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토어는 나이저-콩고어족의 소토-츠와나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소토어"는 소토-츠와나어군 전체를 가리키기도 하며, 이 경우 고유 소토어는 "남부 소토어"라고 불린다. 레소토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사용되며, 츠와나어, 북부 소토어, 로지어와 가깝다. 레소토에서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11개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소토어는 9개의 모음과 39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명사 성과 조화 체계, 교착어적 형태론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소토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츠와나어
    츠와나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보츠와나에서 사용되는 바통투어족 언어로, 19세기 초 유럽 선교사들에 의해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고유한 음운 체계와 문법을 가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며 현대 철자는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스와티어
    스와티어는 에스와티니의 공용어이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사용되는 반투어족 언어로, 지역에 따라 방언이 나뉘며 복잡한 자음 체계와 세 가지 성조, 그리고 주어와 목적어에 따라 변하는 접두사와 접미사를 사용하는 동사 및 다양한 명사류를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소토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소토어
자국어 이름Sesotho
발음/sɪ̀sʊ́tʰʊ̀/
사용 국가레소토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민족소토족
모어 화자560만 명 (2001–2011)
제2언어 화자790만 명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2년)
어족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파
볼타콩고어파
베누에콩고어군
반투어군
남부반투어군
반투어
남부반투어
소토-츠와나어군
방언푸티어
타웅어
문자로마자 (소토어 알파벳)
소토어 점자
디테마 트사 디노코
공용 국가레소토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언어 관리 기관범남아프리카 언어 위원회
ISO 639-1st
ISO 639-2sot
ISO 639-3sot
링구아스피어99-AUT-ee (변종 99-AUT-eea ~ 99-AUT-eee 포함)
구스리 분류S.33
수화소토어 수화
글롯로그sout2807
글롯로그 이름남부 소토어
다른 이름남부 소토어
소토어 명칭
사람Mosotho (모소토)
민족Basotho (바소토)
국가Lesotho (레소토)
언어Sesotho (세소토)

2. 분류

소토어는 남부 반투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나이저-콩고어족의 소토-츠와나어군에 속하며, S구역 (S.30)에 분류된다. "소토어"는 소토-츠와나어군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이기도 하며, 이 경우 고유 소토어는 "남부 소토어"라고 불린다. 소토-츠와나어군 내에서 남부 소토어는 로지어(''Silozi'')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소토-로지어군을 형성한다. 북부 소토어군은 지리적으로 분류되며, 소토-로지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많은 방언을 포함한다. 츠와나어는 "서부 세소토어"로도 알려져 있다.

소토-츠와나어군은 다시 벤다어, 총가어, 통가어, 잠비아가 원산지인 로지어 및 주변 남아프리카 국가들과 응구니어군 등 다른 남부 반투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Sotho''는 어근이며, 세소토어(Sesotho)처럼 소토어(Sotho)와 바소토족(Basotho)처럼 특정 파생어를 위해 다양한 접두사가 추가될 수 있다. 영어에서 언어를 가리킬 때 ''Sotho''보다는 ''Sesotho''를 사용하는 것이 1980년대 이후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남아프리카 영어와 레소토에서 그렇다.

아프리카 중남부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족 남동부 그룹(Nguni)에 속하며, 츠와나어, 북소토어, 로지어와 가깝다. 레소토에서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1993년 레소토 정부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85%에 해당하는 약 149만 3000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된 1994년에 공용어로 추가되어 11개의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8%에 해당하는 약 400만 명이 모어로 사용하며, 프리 스테이트 주의 주도 블룸폰테인 주변에서는 대부분이 사용자이며 모국어이다. 또한, 인구 조사 대상이 아니지만, 다언어 사용이 진행되고 있는 요하네스버그, 소웨토, 츠와네 등을 중심으로 최소 500만 명 이상이 소토어를 제2언어 또는 제3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3. 방언

레소토 내부의 미세한 어휘 변이와 레소토/프리 스테이트 방언 및 인접 언어에서의 많은 차용으로 인해 북쪽 대도시 지역(예: 소웨토) 방언 사이의 두드러진 어휘 변이를 제외하면, 이 언어에는 알아볼 수 있는 방언 변이가 없다.

그러나 세소토 방언학 연구를 시도하는 저자들을 종종 혼란스럽게 하는 한 가지 점은 바로 ''바소토''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소토-츠와나어 화자", "남부 소토어와 북부 소토어 화자", "세소토어 화자", 그리고 "레소토 거주민"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응구니어족 푸티어는 세소토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화자들은 응구니와 소토-츠와나 혼혈이다. 때때로 "세푸티"라는 세소토 방언으로 잘못 취급되는 것으로 보이나, 푸티어는 표준 세소토어와 상호 이해할 수 없으므로 어떤 의미에서도 세소토어의 방언이라고 할 수 없다. 레소토에서 사용되는 모든 소수 언어를 세소토어의 "방언"으로 규정하는 경향은 비하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언어학적으로 부정확하고 레소토 시민 모두의 모국어가 세소토어라는 국가적 신화에 부분적으로 기여한다.

잠비아의 소토-츠와나어인 로지어도 때때로 ''세로트세'' 또는 ''세콜롤로''라는 현대 세소토어 방언으로 인용된다.

바소토족과 북부 소토족의 구전 역사(리보코에 담겨 있다)에 따르면, ''바포켄'' 족 족장의 딸인 '마툴라레'는 (남부) ''바크가틀라''(소토-츠와나 부족 중 가장 오래된 부족 중 하나인 ''바후루트세''의 한 분파)의 타바네 족장과 결혼하여 다섯 부족의 창시자를 낳았다. ''바페디''(모페디에 의해), ''마크골로크웨''(크게시에 의해), ''바푸팅''(모푸팅에 의해, 그리고 나중에 들라미니의 음지지, 현재의 짐바브웨 ㄴ데벨레족과 관련이 있음), ''바틀로크와''(크그와디에 의해), 그리고 ''바시아''(모시아에 의해)가 그들이다. 이들은 19세기 초 모쇼에슈에 1세의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많은 후손과 다른 민족들이 모이기 전에 "바소토"라고 불린 최초의 민족들이었다. 부모 씨족의 구성원이 그들의 후손에 합류하거나 여러 씨족이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같은 전설적인 조상을 존경하거나 같은 토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등 다양한 역사적 요인으로 상황은 더욱 복잡해진다.

자주 반복되는 이야기는 현대 바소토 국가가 모쇼에슈에 1세 왕에 의해 설립되었을 때, 그의 자신의 "방언"인 세크웨나가 다른 두 가지 인기 있는 변종인 세틀로크와와 세타웅보다 선택되었다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에서 세틀로크와를 포함하는 것은 혼란스러운데, 현대 언어인 "세틀로크와"는 젊은 족장 모쇼에슈의 정착지를 리파카네 기간 동안 공격한(유명한 미망인 만나타티시가 이끌었음) 바로 그 바틀로크와의 후손들이 사용하는 북부 세소토어이기 때문이다. 현재 레소토로 이주했다. 반면에, 도크와 모포켄은 많은 세소토어 화자들이 예를 들어 ''-ma''로 끝나는 동사의 수동태 완료형을 형성할 때 ''ke romilwe'' 대신 ''ke ronngwe''라고 말하는 경향은 "멸종된 트록와 방언의 유물"이라고 주장한다.

4. 지리적 분포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세소토어(Sesotho)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약 4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8%에 해당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부분의 세소토어 사용자는 프리 스테이트 주와 가우텡에 거주한다. 세소토어는 또한 레소토 국민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이기도 하며, 1993년 자료에 따르면 약 1,493,000명(전체 인구의 85%)이 사용했다.

아프리카 중남부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족 남동부 그룹(Nguni)에 속하며, 츠와나어, 북소토어, 로지어와 가깝다.

레소토에서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1993년 레소토 정부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85%에 해당하는 약 149만 3000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된 1994년에 공용어로 추가되어 11개의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8%에 해당하는 약 400만 명이 모어로 사용하며, 프리 스테이트 주의 주도 블룸폰테인 주변에서는 대부분이 사용자이며 모국어이다.

5. 공식적 지위

세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2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레소토의 2개 공용어 중 하나이자 짐바브웨의 16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레소토에서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1993년 레소토 정부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85%에 해당하는 약 149만 3000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된 1994년에 공용어로 추가되어 11개의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8%에 해당하는 약 400만 명이 모어로 사용하며, 프리 스테이트 주의 주도 블룸폰테인 주변에서는 대부분이 사용자이며 모국어이다. 또한, 인구 조사 대상이 아니지만, 다언어 사용이 진행되고 있는 요하네스버그, 소웨토, 츠와네 등을 중심으로 최소 500만 명 이상이 소토어를 제2언어 또는 제3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6. 파생 언어

세소토어는 츠초타알의 기원이 된 여러 언어 중 하나이다. 츠초타알은 독특한 어휘와 관용구를 사용하지만 다른 언어(주로 세소토어 또는 줄루어)의 문법과 어미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적절한 언어라고 할 수 없다. 이는 남부 가우텡 타운십의 청년 문화의 일부이며, 콰이토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7. 음운



세소토어의 음운 체계는 여러 면에서 특이하다. 파열음, 딸깍소리, 연구개 떨림이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마찰 파열음이 있지만, 전비음은 없다. 또한 드문 형태의 모음 높이 조화(또는 전설모음 조화)가 있다. 총 39개의 자음과 9개의 모음음소가 있다.

또한, 다른 (때로는 보이지 않는) 소리의 영향으로 단어의 음소를 종종 변화시키는 많은 복잡한 음운 변화가 있다.

== 닿소리(자음) ==

소토어의 음운 체계는 여러 면에서 특이하다. 파열음, 딸깍소리, 연구개 떨림이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마찰 파열음이 있지만, 전비음은 없다. 또한 드문 형태의 모음 높이 조화(또는 전설모음 조화)가 있다.

소토어는 여러 조음 위치에서 약하게 방출음, 유기음, 유성음 파열음을 3가지로 구분한다.

표준 소토어의 딸깍소리는 일반적인 말씨에서는 치경 딸깍소리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d]는 l이 /i, u/ 앞에 올 때만 나타난다. 방언적 증거는 세소토-츠와나어에서 /l/가 원래 두 개의 폐쇄 모음 앞에서 후설 파열음 [ɽ]로 발음되었음을 보여준다.



== 홀소리(모음) ==

소토어에는 9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7. 1. 홀소리(모음)

소토어에는 9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7. 2. 닿소리(자음)

소토어의 음운 체계는 여러 면에서 특이하다. 파열음, 딸깍소리, 연구개 떨림이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마찰 파열음이 있지만, 전비음은 없다. 또한 드문 형태의 모음 높이 조화(또는 전설모음 조화)가 있다.

소토어는 여러 조음 위치에서 약하게 방출음, 유기음, 유성음 파열음을 3가지로 구분한다.

표준 소토어의 딸깍소리는 일반적인 말씨에서는 치경 딸깍소리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d]는 l이 /i, u/ 앞에 올 때만 나타난다. 방언적 증거는 세소토-츠와나어에서 /l/가 원래 두 개의 폐쇄 모음 앞에서 후설 파열음 [ɽ]로 발음되었음을 보여준다.


8. 표기법

소토어의 표기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소토어 표기법 문서를 참고하라.

9. 문법

세소토어 문법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명사 성과 조화 체계이며, 이는 세소토어를 반투어로 분류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반투어는 일반적으로 성별을 문법적으로 표시하지 않으며, 생물학적 성별을 나타내지 않는다.

반투어의 또 다른 특징은 교착어적 형태론이다. 또한, 대부분 문법적 격 체계가 없어, 어순을 통해 명사의 역할을 거의 독점적으로 나타낸다.

세소토어 명사 접두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세소토어 명사 접두사 체계
등급접두사철자예시비고
1.[mʊ]mo-[mʊtʰʊ] motho (사람)사람
2.[bɑ]ba-[bɑtʰʊ] batho (사람들)
1a.[n̩tʼɑtʼe] ntate (아버지)친족 관계
2a.[bo]bo-[bon̩tʼɑtʼe] bontate (아버지들)
3.[mʊ]mo-[mʊnʷɑnɑ] monwana (손가락)비인간
4.[mɪ]me-[mɪnʷɑnɑ] menwana (손가락들)
5.[lɪ]le-[lɪt͡sʼɑt͡sʼi] letsatsi ()인간과 비인간
6.[mɑ]ma-[mɑt͡sʼɑt͡sʼi] matsatsi (날들)
7.[sɪ]se-[siˌpʰiʀi] sephiri (비밀)인간과 비인간
8.[di]di-[dipʰiʀi] diphiri (비밀들)
9.[N]-(변화하는)[n̩tʰɔ] ntho ()잡다한 것
[tʰɑpʼɛlɔ] thapelo (기도)
10.[di]di[N]-[din̩tʰɔ] dintho (것들)
[ditʰɑpʼɛlɔ] dithapelo (기도들)
14.[bʊ]bo-[bʊhɔbɛ] bohobe ()추상 명사
[bʊbɪ] bobe (추함)
15.[hʊ]ho-[hʊt͡sʼɑmɑjɑ] ho tsamaya (가다)동명사
16.[fɑ]fa-[fɑt͡sʰɪ] fatshe (아래)”fa-” 등급에는 fatshe만 존재한다.
17.[hʊ]ho-[hʊlɛ] hole (멀리)
[hʊsɑnɪ] hosane (내일)
18.[mʊ]mo-[mʊʀɑhʊ] moraho (뒤에)
[mʊse] mose (해외)



세소토어는 성조 언어이다. 유형론적으로는 교착어이다. 명사에는 명사류와 일치의 체계가 있다. 체계는 없다(주로 주어와 목적어의 관계는 어순으로 나타낸다).

9. 1. 형태론

세소토어 문법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명사 성과 조화 체계이며, 이는 세소토어를 반투어로 분류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반투어는 일반적으로 성별을 문법적으로 표시하지 않으며, 생물학적 성별을 나타내지 않는다.

반투어의 또 다른 특징은 교착어적 형태론이다. 또한, 대부분 문법적 격 체계가 없어, 어순을 통해 명사의 역할을 거의 독점적으로 나타낸다.

세소토어 명사 접두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세소토어 명사 접두사 체계
등급접두사철자예시비고
1.[mʊ]mo-[mʊtʰʊ] motho (사람)사람
2.[bɑ]ba-[bɑtʰʊ] batho (사람들)
1a.[n̩tʼɑtʼe] ntate (아버지)친족 관계
2a.[bo]bo-[bon̩tʼɑtʼe] bontate (아버지들)
3.[mʊ]mo-[mʊnʷɑnɑ] monwana (손가락)비인간
4.[mɪ]me-[mɪnʷɑnɑ] menwana (손가락들)
5.[lɪ]le-[lɪt͡sʼɑt͡sʼi] letsatsi ()인간과 비인간
6.[mɑ]ma-[mɑt͡sʼɑt͡sʼi] matsatsi (날들)
7.[sɪ]se-[siˌpʰiʀi] sephiri (비밀)인간과 비인간
8.[di]di-[dipʰiʀi] diphiri (비밀들)
9.[N]-(변화하는)[n̩tʰɔ] ntho ()잡다한 것
[tʰɑpʼɛlɔ] thapelo (기도)
10.[di]di[N]-[din̩tʰɔ] dintho (것들)
[ditʰɑpʼɛlɔ] dithapelo (기도들)
14.[bʊ]bo-[bʊhɔbɛ] bohobe ()추상 명사
[bʊbɪ] bobe (추함)
15.[hʊ]ho-[hʊt͡sʼɑmɑjɑ] ho tsamaya (가다)동명사
16.[fɑ]fa-[fɑt͡sʰɪ] fatshe (아래)”fa-” 등급에는 fatshe만 존재한다.
17.[hʊ]ho-[hʊlɛ] hole (멀리)
[hʊsɑnɪ] hosane (내일)
18.[mʊ]mo-[moʀɑhʊ] moraho (뒤에)
[mʊse] mose (해외)


9. 2. 통사론

세소토어 문법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자 이를 반투어로 분류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명사 성과 조화 체계이다. 문법적 성 체계는 생물학적 성별을 나타내지 않으며, 실제로 반투어는 일반적으로 성별을 문법적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반투어의 또 다른 잘 알려진 특징은 교착어적 형태론이다. 또한, 대부분 문법적 격 체계가 없어, 어순을 통해 명사의 역할을 거의 독점적으로 나타낸다. 기본적으로는 주어-서술어-목적어의 어순이지만, 강조를 위해 도치되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논문 Language in South Africa: the role of language in national transformation,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2002
[2] 문서 북소토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