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부군집단 (소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군집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동유럽에 주둔한 소련군의 군집단으로, 1945년 폴란드 주둔군을 재편성하여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폴란드 공산 정권의 무장력 강화 지원과 전쟁 배상금으로 독일 산업 시설을 소련 본토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냉전 시기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대응하고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공산 정권을 유지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1990년대 폴란드 민주화와 소련 붕괴 조짐에 따라 철수하여 1993년 마지막 부대가 폴란드를 떠났다. 북부군집단은 약 56,000명의 병력과 핵무기를 포함한 막대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폴란드 주둔 기간 동안 범죄, 경제적 부담, 환경 오염 등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군집단 - 주동독 소련군
    주동독 소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을 점령한 소련군으로, 1945년 창설되어 1989년 서부 군 집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동독에 대규모 병력과 장비를 배치하고 1994년 철수했다.
  • 소련 해외 주둔군 - 주동독 소련군
    주동독 소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을 점령한 소련군으로, 1945년 창설되어 1989년 서부 군 집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동독에 대규모 병력과 장비를 배치하고 1994년 철수했다.
  • 소련 해외 주둔군 - 시리아 주재 소련 군사고문단
    시리아 주재 소련 군사고문단은 냉전 시대에 소련이 시리아에 파견하여 시리아 군의 훈련을 지원하고 무기 및 군사 장비를 제공하며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적 활동을 수행했다.
  • 1993년 해체된 단체 - 카트콤
    카트콤은 한국 전쟁 중 영국군에 배속된 한국군 부대로, 영연방군 작전 지원, 훈련, 유엔군 사령부 소속 복무, 주요 전투 참전 등의 활동을 하였으며 한국 전쟁 이후 주한 영연방군과 함께 유지되다 해체되었다.
  • 1993년 해체된 단체 - 제5전구군지역사령부
    제5전구군지역사령부는 남유럽 태스크포스 군수사령부로 재소집되어 제5군단지역사령부에서 재편성된 후 유럽 주둔 미군의 전력 운용 및 지원을 담당하다 남유럽 태스크포스(SETAF)와 통합되어 SETAF/제5군단으로 재편성된 후 해산된 부대이다.
북부군집단 (소련)
기본 정보
이름북부 군집단
활동 기간1945년-1993년
국가1945년-1991년 소련
1991년-1993년 러시아
소속소련군
러시아군
병과육군
규모58,000명 (1987년)
종류집단군

2. 역사

바그라티온 작전 이후 소련군독일 국방군에 대한 공세 과정에서 폴란드에 진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몇 달 동안 소련군 4개 전선군이 폴란드를 거쳐 독일로 진격했다.[26] 1945년 1월 비스와-오데르 공세로 폴란드 전역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고, 명목상 폴란드의 주권은 회복되었다. 그러나 폴란드 공산주의 괴뢰 정권 수립을 위해 폴란드는 소련군과 소련 보안병력이 통제했다.[26]

전쟁이 끝나자 소련군은 동유럽 주둔군을 재조직했다. 1945년 6월 10일 명령 제11097호에 의거, 폴란드 주둔군은 군관구 체계와 유사한 '''군집단'''으로 전환되었다.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원수 휘하 제2 벨라루스 전선군이 북부군집단의 전신이다.[27][28]

폴란드 국민해방위원회 정권은 소련군의 폴란드 주둔을 인정하는 협정을 체결했다.[25]

초기 북부 군집단의 주된 임무는 공산정권의 무장력 강화 지원과 전쟁배상으로 독일 산업시설을 소련 본토로 이송하는 것이었다.[29] 전쟁배상 작업은 폴란드에 편입된 구 독일영토에서 이뤄졌지만, 경우에 따라 폴란드 산업시설을 약탈하기도 하였다.[25] 이는 폴란드 공산정권과 소련 당국 간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25]

폴란드 슈프로타바 인근에 위치한 구 소련 핵무기 창고 "그라니트 2"


1949년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은 우호/협력/상호협조 조약을 체결하여 소련군의 주둔을 연장했다.[30] 그러나 폴란드 정부는 소련군에 대한 통제 권한이 없었다.[3] 1956년 포즈난 시위 이후 폴란드 해빙의 결과로, 1956년 12월 17일 폴란드 주둔 소련군의 지위협정이 체결되었다.[25][31][32] 이 협정으로 폴란드 주둔 소련군과 기지는 66,000명으로 제한되었고, 소련군 군사기지는 79곳에서 39곳으로 줄었다.[27][33] 그러나 소련군은 폴란드 정부에 알리지 않고 핵무기를 폴란드에 배치했으며, 실제 병력 수를 공개하지 않았다.[3][10]

북부 군집단은 NATO 대응과 폴란드 인민공화국 공산 정권 유지라는 두 가지 임무를 수행했다.[25] 이는 1956년 헝가리 혁명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으로 실행된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일부였다.[25] 주동독 소련군, 남부 군집단, 서부 군집단도 비슷한 기능을 수행했다.

소련군의 주둔은 폴란드 주민들에게 강도, 강간, 살인 등 범죄,[15][16] 경제적 부담,[10][21] 환경 오염 등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3] 1965년 폴란드-소련 상호우호조약은 변화한 소련의 폴란드 군사 정책을 반영했다.[34]

1989년 폴란드 민주화와 소련 붕괴 조짐으로 폴란드 정부는 소련군 철수를 요구했다. 1991년과 1992년, 새로운 조약 체결 및 폴란드의 바르샤바 조약 탈퇴로 소련군 철수가 합의되었다. 1993년 9월 18일, 마지막 러시아군이 폴란드를 떠났다. 레흐 바웬사 대통령은 소련의 폴란드 침공일 (9월 17일)에 떠나는 러시아군을 배웅했다.

1990년대에 북부군집단이 폴란드를 떠날 준비를 할 때, 약 56,000명의 병력과 600대의 전차, 400문의 포, 20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북부군집단은 자체 신문인 ''즈나미아 포비에디'' (승리의 깃발)를 발행했다.

2. 1. 폴란드 해방과 종전 직후 (1945년)

바그라티온 작전 이후 소련군독일 국방군에 대한 공세 과정에서 폴란드에 진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몇 달 동안 소련군 4개 전선군이 폴란드를 거쳐 독일로 진격했다.[26] 1945년 1월 비스와-오데르 공세로 폴란드 전역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고, 명목상 폴란드의 주권은 회복되었다. 그러나 폴란드 공산주의 괴뢰 정권 수립을 위해 폴란드는 소련군과 소련 보안병력이 통제했다.[26]

전쟁이 끝나자 소련군은 동유럽 주둔군을 재조직했다. 1945년 6월 10일 명령 제11097호에 의거, 폴란드 주둔군은 군관구 체계와 유사한 '''군집단'''으로 전환되었다.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원수 휘하 제2 벨라루스 전선군이 북부군집단의 전신이다.[27][28]

폴란드 국민해방위원회 정권은 소련군의 폴란드 주둔을 인정하는 협정을 체결했다.[25]

초기 북부 군집단의 주된 임무는 공산정권의 무장력 강화 지원과 전쟁배상으로 독일 산업시설을 소련 본토로 이송하는 것이었다.[29] 전쟁배상 작업은 폴란드에 편입된 구 독일영토에서 이뤄졌지만, 경우에 따라 폴란드 산업시설을 약탈하기도 하였다.[25] 이는 폴란드 공산정권과 소련 당국 간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25]

2. 2. 냉전 시기 (1949년 ~ 1989년)

1949년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은 우호/협력/상호협조 조약을 체결하여 소련군의 주둔을 연장했다.[30] 그러나 폴란드 정부는 소련군에 대한 통제 권한이 없었다.[3] 1956년 포즈난 시위 이후 폴란드 해빙의 결과로, 1956년 12월 17일 폴란드 주둔 소련군의 지위협정이 체결되었다.[25][31][32] 이 협정으로 폴란드 주둔 소련군과 기지는 66,000명으로 제한되었고, 소련군 군사기지는 79곳에서 39곳으로 줄었다.[27][33] 그러나 소련군은 폴란드 정부에 알리지 않고 핵무기를 폴란드에 배치했으며, 실제 병력 수를 공개하지 않았다.[3][10]

북부 군집단은 NATO 대응과 폴란드 인민공화국 공산 정권 유지라는 두 가지 임무를 수행했다.[25] 이는 1956년 헝가리 혁명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으로 실행된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일부였다.[25] 주동독 소련군, 남부 군집단, 서부 군집단도 비슷한 기능을 수행했다.

소련군의 주둔은 폴란드 주민들에게 강도, 강간, 살인 등 범죄,[15][16] 경제적 부담,[10][21] 환경 오염 등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3] 1965년 폴란드-소련 상호우호조약은 변화한 소련의 폴란드 군사 정책을 반영했다.[34]

2. 3. 철수 (1989년 ~ 1993년)

1989년 폴란드 민주화와 소련 붕괴 조짐으로 폴란드 정부는 소련군 철수를 요구했다. 1991년과 1992년, 새로운 조약 체결 및 폴란드의 바르샤바 조약 탈퇴로 소련군 철수가 합의되었다. 1993년 9월 18일, 마지막 러시아군이 폴란드를 떠났다. 레흐 바웬사 대통령은 소련의 폴란드 침공일 (9월 17일)에 떠나는 러시아군을 배웅했다.

1990년대에 북부군집단이 폴란드를 떠날 준비를 할 때, 약 56,000명의 병력과 600대의 전차, 400문의 포, 20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북부군집단은 자체 신문인 ''즈나미아 포비에디'' (승리의 깃발)를 발행했다.

3. 편성

소련 북부 군집단의 체계

  • '''제20전차사단'''
  • * 제8근위전차연대
  • * 제76근위전차연대
  • * 제155전차연대
  • * 제144차량화소총병연대
  • * 제1052자주포연대
  • * 제459대공미사일연대
  • * 제595독립미사일대대
  • * 제96독립정찰통신대대
  • * 제710독립신호대대
  • * 제206독립공병대대
  • * 제70독립수리재건대대
  • * 제219독립의료대대
  • * 제1072독립물자지원대대
  • * 독립화학방어대대
  • '''제6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 * 제16근위차량화소총병연대
  • * 제82근위차량화소총병연대
  • * 제252근위차량화소총병연대
  • * 제80전차연대
  • * 제193근위자주포연대
  • * 제1082대공미사일연대
  • * 제669독립미사일대대
  • * 제90독립전차대대
  • * 제465독립대전차포대대
  • * 제126독립정찰통신대대
  • * 제54독립근위신호대대
  • * 제101독립근위공병대대
  • * 제71독립수리재건대대
  • * 제87독립의료대대
  • * 제1083독립물자지원대대
  • * 독립화학대대
  • 제91독립보안방어대대
  • 제83공중강습여단
  • 제55근위헬리콥터연대
  • 제114미사일여단
  • 제140대공미사일여단
  • 제325대공미사일연대
  • 제100독립공병대대
  • 제5부교가설연대
  • 제902독립부교가설대대
  • 제1308독립부교가설대대
  • 제3신호여단
  • 제137신호여단
  • 제587독립통신중계대대
  • 제86통신기술대대
  • 제1955독립통신전자전대대
  • 제1060신호훈련대대
  • 제663기갑비축보관소
  • 제885공병보관소
  • 제748통신보관소
  • 제15철도대대
  • 제650수리재건대대
  • 제1003훈련소


1987년 북부 군집단은 전투 병력 5만 명, 전차 700대, 병력 수송차 900대, 100mm 이상 화기 450문, 항공기 350대를 보유하고 있었다.[36] 북부 집단군은 T-64 전차로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져 T-54/55가 여전히 육군의 주력을 이루던 폴란드 인민군보다 현대화된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소련군은 폴란드 영토에 178기를 시작으로 핵무기를 배치했으며, 1980년대 말에는 250기로 늘어났다.

제4항공군은 북부 군집단의 항공 지원 전력이었으며, 약 350대의 전투기를 보유했다.[35]

소련군은 폴란드 영토에 핵무기를 배치했는데, 초기에는 178기였으나 1980년대 말에는 250기로 증가했다.[36]

3. 1. 육군

1987년 북부 군집단은 전투 병력 5만 명, 전차 700대, 병력 수송차 900대, 100mm 이상 화기 450문, 항공기 350대를 보유하고 있었다.[36] 북부 집단군은 T-64 전차로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져 T-54/55가 여전히 육군의 주력을 이루던 폴란드 인민군보다 현대화된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소련군은 폴란드 영토에 178기를 시작으로 핵무기를 배치했으며, 1980년대 말에는 250기로 늘어났다.

3. 2. 공군 (제4 항공군)

제4항공군은 북부 군집단의 항공 지원 전력이었으며, 약 350대의 전투기를 보유했다.[35]

3. 3. 핵무기

소련군은 폴란드 영토에 핵무기를 배치했는데, 초기에는 178기였으나 1980년대 말에는 250기로 증가했다.[36]

4. 대 NATO 전쟁 시 임무

북부군집단은 다른 군집단들과 마찬가지로 전시에 전선군으로 편제를 전환해 NATO에 대한 공격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지만,[37] 주둔 위성국의 항명을 억제하는 역할도 맡았다. 북부 군집단은 제1전략제대, 그 중에 제2작전제대의 임무를 맡았으며, 필요시 본토 부대로 증강될 수 있었다.[37]

5. 주둔지

6. 사령관

6. 1. 소련군

소련 원수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가 1945년 6월부터 1949년 10월까지 초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이후, 대장 쿠즈마 트루브니코프, 중장 알렉세이 라지예프스키, 중장 미하일 콘스탄티노프가 1950년대에 차례로 사령관직을 맡았다. 1955년 6월부터 1958년 2월까지는 대장 쿠즈마 갈리츠키가 사령관으로 재직했다.

1960년대에는 대장 게오르기 케타구로프, 대장 세르게이 마리야킨, 중장 알렉산드르 루다코프, 대장 글레브 바클라노프, 대장 이반 슈카도프가 사령관직을 이어받았다. 1970년대에는 대장 마고메드 탄카예프, 대장 이반 헤라시모프, 대장 올레그 쿨리셰프가 사령관을 역임했다.

1980년대에는 대장 유리 자루딘, 대장 알렉산드르 코브투노프, 대장 이반 코르부토프가 사령관직을 수행했다. 1989년 7월부터 1992년 6월까지는 대장 빅토르 두비닌이, 1992년 6월부터 1993년 9월까지는 대장 레오니트 코발료프가 마지막 사령관을 맡았다.

6. 2. 폴란드 측

폴란드 각료회의 대표는 1945년 6월부터 1946년까지 안토니 알스터 대령이 역임했다. 각료회의 경제위원회 대표는 1946년 12월부터 1947년 7월까지 율리안 토카르스키 대령, 1947년 7월부터 1949년 5월까지 보이체흐 빌콘스키 대령, 1949년 5월부터 1952년까지 테오도르 쿠슈니에레크 대령, 1952년부터 1957년까지 얀 코구트 대령이 역임했다.

폴란드 인민군 대표 겸 폴란드 주둔 소련군 문제 담당은 1957년 4월부터 1968년 4월까지 레셰크 크제미엔 준장, 1968년 4월부터 1972년 11월까지 체스와프 얀 추브리트-보르코프스키 소장, 1972년 11월부터 1977년 3월까지 유제프 스테벨스키 소장, 1977년 4월부터 1986년까지 미하우 스트리가 소장, 1986년부터 1988년 12월까지 즈비그니에프 오하노비치 소장, 1989년 1월부터 1990년 10월까지 미에치스와프 젭비츠키 준장, 1990년 10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즈지스와프 오스트로프스키 준장이 역임했다.

7. 전후 처리 및 영향

소련군은 48년 동안 폴란드에 주둔했으며, 그 주둔 비용은 폴란드에 626억 즈워티(1993년 가격으로 약 35억 미국 달러)로 추산된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영토에서 반출된 물품은 제외). 그러나 폴란드 정부는 소련군의 신속한 철수를 보장하기 위해 어떠한 청구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3][21][22] 소련은 또한 폴란드가 겪은 모든 비용은 소련군이 수년간 제공한 다양한 지원(예: 사회 기반 시설 건설)과 나치 점령으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이후의 안전 보장으로 상쇄되었다고 주장했다.[3]

1994년, 폴란드 정부는 소련군이 이전에 사용하던 영토의 사용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23] 해당 영토의 대부분은 폴란드 정부에 의해 매물로 나왔다.[23] 소련이 관리하던 일부 지역은 생태학적 오염과 유류 제품, 중금속, 불발탄 등에 의한 오염의 대상이 되었다.[3][23][24] 또한 수년간의 방치와 부실한 관리에 의해 손상되었다.[3]

참조

[1] 학술지 The Soviet army in Poland https://www.research[...] 2014
[2] 문서 NGF was established by Order No. 11096 dated 29 May 1945 issued by the Headquarters of the Supreme High Command (Stavka VGK), and took effect on 10 June 1945 www.microarmormayhem[...]
[3] 뉴스 Bratnia straż http://www.rzeczposp[...] Rzeczpospolita 2008-06-15
[4] 웹사이트 MIĘDZY MODERNIZACJĄ A MARNOTRAWSTWEM http://www.ipn.gov.p[...]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5] 웹사이트 ARMIA CZERWONA NA DOLNYM ŚLĄSKU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6] 서적 "The Polish-Soviet Treaty of December 17, 1956 formalized for the first time a situation which had existed in fact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on War, Revolution and Peace, Stanford University
[7] 서적 International Privileges And Immunities: A Case for a Universal Statut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71
[8] 웹사이트 Borne Sulinowo - historia http://www.bornesuli[...] 2011-12-27
[9] 서적 The Prague Spring 1968: a national security archive documents reader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8
[10] 웹사이트 Północna Grupa Wojsk Armii Radzieckiej w Polsce w latach 1945-1956. Okupant w roli sojusznika http://historicus.um[...] Nicolaus Copernicus University in Toruń, Polskie Towarzystwo Historyczne 2007-05-30
[11] 웹사이트 APPENDIX C: THE WARSAW PACT -- Soviet Union http://memory.loc.go[...] US Library of Congress
[12] 웹사이트 Group of Soviet Forces in Poland Northern Group of Forces (NGF) http://www.globalsec[...]
[13]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14] 서적 Stalin's Drive to the West, 1938-1945: the origins of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15] 서적 Rebuilding Poland: Workers and Communists, 1945-195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16]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17] 문서 Polish Secret Police report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Wrocław
[18] 뉴스 Wyjście Sowietów http://www.polityka.[...] Polityka 2007-01-27
[19] 웹사이트 18th Rifle Corps http://www.ww2.dk/ne[...] 2016-03-17
[20] 웹사이트 4th Red Banner Air Army VGK ON http://www.ww2.dk/ne[...] 2016-03-17
[21] 뉴스 Drodzy towarzysze. Koszty pobytu Armii Radzieckiej w PRL http://www.polityka.[...] Polityka. Pomocnik historyczny 2007-01-27
[22] 웹사이트 Komunikat po Radzie Ministrow - 24.01.1995 http://www.kprm.gov.[...] Polish government 1995-01-24
[23] 웹사이트 THE CATALOGUE OF ESTATES LEFT BY THE ARMY OF THE RUSSIAN FEDERATION - The investment offer http://www.celarf.go[...] 2008-06-15
[24]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ertise in Registration Investigation, Assessment, and Clean-Up of Contaminated Military Sites: Poland http://www.umweltbun[...] 2008-06-15
[25] 웹인용 Northern Group of Soviet Army Forces in Poland in the years 1945-1956. Occupant in the role of an ally https://web.archive.[...] 2004
[26] 간행물 NATO-Warsaw Pact. Force Mobilization https://web.archive.[...] 2016-12-23
[27] 웹인용 Wyjście Sowietów https://web.archive.[...] 2007
[28] 웹인용 Micro Armour Mayhem http://www.microarmo[...] 2016-12-24
[29] 웹인용 MIĘDZY MODERNIZACJĄ A MARNOTRAWSTWEM http://www.ipn.gov.p[...] 2007
[30] 뉴스 About this Collection - Country Studies https://www.loc.gov/[...] 2016-12-24
[31] 서적 "The Polish-Soviet Treaty of December 17, 1956 formalized for the first time a situation which had existed in fact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on War, Revolution and Peace, Stanford University
[32] 서적 International Privileges And Immunities: A Case for a Universal Statut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71
[33] 서적 The Prague Spring 1968: a national security archive documents reader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8
[34] 웹사이트 Group of Soviet Forces in Poland Northern Group of Forces (NGF) http://www.globalsec[...]
[35] 문서 Warsaw Pact Order of Battle June 1989 2001-01-28
[36] 서적 Soviet~Warsaw Pact Western Theater of Military Operations: Organization and Missions DTIC 1987
[37] 서적 THE SOVIET ARMY:TROOPS,ORGANIZATIONS, AND EQUIPMENT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