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푸말랑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푸말랑가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로, 1994년 트란스발 주의 일부에서 분리되어 동 트란스발 주가 되었다가 1995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 지역은 170만 년 전 인류 조상의 정착 흔적이 발견될 정도로 역사가 깊으며, 광산 갱도와 무역 상품의 증거를 통해 고대부터 상업 활동이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에는 식민지 침략과 토지 분쟁이 있었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는 흑인들의 강제 이주가 이루어졌다. 현재는 아프리카 민족 회의가 주 정부를 이끌고 있으며, 토지 재분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음푸말랑가는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농업, 광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특히 크루거 국립공원과 블라이드강 협곡 등 관광 명소가 많다.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스와지어, 줄루어 등 여러 언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푸말랑가주 - 음봄벨라
    음봄벨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므푸말랑가 주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에스와티니, 모잠비크 국경과 인접하며 관광 산업이 발달했고, 다양한 산업과 교육 및 연구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음푸말랑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음푸말랑가 주 깃발
깃발
음푸말랑가 주 문장
문장
표어Omnia labor vincit (노동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
위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설치1994년 4월 27일
중심지음봄벨라
지역거트 시반데 구
응캉갈라 구
엘란제니 구
정부 유형의회 민주주의
주요 정당ANC
주지사만들라 들로부
주의회음푸말랑가 주의회
총 면적 (km²)76495
면적 순위남아프리카 공화국 8위
최대 고도 (m)2331
총 인구5,142,216
인구 조사 시점2022년
인구 밀도 (km²당)자동 계산
인구 순위남아프리카 공화국 6위
인구 밀도 순위남아프리카 공화국 3위
인구 그룹 (2022년)
흑인95.3%
백인3.6%
혼혈0.6%
인도인 또는 아시아인0.5%
기타0.5%
언어 (2022년)
스와지어30.5%
줄루어27.8%
총가어10.6%
페디어10.3%
남부 은데벨레어9.9%
아프리칸스어3.2%
남부 소토어2.3%
영어1.5%
시간대
시간대SAST
UTC 오프셋+2
기타 정보
ISO 코드ZA-MP
HDI (2019년)0.675
GDP$582억
웹사이트음푸말랑가 주 정부 웹사이트
약칭
스와지어eMpumalanga
줄루어iMpumalanga
아프리칸스어Mpumalanga
북소토어Mpumalanga
츠와나어Botlhabatsatsi
총가어Vuhuma-dyambu
남부 은데벨레어iPumalanga

2. 역사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 재편에 따라 트란스발 주의 일부에서 분리되어 '''동트란스발 주'''(Eastern Transvaal Province)가 되었다. 1995년 8월 24일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의 음푸말랑가 주가 되었다.[6]

2. 1. 선사 시대

Lydenburg Head
음푸말랑가에서 발견된 서기 500년경의 리덴버그 헤드 중 하나


음푸말랑가 지역의 고고학 유적은 17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와 그들의 조상의 정착을 나타낸다.[6] 이 지역의 암석화, 조각 및 기타 고고학적 증거는 음푸말랑가가 수렵 채집 집단에 의한 오랜 인류 거주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음푸말랑가 경계에서 멀지 않은 오리그스타트 지역의 발굴은 4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석기 시대의 거주 증거를 보여준다.[7] 에스와티니 국경의 응구엔야에 있는 라이온 동굴은 최소 28,000년 전부터 음푸말랑가 지역과 주변 지역에서 사람들이 철광석을 채굴한 증거를 보여준다.[8]

광산 갱도와 무역 상품의 증거는 주석, 구리, 금, 철, 황토 및 청동 산업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서기 500년경의 리덴버그 헤드는 적도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철기 시대 예술 작품이며 음푸말랑가에서 발견되었다.[9] 음봄벨라 근처의 유적은 6세기에서 17세기 사이의 농업 사회의 증거를 보여준다.[10]

음푸말랑가 고지대에 있는 보코니 석조 유적은 서기 1500년에서 1820년 사이의 대규모 식량 생산 사회를 나타낸다.[11][12] 이 사회는 마푸투 만의 포르투갈 무역 기지와 연결되면서 점점 더 크고 중앙집권화된 인구를 가진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7]

이 시대에 스와지, 페디, 은데벨레, 마풀라나 등이 현재 음푸말랑가인 지역에 정착했다.

2. 2. 식민지 시대 이전



음푸말랑가 지역의 고고학 유적은 17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와 그들의 조상의 정착을 나타낸다.[6] 이 지역의 암석화, 조각 및 기타 고고학적 증거는 음푸말랑가가 수렵 채집 집단에 의한 오랜 인류 거주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음푸말랑가 경계에서 멀지 않은 오리그스타트 지역의 발굴은 4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석기 시대의 거주 증거를 보여준다.[7] 에스와티니 국경의 응구엔야에 있는 라이온 동굴은 최소 28,000년 전부터 음푸말랑가 지역과 주변 지역에서 사람들이 철광석을 채굴한 증거를 보여준다.[8]

광산 갱도와 무역 상품의 증거는 주석, 구리, 금, 철, 황토 및 청동 산업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서기 500년경의 리덴버그 헤드는 적도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철기 시대 예술 작품이며 음푸말랑가에서 발견되었다.[9] 음봄벨라 근처의 유적은 6세기에서 17세기 사이의 농업 사회의 증거를 보여준다.[10]

음푸말랑가 고지대에 있는 보코니 석조 유적은 서기 1500년에서 1820년 사이의 대규모 식량 생산 사회를 나타낸다.[11][12] 이 사회는 마푸투 만의 포르투갈 무역 기지와 연결되면서 점점 더 크고 중앙집권화된 인구를 가진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7]

이 시대에 스와지, 페디, 은데벨레, 마풀라나 등이 현재 음푸말랑가인 지역에 정착했다.

2. 3. 식민지 시대

1845년, 대이동의 일환으로, 처음으로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식민지 정착민들이 동 트란스발이라고 부르는 곳에 도착했다.[6] 이 지역의 19세기는 식민지 침략과 토지 및 정치적 통제권을 둘러싼 갈등으로 특징지어졌다. 1852년, 보어인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세웠다.[13] 잘 정착된 페디, 스와지, 줄루 왕국은 정착민들에게 상당한 저항을 했다. 페디족은 1876년 보어인과 전쟁을 벌였고(세쿠쿠네 전쟁), 줄루 왕국은 1879년 1820년 정착민과 전쟁을 벌였다(영국-줄루 전쟁). 이러한 상호 연관된 갈등은 남아프리카 지역의 권력 균형을 식민지 통제로 바꾸는 데 영향을 미쳤다.[6] 1860년 이후, 알렉산더 메렌스키와 같은 독일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선교 기지가 세워져 기독교와 유럽의 가치를 전파했다.[6]

식민지 시대에도 이 지역은 식민지 이전 시대처럼 교역의 중심지였으며, 동 트란스발 지역은 요하네스버그마푸투 사이의 중요한 교통로가 되었다. 필그림스 레스트와 바버턴 주변의 금광 채굴과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었다. 트란스발의 농장에서는 인부크스텔셀로 알려진 제도를 통해 보어인들이 습격을 가해 아이들을 납치하여 강제 노동에 투입했다.[14] 제2차 보어 전쟁 동안 이 지역은 주목할 만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2. 4.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국민당이 1948년 집권했을 때, 그들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은 트란스발 지역 사회를 규정했던 인종 차별을 더욱 심화시켰다. 강제 이주 정책에 따라 흑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인들은 백인 전용 지역에서 쫓겨나 카응과네, 콰은데벨레, 레보와, 가잔쿨루를 포함한 고향으로 이주했다.[15]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이 삶의 거의 모든 측면을 규정하는 억압적인 정책을 시행하면서, 활동가들은 저항으로 대응했다.

1959년, 현재 음푸말랑가 고원 지대에 위치한 작은 마을 베텔은 흑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동자들이 이 지역 농장에서 겪었던 노동 조건에 대한 반대 시위인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소비자 감자 보이콧의 중심지였다.[16] 이 지역은 망명, 흑인 의식, 샤프빌 학살, 1976년 소웨토 봉기와 같은 국내외의 역학 관계에 영향을 받았다. 1980년대에는 극심한 탄압 속에서 청년 및 노동 단체가 정부에 맞서 동원되었고, 타운십과 반투스탄에서 정치적 불안과 폭력이 발생했다.[6]

1986년, 킨로스 광산에서 177명의 광부를 죽인 사건이 발생했다. 남아프리카 광부 연합의 재난 대응은 남아프리카 노동 투쟁의 핵심적인 사건이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음푸말랑가와 같이 이전에는 저항의 주요 지역으로 여겨지지 않았던 지역을 포함한 남아프리카 전역에서의 저항의 강도가 경제적 요인 및 국제적 압력과 결합되어 아파르트헤이트를 종식시킬 만큼 강력해졌다. 1994년 4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최초의 민주 선거를 실시했을 때 음푸말랑가 주가 형성되었다.

2. 5.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는 백인 소수 통치가 끝난 후 음푸말랑가 주에서 집권했다. 토지 재분배 프로그램은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강제로 이주당한 흑인 공동체에 토지를 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수만 헥타르의 토지를 이들 공동체와 그 후손들에게 재분배했다. 그러나 이 과정은 부패와 논란으로 얼룩졌으며, 아파르트헤이트 공간 계획의 정도를 해결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7]

2001년, 마시싱 인근의 붐플라츠 농장 1270ha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최초로 수용된 농지가 되었다.[18] 1994년의 주 재편에 따라 트란스발 주의 일부에서 분리되어 '''동트란스발 주'''(Eastern Transvaal Province)가 되었다. 1995년 8월 24일에 명칭을 변경하여 음푸말랑가 주가 되었다.

3. 지리

드라켄즈버그산맥 절벽은 음푸말랑가주를 서쪽과 동쪽 절반으로 나눈다. 서쪽 절반은 주로 하이벨트라고 불리는 고산 초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쪽 절반은 저고도 아열대 로우벨트/부시벨트에 위치하며 대부분 사바나 서식지이다. 크루거 국립공원의 남쪽 절반은 후자에 속한다. 드라켄즈버그 산맥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2000m를 초과하며, 음푸말랑가주의 이 중앙 지역은 매우 산악 지형이다. 이 지역에는 고산 초원과 작은 규모의 아프리카 산림이 있다. 로우벨트는 비교적 평평하며 중간중간 바위 노두가 흩어져 있다. 레봄보 산맥은 동쪽 끝, 모잠비크와의 국경에 낮은 산맥을 형성한다.



바버튼 지역에서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 중 일부가 발견되었다. 이 고대 녹색암맥과 변성암 화강암은 이 주의 남동쪽에 있는 크로커다일강 산맥을 형성한다. 로우벨트는 20억 년이 넘는 칼라하리 순상지 아프리카 지각 기저 암석 아래에 놓여 있다. 하이벨트는 대부분 젊은 카루 지층의 퇴적암으로, 석탄기에서 페름기에 해당한다.

음푸말랑가주는 모잠비크 (북동쪽의 가자 주와 동쪽의 마푸투 주)와 에스와티니 (룸보보 구, 호호 구, 만지니 구, 시셀웨니)와 국경을 접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유일한 주이다. 북쪽의 림포포 주와 걸쳐 모잠비크 국경을 따라 크루거 국립공원이 설치되어 있다.

음푸말랑가 주 인종 구성 (2011년)
인종비율
반투족(흑인)90.7%
백인7.5%
컬러드0.9%
아시아계0.7%



음푸말랑가 주 모어 사용자 (2011년)
언어비율
스와티어27.7%
줄루어24.1%
총가어10.4%
남은데벨레어10.1%
북소토어9.3%
아프리칸스어7.2%
영어3.1%



음푸말랑가 주의 언어 분포도


전체 인구의 30%가 스와지족이며, 국내에서 유일한 다수 민족이다. 그러나 줄루족도 그만큼 많고, 남은데벨레어 사용자의 비율도 국내에서 가장 높다. 아프리카너 백인도 비교적 많아 매우 다민족, 다언어적인 주가 되고 있다.

3. 1. 기후

드라켄즈버그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은 주로 초원 고지대, 동쪽은 저고도의 아열대성 사바나 지대로 이루어져 크루거 국립공원의 일부가 포함된다. 로우펠트는 위도와 따뜻한 인도양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하이펠트는 해발 1700m에서 2300m 사이의 고도로 인해 비교적 훨씬 더 시원하고 건조하다. 드라켄즈버그 절벽 지역은 가장 많은 강수량을 보이며, 그 외 다른 지역은 대부분 여름 뇌우로 적당한 강수량을 보인다. 하이펠트는 종종 상당한 강도의 결빙을 경험하는 반면, 로우펠트는 대부분 서리가 내리지 않는다. 절벽 지역의 약간의 이슬비를 제외하고 겨울 강우는 드물다.[20]

기후의 차이는 로우펠트에 위치한 주도 음붐벨라와 하이펠트에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벨파스트를 비교하여 알 수 있다.

도시1월 최고 기온 (최저 기온)7월 최고 기온 (최저 기온)연간 강수량
음붐벨라29°C (19°C)23°C (6°C)767mm
벨파스트23°C (12°C)15°C (1°C)878mm



기후 변화로 인해 이 지역의 강우량은 더욱 변동성이 커지고, 기온과 증발률이 상승하며, 극심한 기상 이변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생물군계가 이동하여 주 대부분이 사바나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20]

4. 생태

마콘자 산맥의 바버턴 인근 녹색암석대에서 발견된 화석층은 32억 2천만 년 전의 미생물 활동을 보여준다. 이는 생명체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3억 년이나 더 일찍 지구상에 나타났음을 시사한다.[19]

음푸말랑가주는 높은 식물 및 동물 다양성을 자랑하며, 많은 종이 이 지역에 고유종으로 존재한다. 림포포 주와 경계를 이루며 모잠비크 국경을 따라 크루거 국립공원이 설치되어 있다.

4. 1. 보존 지역

음푸말랑가 주의 다양하고 특별한 동식물은 다양한 자연 보호 구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바버턴 자연 보호 구역
  • 블라이드강 협곡 자연 보호 구역
  • 그레이트 림포포 국경 공원 - 이전에는 가자-크루거-고나레주 국경 공원으로 알려졌다. 이 국제 게임 공원은 남부 아프리카에서 최고이자 가장 잘 알려진 야생 동물 지역을 통합한다. 이 공원은 크루거 국립 공원(남아프리카), 림포포 국립 공원(모잠비크) 및 고나레주 국립 공원(짐바브웨)를 포함하는 전례 없는 세 개의 국제 경계를 넘어 통합된 단위로 관리된다.
  • 음봄벨라의 로우벨트 국립 식물원
  • 사비 샌드 게임 보호 구역 - 노튼스 부시 캠프,[31] 이두베 사파리 로지, 치트와 치트와 게임 로지, 듀마 게임 보호 구역, 엑서터 게임 로지, 이냐티 개인 게임 보호 구역, 레오파드 힐스 개인 게임 보호 구역, 라이언 샌드 개인 게임 보호 구역, 론도로지 게임 보호 구역, 말라 말라 게임 보호 구역, 사바나 개인 게임 보호 구역 및 울루사바 게임 로지를 포함한다.
  • 덜스트롬 근처의 벨로렌 발레이


많은 식물 종은 음푸말랑가 내의 다양한 지질 구조에 고유하다. 이러한 구조의 예로는 바버턴 산맥의 사문암, 세쿠쿠넬랜드의 노라이트, 블라이드강 협곡의 석영암, 북부 고원의 백운암(돌로마이트)이 있다.[32]

5. 법과 정부

음푸말랑가주는 30명의 입법자로 구성된 단원제 시스템인 음푸말랑가주 의회에 의해 통치되며, 폐쇄 명부 방식을 통해 민주적으로 선출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에 따라, 의회는 법을 제정하고, 공공 참여를 증진하며, 감독 기능을 수행한다.[33] 1994년부터 현재까지, 아프리카 민족 회의가 음푸말랑가주 의회의 주요 정당이었다. 2019년 선거를 기준으로, 경제 자유 투사, 민주 동맹, 자유 전선 플러스가 의회에서 야당을 형성하고 있다.[33] 5년마다 선출되는 음푸말랑가주 총리는 주의 정부 수반이다. 2024년부터 만들라 은들로부가 총리직을 맡고 있다.[34]

6. 행정 구역

음푸말랑가주는 3개의 구로 나뉘며, 이 구들은 다시 18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된다.[1]

음푸말랑가 구 및 지방 자치 단체 지도


기호광역 자치 단체 · 군지도코드지방 자치 단체
DC30게르트 시반데 군--MP301알버트 루툴리
MP303므콘도 (피트 레티프 포함)
MP302무수칼리가
MP305레크와
MP306디팔레셍
DC31응칸갈라 군--MP312에말라흘레니 (비트뱅크 포함)
MP315뎀비실레
MP316Dr JS 모로카
MP311델마스
DC32에흐란제니 군--MP322음봄벨라 (넬스프루이트 포함)
MP324은코마지
MP321타바 추우 (라이덴버그, 필그림스 레스트 포함)
MP323움진디 (바버턴 포함)


6. 1. 행정구

음푸말랑가 주에는 3개 행정구(District)와 18개 지방 자치체(Local Municipality)가 있다.

행정구(District)지방 자치체(Local Municipality)
헤르트 시반데앨버트 루툴리
므수칼리가
음콘도
픽슬리 카 세메
레크와
디팔레셍
고반 음베키
응캉갈라델마스
에말랄레니
스티브 추웨테
하이랜즈
템비실레
닥터 JS 모로카
엘란제니타바 추웨우
음봄벨라
움진디
노마지
부시바크리지


7. 경제

음푸말랑가주에서는 농업과 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농업의 경우, 음푸말랑가주 토지의 68%가 농업에 사용되며, 하이벨트와 로우벨트 지역 간의 기후 차이로 다양한 작물 재배가 가능하다. 주요 작물로는 옥수수, 밀, 수수, 해바라기씨, 대두, 마카다미아, 땅콩, 사탕수수, 채소, 커피, 차, 면화, 담배, 감귤류, 아열대 및 낙엽 과일 등이 있다. 자연 방목지는 쇠고기, 양고기, 양모, 가금류, 유제품 생산에 활용된다. 농업은 계절, 영구, 임시 노동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특히 모잠비크 출신 이주 노동자들은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있다.[35] 사비와 그라스코프 주변에서는 임업이 활발하며, 응고드와나에는 남아프리카 최대 제지 공장 중 하나인 사피가 있다.[37]

광업의 경우, 금, 백금족 금속, 실리카, 크롬철광, 바나듐 함유 자철광, 은 함유 아연, 안티몬, 코발트, 구리, 철, 망간, 주석, 석탄, 안달루사이트, 석면, 규조토, 석회석, 마그네사이트, 활석, 셰일 등 다양한 광물이 채굴된다. 1883년 바버턴 주변 산에서 처음 금이 발견된 이후, 현재까지도 금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38] 음푸말랑가는 남아프리카 석탄 생산량의 83%를 차지하며, 석탄은 주로 전력 생산과 합성 연료 산업에 사용된다. 세쿤다에는 사솔이 운영하는 석탄 액화 공장이 있다.[39] 하지만, 석탄 화력 발전소 밀집으로 인해 음푸말랑가 고원 지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이산화 질소 오염을 겪고 있다.[40]

7. 1. 농업

음푸말랑가 하이벨트에 있는 농장


음푸말랑가주 토지 면적의 68%가 농업에 사용된다. 춥고 건조한 겨울이 있는 하이벨트 지역과 덥고 습한 로우벨드 지역 간의 기후 대비는 다양한 농업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음푸말랑가는 수십 년 동안 국내 및 국제 시장에 과일과 채소를 공급하는 중요한 공급 업체였다.[35] 토지 박탈의 역사는 농지가 대부분 백인 소유임을 의미하지만, 토지 재분배 시대의 정책은 이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작물로는 옥수수, , 수수, 보리, 해바라기씨, 대두, 마카다미아, 땅콩, 사탕수수, 채소, 커피, , 면화, 담배, 감귤, 아열대 및 낙엽 과일 등이 있다.[36] 자연 방목지는 음푸말랑가의 약 14%를 차지한다. 주요 생산물은 쇠고기, 양고기, 양모, 가금류 및 유제품이다.

음푸말랑주에서의 농업은 계절, 영구 및 임시 노동자의 조합에 의해 추진된다. 농장의 조건은 매우 다양하지만, 인근 모잠비크에서 온 이주 노동자들을 포함한 계절 및 임시 노동자들은 극심한 불안에 직면해 있다.[35]

임업사비와 그라스코프 주변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 숲 근처에 위치한 응고드와나는 남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제지 공장 (사피) 중 하나가 있는 곳이다.[37]

7. 2. 광업

음푸말랑가 주에서는 광범위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발견되는 광물로는 금, 백금족 금속, 실리카, 크롬철광, 바나듐 함유 자철광, 은 함유 아연, 안티몬, 코발트, 구리, 철, 망간, 주석, 석탄, 안달루사이트, 크리소타일 석면, 규조토, 석회석, 마그네사이트, 활석, 셰일 등이 있다.

1883년 오귀스트 로버츠는 현재 바버턴을 둘러싼 산에서 음푸말랑가 주 최초로 금을 발견했다. 금은 오늘날에도 바버턴 지역에서 채굴되고 있다.[38]

음푸말랑가는 남아프리카 석탄 생산량의 83%를 차지한다. 남아프리카 석탄 소비량의 90%는 전력 생산과 합성 연료 산업에 사용된다. 석탄 발전소는 석탄 매장지 근처에 위치해 있다. 세쿤다 (세쿤다 CTL)에 있는 석탄 액화 공장은 합성 연료 회사 사솔(Sasol)이 운영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두 석탄 추출 공장 중 하나이다.[39]

음푸말랑가 고원에 석탄 화력 발전소가 밀집되어 있어, 이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이산화 질소 오염을 보이고 있다.[40]

8. 관광

음푸말랑가는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1898년에 로우펠트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크루거 국립공원은 20000km2에 달하며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41] 다른 주요 관광 명소로는 수드왈라 동굴과 블라이드강 협곡이 있다.

빅 점프, 산악 자전거, 쿼드 바이크, 승마 트레일, 래프팅, 대형 게임 관람 등 많은 활동이 이 지역 고유의 활동이다. 이곳은 "빅 파이브" 지역이다. 로우펠트의 마을로는 바버턴, 음봄벨라, 화이트 리버, 사비, 그라스코프, 헤이즈뷰, 말레레인, 필그림스 레스트, 라이덴버그 및 노코마지가 있다.[42]

2008년에는 오트 퀴진 루트가 형성되어 음봄벨라에서 헤이즈뷰까지 이어졌다. 로우펠트 미식 루트는 이 지역에서 제공하는 4개의 최고급 레스토랑을 포함한다. 레스토랑으로는 서머필즈 키친, 올리버스 레스토랑, 오렌지 앤 솔트가 있다.[43]

9. 문화

밝은 색상과 대담한 패턴의 은데벨레 비즈 공예품과 의류
은데벨레 전통 의상


음푸말랑가주는 스와지족, 은데벨레족, 아프리칸스족, 총가족, 줄루족, 마풀라나족, 포르투갈족, 페디족 등 다양한 문화의 고향이다.

보트샤벨로에 있는 은데벨레 문화 마을은 은데벨레 가옥 페인팅을 전시하는 문화 유산의 유명한 중심지이다. 은데벨레 예술가 에스더 말랑구는 은데벨레 전통과 기하학적 패턴에 뿌리를 둔 그녀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저명한 예술가 제라르 세코토는 보트샤벨로에서 태어났다.

레이 피리, 레베카 말로페, 프리티 옌데와 같은 많은 유명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악가들이 음푸말랑가주 출신이다.

2003년부터 음푸말랑가주의 수도인 므봄벨라는 아프리칸스어 전국 예술 축제인 이니보스를 개최해왔다. 이 축제는 음악, 코미디, 예술, 공예, 연극을 특징으로 한다.[44]

10. 인구

음푸말랑가 주의 언어


음푸말랑가주 인구 밀도


2011년 인구 조사 기준 음푸말랑가주의 인구는 4,039,939명이며, 평균 인구 밀도는 52.81명/km²이다.[45] 인종별 인구 구성은 흑인이 90.1%, 백인이 7.5%, 컬러드가 0.9%, 인도인/아시아인이 0.7%이다.[45]

언어별 사용 인구 비율은 스와지어가 27.7%, 줄루어가 24.1%, 총가어가 10.4%, 남은데벨레어가 10.1%, 페디어가 9.3%, 아프리칸스어가 7.2%, 남소토어가 3.5%, 영어가 3.1%이다. 약 30%의 인구가 이웃 국가인 에스와티니의 언어인 스와티어를 사용하며, 줄루족도 많고, 남은데벨레어 사용자의 비율도 국내에서 가장 높다. 아프리카너 백인도 비교적 많아 다민족, 다언어적인 주이다.

북쪽의 림포포 주와 걸쳐 모잠비크 국경을 따라 크루거 국립공원이 있다.

참조

[1] 서적 Census 2011: Census in brief http://www.statssa.g[...] Statistics South Africa
[2] 웹사이트 Statistical Release - Census 2022 https://census.stats[...] 2024-08-22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4] 웹사이트 Provincial gross domestic product:experimental estimates, 2013–2022 https://www.statssa.[...]
[5] 웹사이트 Home https://www.mbombela[...] 2022-05-25
[6] 서적 Mpumalanga : history and heritage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Kwazulu-Natal Press 2007
[7] 웹사이트 The Archaeology of Mpumalanga https://www.research[...] 2007
[8] 간행물 Evidence of Iron Ore Mining in Southern Africa in the Middle Stone Age https://www.jstor.or[...] 1969
[9] 웹사이트 Lydenburg Heads (Ca. 500 A.D.) | Essay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https://www.metmuseu[...] 2022-04-11
[10] 웹사이트 Prehistory of the Nelspruit are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2-04-11
[11] 웹사이트 Forgotten World https://witspress.co[...] 2014-09-16
[12] 웹사이트 One of the most extraordinary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phenomena in Southern Africa {{!}} The Heritage Portal http://www.theherita[...] 2020-09-14
[13] 서적 Select constitutional documents illustrating South African history, 1795-1910 http://archive.org/d[...] London : G. Routledge & Sons; New York, E.P. Dutton & Co. 1918
[14] 서적 Women and slavery http://worldcat.org/[...] Ohio University Press 2008
[15] 웹사이트 Mpumalang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2-05-26
[16] 웹사이트 Don't eat potatoes!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2-05-27
[17] 웹사이트 DM168 INVESTIGATION: Case number 35402/2010 – the Mabuzas and the giant Mpumalanga land claims 'scam' https://www.dailymav[...] 2022-06-11
[18] 웹사이트 First farm to be expropriated https://www.news24.c[...] 2022-06-11
[19] 웹사이트 Life took hold on land 300 million years earlier than thought https://www.scienced[...] 2022-05-26
[20] 웹사이트 Mpumalanga https://letsrespondt[...] 2022-05-27
[21] 서적 A conservation assessment of Amblysomus robustus in Child MF, Roxburgh L, Do Linh San E, Raimondo D, Davies-Mostert HT, editors. The Red List of Mammals of South Africa, Swaziland and Lesotho South African National Biodiversity Institute and Endangered Wildlife Trust, South Africa.
[22] 웹사이트 Enteromius treurensis, Treur barb https://fishbase.se/[...] 2022-05-26
[23] 웹사이트 Protea curvata {{!}} PlantZAfrica http://pza.sanbi.org[...] 2022-05-26
[24] 웹사이트 Sim's Spotted Aloe (Aloe simii) https://guatemala.in[...] 2022-05-26
[25] 웹사이트 Komati Waterberry (Syzygium komatiense) https://www.inatural[...] 2022-05-26
[26] 웹사이트 Notes on the Lamiaceae: A new Tetradenia and a new Thorncroftia from South Africa https://www.research[...]
[27] 웹사이트 Four new species of Amphilius https://www.planetca[...] 2022-05-26
[28] 웹사이트 Threatened Species Programme {{!}} SANBI Red List of South African Plants http://redlist.sanbi[...] 2022-05-26
[29] 웹사이트 Longtom Oneye (Monopsis kowynensis) https://www.inatural[...] 2022-05-26
[30] 웹사이트 Aloe nubigena https://www.plantzaf[...] 2022-05-27
[31] 웹사이트 Private Safari Lodge http://www.nottens.c[...]
[32] 서적 Trees and shrubs of Mpumalanga and Kruger National Park Jacana Media 2007
[33] 웹사이트 About the Legislature http://www.mpuleg.go[...] 2022-05-25
[34] 웹사이트 Office of the Premier — Mpumalanga Provincial Government http://www.mpumalang[...] 2024-06-14
[35] 간행물 Foreign Migrants in Export Agriculture: Mozambican Labour in the Mpumalanga Lowveld, South Africa http://dx.doi.org/10[...] 2000-11
[36] 웹사이트 Mpumalanga Province Freight Data Bank > Industries > Agriculture, Hunting & Forestry http://www.safiri.co[...] 2019-02-01
[37] 웹사이트 Mpumalanga in brief: The economy of the province http://www.mpuleg.go[...] 2006-05-13
[38] 웹사이트 Barberton http://www.exploreso[...] 2011-09-28
[39] 웹사이트 Coal http://www.eia.doe.g[...] South Africa Country Analysis Brief,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40] 웹사이트 We have the dirtiest air in the world https://witbanknews.[...] 2018-11-01
[41] 웹사이트 Kruger National Park http://www.sa-venues[...] South Africa Explored
[42] 웹사이트 Mpumalanga news http://www.mpumalang[...]
[43] 웹사이트 Mpumalanga Haute Cuisine https://archive.toda[...]
[44] 웹사이트 InniBos Kunstefees / Event in Nelspruit, Mpumalanga https://www.sa-venue[...] 2022-05-27
[45] 웹사이트 Census 2011: Province: Mpumalanga https://census2011.a[...] 2022-05-25
[46] 웹사이트 P03014_Census_2022_Statistical_Release.pdf https://census.stats[...] 2024-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