모토부정 세소코kirakirakiri(ba)
kireː
kiri
kireː
kiːkirukiː(na)kiːnkiːnkiːrukiːrakiːra(ba)kiːkitʃi
오키나와 남부나하tʃiratʃiratʃireːtʃiri
tʃireː
tʃiːtʃirutʃiru(na)tʃiːntʃiːrutʃiːrutʃiːratʃiːraːtʃiːtʃitʃi
토미구스쿠시 나하tʃiratʃiratʃireːtʃiri
tʃireː
tʃiːtʃirutʃiru(na)tʃiːntʃiːnutʃiːrutʃiːratʃiːraːtʃiːtʃitʃi
구메지마 니시메tʃiratʃiratʃiri(ba)
tʃireː
tʃiri(wa)
tʃireː
tʃiːtʃiru(na)tʃijuntʃijurutʃijurutʃijuratʃijuraːtʃijutʃitʃi
구메지마 토리섬(이오토리시마)[19]tʃijatʃijatʃim(ba)tʃim(ba)tʃiː-tʃin(na)-tʃijuntʃijuitʃijui--tʃijutʃitʃi
 지향형미연형조건형1명령형연용형연체형1금지형종지형1종지형2연체형2du계 결합형ga계 결합형조건형2준체형접속형



지향형, 미연형, 조건형1(이연형), 명령형, 연용형, 연체형1, 금지형은 거의 일본어(본토 방언)의 활용에 대응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종지형1, 종지형2, 연체형2, du계 결합형, ga계 결합형, 조건형2, 준체형은 연용형에 "을(을/를)"이 붙은 형태에서 파생되었다. 접속형은 "て(테)"가 붙은 "날아서(to-bi-te)", "입고(ki-te)"에 해당한다.

참조

[1] 논문 Examining the Myth of Ryukyuan Pacifism http://www.japanfocu[...] 2010
[2] 서적 Nihon no kiki gengo 日本の危機言語
[3] 간행물 Amami Okinawa hōgengun ni okeru Okinoerabu hōgen no ichizuke" 奄美沖縄方言群における沖永良部方言の位置づけ (Position of Okierabu Dialect in Northern Ryukyu Dialects) http://ir.lib.u-ryuk[...]
[4] 학위논문 Ryūkyūan language history http://digitallibra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5] 문서
[6] 학위논문 Ogami: Éléments de description d'un parler du sud des Ryukyus http://tel.archives-[...] 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7]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8] 서적 Shōmetsu kiki hōgen no chōsa hozon no tame no sōgōteki kenkyū: Kikai-jima hōgen chōsa hōkokusho 消滅危機方言の調査・保存のための総合的研究: 喜界島方言調査報告書 (General Study for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Endangered Dialects in Japan: Research Report on the Kikaijima Dialects ) http://www.ninjal.ac[...]
[9] 웹사이트 Amami-Okinawa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4-02-01
[10]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11] 간행물 奄美沖縄方言群における沖永良部方言の位置づけ https://hdl.handle.n[...] 琉球大学法文学部 2000-03
[12] 서적 沖縄の言語とその歴史 岩波書店 1977
[13] 서적 琉球方言音韻の研究 https://dl.ndl.go.jp[...] 法政大学出版局
[14] 서적 琉球方言入門 三省堂雷店 1972
[15] 논문 The linguistic archeology of the Ryukyu Islands https://hal.archives[...] Berlin: DeGruyter Mouton 2015
[16] 간행물 沖縄方言群の下位区分について 2006
[17] 서적 琉球方言文法の研究 https://dl.ndl.go.jp[...] 笠間書院 1984
[18] 간행물 沖縄那覇方言動詞の活用 https://hdl.handle.n[...] 沖縄国際大学文学部 1976-03
[1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