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츠와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츠와나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보츠와나 등에서 사용되는 반투어군의 언어이다. 1806년 독일인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이 츠와나어를 처음 기록했지만, 연구는 1930년에 출판되었다. 츠와나어는 모음과 자음의 음운 체계를 가지며, 고정된 강세와 두 가지 음높이를 사용한다. 문법적으로는 9개의 명사류와 1개의 하위류로 명사를 분류하며, 다양한 표현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츠와나의 언어 - 헤레로어
    헤레로어는 나미비아, 앙골라, 보츠와나 지역에서 사용되는 반투어군의 언어이며, 헤레로랜드에서 주로 사용되고 19세기 말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문자가 정립되었으며, 나미비아에서 교육 및 방송에도 사용된다.
  • 보츠와나의 언어 - 북은데벨레어
    북은데벨레어는 짐바브웨 북은데벨레족의 언어이자 짐바브웨의 공용어 중 하나로, 즈루어에서 파생되어 흡착음과 명사류에 따른 동사 변화 등의 특징을 가지며, 마타벨레 왕국 건설과 로디지아 내전과 관련된 역사를 지니고 현재 짐바브웨에서 널리 사용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소토어
    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에서 사용되는 남부 반투어의 일종으로, 세소토어를 지칭하며 독특한 음운 체계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 공용어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스와티어
    스와티어는 에스와티니의 공용어이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사용되는 반투어족 언어로, 지역에 따라 방언이 나뉘며 복잡한 자음 체계와 세 가지 성조, 그리고 주어와 목적어에 따라 변하는 접두사와 접미사를 사용하는 동사 및 다양한 명사류를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츠와나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츠와나어
고유 이름Setswana
사용 지역보츠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용 민족츠와나족
사용자 수남아프리카 공화국: 407만 명 (2011년)
보츠와나: 107만 명 (1993년)
제2 언어 사용자 수남아프리카 공화국: 770만 명 (2002년)
문자라틴 문자 (츠와나어 알파벳)
츠와나어 점자
디테마 트사 디노코
언어학적 분류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어파대서양-콩고어파
어군볼타-콩고어군
어계베누에-콩고어계
분기군반토이드어군
하위 분기군남부 반토이드어군
어군반투어군
하위 어군남부 반투어군
언어군소토-츠와나어군
방언
방언 목록롤롱
후루체
크웨나
레테
멜레테
응와케체
응와투
카틀라
타와나
틀하로
틀하핑
틀라하핑
틀라로
국가별 사용 현황
공용어보츠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소수 언어나미비아
언어 코드
ISO 639-1tn
ISO 639-2tsn
ISO 639-3tsn
Linguasphere99-AUT-eg
Glottologtswa1253
Glottolog 참조Tswana

2. 역사

츠와나어 연구는 여러 유럽인과 남아프리카공화국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1806년 독일 여행가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이 최초로 츠와나어를 기술했지만, 그의 연구는 193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3] 1826년 영국 선교사 로버트 모팻은 츠와나어 관련 책을 출판했고, 1857년에는 츠와나어 성경 번역을 완성했다.[3] 초기 츠와나어 문법 연구는 코사어 문법을 모델로 하거나, 북소토어 및 남소토어와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았다.[4] 이후 남아프리카 언어학자 솔로몬 플라트예는 츠와나어로 츠와나어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3]

2. 1. 초기 연구

최초로 츠와나어를 서술한 유럽인은 1806년 츠와나족 바틀라핑 부족과 함께 생활했던 독일 여행가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이었지만, 그의 연구는 193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3] 그는 츠와나어를 코사어의 방언으로 잘못 여겼으며, 그가 사용한 언어 이름인 "Beetjuana"는 북소토어와 남소토어도 포함했을 가능성이 있다.

츠와나어에 대한 최초의 주요 연구는 바틀라핑 부족과 함께 생활했던 영국 선교사 로버트 모팻이 수행했으며, 그는 1826년에 "Bechuana Spelling Book"과 "A Bechuana Catechism"을 출판했다.[3]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성경의 다른 책들을 여러 권 출판했고, 1857년에는 성경 전체 번역을 출판할 수 있었다.[3]

츠와나어 최초의 문법은 1833년 선교사 제임스 아치벨이 출판했지만, 코사어 문법을 모델로 했다. 츠와나어를 코사어와는 별개의 언어(하지만 북소토어와 남소토어와는 여전히 별개의 언어가 아닌 것으로)로 간주한 최초의 츠와나어 문법은 1841년 프랑스 선교사 Eugène Casalis|유진 카잘리스프랑스어가 출판했다. 그는 나중에 생각을 바꾸어 1882년 출판물에서 북소토어와 남소토어는 츠와나어와 구별된다고 언급했다.[4]

남아프리카 지식인이자 언어학자인 솔로몬 플라트예는 츠와나어로 그리고 츠와나어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한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이었다.[3]

2. 2. 문법 연구

최초로 츠와나어를 서술한 유럽인은 1806년 츠와나족 바틀라핑 부족과 함께 생활했던 독일 여행가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이었지만, 그의 연구는 193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3] 그는 츠와나어를 코사어의 방언으로 잘못 여겼으며, 그가 사용한 언어 이름인 "Beetjuana"는 북소토어와 남소토어도 포함했을 가능성이 있다.

츠와나어에 대한 최초의 주요 연구는 바틀라핑 부족과 함께 생활했던 영국 선교사 로버트 모팻이 수행했으며, 그는 1826년에 "Bechuana Spelling Book"과 "A Bechuana Catechism"을 출판했다.[3]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성경의 다른 책들을 여러 권 출판했고, 1857년에는 성경 전체 번역을 출판할 수 있었다.[3]

츠와나어 최초의 문법은 1833년 선교사 제임스 아치벨이 출판했지만, 코사어 문법을 모델로 했다. 츠와나어를 코사어와는 별개의 언어(하지만 북소토어와 남소토어와는 여전히 별개의 언어가 아닌 것으로)로 간주한 최초의 츠와나어 문법은 1841년 프랑스 선교사 Eugène Casalis|유진 카잘리스프랑스어가 출판했다. 그는 나중에 생각을 바꾸어 1882년 출판물에서 북소토어와 남소토어는 츠와나어와 구별된다고 언급했다.[4]

남아프리카 지식인이자 언어학자인 솔로몬 플라트예는 츠와나어로 그리고 츠와나어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한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이었다.[3]

2. 3. 솔로몬 플라트예의 공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학자 솔 플라트예는 츠와나어를 사용하여 츠와나어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한 최초의 인물이다.[3]

3. 음운 체계

츠와나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 자음, 강세, 성조 등으로 구성된다.

츠와나어에는 7개의 모음과 여러 자음들이 존재한다. 강세는 항상 단어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놓이며, 음높이는 높음과 낮음 두 가지가 있다.[12][13]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모음

츠와나어의 모음 체계는 아래와 같다.[5]

전면후면
고모음iu
준고모음ɪʊ
중모음ɛɔ
저모음a



일부 방언에는 중모음인 /e/와 /o/ 두 개의 추가적인 모음이 있다.[6] 일반적인 세츠와나어 표기에서 e와 o 위의 역시그마는 초등 교육 수준에서만 권장되며, 고등 교육 과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7]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음들은 역시그마 없이 표기된다.

츠와나어의 모음은 아래 표와 같다.

전설후설
좁은i /i/u /u/
좁은 편e /ɪ/o /ʊ/
중간ê /ɛ/ô /ɔ/
넓은a /a/



일부 방언에는 위에 더하여, 중간모음 /e/와 /o/가 존재한다.

3. 2. 자음

츠와나어의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8]



/d/ 자음은 뒤에 /i/ 또는 /u/ 모음이 올 때 /l/의 동위음으로 나타난다.[9] 'v'(/v/)와 'z'(/z/) 두 가지 소리는 외래어에서만 사용된다.

츠와나어에는 세 가지 딸깍소리 자음이 있지만, 이는 감탄사의성어에서만 사용되며 주로 노년층에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세 가지 딸깍소리 자음은 치경 딸깍소리 /ǀ/ (c), 측면 딸깍소리 /ǁ/ (x), 그리고 치경 딸깍소리 /ǃ/ (q)이다.[10]

츠와나어 화자들 사이에는 자음에 약간의 방언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χ/는 많은 화자들에게 /x/ 또는 /h/로 발음되며, /f/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h/로 발음되고, /tɬ/와 /tɬʰ/는 북부 방언에서 /t/와 /tʰ/로 발음된다.[11]

/ŋ/ 자음은 (후아넨과 바롤롱 세보니에서처럼) 모음이 뒤따르지 않고 단어 끝에 올 수 있다.

3. 3. 강세

강세는 츠와나어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항상 단어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놓인다. 다만, 일부 복합어의 경우 단어 앞부분에 부차적인 강세를 받을 수 있다. 강세가 놓이는 음절은 길어진다. 따라서, mosadi(여성)는 mosadi|모사디tn로 발음된다.[12]

3. 4. 성조

츠와나어는 높음과 낮음 두 가지의 음높이를 가진다. 낮은 음높이가 높은 음높이보다 단어에서 훨씬 더 많이 나타난다. 음높이는 철자법으로 표시되지 않으므로 모호함이 발생할 수 있다.[13]

: '''go bua''' ''"말하다"''

: '''go bua''' ''"동물의 가죽을 벗기다"''

: '''o bua Setswana''' ''"그는 츠와나어를 말한다"''

: '''o bua Setswana''' ''"당신은 츠와나어를 말한다"''

음높이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높은 음높이의 확장이다. 만약 어떤 음절이 높은 음높이를 가지고 있다면, 그 다음 두 음절도 높은 음높이를 갖게 되는데, 단어의 끝에 있는 경우는 제외된다.[14]

: '''simolola''' ''"시작하다"''

: '''simologêla''' ''"~를 위해/~에서 시작하다"''

4. 문법

츠와나어는 명사류에 따른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17] 일부 명사는 여러 류에 속하기도 한다.[18]

4. 1. 명사

츠와나어의 명사는 9개의 명사류와 1개의 하위류로 분류되며, 각각 다른 접두사를 갖는다.[17]

단수복수특징
1.mo-ba-사람
1a.bô-이름, 친족 관계, 동물
2.mo-me-
ma-
기타 (신체 부위, 도구, 악기, 동물, 나무, 식물 포함)
3.le-ma-
4.se-di-
5.n-
m-
ny-
ng-
din-
dim-
diny-
ding-
동물 (하지만 기타도 포함)
6.lo-기타 (여러 집합 명사 포함)
7.bo-ma-추상 명사
8.go-동사의 원형
9.fa-
go-
mo-
부사



일부 명사는 여러 류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1류 명사는 1a류, 3류, 4류, 5류에도 속한다.[18]

5. 츠와나어 표현

츠와나어 표현한국어 번역
Dumela, rra/mma안녕하세요 (남/여)
O tsogile jang?안녕하십니까? / 컨디션이 어떠십니까?
Ke tsogile sentle, rra/mma. Wena o tsogile jang?잘 지냅니다. 당신은요?
Le kae?안녕하세요?
Re teng, rra/mma잘 지냅니다.
Ke a leboga, rra/mma감사합니다.
Ke bidiwa _______저는 _______입니다.
Ke tshwerwe ke tlala배고파요.
A re tsamaye갑시다!
Ke nyorilwe/Ke tshwerwe ke lenyora목이 말라요.
Kokelwana e ko kae?병원은 어디입니까?
Ke nako mang?몇 시입니까?
Ke kopa thuso.도와주세요.
A nka go thusa?도와드릴까요?
A o ya ko ____?____는 어떠셨습니까?
____ ke eng ka Setswana?____는 세츠와나어로 무엇이라고 합니까?
Ga ke batle ________는 필요 없습니다.
Robala sentle안녕히 주무세요.
Tsamaya sentle잘 다녀오세요.
Sala sentle안녕히 계세요 (작별 인사)


참조

[1] 서적 Language in South Africa: The Role of Language in National Transformation,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John Benjamins 2002
[2] 학술지 Harmonizing South African Sotho Language Varieties: Lessons From Reading Proficiency Assessment 2009
[3] Harvnb 1991
[4] Harvnb 1991
[5] Harvnb 2001
[6] Harvnb 2001
[7] 학술지 The Design of Setswana Scrabble https://www.research[...] 2016
[8] Harvnb 2001
[9] Harvnb 2001
[10] Harvnb 2001
[11] Harvnb 2001
[12] Harvnb 2001
[13] Harvnb 2001
[14] Harvnb 2001
[15] 학술지 Learning to read Setswana and English: Cross-language transference of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ading skills 2008-12
[16] 웹사이트 Тсвана-русская практическая транскрипция https://iling-ran.ru[...] 2022-07-19
[17] Harvnb 1955
[18] Harvnb 19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