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소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소토어는 'Sesotho sa Leboa'라고도 불리며, 반투어족 소토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이며, 세페디어를 기반으로 문어가 형성되었다. 북소토어는 고원 소토어와 저지대 소토어로 나뉘며, 페디족이 사용하는 세페디어가 표준어 형성에 기여했다.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가지고 있다. Translate.org.za 프로젝트를 통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번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소토어
    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에서 사용되는 남부 반투어의 일종으로, 세소토어를 지칭하며 독특한 음운 체계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 공용어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츠와나어
    츠와나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보츠와나에서 사용되는 바통투어족 언어로, 19세기 초 유럽 선교사들에 의해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고유한 음운 체계와 문법을 가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며 현대 철자는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북소토어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소토어 사용자 비율 지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북부 소토어를 사용하는 인구 비율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소토어 사용자 밀도 지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북부 소토어 사용자의 밀도
언어 종류소토-츠와나어군
사용 국가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용 지역하우텡 주, 림포포 주, 음푸말랑가 주 일부 지역
모어 화자약 465만 명 (2011년 인구 조사)
제2 언어 화자910만 명 (2002년)
언어 표준페디어
관련 민족페디족
로베두족
풀라나족
틀로크와족
문자라틴 문자 (북부 소토어 알파벳)
소토 점자
디테마 tsa 디노코
수어북부 소토 수어
ISO 639-1없음
ISO 639-2nso
ISO 639-3nso
글롯톨로그pedi1238
글롯톨로그 명칭페디
링구아스피어99-AUT-ed
언어 계통
어족니제르-콩고 어족
어파대서양-콩고 어파
어군볼타-콩고 어군
하위 어군베누에-콩고 어군
분기군반토이드어군
하위 분기군남부 반토이드어군
어군반투어군
하위 어군남부 반투어군
어군소토-츠와나어군
조상 언어트스와니아크
조상 언어 2후루체
조상 언어 3카틀라
공용어 지위
지정 국가남아프리카 공화국
관리 기관범 남아프리카 공용어 위원회

2. 명칭

남아프리카공화국 헌법 제1장 제6조에 따르면 세페디어(Sepedi)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12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5] 세페디어 대신 북소토어(Northern Sotho)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6] 남아프리카공화국 헌법 영어판에는 세페디어가 공용어로 등재되어 있지만, 세페디어 또는 북소토어판 남아프리카공화국 헌법에는 세소토사레보아어(Sesotho sa Lebowa)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공용어로 등재되어 있다.[7]

북소토어 문어는 주로 세페디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선교사들은 이 방언을 가장 면밀히 연구했으며, 1860년에 알렉산더 메렌스키(Alexander Merensky), 그루츠너(Grutzner), 그리고 게를라흐숍(Gerlachshoop)에 의해 최초로 정서법이 개발되었다.[8] 이는 이후 전 트란스발 지역에서 사용되는 20개 이상의 소토-츠와나어 방언에 공통적인 문자 체계를 제공했으며, "세페디어"가 전체 언어군을 위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는 데에도 기여했다. 그러나 모자지(Modjadji)의 로베두(Lobedu) 방언 사용자와 같은 다른 북소토어 방언 사용자들은 이러한 표현에 이의를 제기한다.

페디어는 북소토어의 방언이며, 북소토어 전체를 가리켜 "페디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 북소토어의 공식 명칭은 세소토 사 레보아어(Sesotho sa Leboa)이다.

3. 분류

반투어족에 속하는 소토어군의 한 언어이다. 남부소토어와 '소토'라는 이름을 공유하지만, 자매 언어인 세츠와나어와도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9] 세츠와나어, 세칼라가리어, 시로지어와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표준화된 방언으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변종이나 방언을 통합한 것이다.

4. 역사

19세기, 선교사 알렉산더 메렌스키 등이 세페디 방언을 중심으로 북소토어 문자 체계를 개발했다.[8] 이는 이후 트란스발 지역의 다양한 소토-츠와나어 방언을 통합하는 문자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8]

5. 방언

북소토어는 크게 고원(Highveld) 소토어와 저지대(Lowveld) 소토어로 나눌 수 있다. 고원 소토어는 비교적 최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서부와 남서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지대 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과 오래전부터 거주해 온 소토족 주민들이 혼합된 것이다. 다른 소토-츠와나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언어는 토템 동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며, 때로는 이러한 이름과 유명한 족장의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거나 결합하여 명명하기도 한다.

북소토어는 반투어족에 속하는 소토어군의 한 언어이다. 남부소토어와 '소토'라는 이름을 공유하지만, 자매 언어인 세츠와나어와도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9] 북소토어는 세츠와나어, 세칼라가리어, 시로지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여러 방언을 통합하여 표준화되었다.

5. 1. 주요 방언

방언
페디 마로타 (좁은 의미)
마로타 마모네
마로타 모흘랄레트시
바타우 페디 (마틀레브자네, 마세몰라, 마리샤네, 바타우 바 만가넨 - 엔카디멩, 크가폴라, 디포파, 엔차벨렝, 모가쇼아, 파아흘라, 슬로언, 마셰고아나, 엠파나마)
포크와네
바코네
코네 (가-마틀랄라)
디크갈레
바푸티
바로카
바크가가 (엠파흘렐레, 마아케, 모타포)
추에네
마타바타
마세룸물레
틀루 (가-몰레포)
토베자네 (가-마페페)
바틀로콰
바틀로콰 바 레테베
막고바
바틀루
바하나나와 (가-말레보고)
모레미
모틀라틀하나
바비르와
바츠와퐁
마마볼로
바몽가타네
바크웨나 바 몰레트지에 (몰로토)
바틀랄로가
바흐와두바, 바가마갈레, 기타 다수



북소토어 문어는 주로 페디족이 사용하는 세페디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8] 1860년에 알렉산더 메렌스키, 그루츠너, 그리고 게를라흐숍에 의해 최초로 정서법이 개발되었다.[8]

발로베두가 사용하는 켈로베두어는 문자 언어이며, 대부분의 켈로베두어 화자들은 학교에서 세페디어를 배우기 때문에 세페디어는 그들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언어이다. 켈로베두어는 그레이터 자니엔, 그레이터 레타바, 바팔라보르와 시의 대다수 사람들과 그레이터 기야니 시의 소수 사람들, 그리고 림포포주와 가우텡주의 템비사 타운십에서 사용된다.

마풀라나 사람들이 사용하는 세풀라나어(sePulanenso)는 미기록 형태로 존재하며 표준 북소토어의 일부를 형성한다. 세풀라나어는 부시벅리지 지역에서 사용된다.

6. 음운

북소토어는 7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북소토어의 모음과 자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기 바란다.

6. 1. 모음

북소토어 모음
전면 모음후면 모음
고모음iu
고중모음eo
저중모음ɛɔ
저모음a


6. 2. 자음

북소토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북소토어 자음
rowspan="2" colspan="2" |순음치음치후음연구개음성문음
무기전치경구개음치조음무기측음
비음mnɲŋ
파열음방출음pʃʼpsʼtˡʼ
기음pʃʰpsʰtˡʰ
파찰음방출음tsʼtʃʼ
기음tsʰtʃʰkxʰ
마찰음무성음ffssɬʃh~ɦ
유성음ββʒʒɣ
설측음rɺ
반모음wlj



비음 자음 복합체 내에서는 첫 번째 비음 자음이 음절로 인식된다. ''nthuše''("도와줘")와 같은 단어는 [n̩tʰuʃe]로 발음된다. /n/은 연구개음 뒤에서는 [ŋ]로 발음될 수도 있다.[11]

프레토리아 소토어(실제로는 츠와나어의 파생어)와 같은 북소토어 도시 방언은 응구니어파에서 퍼져나가는 과정에서 딸깍소리를 습득하였다.[12]

7. 문자 체계

세페디어는 라틴 문자로 쓰인다. 'š'는 sh영어가 유기음 'ts'를 나타내는 삼자음 "tsh"에서 사용되는 것과 달리 []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억양 부호는 e와 o의 다른 소리를 구분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지만, 주로 언어 참고 자료에서 사용된다. 어떤 접두사, 특히 동사의 접두사는 어근과 따로 쓰인다.[10]

8. 어휘

북소토어는 일상생활, 사회, 문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어휘를 포함하고 있다.

영어북소토어한국어
Kamogelo (명사) / Amogela (동사)Kamogelo / Amogela환영합니다
O kae? (단수)
Le kae? (복수, 어른에게도 사용)
O kae?
Le kae?
안녕하세요?
Ke gona.Ke gona.잘 지내요
Le nna ke gona, ke a leboga.Le nna ke gona, ke a leboga.저도 잘 지내요, 감사합니다
MahlatseMahlatse행운을 빌어요
O be le leeto le le bolokegilegoO be le leeto le le bolokegilego안전한 여행 되세요
Šala gabotse (단수) / Šalang gabotse (복수, 어른에게도 사용)Šala gabotse / Šalang gabotse잘 지내세요 (안녕히 계세요)
Sepela gabotse (단수) / Sepelang gabotse (복수, 어른에게도 사용)Sepela gabotse / Sepelang gabotse잘 가세요 (안녕히 가세요)
Ke nyaka mošomôKe nyaka mošomô일자리를 구하고 있습니다
Ga go kgogwe (/folwe)Ga go kgogwe (/folwe)금연
Ga go tsenweGa go tsenwe출입금지
Hlokomela disetepese!Hlokomela disetepese!계단 조심하세요!
Hlokomela!Hlokomela!조심하세요!
Mahlatse letšatšing la gago la matswaloMahlatse letšatšing la gago la matswalo생일 축하합니다
Ditumedišo tša Sehla sa MaikhutšoDitumedišo tša Sehla sa Maikhutšo즐거운 명절 되세요
Mahlogonolo a KeresemoseMahlogonolo a Keresemose메리 크리스마스
Mahlogonolo a Keresemose le ngwaga wo moswa wo monateMahlogonolo a Keresemose le ngwaga wo moswa wo monate메리 크리스마스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Gontsha sa mafahlengGontsha sa mafahleng표현
hlehle제발
thušang/thušothušang/thušo도와주세요
kotsikotsi위험
tšhoganetšotšhoganetšo비상사태
ntshwarelentshwarele실례합니다
Ke maswabiKe maswabi미안합니다
Ke a go rataKe a go rata사랑해
Dipotšišo / mafokoDipotšišo / mafoko질문/문장
O amogela (단수) / Le amogela ( tshelete/.../...)?O amogela / Le amogela(돈/신용카드/여행자 수표) 받으세요?
Ke bokae e?Ke bokae e?이것은 얼마입니까?
Ke nyaka...Ke nyaka...…을 원합니다
O dira eng?O dira eng?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Ke nako mang?Ke nako mang?지금 몇 시입니까?
O ya kae?O ya kae?어디로 갑니까?
DinomoroDinomoro숫자
teetee1
pedipedi2
tharotharo3
nnenne4
hlanohlano5
tshelatshela6
šupašupa7
seswaiseswai8
senyanesenyane9
lesomelesome10
lesometeelesometee11
lesomepedilesomepedi12
lesometharolesometharo13
lesomennelesomenne14
lesomehlanolesomehlano15
masomepedimasomepedi20
masomepedi-teemasomepedi-tee21
masomepedi-pedimasomepedi-pedi22
masomehlanomasomehlano50
lekgololekgolo100
seketesekete1000
Matšatši a bekeMatšatši a beke요일
LamorenaLamorena일요일
MošupologoMošupologo월요일
LabobediLabobedi화요일
LaboraroLaboraro수요일
LaboneLabone목요일
LabohlanoLabohlano금요일
MokibeloMokibelo토요일
Dikgwedi tša ngwagaDikgwedi tša ngwaga
PherekgongPherekgong1월
DibokwaneDibokwane2월
HlakolaHlakola3월
MoranangMoranang4월
MopitloMopitlo5월
NgwatobosegoNgwatobosego6월
PhuphuPhuphu7월
PhatoPhato8월
LewediLewedi9월
DiphalaneDiphalane10월
DibatselaDibatsela11월
MantholeManthole12월
Didirishwa tsa khomphutha le InthaneteDidirishwa tsa khomphutha le Inthanete컴퓨터 및 인터넷 용어
sebaledi / khomphutarasebaledi / khomphutara컴퓨터
imeileimeile이메일
aterese ya imeileaterese ya imeile이메일 주소
InthaneteInthanete인터넷
khefi ya Inthanetekhefi ya Inthanete인터넷 카페
weposaeteweposaete웹사이트
aterese ya weposaeteaterese ya weposaete웹사이트 주소
PulaPula
Go kwešišaGo kwešiša이해하다
DinakaDinaka피리
MeropaMeropa
LenakaLenaka뿔피리
MebalaMebala색깔
HubeduHubedu빨강/주황색
TsothoTsotho갈색
TalamorogoTalamorogo초록색
TalalerataTalalerata파란색
NtshoNtsho검정색
šweušweu흰색
SerolwanaSerolwana노란색
GautaGauta금색
PududuPududu회색
Sehla or TshehlaSehla or Tshehla연한색
SilifereSilifere은색


8. 1. 기본 어휘

북소토어한국어
Dumela (두멜라)안녕 (단수)
Dumelang (두멜랑)안녕 (복수)
Thobela (토벨라)안녕 (어른에게)
Ee/Eya (에/에야)
Aowa (아오와)아니요
Ke a leboga (케 아 레보가)감사합니다 (단수)
Re a leboga (레 아 레보가)감사합니다 (복수)


9. 사용 현황

북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림포포주, 가우텡주, 음푸말랑가주에서 주로 사용된다. 교육, 행정,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13]

10.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정책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 제1장 제6조에 따르면 북소토어(세페디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2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5] 다만, '세페디어' 대신 '북소토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6]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 영어판에는 '세페디어'가 공용어로 명시되어 있지만, 북소토어판 헌법에는 '세소토사레보와'(Sesotho sa Lebowa)가 공용어로 등재되어 있다.[7]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헌법에 명시된 11개 공용어(북소토어, 소토어, 츠와나어, 스와질리어, 벤다어, 총가어, 아프리칸스어, 은데벨레어, 코사어, 줄루어, 영어)를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11. 소프트웨어

오픈오피스, 모질라 파이어폭스, 모질라 썬더버드 등 일부 소프트웨어는 북소토어 버전을 제공한다. Translate.org.za 프로젝트는 북소토어를 포함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여러 언어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Language in South Africa: the role of language in national transformation,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2002
[2] 웹사이트 NORTHERN SOTHO - South African Language Sepedi https://www.sa-venue[...] 2021-06-08
[3] 웹사이트 The SA Constitution https://www.justice.[...] 2023-09-18
[4] 웹사이트 free online course https://www.unisa.ac[...] 2023-09-18
[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South African Government https://www.gov.za/d[...] 2023-09-20
[6] 웹사이트 Pedi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3-09-20
[7] 논문 A blatant disregard of Section 6 (1) of the Constitution of South Africa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language authorities: An onomastic discrepancy https://literator.or[...] 2022-02-28
[8] 논문 A constitutional language name, lost in translation and its impact on the identity of the first language speakers https://doi.org/10.1[...] 2019-07-03
[9] 웹사이트 Sepedi First Language https://careertimes.[...] 2020-02-21
[10] 서적 Pukuntšu ya polelopedi ya sekolo: Sesotho sa Leboa/ Sepedi le Seisimane: e gatišitšwe ke Oxford = Oxford bilingual school dictionary: Northern Sotho and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Southern Africa 2007
[11] 서적 Northern Sotho München: Lincom 1995
[12] 웹사이트 Ethnologue.com: Languages of South Africa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1948)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