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미어는 여러 개의 방언 클러스터로 나뉘는 언어이며, 각 클러스터는 고유의 ISO 639-3 코드를 가지고 있다. 주요 하위 분류로는 아마미오섬어, 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가 있으며,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들 방언의 세부적인 분류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아마미어는 모음 체계와 음운, 문법 등에서 각 지역별로 특징적인 차이를 보이며, 방언 간의 차이가 커서 표준어로 간주되는 아마미오섬 북부의 나제 방언조차 다른 섬에서는 잘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큐어파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류큐어파 - 오키나와어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며 오키나와 제도에서 주로 사용되던 언어로, 류큐 왕국 시대에 발전했으나 일본의 류큐 병합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 아마미 제도 - 아마미오시마
아마미오시마는 류큐 문화권에 속하는 일본 열도 일곱 번째 섬으로, 류큐 왕국과 일본의 지배, 미국 점령을 거쳐 일본에 반환되었으며, 아마미토끼 등 고유종 동물이 서식하고, 농업, 어업, 관광에 기반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오시마 츠무기가 유명하다. - 아마미 제도 - 요론섬
요론섬은 아마미 제도 최남단에 위치한 산호섬으로, 류큐 왕국과 사쓰마 번의 지배를 거쳐 가고시마현에 편입되었으며, 아름다운 해안 경관과 오키나와 문화 유사성을 특징으로 관광과 농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다. - 일본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아마미어 | |
---|---|
개요 | |
이름 | 아마미어 |
다른 이름 | 아마미 방언 |
사용 국가 | 일본 |
사용 지역 | 아마미 제도 |
사용자 수 | 약 34,000명 |
언어 계통 | 일본어족 류큐어파 북류큐어군 |
언어 부호 (ISO 639-3) | ryn (북아마미 오시마어) ams (남아마미 오시마어) kzg (기카이어)? tkn (도쿠노시마어) okn (오키노에라부어)? yox (요론어)? |
Glottolog | amam1245 |
언어 생존력 | 위험 |
분류 | |
하위 언어 | 아마미 오시마어 남아마미 오시마어 기카이어? 도쿠노시마어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
2. 하위 구분
아마미어는 여러 개의 뚜렷한 언어 클러스터로 나뉘며, 대부분 자체적인 ISO 639-3 코드를 가지고 있다.[1][2]
- 아마미어
- * 아마미오섬어
- ** 북부 아마미오섬어
- ** 남부 아마미오섬어
- * 키카이어
- * 도쿠노시마어
- * 오키노에라부어
- * 요론어
학자들은 이러한 방언의 구체적인 하위 그룹핑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오키노에라부와 요론 클러스터는 쿠니가미어에 포함될 수 있다.[3]
- 아마미 오시마 방언
- *아마미 오시마 북부 방언--아마미시・다쓰고초・야마토촌・우켄촌
- **사토 방언--아마미시 가사리초 사토 지구. 주변 지역과 뚜렷하게 다른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 섬이다.
- *아마미 오시마 남부 방언--세토우치초(가케로마 섬・우케 섬・요로 섬 포함)
- 키카이 섬 방언
- *키카이 섬 북부 방언--오노즈・시도게・시오미치
- *키카이 섬 남부 방언
- **표 방언--완・나카자토 등
- **이면 방언--카라지・아덴 등
- 토쿠노 섬 방언
- *토쿠노 섬 북부 방언--토쿠노시마초 야마
- *토쿠노 섬 남부 방언--이센초
- 오키노에라부 섬 방언
- *오키노에라부 섬 북부 방언--와도마리초
- *오키노에라부 섬 남부 방언--지나초[4]
- 요론 섬 방언
모음의 특징에 따라 북아마미(아마미 오시마, 토쿠노 섬, 키카이 섬 북부)와 남아마미(키카이 섬 남부, 오키노에라부 섬, 요론 섬)로 나누는 연구도 있다. 카리마타 등은 남아마미와 오키나와 북부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오키노에라부 요론 오키나와 북부 여러 방언을 하나의 구획으로 보지만,Pellard(2015)는 이러한 유사성은 역사적인 계통 관계의 반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5]。
각 섬 사이의 방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아마미어의 표준어적인 지위에 있는 아마미 오시마 북부의 나제 방언조차 오키노에라부 섬이나 요론 섬에서는 거의 통하지 않는다[4]。나제 출신의 타바타 치아키가 1970년대에 조사했을 때, 자신의 나제 방언이 키카이 섬에서는 통했지만 요론 섬에서는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9]。
2. 1. 아마미오섬어
아마미 오시마 방언은 크게 아마미 오시마 북부 방언과 아마미 오시마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아마미 오시마 북부 방언은 아마미시・다쓰고초・야마토촌・우켄촌에서 사용된다. 특히 아마미시 가사리초 사토 지구에서 쓰이는 사토 방언은 주변 지역과 뚜렷하게 다른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 섬이다.
아마미 오시마 남부 방언은 세토우치초(가케로마 섬・우케 섬・요로 섬 포함)에서 사용된다.
2. 1. 1. 북부 아마미오섬어
아마미시, 다쓰고초, 야마토촌, 우켄촌 지역에서 사용된다.2. 1. 2. 남부 아마미오섬어
세토우치초(가케로마 섬, 우케 섬, 요로 섬 포함)에서 사용된다.2. 2. 키카이어
키카이 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 '''키카이 섬 북부 방언''' - 오노즈・시도게・시오미치
- '''키카이 섬 남부 방언'''
- * 표 방언 - 완・나카자토 등
- * 이면 방언 - 카라지・아덴 등
2. 2. 1. 키카이섬 북부 방언
오노즈, 시도게, 시오미치 지역에서 사용된다.2. 2. 2. 키카이섬 남부 방언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2. 3. 도쿠노시마어
도쿠노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2. 3. 1. 도쿠노섬 북부 방언
도쿠노시마초 야마 등에서 사용된다.2. 3. 2. 도쿠노섬 남부 방언
이센초 등에서 사용된다.2. 4. 오키노에라부어
오키노에라부 섬 방언은 오키노에라부섬에서 사용되는 류큐어의 방언으로, 와도마리초에서 사용되는 북부 방언과 지나초에서 사용되는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4] 각 섬 사이의 방언 차이가 커서, 아마미어의 표준어적인 지위에 있는 아마미 오시마 북부의 나제 방언조차 오키노에라부 섬에서는 거의 통하지 않는다.[4]2. 4. 1. 오키노에라부섬 북부 방언
와도마리초에서 사용된다.2. 4. 2. 오키노에라부섬 남부 방언
지나초에서 사용된다.2. 5. 요론어
요론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4] 모음의 특징에 따라 북아마미(아마미오섬, 도쿠노섬, 키카이섬 북부)와 남아마미(키카이섬 남부, 오키노에라부섬, 요론섬)로 나누는 연구도 있다. 남아마미와 오키나와 북부 방언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오키노에라부, 요론, 오키나와 북부 방언을 하나의 구획으로 보기도 하지만, 이러한 유사성이 역사적인 계통 관계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각 섬 사이의 방언 차이가 커서, 아마미어의 표준어적인 지위에 있는 아마미오섬 북부의 나제 방언조차 오키노에라부섬이나 요론섬에서는 거의 통하지 않는다.[4] 나제 출신의 타바타 치아키가 1970년대에 조사했을 때, 자신의 나제 방언이 키카이섬에서는 통했지만 요론섬에서는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3. 음운
아마미오섬과 도쿠노섬에서는 /i, ï/(또는 /ɪ/), /u, e, ɘ, o, a/의 7모음 체계, 또는 이 중 /ɘ/를 뺀 6모음 체계를 가진다.[10] 일본어 본토 방언의 /o/가 /u/로 바뀌어 원래의 /u/와 통합된다. 또한 일본어의 /e/는 중설 모음 /ï/로 바뀌어 /i/와의 구별을 유지한다. /ɘ/는 연모음의 융합으로 성립된 음이지만, 개인에 따라, 지역에 따라 /e/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키카이섬 북부에서 이 경향이 진행되어 6모음이 되었다. 오키노에라부섬 북단의 구니가미 지역 방언도 일본어의 /e/에 대응하는 /ɪ/를 가진다.
키카이섬 남부와 오키노에라부섬 대부분, 요론섬에서는 오키나와어와 마찬가지로 일본어의 /e/가 /i/에 합류하여, /i, u, e, o, a/의 5모음 체계를 가진다.
아마미어에서는 모음·반모음 앞에서 성문 파열음 /ʔ/의 유무가 변별된다. 또한 아마미오섬을 중심으로, 무성의 파열음과 파찰음에, 유기음과 무기 후두화음과의 구별이 있다. 많은 경우, 일본어의 이단·우단의 자음이 변화하여 후두화되고, 아단·에단·오단의 자음과의 구별이 유지된다. 다만 요론섬에서는 유기음과 무기 후두화음의 대립은 인정되지 않는다.
아마미오섬과 도쿠노섬에서는 일본어의 カ·ケ·コ에 대응하는 음절이 유기음의 /k/, キ·ク에 대응하는 음절이 무기 후두화음의 /kʔ/가 된다. 한편, 아마미오섬 북단의 사니 및 키카이섬, 오키노에라부섬, 요론섬에서는, 어두의 カ·ケ·コ에 대응하는 음절의 자음은 /h/로 변화한다. 한편 어중에서는, カ·ケ·コ의 자음은, 아마미어 전체에서 /h/ 또는 /x/(무성 연구개 마찰음)로 변화하거나 탈락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야마토촌의 오모이카쓰에서 /taxasa/(높다), /dɘxɘ/(대나무), 요로섬에서 /taːsa/(높다), /dɘː/(대나무) 등과 같다.
4. 문법
아마미어에서의 동사의 종지형에는 -ri 계열과 -mu 계열의 두 가지 형태가 병용되고 있으며, 양자에는 미묘한 의미의 차이가 있다. "쓰다"를 예로 들면, -ri 계열은 kakjuri, kakjui, kakjur 등, "쓰기를"에 유래하는 형태를 취한다. 한편 -mu 계열은 kakjum, kakjun 등, "쓰기를무"(또는 "쓰기를무", "쓰기를 것")에 유래하는 형태를 취한다. 단, 오키노에라부섬 방언에서는 -mu 계열밖에 없다.[11][12]
"~하려고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지향형은 "울다"를 예로 들면, 요론섬에서는 nakaN과 같은 형태를 사용하고, 다른 방언에서는 nako(o)나 naka(a)와 같은 형태를 사용한다. -o의 유래는 미연형에 조동사 "무"가 붙은 형태라고 보여지지만, -a도 마찬가지로 "무"에 유래한다는 설과, 미연형 단독형에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지향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명령형 | 금지형 | |
---|---|---|---|---|---|---|
아마미오시마 북부 (아마미시 名瀬) | kakoː | kakjuri | kakjun | kakjun | kakï | kaku(na) |
아마미오시마 북부 (우켄촌 湯湾) | kakoː | kakjui | kakjun | kakjun | kakï | kaku(na) |
아마미오시마 남부 (세토우치정 古仁屋) | kakoː | kakjur | kakjum | kakjun | kakï | kak(na) |
도쿠노시마 (井之川) | kaka | kakjuri | kakjun | kakjun | kakï | kaki(na) |
기카이(지마) (志戸桶) | kakoː kaka | kakjui | kakjun | kakjun | kakï | kaku(na) |
종지형은 연체형 + をり(즉 書きをり)에서 유래된 것이다.
4. 1. 동사
아마미어에서의 동사의 종지형에는 -ri 계열과 -mu 계열의 두 가지 형태가 병용되고 있으며, 양자에는 미묘한 의미의 차이가 있다. "쓰다"를 예로 들면, -ri 계열은 kakjuri, kakjui, kakjur 등, "쓰기를"에 유래하는 형태를 취한다. 한편 -mu 계열은 kakjum, kakjun 등, "쓰기를무"(또는 "쓰기를무", "쓰기를 것")에 유래하는 형태를 취한다. 단, 오키노에라부섬 방언에서는 -mu 계열밖에 없다[11][12]。"~하려고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지향형은 "울다"를 예로 들면, 요론섬에서는 nakaN과 같은 형태를 사용하고, 다른 방언에서는 nako(o)나 naka(a)와 같은 형태를 사용한다. -o의 유래는 미연형에 조동사 "무"가 붙은 형태라고 보여지지만, -a도 마찬가지로 "무"에 유래한다는 설과, 미연형 단독형에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지향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명령형 | 금지형 | |
---|---|---|---|---|---|---|
아마미오시마 북부 (아마미시 名瀬) | kakoː | kakjuri | kakjun | kakjun | kakï | kaku(na) |
아마미오시마 북부 (우켄촌 湯湾) | kakoː | kakjui | kakjun | kakjun | kakï | kaku(na) |
아마미오시마 남부 (세토우치정 古仁屋) | kakoː | kakjur | kakjum | kakjun | kakï | kak(na) |
도쿠노시마 (井之川) | kaka | kakjuri | kakjun | kakjun | kakï | kaki(na) |
기카이(지마) (志戸桶) | kakoː kaka | kakjui | kakjun | kakjun | kakï | kaku(na) |
부정형 | 지향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명령형 | 금지형 | |
---|---|---|---|---|---|---|---|
아마미 북부 아마미시 나제 | nakaN | nakoo | nakjuri | nakjuN | nakjuN | nak | nakuna |
아마미 남부 세토우치정 코니야 | nakam | nakoo | nakjur | nakjum | nakjuN | nak | nakuna |
도쿠노시마 이센정 | nakaN | nakaa | nakjuri | nakjuN | nakjuN | nak | nakuna |
키카이섬 시토케 | nakaN | nakoo | nakjui | nakjuN | nakjuN | nak | nakuna |
오키노에라부섬 지나정 카미시로 | nakam | naka | - | nakjum | nakjunu | naki | nakuna |
요론 | nakazi nakanu | nakaN | nakjui | nakjuN | nakjuru | naki nakijoo | nakuna nakuruna |
4. 1. 1. 동사 활용표 (예시)
wikitable|+ 아마미어 각 방언의 "울다" 활용형
|-
! !!부정형!!지향형!!종지형1!!종지형2!!연체형!!명령형!!금지형
|-
!아마미 북부
아마미시 나제
| nakaN || nakoo || nakjuri || nakjuN || nakjuN || nakï || nakuna
|-
!아마미 남부
세토우치정 코니야
| nakam || nakoo || nakjur || nakjum || nakjuN || nakï || nakuna
|-
!도쿠노시마
이센정
| nakaN || nakaa || nakjuri || nakjuN || nakjuN || nakï || nakuna
|-
!키카이섬
시토케
| nakaN || nakoo || nakjui || nakjuN || nakjuN || nakï || nakuna
|-
!오키노에라부섬
지나정 카미시로
| nakam || naka || - || nakjum || nakjunu ||naki||nakuna
|-
!요론
| nakazi
nakanu||nakaN || nakjui || nakjuN || nakjuru || naki
nakijoo || nakuna
nakuruna
|}
아마미어에서의 동사의 종지형에는 -ri 계열과 -mu 계열의 두 가지 형태가 병용되고 있으며, 양자에는 미묘한 의미의 차이가 있다. "쓰다"를 예로 들면, -ri 계열은 kakjuri, kakjui, kakjur 등, "쓰기를"에 유래하는 형태를 취한다. 한편 -mu 계열은 kakjum, kakjun 등, "쓰기를무"(또는 "쓰기를무", "쓰기를 것")에 유래하는 형태를 취한다. 단, 오키노에라부섬 방언에서는 -mu 계열밖에 없다。
"~하려고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지향형은 "울다"를 예로 들면, 요론섬에서는 nakaN과 같은 형태를 사용하고, 다른 방언에서는 nako(o)나 naka(a)와 같은 형태를 사용한다。 -o의 유래는 미연형에 조동사 "무"가 붙은 형태라고 보여지지만, -a도 마찬가지로 "무"에 유래한다는 설과, 미연형 단독형에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다음으로 아마미오시마의 세토우치정 코니야와 도쿠노시마의 이노가와, 오키노에라부섬의 지나정 타나카 방언의 "쓰다"의 전 활용형을 나타낸다。
지향형 | 미연형 | 조건형 | 명령형 | 금지형 | 연용형 | 연체형1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2 | du 계결형 | 준체형 | 접속형 | |||||||
---|---|---|---|---|---|---|---|---|---|---|---|---|---|---|---|---|---|---|---|
쓰다 | kakoː | kaka | kak | kakï | kak | kaki | kak | kakjur | kakjum | kakjun | kakjur | kakju | katʃi | ||||||
주요 접사 | m(부정) z(부정) sjum(~시키다) rïm(~되다) ba(조건) | ba | na | busja(~하고 싶다) du(~이다) ga(~에) m(~도) | gadii(~까지) had(~할 것이다) | mï(~인가。의문) |
지향형 | 미연형 | 명령형1 | 명령형2 | 금지형 | 연용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종지형3 | 연체형 | du 계결형 | 준체형 | 접속형 | 조건형 | ||||||||||
---|---|---|---|---|---|---|---|---|---|---|---|---|---|---|---|---|---|---|---|---|---|---|---|
쓰다 | kaka | kaka | kakï | kakɘ | kaki | kaki | kaki | kakjuri | kakjun | kakjun | kakjuru | kakju | katsï | katsïka | |||||||||
주요 접사 | n(부정) da(부정) sun(~시키다) run(~되다) | na | tʃahan(~하고 싶다) ba(부정) gatʃana(~하면서) |
지향형 | 미연형 | 조건형 | 명령형 | 금지형 | 연용형 | 연체형1 | 종지형 | 연체형2 | du 계결형 | ga 계결형 | 준체형 | 접속형 | ||||||||
---|---|---|---|---|---|---|---|---|---|---|---|---|---|---|---|---|---|---|---|---|
쓰다 | hakkaː | hakka | hakki | hakki | hakku | hakki | hakku | hakkimu hakkin | hakkinu hakkin | hakkiru | hakkira | hakki | hattʃi | |||||||
주요 접사 | mu(부정) n(부정) ʃimu(~시키다) rimu(~되다) ba(조건) | ja(조건) | na | buʃaʔaːmu (~하고 싶다) | ntane(~까지) kaja(~일까) ka(~인가) |
4. 2. 형용사
아마미어의 형용사는 아마미오섬의 사토 방언을 제외하고, 오래된 어간에 "사아리"가 붙은 형태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졌다. 아마미어에서는 동사와 마찬가지로 형용사의 종지형에도 2종류의 형태가 있으며, 하나는 -ri계, 다른 하나는 -mu계이다. "높다"를 예로 들면, -ri계의 종지형은 세토우치정 코니야에서 tahasar, 토쿠노시마의 이노카와에서 taːhari, 요론섬에서 takasai이다. -mu계의 종지형은 코니야에서 tahasam, 이노카와에서 taːhan, 요론섬에서 takasaN이다.한편, 아마미오섬 북부의 사토 방언의 형용사는 /ʔoːkaɴ//ʔoːkaɴja-Latn(파란), /kʔurakaɴ//kʔurakaɴja-Latn(어두운)과 같이 어간에 "카리"가 붙은 형태에서 파생되었다.
4. 2. 1. 형용사 활용표 (예시)
아마미어의 형용사는 아마미오섬의 사토 방언을 제외하고, 오래된 어간에 "사아리"가 붙은 형태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졌다. 아마미어에서는 동사와 마찬가지로 형용사의 종지형에도 2종류의 형태가 있으며, 하나는 -ri계, 다른 하나는 -mu계이다. "높다"를 예로 들면, -ri계의 종지형은 세토우치정 코니야에서 tahasar, 토쿠노시마의 이노카와에서 taːhari, 요론섬에서 takasai이다. -mu계의 종지형은 코니야에서 tahasam, 이노카와에서 taːhan, 요론섬에서 takasaN이다.한편, 아마미오섬 북부의 사토 방언의 형용사는 (파란), (어두운)과 같이 어간에 "카리"가 붙은 형태에서 파생되었다.
다음으로, 아마미오섬의 세토우치정 코니야 방언과 토쿠노시마의 이노카와 방언, 오키노에라부섬의 타나이 방언의 "높다"와 "드물다"의 활용을 나타낸다.
미연형 | 연용형 | 조건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du계 결합형 | 준체형 | 접속형 | |||||
---|---|---|---|---|---|---|---|---|---|---|---|---|---|
높다 | tahasara | tahak | tahasar | tahasar | tahasam | tahasan | tahasar | tahasa | tahasat | ||||
드물다 | mdraʃara | mdraʃak | mdraʃar | mdraʃar | mdraʃam | mdraʃan | mdraʃar | mdraʃa | mdraʃat | ||||
주요 접사 | ba(조건) | najur(되다) du(〜임) | ba(조건) | m(〜도) si(〜로) tu(〜라고) |
연용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du계 결합형 | 준체형 | 접속형 | 조건형 | |
---|---|---|---|---|---|---|---|---|
높다 | taːku | taːhari | taːhan | taːhan | taːharu | taːha | taːhati | taːhatika |
드물다 | mdzraʃiku | mdzrahari | mdzrahan | mdzrahan | mdzraharu | mdzraha | mdzrahati | mdzrahatika |
연용형1 | 조건형 | 연용형2 | 종지형 | 연체형 | du계 결합형 | ga계 결합형 | 준체형 | 접속형 | |
---|---|---|---|---|---|---|---|---|---|
높다 | taːku | taːsaʔari-ja | taːsa | taːsaʔan | taːsaʔanu | taːsaʔaːru | taːsaʔaːra | taːsaːʔaː | taːsaʔatti |
5. 예문
아마미오시마 남부 세토우치정 코니야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13]
- ʔura ja katʃi m wan na kaka m (君は書いても私は書かない, 너는 써도 나는 쓰지 않는다)
- wa ga kak gadiː ʔarrja koː mta (私が書くまで彼は来なかった, 내가 쓸 때까지 그는 오지 않았다)
- tahasan mun na kwëːkirja m (高いものは買えない, 비싼 것은 살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Did you know Amami-North Okinawan is endangered?
http://www.endangere[...]
2020-10-23
[2]
웹사이트
ISO 639 Code Tables {{!}} ISO 639-3
https://iso639-3.sil[...]
2020-10-23
[3]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4]
서적
『岩波講座 日本語11方言』
[5]
서적
The linguistic archeology of the Ryukyu Islands
https://doi.org/10.1[...]
De Gruyter Mouton
[6]
서적
フィールドと文献からみる日琉諸語の系統と歴史
https://iss.ndl.go.j[...]
開拓社
[7]
웹사이트
消滅の危機にある方言・言語
https://www.bunka.go[...]
문화청
[8]
웹사이트
八丈語? 世界2500言語、消滅危機 日本は8語対象、方言も独立言語 ユネスコ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9-02-20
[9]
간행물
奄美語の現況から
https://doi.org/10.1[...]
[10]
간행물
Council actions on revisions of the IPA
[11]
문서
内間(1984)「動詞活用の通時的考察」
[12]
서적
講座方言学 10 沖縄・奄美の方言
国書刊行会
[13]
서적
琉球方言文法の研究
笠間書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