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쟁배상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쟁 배상금은 전쟁에서 패배한 국가가 승전국에 지불하는 보상금으로, 고대부터 존재해 온 관행이다. 로마 제국은 카르타고에, 청나라는 일본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했으며,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근대적 국제 질서가 형성되면서 전쟁 배상이 전후 처리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17세기 이후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전쟁 배상 사례가 있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은 과도한 배상금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이 배상금을 지불했으며, 걸프 전쟁 이후 이라크는 쿠웨이트에 배상금을 지급했다. 전쟁 배상금은 국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 - 시가전
    시가전은 도시나 마을과 같은 시가지에서 벌어지는 전투로, 복잡한 지형과 민간인 때문에 개활지 전투와 다른 전술 및 전략이 필요하며, 방어에 유리하고 공격 측 화력 사용이 제한되는 특징을 가진다.
  • 전쟁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전쟁배상금
개요
명칭전쟁 배상금
정의전쟁 후 패전국이 전승국에게 지불하는 보상
역사
기원고대
배경전쟁으로 인한 피해 복구
승전국의 경제적 이익 확보
패전국의 재발 방지
주요 사례보불전쟁: 프랑스가 독일에게 지불
제1차 세계 대전: 독일이 연합국에게 지불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이 연합국에게 지불
논쟁
경제적 영향패전국 경제 악화
국제 경제 불안정 초래 가능성
정치적 영향패전국의 불만과 반발 심화
국제 관계 악화
공정성 문제배상금 규모 산정의 객관성 문제
패전국의 지불 능력 고려 필요성
현대적 시각
비판적 시각전쟁 배상금이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지적
경제 제재 등 다른 형태의 제재 선호
긍정적 시각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 부과
피해국 국민의 고통 경감 노력
대안적 접근국제 협력을 통한 피해 복구
경제 지원 및 기술 이전

2. 역사

전쟁에서 한쪽 당사자가 전쟁 배상금을 지불하게 하는 것은 오래된 역사를 가진 일반적인 관행이다. 로마 제국포에니 전쟁 이후 카르타고에 막대한 배상금을 부과했고,[2] 청일 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에 2억 3천만 실버 테일의 배상금이 부과된 사례도 있었다.[3]

국제 형사 재판소 규정 및 피해자에 대한 구제 및 배상에 관한 유엔 기본 원칙에서 배상금을 성문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개인이 전쟁 중에 입은 불법 행위에 대해 불법 행위법을 통해 보상을 요구할 권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5][6]

2. 1. 고대

로마 제국제1차 포에니 전쟁(루타티우스 조약, 기원전 241년)과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 카르타고에 막대한 배상금을 부과했다.[2]

2. 2. 17세기 이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로 근대적인 국제 질서가 형성되고, 전쟁의 주된 목적이 적 영토 병합이나 노예 노동력 획득에서 일정한 정치적 목표 달성으로 변질된 17세기 이후 전쟁 배상이 전후 처리 수단으로 일반화되었다.[1] 전쟁 배상을 둘러싸고 다양한 정치적 문제가 발생했다.[1]

2. 3. 근대

칼마르 전쟁(1611년~1613년)에서 덴마크스웨덴을 공격했지만, 칼마르 동맹으로 복귀시키려는 목표는 실패했다. 전쟁으로 영토 변화는 없었지만, 스웨덴은 덴마크에 100만수리남 달러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7]

나폴레옹 전쟁에서 워털루 전투 패배 이후, 프랑스파리 조약 (1815년)에 따라 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프랑스는 인접 연합국이 건설할 추가 방어 시설 구축 비용도 지불해야 했다.[8]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프랑크푸르트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5년 이내에 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독일군은 1873년 9월, 배상금의 마지막 할부금이 지불될 때까지 프랑스 일부 지역에 주둔했다.[10]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패배한 그리스터키에 400만파운드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이미 채무 불이행 상태였던 그리스는 국제 금융 위원회의 공공 재정 감시를 허용해야 했다.[11]

시모노세키 조약은 1895년 4월 17일에 조인되었으며, 청나라일본에게 3600억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사시 구, 충칭, 쑤저우, 항저우의 항구를 개방해야 했다.

러일 전쟁 강화 조약인 포츠머스 조약 체결은 전쟁 배상금 유무를 놓고 난항을 겪었다. 일본은 배상금 지불을 요구했지만, 러시아 제국은 국내 정세 불안으로 인해 강화에 응했을 뿐, 해군은 태평양 함대와 발트 함대가 궤멸적인 손해를 입었지만 육군력은 아직 분쇄되지 않아 강경한 입장이었다. 반면 일본은 여순 공방전, 봉천 회전, 일본해 해전에서 모든 전력을 소진하고 거액의 전시 국채를 발행했기에, 더 이상 전쟁을 지속하는 것은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불가능했다. 그리하여 일본 전권 대사 고무라 주타로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제시한 "배상금은 지불하지 않지만 사할린 남부 할양은 인정한다"는 양보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1]

포츠머스 조약의 굴욕적인 내용을 알게 된 일본 국민 중에는 고무라를 매국노라고 비난하는 자들도 있었고, 히비야 방화 사건이 발생하는 등 혼란이 이어졌다.[1]

2. 3. 1. 유럽

칼마르 전쟁(1611년~1613년)에서 덴마크크리스티안 4세스웨덴을 공격했지만, 칼마르 동맹으로 복귀시키려는 목표는 실패했다. 전쟁으로 영토 변화는 없었지만, 스웨덴은 덴마크에 100만수리남 달러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으며, 이 금액은 ''엘브스보리 몸값''으로 알려져 있다.[7]

나폴레옹 전쟁에서 워털루 전투 패배 이후, 파리 조약 (1815년)에 따라 패배한 프랑스는 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프랑스는 인접 연합국이 건설할 추가 방어 시설 구축 비용도 지불해야 했다. 이는 국가가 지불한 전쟁 배상금 중 GDP 대비 가장 큰 규모였다.[8]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프랑크푸르트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5년 이내에 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이 배상금은 1807년에 나폴레옹이 프로이센에 부과한 배상금과 인구수에 비례하여 정확히 동일하게 책정되었다.[9] 독일군은 1873년 9월, 배상금의 마지막 할부금이 지불될 때까지 프랑스 일부 지역에 주둔했다.[10]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패배한 그리스터키에 400만파운드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이미 채무 불이행 상태였던 그리스는 국제 금융 위원회의 공공 재정 감시를 허용해야 했다.[11]

2. 3. 2. 아시아

시모노세키 조약은 1895년 4월 17일에 조인되었으며, 청나라는 일본에게 2억 냥(3600억)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사시 구, 충칭, 쑤저우, 항저우의 항구를 개방해야 했다.

러일 전쟁 강화 조약인 포츠머스 조약 체결은 전쟁 배상금 유무를 놓고 난항을 겪었다.[1] 일본은 배상금 지불을 요구했지만, 러시아 제국은 국내 정세 불안으로 인해 강화에 응했을 뿐, 해군은 태평양 함대와 발트 함대가 궤멸적인 손해를 입었지만 육군력은 아직 분쇄되지 않아 강경한 입장이었다.[1] 반면 일본은 여순 공방전, 봉천 회전, 일본해 해전에서 모든 전력을 소진하고 거액의 전시 국채를 발행했기에, 더 이상 전쟁을 지속하는 것은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불가능했다.[1] 그리하여 일본 전권 대사 고무라 주타로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제시한 "배상금은 지불하지 않지만 사할린 남부 할양은 인정한다"는 양보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1]

포츠머스 조약의 굴욕적인 내용을 알게 된 일본 국민 중에는 고무라를 매국노라고 비난하는 자들도 있었고, 히비야 방화 사건이 발생하는 등 혼란이 이어졌다.[1]

2. 4.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서 독일은 삼국 협상에 1,320억 금 마르크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12] 그러나 이는 독일 경제 붕괴와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초래했다. 1파운드 = 20파피에르마르크였던 환율은 1파운드 = 500억 파피에르마르크까지 떨어졌다.

1924년 도스 안이 채택되어 배상금 지불 방식이 수정되었고, 1929년 영 안에서는 배상금 총액이 358억 금 마르크로 감액되었다. 그러나 세계 대공황으로 독일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고, 1932년 로잔 회의에서 배상금 잔액은 30억 금 마르크까지 줄었다.

이러한 경제 혼란은 나치스와 히틀러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13] 1933년 히틀러 내각은 외채 모라토리엄을 선언하고 배상금 지불을 거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재통일까지 배상금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2010년 10월 3일 독일은 채권에 대한 이자 지급을 완료하며, 89년 만에 배상금 문제를 종결지었다.[24]

2. 5.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7월 17일부터 8월 2일까지 열린 포츠담 회담에 따라 독일은 연합국에 주로 기계 및 제조 공장을 통해 230억달러를 지불해야 했다. 서방에서의 해체는 1950년에 중단되었고, 소련에 대한 배상은 1953년에 중단되었다(동독에서만 지불).[14]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은 독일의 기술 및 과학적 노하우와 특허, 많은 선도적인 과학자들을 수집했다. 역사가 존 김벨은 연합국이 가져간 "지적 배상"(독일 과학자를 지칭)의 액수가 100억달러에 육박한다고 말했다.[14] 독일 배상은 부분적으로 강제 노동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1947년까지 약 4,000,000명의 독일 전쟁 포로와 민간인이 강제 노동으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와 평화 조약, 1947년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유고슬라비아에 1.25억달러, 그리스에 1.05억달러, 소련에 1억달러, 에티오피아에 2500만달러, 알바니아에 500만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헝가리는 소련에 2억달러, 체코슬로바키아와 유고슬라비아에 각각 1억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루마니아는 소련에 3억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15] 루마니아는 1945년에 560만달러를 지불했으며,[16] Digi24의 평가에 따르면 소브롬을 통해 20억달러를 지불하도록 강요받았다.[17]

핀란드는 소련과 임시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전쟁 배상금을 완전히 지불한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배상금 총액은 1953년 달러 가치로 5억달러였다.[18]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중국은 일본에게 2억 냥(36.1억)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일본의 무역을 위해 사시 구, 충칭, 쑤저우, 항저우의 항구를 개방해야 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1951년)에 따라 일본은 전쟁 중 연합국에 끼친 피해와 고통에 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일본은 필리핀에 5.5억달러(1980억), 남베트남에 3900만달러(140.39999999999998억), 전쟁 포로(POW)를 보상하기 위해 국제 적십자 위원회에 450만 파운드(45.4109억) 배상, 그리고 모든 해외 자산 약 236.81억달러(3794.9900000000002억)를 포기했다.

일본은 1952년에 49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으며, 54개의 양자간 협정을 체결했다. 배상금 지급은 1955년에 시작되어 1977년에 종료되었다. 일본 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공동 성명(1972년)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금 요구를 포기했다. 1956년 소련-일본 공동 선언에서, 소련은 일본으로부터의 배상금 권리를 포기했고, 일본과 소련 모두 전쟁으로 인한 모든 배상금 청구를 포기했다. 실론(현재 스리랑카)은 J. R. 자예와르데네 대통령의 지도 아래 일본으로부터 전쟁 배상금을 거부했다.

1990년 9월 12일 독일 최종 해결 조약으로 독일 정부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에 대한 전쟁 배상금 문제는 종결되었다. 일본은 각국과의 개별 합의에 따라 총 1.03조의 배상금을 지불했다.[25]

기타 옛 추축국은 1947년에 체결된 파리 조약에서 연합국에 대한 배상금 지불에 합의했다.

국가배상 대상국배상금 (1938년 미국 달러 기준)
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 그리스, 소비에트 연방, 에티오피아, 알바니아3.6억달러
핀란드소비에트 연방3억달러
헝가리소비에트 연방,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3억달러
루마니아소비에트 연방3억달러
불가리아그리스, 유고슬라비아7000만달러


2. 6. 걸프 전쟁

걸프 전쟁 이후, 이라크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687호를 수락했는데, 이 결의안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으로 발생한 피해에 대해 재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선언했다.[20] 유엔 보상 위원회(UNCC)가 설립되었고, 정부, 기업, 개인으로부터 3500억달러 규모의 청구가 제기되었다. UNCC는 약 150만 명의 성공적인 청구자들에게 524억달러의 보상 청구를 승인하고 지급했으며, 2019년 7월 기준으로 487억달러가 지급되었고 쿠웨이트 석유 공사를 대신하여 쿠웨이트에 37억달러만 남았다.[21] UNCC는 정부, 단체 또는 기업(법인)의 청구보다 자연인의 청구를 우선시한 것이 "국제 청구 관행의 진화에서 중요한 단계"를 표시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지급을 위한 자금은 식량 교환 석유 프로그램에서 이라크 석유 수입의 30% 지분으로 충당될 예정이었다.

3. 현대의 전쟁 배상

현대에는 전쟁 배상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고, 실제로 배상이 이루어진 사례도 드물다.

3. 1. 이라크 전쟁

이라크 전쟁에서 사담 후세인 축출 과정에서 이라크 시민들이 겪은 피해와 건강 문제에 대한 미국의 전쟁 배상금 지급을 이라크와 미국 내 특정 단체들이 요구해왔다. 하지만 국제적인 지지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22][23]

4. 전쟁 배상에 대한 비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전쟁 배상이 국제 경제에 파멸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24] 과도한 배상금은 패전국의 경제를 악화시키고, 새로운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 부과된 배상금은 피폐해진 독일 경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그 결과 발생한 하이퍼인플레이션은 바이마르 공화국을 실패하게 만들었으며, 나치스히틀러의 등장을 초래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

5. 한국과 관련된 전쟁 배상 문제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전쟁배상금' 문서의 '한국과 관련된 전쟁 배상 문제' 섹션 내용을 빈칸으로 둡니다.)

참조

[1] 서적 When nations can't default: a history of war reparations and sovereign deb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Ab urbe condita (The Early History of Rome, books I–V, and The History of Rome from its Foundation, books XXI–XXX: The War with Hannibal) Penguin Classics 2002
[3] 서적 Lever of Empire: The International Gold Standard and the Crisis of Liberalism in Prewar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4] 논문 Tort Liability for Belligerent Wrongs https://academic.oup[...] 2019-12-01
[5] 논문 War Torts: Accountability for Autonomous Weapons https://scholarship.[...] 2016-01-01
[6] 서적 Tort Liability in Warfare: States' Wrongs and Civilians' Right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7] 웹사이트 Kalmarkriget 1611–1613 https://web.archive.[...] Svenskt Militärhistoriskt Bibliotek 2007-05-04
[8] 논문 Making the French pay: the cost and consequences of the Napoleonic reparations http://papers.nber.o[...]
[9] 서적 Bismarck: The Man and the Statesman Hamish Hamilton 1955
[10] 서적 For the Soul of France : culture wars in the age of Dreyfus Alfred A. Knopf 2010
[11] 서적 State insolvency and foreign bondholders Yale University Press 1951
[12] 웹사이트 Lausanne Conference https://www.u-s-hist[...] 2023-11-07
[13] 웹사이트 Germany makes final payment for WWI reparations http://www.jpost.com[...] 2016-02-03
[14]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15] 웹사이트 Spolierea României la Tratatul de Pace de la Paris http://www.historia.[...] 2016-02-03
[16] 웹사이트 România sărăcită. Jaful, politică de stat a URSS faţă de cei învinşi http://www.digi24.ro[...] 2016-02-03
[17] 서적 Romania: The Unfinished Revolution Routledge 2000
[18] 웹사이트 60 years after the war reparations https://valtioneuvos[...]
[19] 웹사이트 Japan PM Abe ends Sri Lanka trip with visit to temple http://www.straitsti[...] 2018-04-30
[20] 웹사이트 RESOLUTION 687 (1991) https://www.treasury[...] 2017-08-23
[21] 웹사이트 PRESS RELEASE UNITED NATIONS COMPENSATION COMMISSION PAYS OUT US$270 MILLION https://uncc.ch/site[...] United Nations Compensation Commission 2019-08-06
[22] 뉴스 US reparations for Iraq are long overdue http://america.aljaz[...] 2021-11-12
[23] 웹사이트 Reparations for Iraq https://nymag.com/in[...] 2021-11-12
[24] 뉴스 Deutschlands Reparationszahlungen laufen aus http://www.welt.de/w[...] 2010-09-28
[25] 문서 賠償並びに戦後処理の一環としてなされた経済協力及び支払い等(PDF) https://www.mofa.go.[...]
[26] 웹사이트 クウェイト:対イラク賠償請求問題 http://www.meij.or.j[...] 財団法人中東調査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